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습상담을 활용한 수학클리닉이 대학생들의 수학학습에 미치는 영향

        김보민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majority of students tend to listen around or watch and follow the person next to them studying. However, there is no guarantee that a good method is good for others because each person has different learning tendencies and strengths and weaknesses. With this in mind,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has recently run a mathematics learning clinic program to diagnose each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advise on customized learning methods consideri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athematics learning clinic center program operated by S university in small and medium cities affects mathematics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To this end, we interviewed six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ath clinic program, and how mathematics learning counseling program, one of the math learning clinic programs, affected math learning.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and confirmed the following. First, mathematics learning counseling helps university students identify key variables that affect their math learning. Second, mathematics learning counseling can help students recognize the need for mathematics on their own. Third, a math study clinic helps students have a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Fourth, learning counseling at the math learning clinic helps students to find a customized learning method that suits their needs by understanding their learning disposition or characteristics. Fifth, the mathematics learning clinic gives students an interest in math learning by helping them to make up for learning deficits or correct wrong concepts.

      • 토의·토론중심의 메이커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김보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요 약 토의·토론 중심의 메이커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김 보 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과학영재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순 식) 본 연구의 목적은 토의·토론 중심의 메이커수업이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능력 및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S초등학교 3학년 1개 학급 25명을 연구집단, 다른 1개 학급 25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연구집단에 대해서는 토의·토론 기반의 메이커 수업을 10차시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 대해서는 교육과정에 의거한 일반 수업 10차시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우선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습동기에 대한 두 집단 간의 동질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전 t-검정을 실시하였고,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에 각각 다른 유형의 10차시 수업을 적용한 후에 사후 t-검정을 실시하여 토의·토론 중심의 메이커수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의·토론 중심의 메이커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토의·토론 중심의 메이커수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끊임없이 생각하게 하며 더 나은 결과를 만들기 위하여 학생들이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정교화 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생각된다. 둘째, 토의·토론 중심의 메이커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학습 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토의·토론 중심의 메이커수업은 학생들이 학습활동의 주체가 되어 학습내용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수업이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토의·토론 중심의 메이커수업 후에는 수업의 결과를 자신이 수업 전에 생각했던 예상과 어떤 점이 차이가 나는지를 바로 확인해 볼 수 있어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높일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자신의 사고과정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 다음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로 작용하였다고 생각된다. 셋째, 토의·토론 중심의 메이커수업에 대한 참여 학생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연구집단 학생들 중 80%의 학생들이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흥미도 역시 84%의 학생들이 수업이 흥미로웠다고 답했다. 또한 수업의 참여도를 묻는 질문에도 80%의 학생들이 열심히 참여했다고 답했다. 이처럼 토의·토론 중심의 메이커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흥미도, 참여도가 높은 것은 토의·토론 중심의 메이커수업이 학생중심, 동료장학, 적절한 질문과 해답, 보다 나은 답을 찾기 위한 협동심을 제고시킬 수 있는 수업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것은 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탐구력을 향상시키고 초등 과학교육의 목표를 충실하게 구현하는 데 있어서 토의·토론 중심의 메이커수업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주요용어: 토의·토론, 메이커수업,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학습동기 * 본 논문은 2019년 6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쥬니루이갓센에마키(十二類合絵巻)』 연구 : '너구리’의 의미를 중심으로

        김보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쥬니루이갓센에마키』를 중심으로 하여, 그 이전과 이후 시대에 기록된 너구리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 것이다. 일본 헤이안 시대에는 ‘살쾡이’를 뜻하는 ‘狸’라는 한자로 ‘너구리’까지 총칭함으로써 너구리와 ‘살쾡이’를 혼동하게 되었다. 당시 사람들은 ‘추상적인 것’은 ‘모노’, 이것이 일으킨 ‘기이한 현상’은 ‘모노노케’라고 하였다. 또한, 다타리가미나 모노노케가 자연재해를 일으킨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모노노케라고 지칭한 것 중에는 살쾡이의 특징을 덧씌운 너구리도 포함되어 ‘추상적인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기이한 현상’을 일으킨다고 인식되어 사람들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가마쿠라 시대에는 너구리가 이전 시대와 마찬가지로 기이한 현상의 이미지를 답습하고 있지만, 추상적이지 않고 구체적이며 시각화되기 시작하였다. 『우지슈이모노가타리』에는 보살로 변신하는 너구리가 등장하고, 『고콘쵸몬쥬』에도 키 큰 법사로 변신하는 너구리가 등장한다. 그런데 보현보살과 법사, 즉 ‘너구리’는 무사와 사냥꾼에게 죽임을 당함으로써 퇴치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고콘쵸몬쥬』에 등장하는 ‘너구리’와 대립하는 중심인물들이 당시 지배계층이라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이 시대의 ‘너구리’는 지배계층에 반발하고 맞서는 ‘하층계급’으로, 이들을 퇴치하는 행위는 권력계층이 주변인을 통제하고 순종하게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무로마치 후기에 성립한 『쥬니루이갓센에마키』는 상ㆍ중ㆍ하 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타아와세(歌合)ㆍ갓센(合戦)ㆍ슛케(出家)로 구성된 에마키이다. 『쥬니루이갓센에마키』에서는 ‘너구리’의 의미가 더욱 분명하게 나타난다. 상권은 쥬니루이의 ‘우타아와세’에 너구리가 참석하고 싶어 하지만, 좌절되자 도발한다는 내용이다. ‘우타아와세’는 헤이안 시대 귀족들이 와카(和歌)를 공유하는 놀이문화이다. 당시 승려들은 와카를 활용해 신도들에게 교리를 전파하기도 하였다. 쥬니루이는 약사여래를 신앙하는 기득권 계층을, ‘너구리’는 기존의 기득권에 반발하는 새로운 종파 또는 하층계급의 불교를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너구리의 서식지처럼 소외된 승려들의 거주지도 산간 지역일 가능성이 높다. 당시 사람들이 멸시하고 차별하던 집단 중에는 산을 본거지로 삼은 이들이 많았다. 당시에 마을이 아닌 산은 이역(異域)으로 인식되는 공간이었다. 따라서 쥬니루이와 너구리의 대립은, 약사여래를 신앙했던 지배층과 이역에서 온 하층계급 사이의 갈등과 대립을 비유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중권의 내용은 쥬니루이군과 너구리군의 갓센이다. 처음에는 쥬니루이군이 손쉽게 승리하지만, 너구리군이 반격하여 승리하게 된다. 이것은 하층계급의 세력이 지배층의 통제가 쉽지 않을 정도로 강력했음을 의미한다. 하권은 너구리군이 쥬니루이군에게 완전히 참패하는 내용이다. 너구리는 오니로 변신하여 복수를 꿈꾸지만 실패하고 마침내 불도에 귀의한다. 여기서 너구리는 상반된 두 가지 모습을 보여준다. 불도에 들어가지만, 결국 수도를 떠나 산다는 것에서는 하층계급으로서 분수에 맞게 살고자 하는 모습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와카에 대한 집착은 버리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여전히 상류층으로 진입하고 싶어 하는 욕망의 존재라는 것을 보여준다. 『쥬니루이갓센에마키』는 당시 차별받고 멸시받았던, 반체제적일 수도 있는 이역 하층계급의 모습과 그들이 체제에 순응하도록 통제하려는 지배층의 모습이 잘 어우러져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에도 시대에는 서민층이 중심이 되어 상업 활동이 발달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너구리’에도 상업적인 의미가 강하게 부여되기 시작했다. 또한 인쇄출판업, 공연예술 등이 활발해지고 그 장르도 다양해져 너구리는 사람들과 대립하면서도 친숙한 존재로 변모하면서 오늘날처럼 다양한 이미지로 분화되었다. This research, focusing on Juunirui Kassen Emaki, examines the meaning of Tanuki which was recorded in Japan's typical folk tales at the former and latter days of Juunirui Kassen being made. In the Heian era of Japan, many people used ‘Tanuki’ mixed with ‘wildcat’ by vague calling it the Chinese character ‘狸[li]’ collectively, which means ‘wildcat’. At that time, people used the term of ‘Mono’ as ‘abstract thing’, ‘Mononoke’ as ‘strange phenomenon’ that was caused by it. Also, Tatarigami or Mononoke was considered to be cause of natural disasters. Therefore, among the things referred to as Mononoke, Tanuki that overlaid the characteristics of wildcat was included. Thus, Tanuki was described as abstract thing, and it was also a fear to many people by being recognized as causing ‘strange phenomenon’. In the Kamakura era, Tanuki followed the image of strange phenomenon like the previous time, but it began to be specific and visualized, not abstract. In Uji Shuui Monogatari, appears a Tanuki transforming into a Bodhisattva, and a Tanuki gets visible as a tall Buddhist monk in Kokon Chomonjuu. However, the ‘Tanuki’ of Bohyeon Bodhisattva and Buddhist monk is removal targets which is killed by Samurai and hunters. Considering that the central characters who are at odds with the Tanuki in Kokon Chomonjuu are the ruling class at the time, the Tanuki of this era can be interpreted as ‘lower class‘ that opposes and confronts the ruling class. Also, the act of eradicating the Tanuki can be interpreted that the ruling class controls and obeys surrounding people. Juunirui Kassen Emaki, an emaki of the late Muromachi era, consists of three-decker that are Utaawase, Kassen, and Shukke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In Juunirui Kassen Emaki, the meaning of ‘Tanuki’ appears more clearly. In the first volume, Tanuki wants to attend the ‘Utaawase’ of Juunirui, but the refusal of it provokes getting discouraged and invites resistance. And ‘Utaawase’ is a play that aristocrats share through reciting poem of Waka in the Heian era. At that time, Buddhist monks would spread the doctrine to believers using Waka. Juunirui can be regarded as the upper class who believes Bhaisajyaguru. Also, Tanuki can be a Buddhism or new denomination of lower class that opposes the upper class. Like the habitat of Tanuki,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residence of excluded monks is also mountain. And there were many people who had their habitation in mountain among groups of the day who were despised and discriminated. Also, mountain was not recognized as the living space like town or village, but a faraway area. Therefore, the conflict between Juunirui and Tanuki can be interpreted as the conflict between the ruling class who believed in Bhaisajyaguru and the lower class from the foreign region. The content of the second volume is the Kassen of Juunirui army and Tanuki army. In the beginning, the Juunirui army defeated Tanuki army easily, but the Tanuki army counterattacked and won a victory finally. It means that the power of the lower class was so powerful that it was not easy for ruling class to control them. The third volume pictured that Tanuki army is completely defeated by Juunirui army. The Tanuki transformed himself into Oni and wanted to revenge. But all of trials came to naught and eventually he 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The Tanuki shows two incompatible sides. Living away from the capital city after entering to Buddhism can be regarded as living within their means as lower class.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at Tanuki could not give up attachment to Waka, it still shows a desire to get into the upper class. Juunirui Kassen Emaki is the work in which the image of discriminated, despised, and rebellious lower classes is in good harmony with that of ruling class who tried to make the lower class conform to the upper class and the shogunate system. In the Edo era, commercial activities were developed mainly by the common people, and the Tanuki began to have strong commercial meaning in this process. Also, as printing industries, publishing industries and performing arts became active and their genres became diverse, Tanuki was transformed into confrontational and familiar beings to people. Finally, Tanuki was differentiated into various images.

      • 大腸菌에서 Propioante 代謝의 遺傳學的 및 分子生物學的 特性硏究

        김보민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Genetic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Propionate Metabolism in Escherichia coli Bo Min Kim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 School of Sung Kuyn Kwan University Polyhydroxyalkanoates (PHAs) is a class of biopolymers naturally produced by microbes as storage materials for carbon and reducing equivalents. These natural polyesters have received a considerable interest because of its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biodegradable plastics substituting petrochemical-based plastics. Biopol [poly(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 (PHBV)] is a biodegradable PHA plastics of promising physical properties for general usage. For the production of PHBV, glucose and propionate are supplied to fermentation of a Ralstonia eutropha or other metabolically engineered microorganisms. Therefore, understanding catabolism of propionate in the cell is important for its application to the PHBV production using microbial fermentation. Understanding of propionate catabolism has only emerged in the recent past and is still under active investigation. As an effort to understand propionate catabolism of Escherichia coli, in this study, we have performed experiments basically three different directions: 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utants defective propionate catablism, 2)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utants resistant to high concentration of propionate in the medium, and 3) Regulation of propionate catabolism. 1) Isolation of characterization of mutants defective propionate catabolism Wild type E. coli strain MG1655 was mutagenized by Tn10 and total of 3 independent mutants defective in propionate utilization (Prp- ) as a sole carbon source. The Prp- phenotype was 100% linked with the Tcr phenotype in the mutants. Physical mapping of the Tn10s using inverse PCR technique positively identified two loci out of the threes: rpoS (encoding stationary phase sigma factor, RpoS) and accA (encoding acetyl-CoA carboxyl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rpoS and accA are required for utilization of propionate as a sole carbon source in E. coli. 2)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utants resistant to high concentration of propionate Among the transposone Tn10 mutants of MG1655 were screened and total of 15 independent mutants (propionate-resistant, Prpr) able to grow high concentration (80mM) of propionate in the minimal medium were isolated. Five different alleles were positively identified by inverse PCR technique. These include yedJ of unknown function, gatA encoding galatitol-specific enzyme IIA of phosphoenolpyruavte trasnferase system (gatA), cspD encoding an DNA replication inhibitor, nad encoding a protein involved in biosynthesis of nicotineamide dinucleotide (NAD), and b2380 of unknow function. Though further detailed studies needs to be conducted, bu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ltiple factors in various cellular physiology are involved in the resistance to the high concentration of propionate in the medium. 3) Regulation of propionate catabolism Genetic factors influencing propionate catabolism in E. coli were identified by both lacZ operon fusion and mobility shift assay. A lacZ fusion was constructed in the putative E. coli prpBCDE operon homologous to prpBCDE previously identified to encode enzymes involved in propionate catabolism in Salmonella typhimurium. Mobility shift assay was conducted using a probe containing a putative promoter region of the E. coli prpBCDE. From these experiments, multiple transcriptional factors were found to alter the expression of the E. coli prpBCDE operon. These includes crp encoding catabolite repressor protein, arcA encoding the regulator of aerobic respiratory control (Arc) two component system, ompR encoding the regulator of the two component system of osmoreg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catabolism of propionate in E. coli is regulated by multiple global regulators.

      • 보완대체의사소통(AAC)에 대한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식 및 서비스 영역별 의사소통 기능 요구조사

        김보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사람들은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서비스 상황에서 자기결정권과 선택권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장애인이 효율적으로 자기결정권과 선택권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보완대체의사소통 접근법이 해결책으로 제시 될 수 있으며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활동지원사와 의사소통 시 필요한 의사소통기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AAC에 대한 활동지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보고 서비스 영역별 필요한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요구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활동지원사 10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체응답자의 반 이상이 AAC에 대해 모르고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알고 있는 AAC로는 로우테크 형태의 AAC 도구였으며 AAC 적용에 있어서도 적정후보자모델의 개념에 여전히 머무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활동지원서비스 영역에 따른 의사소통의 필요성을 살펴본 결과 외출 시 동행, 등하교 및 출퇴근 지원, 개인위생관리 영역에 대해 의사소통 필요성 수요가 높았다. 셋째,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영역별로 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의사소통 기능의 경우 요구하기, 반응하기, 주관적 진술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의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필요로 하는 의사소통 기능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수용언어 수준보다는 표현언어 수준이나 말명료도 수준에 보다 민감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장애인의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AAC 인식수준이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표현수준과 말명료도 수준에 따라 AAC 인식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용수준에 따른 AAC 인식수준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인이 일상에서 선택권과 자기결정권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활동지원사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중요하다는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AAC발견자이자 촉진자로서 활동지원사의 역할이 중요한바 AAC 교육 및 인식개선이 필요하며 AAC의 이해관계자 범위를 활동지원사까지 확장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서비스 영역에서 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주된 의사소통 기능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맞춤형의 AAC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disabled people who need assistance from others, the demand for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is also growing. When using such services, however, people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experience communication difficulties, failing to display self-determination and choice-making properly. For the disabled to effectively exercise self-determination and choice-making, it is essential to communicate with their personal assistant smoothly.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the approach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can be suggested as a solu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verall perception of AAC by personal assistants and their demand for communication functions required for each service area. An online and off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05 personal assistan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the survey participants did not know about AAC even though they had completed all training courses. Even for those who knew about AAC, their knowledge was limited to a low-tech type as for AAC tools and the concept of the appropriate candidacy model for AAC application. Second,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necessity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activity support service area, there was a high demand for communication for accompanying when going out, helping during commute hours, and maintaining personal hygiene,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high-demand activity support areas. Third,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requesting, responding, and expressing subjective opinions, were more necessary for the disabled by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rea. Four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ny differe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functions requir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level of the disabled, expressive language or speech intelligibility levels showed more sensitive differences than receptive language levels.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any difference in the level of AAC percep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level of the disabled, a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erception of AAC according to the level of expressive language and speech intelligibility,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y the level of acceptanc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fact that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abled and their personal assistants is important to enhance their choice-making and self-determination in daily lif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first research that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AAC by personal assistants who have a great potential role as AAC discoverers and facilitators. Additionally, it has significance in expanding the scope of AAC's stakeholders by including personal assistants to broaden the scope of research,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Analyzing the main communication functions required by disabled people,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the AAC approach become more customized.

      • 영어 자기효능감과 영어능력, 학습동기 및 불안감 사이의 관계

        김보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there have been a great many studies on affective factors in learning, few studies have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English learn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nglish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s main goal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the English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ir English proficiency, learning motivation and anxiety. In order to attain the research goal, a survey and several relevant tests were administered to 349 English learner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tests employed include MSLQ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ini-AMTB (Attitude/Motivation Test Battery), FLCAS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and PELT Jr. Each of them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suit the needs and situations of this study, and was intended to examine the students’ English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nxiety, and English proficiency, respectively. The important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greater English self-efficacy have better English proficiency. Second, students with greater English self-efficacy also have greater learning motivation, while they show lower levels of learning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i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self-efficacy has a strong correlation with all three other factors, students should be helped to grow their English self-efficacy. Specific efforts should be made in research and teaching to develop pedagogical strategies and teaching methods to increa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self-efficacy, which will surely help increase their learning motivation while reducing their learning anxiety. 현대의 의사소통 중심 교육에서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에 관한 연구는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영어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및 불안감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는데, 영어 과목에 한정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영어 자기효능감에 초점을 두고 영어능력, 학습동기 및 불안감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자기효능감은 영어능력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자기효능감은 학습동기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자기효능감은 불안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세 곳의 6학년 학습자 3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영어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영어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MSLQ(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학습동기를 측정하기 위해서 mini-AMTB (Attitude/Motivation Test Battery)를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영어 학습에 대한 불안감을 측정하기 위해 FLCAS(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를 번역‧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객관적인 영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PELT Jr. 2급 기출문제 124회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349명의 데이터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높은 영어능력 점수를 나타내었고, 영어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습자는 영어능력 점수도 낮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높은 학습동기를 갖고, 영어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낮은 학습동기를 갖는다. 또한 학습동기의 하위 요인인 동기, 통합성, 학습상황에 대한 태도, 도구성 모두 영어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낮은 불안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어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높은 불안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감의 하위 요인인 외국어 수업 불안, 시험 불안, 의사소통 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모두 영어 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영어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가 높은 학습동기를 가지며 낮은 불안을 갖는다는 것과 영어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습자는 낮은 학습동기를 가지며 높은 불안을 갖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곧 영어능력의 향상과도 연결될 수 있으므로,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자기효능감 향상을 도모해야 하며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영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영어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를 높이고 불안감을 줄이는 방안을 고려한 교수법들을 개발하기 위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다.

      • Q방법론을 이용한 로스터리 커피전문점 이용 고객 유형화 연구

        김보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식산업은 여성의 사회 진출 확대,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국민 소득 증가, 맞벌이 부부 증가 등의 환경적 변화로 빠르게 변화발전 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식산업의 급속한 발전은 음료시장과 커피시장의 변화.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국내에는1970년대 말 인스턴트커피 시장, 1988년 원두커피 시장, 1999년 에스프레소 커피 시장이 발전하여 커피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커피 시장의 발전과 함께 등장한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은 빠른 성장과 함께 그 증가 속도가 상당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프랜차이즈 커피를 고집하던 고객들이 좀 더 다양하고 고급스러운 커피를 찾아 이동하여 로스터리 커피 시장이 국내 커피시장의 흐름을 바꿔 놓고 있는 실정이며 현재는 “커피 제3의 물결(The Third Wave of Coffee)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인지도가 상승하고 있는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기존 에스프레소 기반의 커피전문점을 이용하는 고객들과의 이용 목적의 차이를 살펴보고, Q방법론이라는 주관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고객의 내적 욕구와 이용 행태의 주관적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여 고객 유형화를 진행하고, 더 나아가 유형화된 고객 정보를 바탕으로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포지셔닝 및 운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총 5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제1유형은 제3공간으로의 편안한 분위기 추구형, 제 2 유형은 커피의 본질을 추구하는 로스터리 애호가형, 제 3 유형은 서비스 스케이프를 고려하는 커피 페어링 메뉴 중시형, 제 4 유형은 물리적 서비스환경 추구형, 제 5 유형은 신속•정확 경험주의형 이라 명명하였다. 각각의 특징으로는 제 1 유형은 커피전문점의 ‘편안함, 안정감, 접근성’을 중시하여 커피 자체를 즐기기보다 커피전문점의 분위기 자체를 즐기는 유형이고, 제 2 유형은 커피전문점을 방문하여 커피의 본질을 즐기는 유형이었으며, 제 3 유형은 커피와 함께 새롭게 등장한 다양한 커피 페어링 메뉴를 즐기며 커피전문점의 고객으로서 제공 받을 수 있는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 받고자 하는 유형이었다. 또한 제 4 유형은 커피전문점 선택 시 청결성과 같은 물리적 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이었다. 마지막으로 제 5 유형은 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신속하게 커피를 제공받고자 하지만, 신속함을 위해 다양한 커피 메뉴의 경험을 포기하지 않는 특징을 보인 유형이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특성을 주관적인 성향을 고려하여 밝혀냈다는 점에서 기존의 커피전문점 선택속성 연구와는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각 유형의 특징을 참고로 좀 더 세부적인 포지셔닝 전략을 수립한다면 고객들에게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입지가 더욱 확고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Starting from instant coffees in the late 1970s, the Korean coffee market went through significant changes for the last 40 years. Coffee franchises started to emerge, shortly after the introduction of coffee beans and espresso coffee in 1999. In the 21st century, new group of people craving for high-quality and Specialty coffee and their diverse preferences culminated in “Third Wave of Coffee.” In this study, the customer purpose of visiting Specialty coffee shop and traditional espresso-based coffee shop are analyzed, respectively, and compared by using Q methodology. This research method is effective in categorizing customer types by their subjective usage patterns, based on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study attempts to provide useful data for marketing and positioning purposes of Specialty coffee shops. As a result, total five types of customer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The first type is the Comfortable Atmosphere Seekers, the second type is the Roastery Lovers, the third type is Coffee Pairing Menu Orderer, the fourth type is Physical Environment Considerates, and the fifth type is the Fast•Accurate Service Experience Pursuer. The first category gave significant importance towards "Comfort, stability and accessibility." People in this group basically enjoy the essential atmosphere and concepts of the coffee shops. The second type was ones who had to be satisfied with the coffee quality itself. The third type pursued variety of coffee pairing menus and basic shop services. The fourth type believed the cleanliness of shops was crucial, indicating that this type gave weight to physical environment. Finally, time was the most important matter to the fifth type. Nonetheless, as much as they seek quick experience, they sought for diverse coffee menus. To conclude, this study is distinctive from traditional researches, in terms of identifying customer groups by their subjective preferences and characteristics using the Q-method. The results may act as a fundamental source for strategic purposes by discovering markets and customer segments in detail.

      •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을 활용한 사회참여미술 수업지도방안연구

        김보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개인의 삶에서 사회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사회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 또한 커지고 있다. 이는 개인이 사회와의 상호작용 없이 독립적인 존재로 살아가기 힘듦을 의미한다. 사회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 또한 더 이상 개인의 노력만으로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고 해결하는 일은 사회 공동체의 협력을 통해 가능하며 이는 교육에서도 실천되어야 할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교육 현장 속 수업들은 아직 개별수업의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은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는 종래 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사회에 대해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세를 기를 수 있는 새로운 교육 방법과 내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술을 통해 사회와 주변 환경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사회참여미술교육을 제시한다. 사회참여미술은 학습자들에게 통합적인 활동을 제공하며, 다양한 형식의 표현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이런 사회참여미술교육이 효과적으로 진행 될 수 있는 방법으로는 협력적 문제해결학습방법을 제안한다. 협력적 문제해결학습방법은 학습자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상호간 의존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이 학습은 문제가 중심이 되어 수업이 전개되며 이를 해결하는 과정 속 학생들은 주도적인 태도를 가지고 공동사회의 발전을 위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이는 개인적인 활동이 아닌 공동학습으로 이루어지는 문제해결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앞에서 제시한 내용을 배경으로 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가 미술교육을 통해 사회의 일원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협력적인 태도를 기르는 것에 있다. 또한 이를 위해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을 활용한 사회참여미술 수업지도방안을 제시한다. 학습자들은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미술교육 지도방안을 통하여 교실 안 수업이 사회 밖으로 확장되는 실천적인 사회참여수업의 기회를 갖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참여 미술교육 및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여 연구에서 제시하고있는 교육 지도방안의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또한 교과서 분석을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참여미술교육의 형태를 알아보고 그 한계점을 기반으로 수업지도안을 구성하였다. 그 구성내용으로는 첫째, 사회참여미술의 주요 요소들을 최대한 포함 학습활동과 균형있는 도판 및 사례의 제시, 둘째, 교실 밖, 지역사회로의 학습공간의 확장, 셋째, 사회참여프로젝트 속 외부인과의 협업이다. 이러한 협력적 문제해결을 활용한 사회참여 미술교육 지도방안은 총 11단계의 프로젝트과정 그리고 12차시의 수업으로 제시하였다. 수업은 협력학습을 기반으로 한 문제해결단계를 거치고 있으며 사회문제를 직접 발견하고 해결을 위한 실천까지 하는 프로젝트가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협력적 문제 해결학습을 활용한 사회참여미술 수업에서는 학습자들이 실제적인 사회참여미술을 통해 현대 사회 현상에 관심을 갖고 사회 문제를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갖을 수 있다는 목표를 도달할 수 있다. 학습자들은 미술이 사회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인지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수업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학생들과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수업의 목표에 효과적으로 진전할 수 있으며 그 과정 속에서 생겨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해나가면서 타인과의 관계 속 자아정체성을 기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을 활용한 사회참여미술지도방안이 실제 고등학교 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미술을 통해 학습자들이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고 협력적인 태도를 기를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기질 표면 위에 폴리페놀-금속 구조체로 고정화된 EGCG의 항산화능 및 기질 표면 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

        김보민 동덕여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Epigallro Catechine Gallate(EGCG)는 녹차에 함유된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천연 성분이다. 또한 높은 생체 적합성을 가지며 페놀기의 높은 친화력으로 다양한 표면에 범용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질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특성이 변화하므로, 화장품 원료로써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질 위에 EGCG를 고정화하여 기질의 종류와 EGCG의 농도에 따른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EGCG는 쉽고 빠르게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Metal phenolic network(MPN)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EGCG를 고정화하고, 2차원 소재인 MXene(Ti3C2)과 Graphene oxide(GO), 나노 무기분체, 사람의 모발을 기질로 특정하여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EGCG MPN을 중간 물질로 사용하여 표면이 음전하로 대전된 모발에 이와 동일한 전하를 띠는 MXene, GO를 결합시키고, 모발 표면에 다층 박막의 형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모발에 자외선 차단, 인장강도의 증가, 항균력 등의 2차원 소재의 특성이 부여됨과 동시에 EGCG의 항산화능이 나타났다. 또한 EGCG 표면 고정화가 이루어진 무기 분체의 분산성이 증대되고 농도에 따라 ROS 생성량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성질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세포독성을 평가하여 안전성 개선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Epigallro Catechine Gallate(EGCG) is a powerful antioxidant found naturally in green tea. Furthermore, it is very biocompatible and binds to a wide range of surfaces due to the great affinity of the phenol groups. To use it as a cosmetic materials, however, study into the related technology is required because the properties vary depending on the EGCG concentration and substrate's type. Thus, in this study, EGCG was immobilized on several substrates, and the change in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substrate type and EGCG concentration was analyzed. EGCG rapidly and quickly forms a Metal phenolic network(MPN) when combined with metal ions. EGCG was immobilized in this way, and the change in characteristics was studied using two-dimensional materials MXene (Ti3C2) and Graphene oxide (GO),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 and human hair as substrates. Using EGCG MPN as a binding agent, MXene and GO, which have a negative charge, were attached to the same charged hair surface, and the formation of a multilayer thin films on the hair surface was confirmed. Through this, hair gained characteristics of two-dimensional materials including UV protection, increased tensile strength, and antibacterial activity, and the antioxidant capacity of EGCG was also discovered.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persibility of nanoparticles with EGCG fixed on the surface increased, and the amount of ROS generation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