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여류악단(樂壇) 형성과 구성 원리: 이화여자전문학교와 신문·잡지를 중심으로

        송현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이화음악논집 Vol.23 No.2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1930s, a musical scene was formed and a social organization of professional musicians were formed. This chapter distinguished ‘non-musical’ from ‘musical,’ and set a certain musical value. The principle of creation and maintenance of such a band played a similar role in the literary circle. In particular, newspapers and magazines have addressed various events that constitute the music industry of the colonial Joseon dynast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musicians, suggested points of refl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industry, and suggested that modern media through networking. I realized the logic of forming and maintaining a musical band while selecting ‘music’ and ‘not music.’ Over time, these bands were differentiated based on various criteria such as their academic background, taste, personal interests, and worldview. In early 1930s, the so-called ‘female music scene’ was one of them. The term ‘female music scene,’ which was formed and used at the time, was a sign of female artists who are going to be gradually performing. As time went on, the contents of the ‘female musicians’ and ‘female music scene’ gradually increased in the commentary area of ​​the music world. This means that the New Home(新家庭) And in February 1934 issue of New Home(新家庭), the “Total Evaluation of Womans Music,” and was used in the context of introducing and discussing female musician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In this study, I think that the formation and cause of female music scene are in the modern school education at Ewha Womans College, modern media such as newspaper and magazine. Modern media formed and spread the discourse and planned and imagined a chapter. School education was a system that realizes modern education. Therefore, the formation of female music scene is related to ① the influences of women’s literature in literary circles in early 1930s, ② the graduation of Ewha Womans College established in 1925, and the advancement of society. In addition, I asked the question, “Who made female music scene?” and discussed ③ The principle behind the composition of the female music scene is the discursive role of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the resulting community of imagination. 일제강점기 중 1930년대가 되면서 음악가들의 사회를 뜻하는 ‘악단’(樂壇)이 형성되며 직업적 음악가들의 사회적 조직이 만들어졌다. 이 장(場)은 비(非)음악적인 것으로부터 ‘음악적인 것’을 구분하고 일정한 음악적 가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였는데, 이러한 악단의 생성과 유지의 원리는 문학계의 문단과도 비슷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신문과 잡지는 식민지조선의 음악계 내부(악단)를 구성하는 여러 사건을 거론했고, 음악가들의 현황을 살폈으며, 음악계의 발전을 위한 반성의 지점과 제언을 하며, ‘근대 매체’와 ‘음악’이 상호공명적 네트워킹을 통해 ‘음악’과 ‘음악 아닌 것’을 선별하는 가운데 악단의 형성과 유지의 논리를 실현하였다. 당시 형성되어 사용하기 시작한 ‘여류문단’(文壇)이라는 말과 음악의 여류악단이라는 말은 서서히 진행될 여성예술가들의 활약을 암시하는 징후와도 같았다. 시간이 흐를수록 악단을 논평하는 지면에서도 ‘여류음악가’들과 ‘여류악단’에 대한 내용들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여류악단의 형성 원인에 있어서 큰 역할을 한 것은 ‘이화여자전문학교’라는 근대식 학교교육과 ‘신문’과 ‘잡지’라는 근대 미디어에 있음을 밝힌다. 근대 미디어는 담론을 형성·전파하며 하나의 장을 기획하고 상상하게 하였으며, 학교교육은 근대적 교육을 현실화하는 제도였던 것이다. 따라서 ‘여류악단’의 성립은 ① 1930년대 초반 문단 내 여류문단의 영향 관계와 직·간접적인 관계에 놓여 있으며, ② 1925년 설립된 이화여전 음악과 졸업생들의 사회(음악계) 진출과 그 속에서의 활약과 맞물려 있음을 논한다. 이와 함께 ‘그렇다면 누가 여류악단을 만들었는가’라는 질문을 던져 ③ 여류악단의 구성 원리로서의 신문과 잡지의 담론적 역할을 논한다.

      • KCI등재

        내용통합 초등영어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송현민,김정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내용통합 수업의 성공 요인과 내용통합 수업에 대한 이해와 지식 등, 내용통합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설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전국 초등학교 교사 155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내용통합 수업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요인분석을 통해 알아보았고, 교사들의 영어 능력 및 통합 수업의 실태, 내용통합 수업 시 선호 학년 및과목, 내용통합 수업의 성공 요인 및 어려운 점을 빈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내용통합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이해와 지식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를 종합해 본 결과크게 내용통합 수업의 필요성 및 효과, 내용통합 수업의 방법, 내용통합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조건, 내용통합 수업의 성공 요인, 내용통합 수업에 대한 정의, 내용통합 수업에 대한 인식 변인으로 나누어 재해석되고재분류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내용통합 수업에 가장 적합한 학년은 5학년이었으며, 그 뒤를6학년이라고 응답하여 고학년에서 내용통합 수업이 적합하다고 생각하였다. 내용통합 수업을 적용하기에미술, 체육, 음악 등 기능교과가 아동의 흥미를 끌고 체험, 실습 위주의 활동이 많은 수업으로 내용통합수업을 실시하기에 적절하다고 생각하였다. 교사의 영어 구사력과 학생의 영어 능력이 내용통합 수업의성공 요인이자 어려운 점으로 인식하였다. 결론 본 논문의 분석 결과 내용통합 수업이 활성화되기 위해 지도서에 명확하고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거나추가자료 학습지 등의 다양한 자료를 제공해야 하며, 내용통합 영어교육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교사들을위하여 초등영어 통합교육에 대한 연수를 확대 실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