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x Proportional Hazard, Deep Neural Network 와 XG boost 모델을 이용한 면역항암제 임상연구 완료에 영향을 주는 인자 예측

        최유림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79

        면역항암제 분야 연구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지난 10년간 면역항암제 임상 1단계의 후보물질이 최종 미국 FDA 품목허가 승인까지의 성공률은 12.4% 였다.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상시험 완료를 예측하는 것은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면역항암제를 기반으로 임상 연구 완료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하는 예측모델을 Cox Proportional Hazard, Deep Neural Network, 그리고 XG boos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개발하여 예측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고,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모델에서 SHAP 기법을 이용하여 임상시험의 완료와 관련된 주된 변수와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2020년 2월 18일까지 ClinicalTrials.gov에 등록된 면역항암제 임상연구에서 조기중단, 연구종료, 첫 대상자 등록 전 중단된 연구를 추출하였고 중재연구, 암 치료를 위한 연구, 결측치가 없는 1,308개의 연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각 모델의 C-index 값은 Cox Proportional Hazard(C-index, 0.61), Deep Neural Network(C-index, 0.63), XG boost(C-index, 0.70)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가 빠르게 완료되는데 영향을 주는 주된 변수는 등록 수, 유병율, 선정기준(Eligibility Criteria)의 라인(line)개수, 일차목표결과(Primary outcome)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성별로 나타났고, 등록 수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등록수가 적고, 선정 제외 기준 항목수가 적을 수록, 연구의 대상 질환 유병율이 많은 국가 참여시, 일차목표결과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기간이 짧을수록, 여성만 또는 여성과 남성을 모두 모집하는 연구에서 연구가 빠르게 완료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면역항암제 대상 임상연구를 계획할 때, 임상연구가 완료될 가능성을 예측하고 임상연구 완료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e success rate of phase transition from phase 1 to approval of immune-oncology (IO) was 12.4% over 10 years despite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in Immuno-oncology therapies. Predicting completion of clinical trial can be helpful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approval (LOA).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for predicting the completion of clinical trials involving immune-oncology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Deep Neural Network and XG boost and to compare the predictive performance, and then the main variables and influences related to the completion of clinical trials were analyzed using SHAP values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in the model with the high accuracy. 1308 clinical trial data that were registered until February 18, 2020 were collected on ClinicalTrials.gov. Searched terms used were terminated, completed and withdrawn and then I used the following selection criteria for analysis: immune-oncology, intervention studies, treatment of cancer and no missing value. C-index was 0.61 for Cox Proportional Hazard), 0.63(Deep Neural Network) and 0.70(XG boost). The main variables that affect the early completion of the clinical trial were enrollment, prevalence, N_line of eligibility criteria, Time to reach primary outcome and gender. Enrollment is analyz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t was analyzed that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to be enrolled, a few eligibility criteria, the more countries with a high prevalence of disease indication, the short of primary outcome period and a study recruiting women only or both’ can be completed faster than other types of trials. In this study, variables that affect the completion of clinical trials are analyzed with time-to-event. I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ncrease the execution of future clinical trials in immune-oncology.

      • 일반병동 간호사와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전문직 삶의 질 비교

        유형하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79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mparative study conducted to compare the resilience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between general ward nurses and hospice ward nurses. The data collection period for this study was from May 4 to May 25, 2023. The study included 100 general ward nurses from comprehensive hospital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Gyeongsangnam-do for the general ward nurses, and 100 hospice ward nurses from inpatient hospice specialized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Gyeonggi, Gangwon, and Jeonbuk for the hospice ward nurses. The research tools used were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25) developed by Connor and Davidson (2003) and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ProQOL version 5 measurement tool developed and modified by Stamm (2010) and translated by Kim Shin et al. (201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C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27.0 softw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mpassion satisfaction, which is a sub-factor of the quality of professional life, was 32.03±5.83 for general ward nurses and 35.17±5.94 for hospice ward nurses. The burnout score was 28.93±4.22 for general ward nurses and 26.56±4.81 for hospice ward nurses.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score was 26.30±5.57 for general ward nurses and 25.63±5.25 for hospice ward nurses. The resilience score was 2.41±0.42 for general ward nurses and 2.59±0.46 for hospice ward nurses. After adjusting for variabl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uch as age, marital status, religion, education level, clinical experience, and department transfer experi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scores of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resilience between general ward nurses and hospice ward nurses. 2. When examining the quality of professional life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resili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ward nur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condary traumatic stress based on department transfer experience (t=2.30, p=.024),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lience based on department transfer experience (t=-2.04, p=.044). When examining the quality of professional life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resili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spice ward nurses, compassion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age (F=7.02, p=.001), marital status (t=3.48, p=.001), education level (F=7.93, p=.001),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 (F=6.22, p=.003). Burno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age (F=5.97, p=.004), marital status (t=-3.12, p=.002), education level (F=6.32, p=.003),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 (F=3.85, p=.025). Secondary traumatic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otal clinical experience (F=3.46, p=.035). Resil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age (F=3.81, p=.026) and marital status (t=2.18, p=.032). 3. In both general ward nurses (r=.55, p<.001) and hospice ward nurses (r=.61,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mpassion satisfaction and resilience, which ar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professional life. In both general ward nurses (r=-.58, p<.001) and hospice ward nurses (r=-.57,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resilience, which ar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professional life. 4. In the linear regression model of this study, the variable that influenced empathy satisfaction, a sub-factor of the quality of professional life, in general ward nurses was resilience (β=.55, p<.001), and the variable that influenced burnout was also resilience (β=-.58, p<.001), with explanatory powers of 30% and 33%, respectively. I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of this study, the variable that influenced empathy satisfaction, a sub-factor of the quality of professional life, in hospice ward nurses was resilience (β=.54, p<.001), and the variable that influenced burnout was also resilience (β=-.52, p<.001), with explanatory powers of 48.3% and 42.1%,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evels of resilience,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between general ward nurses and hospice ward nurses, it is suggested that nursing interventions aimed at enhancing resilience to reduce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among general ward nurses and hospice ward nurses could improve their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본 연구는 일반병동 간호사와 호스피스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회복탄력성과 전문직 삶의 질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비교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23년 5월 4일부터 5월 25일이었고, 연구 대상자는 종합병원급 이상 기관의 일반병동 간호사 100명과 입원형 호스피스전문기관 간호사 100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Stamm (2010)이 개발하고 발전시킨 전문직 삶의 질 측정도구 5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ProQOL version 5)를 김신 등(2010)이 번역한 도구와 Connor와 Davidson (2003)이 개발한 한국형 코너-데이비슨 회복력 척도(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25)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ANC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Linear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회복탄력성은 일반병동 간호사 2.41±0.42점, 호스피스병동 간호사 2.59±.46점이었다. 전문직 삶의 질 하위요인인 공감 만족은 일반병동 간호사 32.03±5.83점, 호스피스병동 간호사 35.17±5.94점이었고, 소진은 일반병동 간호사 28.93±4.22점, 호스피스병동 간호사 26.56±4.81점,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일반병동 간호사 26.30±5.57점, 호스피스병동 간호사 25.63±5.25점이었다. 두 집단 간에 연령, 결혼, 종교, 최종 학력, 임상 경력, 부서 이동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차이가 나는 변수에 대한 값을 공변량으로 하여 수정 점수를 제시한 결과, 호스피스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 만족과 회복탄력성의 평균값이 더 높고, 소진과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의 평균값이 더 낮았지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일반병동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과 전문직 삶의 질(공감 만족, 소진,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을 살펴보면,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부서 이동 경험(t=2.30, p=.02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회복탄력성은 부서 이동 경험(t=-2.04, p=.04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과 전문직 삶의 질(공감 만족, 소진,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을 살펴보면, 회복탄력성은 연령(F=3.81, p=.026), 결혼 여부(t=2.18, p=.03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공감 만족은 연령(F=7.02, p=.001), 결혼 여부(t=3.48, p=.001), 학력(F=7.93, p=.001), 총 임상 경력(F=6.22, p=.003)에 따라, 소진은 연령(F=5.97, p=.004), 결혼 여부(t=-3.12, p=.002), 학력(F=6.32, p=.003), 총 임상 경력(F=3.85, p=.025)에 따라,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총 임상 경력(F=3.46, p=.03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일반병동 간호사(r=.55, p<.001)와 호스피스병동 간호사(r=.61, p<.001) 모두에서 회복탄력성과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요인인 공감 만족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일반병동 간호사(r=-.58, p<.001)와 호스피스병동 간호사(r=-.57, p<.001) 모두에서 회복탄력성과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요인인 소진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본 연구의 선형회귀모형에서 일반병동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요인인 공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회복탄력성(β=.55, p<.001),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회복탄력성(β=-.58, p<.001)으로, 각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30%, 33%였다. 본 연구의 다중회귀모형에서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하위요인인 공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회복탄력성(β=.54, p<.001)이었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도 회복탄력성(β=-.52, p<.001)으로, 각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48.3%, 42.1%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일반병동 간호사와 호스피스병동 간호사 간의 회복탄력성과 전문직 삶의 질 하위요인인 공감 만족, 소진 및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두 병동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공감 만족과 소진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공감 만족이 높아지고 소진이 감소되었으므로 일반병동 간호사와 호스피스병동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회복탄력성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적용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의 욕창과 낙상 발생률 비교

        김보민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63

        본 연구에서는 환자 안전 지표가 강화되고 지표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시행 전후 낙상과 욕창 발생 환자를 비교하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시행 후 일반병동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낙상과 욕창 발생 환자를 비교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도입이 낙상과 욕창 발생률의 변화에 영향을 연구한 후향적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 목적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확산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며 제도적 정착에 도움이 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경기도 소재의 1개 종합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시행 전인 2014년 6월부터 2015년 6월 말까지 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시행 후인 2022년 6월부터 2023년 6월 말 기간에 병동 입원 환자 중 욕창, 낙상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전자 의무기록에서 얻은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전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 승인받은 후 연구(2023-10-006-001)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낙상과 욕창을 경험한 환자와 경험하지 않은 사람으로 나눠 그룹 간 발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일반병동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비교에서 일반병동에 비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일반병동은 시행 전후 비교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시행 전 일반병동에서 시행 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으로 전환되는 병동 간 비교에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시행 후 전환 병동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ncidence of pressure injury and fall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and general wards to study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ystem on the change in the incidence of pressure injury and falls. Data was collected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patients admitted to the ward from June 2014 to the end of June 2015 before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of one general hospital in Gyeonggi-do and from June 2022 to the end of June 2023 after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s implemented.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WIN 28.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occurrence between groups by dividing it into patients who have experienced falls and pressure injury and those who have not, the general nursing service ward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general ward. The general ward showed an increasing pattern in comparison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In the comparison between wards that are converted from the general ward to the general nursing service ward after implementation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there was an increasing pattern in the conversion war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 Changes in quality of diet among adolescents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indings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21

        LEE, KYUNGWON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63

        Substantial evidence is accumulating that large-scale anti-pandemic policies related to COVID-19 may disrupt eating habits. Adequate nutrient intake is important during adolescence when children experience rapid growth and sexual matura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changes in adolescents' overall dietary quality due to COVID-19. The present study analyzed nationally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data of 3,785 Korean adolescents aged 12 to 18 year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21). Overall diet quality was assessed using the 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 Mean difference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95% CI) in the KHEI and key dietary factors between pre-pandemic (2016-2019) and post-pandemic (2020-2021) were calculated to estimate the impact of the COVID-19 on adolescents’ diet. There was no change in the overall diet quality of adolescents during the pandemic, compared to the pre-pandemic period (mean difference pandemic vs prepandemic, -1.496; 95% CI: -3.41, 0.41), whereas a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in several dietary factors such as breakfasts frequencies, and intakes of saturated fatty acid, sodium, carbohydrate, and energy. Interestingly, there was a suggestion of U-shape of diet changes over the time-course of pandemic. The mean of KHEI (95% CI) decreased from 60.164 (59.14, 61.18) in pre-pandemic (2016-2019) to 57.005 (54.64, 59.37) in the first pandemic (2020) and increased to 60.445 (58.37, 62.52) in the second pandemic (2021). Furthermore, in stratified analyses, the greater decrease in KHEI was found among those with higher household income (P-interaction =0.036) and urban residents (P-interaction =0.029),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respectively. In this national representative study of Korean adolescents, there was a suggestion of modest change in diets during the pandemic, compared to the pre-pandemic period. Long-term impact of diet chang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on adolescents’ health needs to be determined. COVID-19 대유행 관련된 대규모 방역 정책이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현실적인 증거가 늘고 있습니다. 청소년기에는 성장과 성적 성숙이 빠르게 일어나므로 올바른 영양 섭취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COVID-19로 인한 청소년의 식생활 변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3-2021)에서 12~18세 대한민국 청소년 3,785명을 대상으로 단면 자료를 분석하였습니다. 전반적인 식단의 질은 대한민국 식생활평가지수 (KHEI)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습니다. COVID-19가 청소년의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팬데믹 이전(2013-2019)과 팬데믹 이후(2020-2021)의 KHEI와 주요 식이의 평균 차이와 95% 신뢰구간 (95% CI)을 확인하였습니다. 팬데믹 기간 동안 청소년의 전반적인 식단 질은 팬데믹 이전 기간과 비교하여 변화가 없었지만 (mean difference pandemic vs prepandemic, -1.496; 95% CI: -3.41, 0.41), 아침 식사 빈도, 포화지방산, 나트륨, 탄수화물, 그리고 총 에너지 등 여러 식이 요소에서 상당한 감소가 관찰되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팬데믹 기간동안 식이 변화가 U자 모양을 띠었습니다. KHEI 평균 (95% CI)은 팬데믹 이전(2016-2019) 60.154(59.14, 61.18)에서 1차 팬데믹(2020)에서는 57.005(54.64, 59.37)로 감소하였고, 2차 팬데믹(2020)에는 60.445(58.37, 62.52)로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계층화 분석에서는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P-interaction =0.036) 도시 거주자일수록 (P-interaction =0.029) KHEI가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이번 연구는 한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식단의 질에 일부 변화가 있음을 관찰한 것으로, 이러한 변화가 청소년의 건강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임신 전 체질량지수와 임신 중 체중증가에 따른 임신영양지식, 식습관 및 임신 결과 비교

        김미소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63

        This research study, which subject is pregnant women, was conducted to identify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gestational weight gain, and to compare pregnancy nutrition knowledge, eating habits, and pregnancy outcomes. The study subjects were pregnant women admitted to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bstetrical characteristics, pregnancy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habits of the subjects were examined by questionnaires; the pregnancy outcom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edical records of the hospital. Th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was broken down into underweight, normalweight, overweight, and obese groups grounding on IOTF. In addition, gestational weight gain was classified into under weight gain, recommended weight gain, and over weight gain group per th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grounding on the IOM standard. Employing the SPSS WIN 25.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post-ho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pregnant women, who are the study subjects, was 103; the mean age was 33.62±3.95 years;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completed was bachelor’s degree, which accounted for 68.0%. 68.9% were employed; the most common average monthly income was 5 to 7 million won, accounting for 36.9%; the most common number of miscarriage experience was zero, which accounted for 82.5%. Regarding the pregnant women's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63.1%, which is most, fell under the normalweight group; regarding the gestational weight gain, most fell under the recommended weight gain group, which accounted for 38.8%. The mean gestational age of the newborns was 271.87±5.78 days and the mean birth weight was 3215.74±403.35 gm. 91.3% was not classified as SGA; 86.4% was not classified as LGA; 81.6% of the babies were not hospitaliz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2.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pregnancy nutrition knowledge per the gestational weight gai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eating habits per th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F=2.879, p=.040.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eating habits per gestational weight gai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F=3.446, p=.036. 4.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gnancy outcomes per th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following: systolic blood pressure (F=4.939, p=.003), diastolic blood pressure (F=5.588, p=.001), gestational diabetes (=11.951, p=.008), LGA (=9.145, p=.027), and birth weight (F=2.824, p=.043).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gnancy outcomes per the gestational weight gai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eonatal birth weight (F=4.201, p=.018). Putting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ogether, pregnant women's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gestational weight gain led to the differences in eating habits and pregnancy outcome; the variables pertinent to pregnancy outcome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the following: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gestational diabetes, LGA, and birth weight. In this vein, nurses should provide interventions to strengthen the weight and eating habits management skills of women of childbearing potential and pregnant women to improve pregnancy outcomes of pregnant women and newborns,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as well. 본 연구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임신 전 체질량지수, 임신 중 체중증가 정도를 파악하고 임신영양지식, 식습관 및 임신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진행된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22년 11월 25일부터 2023년 2월 13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일개 종합병원에 분만을 위해 입원한 재태기간 37주~42주 초산모 총 103명이 대상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일반적 특성, 산과적 특성, 임신영양지식, 식습관을 조사하고 병원 의무기록을 통해 임신 결과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산모의 신장(m)과 임신 직전 체중(kg)으로 임신 전 체질량지수(kg/㎡)를 산출한 후 IOTF 기준에 근거하여 저체중군(<18.5), 정상체중군(18.5≤BMI<23), 과체중군(23.0≤BMI<25), 비만군(≥25.0)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임신 중 체중증가는 IOM 기준에 근거하여 임신 전 체질량지수에 따라서 저증가군, 적정증가군, 초과증가군으로 분류하였다. 저증가군은 저체중군 12.5kg 미만, 정상체중군 11.5kg 미만, 과체중군 7kg 미만, 비만군 5kg 미만 체중이 증가한 경우, 적정증가군은 저체중군 12.5~18kg, 정상체중군 11.5~16kg, 과체중군 7~11.5kg, 비만군 5~9kg 체중이 증가한 경우, 초과증가군은 저체중군 18kg 이상, 정상체중군 16kg 이상, 과체중군 11.5kg 이상, 비만군 9kg 이상 체중이 증가한 경우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분석을 하였고, 산모의 임신 전 체질량지수와 임신 중 체중증가에 따른 주요 특성들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One-way ANOVA, Scheffé post-hoc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자인 산모는 총 103명으로 연령은 평균 33.62±3.95세이고, 최종학력은 대졸이 68.0%로 가장 많았다. 직업이 있는 대상자가 68.9%였고, 월평균 소득은 36.9%가 500~70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유산 횟수 0회 82.5%로 대상자의 대부분이 유산력 없이 처음 임신한 임산부였다. 산모의 임신 전 체질량지수는 정상체중군이 63.1%로 가장 많았고, 임신 중 체중증가는 적정증가군이 38.8%로 가장 많았다. 임신 전 체질량지수가 저체중군인 경우 임신 중 체중증가는 저증가군이 가장 많았고, 정상체중군인 경우 적정증가군이 가장 많았다. 과체중군인 경우는 저증가군이 가장 많았으며, 비만군인 경우 초과증가군이 가장 많았다. 신생아의 제태연령은 평균 271.87±5.78일이고, 출생체중은 평균 3215.74±403.35gm이었다. 부당경량아(SGA) 미해당인 경우는 91.3%, 부당중량아(LGA) 미해당인 경우는 86.4%,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은 하지 않은 경우가 81.6%였다. 2. 임신 전 체질량지수와 임신 중 체중증가에 따른 임신영양지식을 비교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임신 전 체질량지수에 따른 식습관을 비교한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2.879, p=.040). 식습관 점수가 정상체중군에서 가장 높았고 저체중군, 과체중군, 비만군 순으로 나타났다. 임신 중 체중증가에 따른 식습관을 비교한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446, p=.036). 식습관 점수가 적정증가군에서 가장 높았고 저증가군, 초과증가군 순으로 나타났다. 4. 임신 전 체질량지수에 따른 임신 결과의 비교에서 수축기 혈압(F=4.939, p=.003), 이완기 혈압(F=5.588, p=.001), 임신성 당뇨(=11.951, p=.008), 부당중량아(LGA)(=9.145, p=.027), 출생 체중(F=2.824, p=.043)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산모의 수축기·이완기 혈압, 신생아 출생체중은 비만군에서 가장 높고 과체중군, 정상체중군, 저체중군 순으로 나타났다. 임신성 당뇨가 있는 경우는 과체중군에서 가장 많았고 비만군, 저체중군·정상체중군 순으로 나타났다. 부당중량아(LGA)에 해당하는 경우는 정상체중군에서 가장 많았고 비만군, 과체중군, 저체중군 순으로 나타났다. 임신 중 체중증가에 따른 임신 결과의 비교에서 신생아 출생체중(F=4.201, p=.018)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신생아 출생체중은 초과증가군에서 가장 높고 적정증가군, 저증가군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임산부의 임신 전 체질량지수와 임신 중 체중증가에 따라 식습관 및 임신 결과의 차이가 있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임신 결과 변수는 수축기·이완기 혈압, 임신성 당뇨, 부당중량아(LGA), 출생 체중이었다. 따라서 간호사는 산모와 신생아의 임신 결과 향상을 위해 가임여성, 임산부의 체중 및 식습관 관리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이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의료기술평가(HTA)의 국제비교 : 영국, 캐나다, 호주, 스웨덴과의 유사성 및 차이점

        이다연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63

        노인 인구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만성질환이 증가하면서 이에 발맞춰 보건의료분야의 의료기술도 신속하게 개발되고 있다. 수많은 의료기술 중 객관적인 근거와 사회적 가치판단을 통해 의료기술의 진정한 가치를 판별하고, 합리적인 도입을 추구하는 의료기술평가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국내 의료기술평가는 선진국의 제도를 바탕으로 도입한지 근 15년이 되는 시점이며 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널리 쓰이는 ‘우수한 HTA가 갖추어야 할 요건’(Drummond et al., 2008)을 바탕으로 외국의 의료기술평가 제도와 비교해 우리나라 의료기술평가 제도를 점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대상 국가 선정은 영국, 캐나다, 호주, 스웨덴을 주요국으로 정하였으며, 각 국가의 의료기술평가 현황은 문헌고찰 및 관련 기관의 홈페이지 자료 등을 참고하여 적합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결정과 근거의 연계가 미비하다. 국외의 경우 급여여부가 의료기술평가 자료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신의료기술평가처럼 모든 의료기술평가가 의사결정과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둘째, 의사결정 과정이 투명하지 않다. 국외의 경우 평가를 공개적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으며 평가 근거자료, 평가 논의사항, 평가 참여자 명단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는 반면, 국내의 경우 비교적 비공개적이다. 셋째, 건강보험등재 과정에서의 경제성평가 방법이 체계적이지 않다. 국내의 건강보험등재 과정에서 수행되는 경제성평가는 국외의 경제성평가 분석처럼 심도있게 진행되고 있지 않다. 넷째, 우선순위 선정기준이 부재하다. 국외의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기술부터 평가하는데 비해 국내 신의료기술평가는 신청 건에 대해 모두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다섯째, 대중의 참여 기회가 미비하다. 국외의 경우 의료기술평가 전 범위지정 단계, 의사결정 과정 등에서 일반 대중의 참여를 통해 공익적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국내는 전문가 위주로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주요국과 국내 제도와의 유사성 및 차이점을 확인하였으며 차이를 보이는 부분에 대해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의료기술평가 관점으로 근거 연계의 확대, 급여결정과정에서 심도 있는 경제성평가 분석 적용, 평가 과정 공개 및 대중 참여 기회 확대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건강보험제도 하에 운영되는 의료기술평가제도가 건강보험진입까지 근거를 기반으로 유기적으로 연속되어야 건강보험재정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을 것이며, 그 과정에서 앞서 언급한 방안 적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국외 제도와의 비교 연구가 국내 의료기술평가제도의 개선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response to the increase of the elderly demographic and the escalating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the domain of healthcare is experiencing rapid advancements in medical technology. Among the numerous medical technologies, the role of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HTA) in determining the true value of medical technology through objective evidence and social value judgements is important. This study conducted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review of HTA systems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utilizing the criteria proposed by Drummond et al.,(2008) which is globally recognized. The intention behind this research endeavor is to seek out trajectories for the evolution of the domestic HTA system. The United Kingdom, Canada, Australia, and Sweden were chosen as the primary countries for comparison due to their prominent roles in the field of HTA. The present HTA in each country was determined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and data from related organizations’ websites. The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lack of linkage between policy decisions and evidence. In foreign countries, the decision on whether to cover costs is based on HTA, but in Korea, not all HTA is organically linked with decision-making, like new health technology assessment(nHTA). Seco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lacks transparency. In foreign countries, some assessments are conducted publicly, and decisions are made transparently based on certain evidential materials and discussions. However, in Korea, details such as discussion of agenda, evidence used in assessments, and list of participants are relatively non-public. Third, the role of economic evaluation is ambiguous. While Korea conducts cost-effectiveness assessment in the reimbursement decision process, it’s not as in-depth as those in foreign countries. Fourth, there is no criteria for prioritizing technologies. In foreign countries, they evaluate the technology with the highest priority, but nHTA in Korea, they evaluate all applications. Fifth, there are insufficient opportunities for public participation. In foreign cases, efforts are made to reflect public interest opinions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in stages such as scop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etc. However, in Korea, participation is predominantly led by experts. In conclusion, from the perspective of nHTA, this research proposed the expansion of evidence-policy decision linkage, transparency in HTA, application of in-depth cost-effectiveness analysis, and increased opportunities for public participation. HTA system operating under the health insurance system should be organically continuous up to the process of determining health insurance eligibility for efficient operation of health insurance finance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international comparison research could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seeking improvements in Korea's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system.

      • 국내 입원환자 초기 영양선별도구의 비교평가 및 개선방안 도출에 대한 예비연구

        신지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63

        입원환자의 영양불량은 재원일수의 증가, 상처회복의 지연, 면역능력 저하, 사망률 및 합병증의 증가를 야기시키며, 따라서 입원초기 정확한 예측을 통한 영양불량의 조기 선별은 입원환자의 예후관리에 중요하나, 국내에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영양선별도구는 부재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영양불량 선별 도구들간의 영양불량 선별력을 비교 분석하고, 예측력을 개선할 수 있는 수정보완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종합병원 입원환자 120명의 임상, 생화학 자료 및 식이 섭취 자료는 의무기록 및 개별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PG-SGA로 정의된 영양불량을 기준으로 하여, 국내외 6개 (NRS-2002, NRI, GLIM, NRST, NSI, SNSI)의 영양 선별 도구들의 영양 불량 유병율, 민감도, 특이도를 측정하고, 영양불량 선별 도구의 예측력을 유의하게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영양지표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외 대표적인 영양선별 선별도구 들은 영양불량 유병율이 4%-41%로 선별도구마다 상이하게 다름이 관찰되었다. 또한, 각 영양 불량 선별도구들의 타당도를 PG-SGA를 기준으로 평가하였을 시, 각 도구들의 타당도는 64.75%-87.83%의 민감도,67.26%-100%의 특이도, 0.12-0.72의 카파 상관 계수를 보이는 큰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이 중 NRST의 타당도가 가 87.83% 민감도, 89.69% 특이도, 0.72 카파 상관계수로 가장 높음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NRST의 타당도의 개선 여부를 탐색하여 보았을 시, 특히 간단하게 수집할 수 있는 2주간의 체중감소와 영양관련증상점수를 NRST에 추가하였을 시, AUC및 모델 적합도가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상이한 영양불량 선별력을 보이는 영양 선별 도구들간에 PG-SGA를 기준으로 NRST가 가장 타당하며, 영양 지표의 개선을 통해, 예측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양선별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추후 대규모의 연구에서 재현현이 필요하나, 선제적으로 영양불량 환자를 식별하는 도구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함의를 가진다. Malnutrition of hospitalized patients is a well-known risk factor for poor prognosis and mortality. Nonetheless, many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s are either foreign instruments or developed under specific hospital settings. There are lack of consensus on the standardized form of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 that can be widely applicable to Korean. This study aimed to compare five, simple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s (nutritional risk index [NRI], global leadership initiative on malnutrition [GLIM], nutrition risk screening tool [NRST], nutrition screening index [NSI], severance nutrition screening index [SNSI]) and explored risk factors to improve discriminability of the instrument. This study analyzed cross-sectional data of 120 in-hospital patients collected within 48 hours upon admission. Clinical and biochemical data were collected via medical records. Interviewer assessed anthropometrics and dietary intak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kappa coefficients of each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 was calculated, compared to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Change in area under the curve (AUC) was estimated to assess improvement in discriminability of the instrument by adding new risk factors. In our study, prevalence of malnutrition varied across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s ranging from 4.2% by NSI to 40.8% by PG-SGA. Among five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s, NRST had the highest agreement with PG-SGA (k =0.72), followed by GLIM and SNSI.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NRST was high, showing 87.83% and 89.69%, respectively. For NRST score, the AUC significantly improved from 0.90 to 0.95 by adding two-weeks weight loss and nutrition-related symptom (change of AUC and 95% confidence interval: 0.05 (0.005, 0.10)). In this study, we observed significant variability diagnosing malnutrition among malnutrition screening tools and NRST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accuracy with potential of improvement by adding simple nutrition indicators. Further large studies are warranted to replicate our findings.

      • 베이시안 기반 반코마이신 치료적 약물농도검사 프로그램의 유효성과 안전성 평가 및 목표 이탈 원인 변수 탐색

        장소영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63

        본 연구의 목적은 첫 번째, 베이시안 기반 반코마이신 치료적 약물농도검사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을 통해 산출된 용량이 환자의 AUC/MIC를 목표 범위에 얼마나 잘 도달하게 했는지를 평가하며, 과거 최저 농도(trough concentration)기반의 용량 조절 방법과 현재 시간-농도 곡선하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 기반의 용량 조절 방법을 임상적 지표(유효성과 안전성)로 비교할 것이다. 두 번째는 반코마이신의 베이시안 프로그램으로 목표 AUC에 도달하지 못하는 환자의 원인 변수를 찾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자의무기록으로부터 후향적으로 환자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1) 목표 농도/AUC 도달 유무, (2) 반코마이신 유효성(치료기간, 입원기간), (3) 반코마이신 안전성(신독성, 이독성, red-man syndrome)을 평가 변수로 분석하였다. 농도-기반 TDM군과 AUC-기반 TDM군 간의 비교는 변수에 따라 t-test, Mann-Whitney U test, chi-square test로 수행하였다. 추가로 AUC-기반 TDM으로 용량을 조절한 환자 중 목표 AUC에 도달 유무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도출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평가 가능한 농도-기반 TDM 환자 223명과 AUC-기반 TDM 환자 104명 중 각각 목표 농도 또는 목표 AUC에 도달한 환자는 107명 (48.0%)과 56명 (53.8%)이었다. AUC-기반 TDM을 시행한 집단에서 목표에 도달한 환자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AUC-기반 TDM 집단에서 목표 도달 유무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한 결과 혈청 알부민 농도만 목표 도달 유무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p<0.05), 알부민 농도가 높을수록 목표 AUC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았다. AUC-기반 TDM은 농도-기반 TDM에 비해 반코마이신 치료기간을 중간값 3일 단축시켰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농도-기반 TDM과 AUC-기반 TDM은 신독성과 red-man syndrome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각각 p=0.52 와 p=0.31). 이독성은 두 군에서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AUC-기반 TDM이 농도-기반 TDM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목표에 잘 도달시킴을 확인했다. AUC-기반 TDM이 반코마이신 치료 기간도 유의하게 단축시켰다. 치료 기간이 단축된 것은 목표 농도에 잘 도달시켰기 때문일 것이다. 비록 소집단 분석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AUC-기반 TDM을 했을 때 치료 기간이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다.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은 것에는 소집단 분석을 수행하면서 분석에 포함되는 환자 수가 감소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AUC-기반 TDM과 농도-기반 TDM은 반코마이신의 부작용(신독성, 이독성, red-man syndrome)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UC-기반 TDM을 진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상관성 분석을 한 결과 혈청 알부민 농도가 목표 도달 여부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다만 치료 기간이 단축에 대한 소집단 분석을 위한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 또한 추후 연구를 통해 AUC-기반 TDM에서 혈청 알부민 농도의 영향 및 병용 약물과 같은 혼란 변수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 Bayesian-based vancomycin therapeutic drug monitoring (TDM) program. We will evaluate how well the dose calculated through the program reaches the patient's AUC/MIC within the target range. In addition, we will compare the past dose adjustment method based on the trough concentration and the current dose adjustment method based on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using clinical indicators (efficacy and safety). The second objective is to find causal variables in patients who do not reach the target AUC with the Bayesian program for vancomycin. This study retrospectively collected patient data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to determine (1) whether the target concentration/AUC was reached, (2) vancomycin efficacy (treatment period, hospitalization period), (3) vancomycin safety (nephrotoxicity, ototoxicity, red-man syndrome) was analyzed as an evaluation variable. Comparison between the concentration-based TDM group and the AUC-based TDM group was performed by t-test. Categorical variable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comparisons between TDM methods were performed using the chi-square test. Additional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rive factors affecting whether or not the target AUC was reached among patients whose dose was adjusted with AUC-based TDM. Among the 223 evaluable concentration-based TDM and 104 AUC-based TDM patients, 107 (48.0%) and 56 (53.8%) patients reached the target concentration or target AUC, respectively. In the group that performed AUC-based TDM,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reached the goa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p<0.05).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whether the goal was reached in the AUC-based TDM group, only serum albumin concentr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hether the goal was reached (p<0.05), and the higher the albumin concentration,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reaching the target AUC. AUC-based TDM shortened the vancomycin treatment period by a median of 3 days compared to concentration-based TDM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centration-based TDM and AUC-based TDM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phrotoxicity and red-man syndrome (p=0.52 and p=0.31, respectively). Ototoxicity did not occur in both groups. We confirmed that AUC-based TDM reached the targe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than concentration-based TDM. AUC-based TDM also significantly shortened the vancomycin treatment period. The reason the treatment period was shortened may be because the target concentration was well reached. Although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confirmed in the subgroup analysis, the treatment period tended to be shortened when AUC-based TDM was used. The reason why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confirmed may be because the number of patients included in the analysis decreased while performing the subgroup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UC-based TDM and concentration-based TDM regarding the side effects of vancomycin (nephrotoxicity, ototoxicity, red-man syndrome). A correlation analysis of patients who underwent AUC-based TDM showed that serum albumin concentration significantly affected whether the goal was reached. However, more data are needed for subgroup analysis of the shortened treatment period. Additionally,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serum albumin concentration and confounding variables such as concomitant medications on AUC-based TDM.

      •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Thiazolidinediones 치료시 PPAR-γ Pro12Ala 다형성과 혈당 및 혈중지질농도와의 상관성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임새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6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effect of taking Thiazolidinediones (TZD), a diabetes treatment for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Pro12Ala polymorphism of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iver-r (PPAR-γ) gene, on blood sugar and lipid concentration. Globally,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has become a major global public health problem.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estimates that the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in the 20s and 70s reached 382 million in 2013, of which about 80 percent is related to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nd predicts that the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will rise to 592 million in 2035. To treat and manage this prevalent T2DM, thiazolidinediones (TZD) which enhance insulin sensitivity, are prescribed. TZD are synthetic 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γ (PPAR-γ) ligands and nuclear transcription regulators. The rs1801282 we meta-analyzed is a missense mutation that causes the substitution of proline to alanine at codon 12 of the PPAR-γ gene. PPAR-γ plays a role in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regulating glucose and lipid blood concentration, which means that polymorphism of this gene affects T2DM patients on the therapeutic efficacy of TZD. Thus, we characterized the impact of PPAR-γ polymorphism on TZD response. Studies retrieved from PubMed, Web Of Science, and Embase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arch term. All studies were published before August 2022. We extracted following data: glycated hemoglobin A1c (HbA1c, %), fasting plasma glucose (FPG, mg/dL),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 mg/dL),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 mg/dL), total cholesterol (TC, mg/dL) and triglyceride (TG, mg/dL).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s1801282 on TZD response, we compared the differential values (DVs, post-administration minus pre-administration) of data between the variant group (PA/AA) and wild-type group (PP). We computed mean difference (MD) and standard mean deviation (SMD). Data were analyzed through Review Manager 5.4.1.0. Five studies involving 747 T2DM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meta-analysis. The MD results suggested that DVs of TG a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variant group than in the wild-type group (MD=-22.47; 95% CI: -44.65 to –0.29, P=0.05, I2=77%). However, DVs of HbA1c, FPG, LDL, HDL, and TC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is meta-analysis suggested that Pro12Ala polymorphism of PPAR-γ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G in T2DM patients with TZD treatment. 목적: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r (PPAR-γ) 유전자의 Pro12Ala 다형성을 보유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Thiazolidinediones (TZD)계열 약물 복용이 혈당과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국외 데이터베이스인 PubMed, Web of Science, Embase를 이용하여 문헌을 검색하였다. 미리 설정한 포함 기준과 배제 기준으로 문헌을 선택하였고 최종 선정된 문헌의 질평가는 NewCastle-Ottawa quality assessment scale (NOS)를 이용하였다. TZD 계열 약물 반응에서 rs1801282에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변이군(Pro12Ala/Ala12Ala)과 대조군(Pro12Pro)의 Differential Values(DVs, 투여 전과 투여 후 결과값 차이)를 비교했으며 mean difference (MD)와 standard mean deviation (SMD)값을 산출했다. 선정된 문헌을 양적으로 합성하기 위해 Cochrane Review Manager software 5.4.1.0(RevMan)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Forest plot으로 나타냈다. 연구간 이질성은 카이-제곱 검정과 I2 통계량을 통해 평가했으며, I2값이 50%보다 큰 경우 변량 효과 모델을, 그렇지 않은 경우 고정 효과 모델을 적용하였다. 결과: 747명의 제 2형 당뇨병 환자들이 포함된 5편의 문현이 메타분석에 포함되었다. MD 결과값은 대조군(Pro12Pro)보다 변이군(Pro12Ala/Ala12Ala)에서 triglyceride (TG, mg/dL)의 DVs값이 주요하게 더 낮아졌음을 제시했다(MD=-22.47; 95% CI: -44.65 to –0.29, P=0.05, I2=77%). 그러나 당화혈색소(HbA1c, %), 공복혈당(FPG, mg/dL),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 mg/dL),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DL, mg/dL), 총콜레스테롤(TC, mg/dL) 값은 두 그룹에서 주요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결론: 본 메타분석연구에서는 당뇨병 치료제인 TZD 계열의 약물이 PPAR-γ 유전자 다형성을 보유한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과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PPAR-γ 유전자 변이가 있는 환자의 경우, TG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하장애 노인 환자에서 고단백 물성조절 고령친화식품의 근력 강화 효과 연구(예비연구)

        박윤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63

        The number of elderly patients with dysphagia is increasing as the global population ages. 25-75% of older adults with dysphagia are malnourished or at risk of dehydration. Malnutritio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increased chronic disease morbidity, hospitalization, mortality, and depression. Therefore, implementing nutritional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with dysphagia is a critical role to improve their physic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e swallowing process is a complex process involving more than 30 muscles located around the mouth, pharynx, and esophagus, and it is important to maintain muscle mass to preserve swallowing function. However, the old adults are vulnerable to muscle loss due to changes in metabolic processes, and decrease in activity and nutrient intake. Increasing protein intake may help maintain lean body mass in older adults. The recent increase in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due to nuclear familiarization, as well as the absence of proper care in times of infectious disease crises, has created a demand for effective meal solutions for homebound patients. However, there is currently a shortage of products that have been proven safe and effective for elderly patients with dysphagia.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high-protein texture-modified foods in the form of home meal replacements (HPTMF) for elderly patients with dysphagia aged 65 and abov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0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were diagnosed with dysphagia visiting the department of geriatrics at Asan Medical Center from May 1, 2022 to August 30, 2022. Two HPTMF were provided for a total of 10 days which supplied an average of 595.23 ± 66.75 kcal of energy and 54.22 ± 6.32 g of protein. They consisted of two main dishes or one main dish and porridge with non-overlapping main ingredients which formulated to contain approximately 10% protein per serving size. The HPTMF includes braised beef short ribs, soy sauce braised beef, soy sauce braised pork, braised mackerel, braised chicken with garlic, hamberg steak, soybean paste sauce for rice meal, and Chinese meat sauce for rice meal, Dried pollack porridge and chicken porridge. To evaluate the intake of the provided HPTMF, a 24-hour dietary record was analyzed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Body measurements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mid-upper arm circumference, and calf circumference), hand grip strength, and nutritional status evaluation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ini dietary assessment, and euro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5-dimensional classification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ducts. After 10 days, the mid-upper arm circumferenc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6.36 ± 2.4 cm to 28.50 ± 3.2 cm (p = 0.01), and hand grip strength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3.20 ± 4.00 kg to 25.20 ± 4.08 kg (p = 0.01). Mid-upper arm circumference and hand grip strength are useful indicators to predict nutritional status and mortality.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MNA criteria, the proportion of subjects at risk of malnutrition decreased from 70% to 40%, while the proportion of well-nourished subjects increased from 10% to 40%.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HPTMF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nutrition and health status of elderly patients with dysphagi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elderly-friendly products for patients with dysphagia.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연하장애 노인 환자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연하장애 노인 환자의 25-75%는 영양 불량 상태이거나 탈수 위험이 있다. 영양 불량은 만성질환 이환율, 입원율 및 사망률, 우울증 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연하장애 노인 환자의 영양 관리는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연하 과정은 입 주변, 인두, 식도 등에 위치한 30개 이상의 근육이 관여하는 복잡한 과정으로 연하 기능을 보존하기 위해 근육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노인은 노화에 따른 대사 과정의 변화, 활동량 및 영양소 섭취량 감소로 근육 감소에 취약하다. 따라서 근육을 이루는 주요 영양소인 단백질 섭취 증가는 노인의 연하 기능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최근 핵가족화로 인한 독거노인 증가,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의 돌봄 공백 등으로 재가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식사를 제공받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으나 연하장애 환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안전성과 효용성이 입증된 제품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연하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 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 HMR) 형태의 고단백 물성조절 고령친화식품(high-protein texture-modified foods, HPTMF)의 건강 및 영양 상태 개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22년 5월 1일부터 2022년 8월 30일까지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 중 인후부 혹은 식도 연하곤란 판정을 받은 65세 이상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10일 동안 하루 두 가지의 고령친화식품을 제공하였다(평균 에너지 595.23±66.75kcal/d, 평균 단백질 54.22±6.32g/d). 하루에 제공되는 제품은 주찬(반찬 또는 덮밥소스) 두 개 또는 죽과 주찬 한 개씩으로 주재료가 겹치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며 식품 중량 당 10% 내외의 단백질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주찬으로는 소갈비찜, 소고기 장조림, 돼지고기 장조림, 고등어조림, 찜닭, 함박스테이크, 강된장덮밥소스, 제육덮밥소스가 제공되었으며 죽은 황태미역죽, 수삼삼계죽이 제공되었다. 제공한 제품의 섭취량 평가를 위해 중재 기간 동안 24시간 식사 일기를 분석하였으며 중재 효과를 판정하기 위해 프로그램 전후 신체계측(신장, 몸무게, BMI, 상완위둘레, 종아리둘레), 악력(hand grip strength, HGS), 삶의 질 평가(euro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5-dimensional classification, EQ-5D), 주관적 건강 상태 평가(subjective health status, SHS), 간이영양상태평가(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를 수행하였다. 중재 시작 10일 후 상완위둘레는 26.36±2.35cm에서 28.50±3.17cm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악력은 23.20±4.00kg에서 25.20±4.08kg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상완위둘레와 악력은 건강 상태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이다. 상완위둘레 및 악력의 감소는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MNA 기준에 따라 영양 상태를 평가하였을 때 영양 불량 위험에 해당되는 대상자의 비율은 중재 전 70%에서 중재 후 40%로 감소하였으며 영양 상태 양호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10%에서 40%로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고단백 물성조절 고령친화식품은 연하 장애 노인 환자의 건강 및 영양 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추후 연하 장애 환자의 건강 및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하곤란식 개발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