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벌 팬데믹 하 물질문화로서 LP 구매 및 수집에 대한 비판적 문화연구

        이상진,류웅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8 No.2

        In this study, the LP collection phenomenon under the global pandemic was analyzed, utilizing in-depth interviews with 7 LP experts, field observations, literature reviews, textual analysis on LP-related documentaries such as YouTube, Naver Cafe, Korean second-handed market, and the like. For theoretical consideration, Guy E. Debord's spectacle society, Thorstein B. Veblen's conspicuous consumption, Pierre Bourdieu's discussion of class culture and taste in the context of popular culture studies were used. As the result of the qualitative interviews and textual analysis, we found that the collection of long-playing record is an attractive source of extra income, like stock, that could be traded at any time for LP collectors. In addition, expensive LP with scarcity were their means of livelihood. Also it was something to show off to others at any time. There were also reasons listening to LP music, and it was roughly divided into two aspects, for instance, positive effects (breaking down generational gap, retro, yet trendy culture) and negative effects (extravagance, cost, inconvenience). The collision and close encounter of these ambivalent values could be understood as nostalgia for the past due to a considerable level of anxiety in everyday life they experience. At the same time, there is always a possibility that this overly obsessive LP collection activities could be mistaken for or simplified as the unusual hobbies or deviations of the abnormal youth generation excluded from the social safety net. We argue that the phenomenon of the young generation's LP collection and its negative side effects may not merely be personalized or reduced to the generational discourse. The underlying reason for this lies in the structured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of our society. 이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LP수집 열풍을 LP 전문가 인터뷰와 현장 관찰, 기존 문헌연구, LP관련 공중파 다큐멘터리와 유튜브, 네이버 카페, 중고나라 등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다층적이고 심도 있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대중문화 연구의 문맥에서 기 드보르의 스펙터클 사회와 소스타인 베블렌의 과시적 소비, 피에르 부르디외의 계급문화와 취향에 대한 논의를 이론적, 개념적 틀거리와 근거로 삼아 정치, 경제, 사회적 맥락에서 면밀하면서도 연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질적 인터뷰와 텍스트 분석 결과, 현재의 LP 수집가들에게 LP란 언제라도 거래할 수 있는 환금성을 갖춘 화폐나 주식과 같은 재화이자 매력적인 상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더 이상 공급이 없는 고가의 희귀 LP판들은 그들의 생계수단이자 타인에게 언제라도 과시할 수 있는 구별 짓기의 미디어로 기능했다. 또한, LP 음악 듣기와 수집을 둘러싸고 긍정적인 효과(세대 벽허물기와 감성, 복고, 유행 문화)와 부정적인 효과(거품, 비용, 불편)로 구분되어 LP 관련 담론들은 재점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양가적 가치들의 충돌과 조우는 현재 삶에 대한 피로와 긴장, 불안감 등으로 인해 ‘상상된’ 과거의 좋은 시절로 돌아가고자 하는 회귀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LP 수집현상을 사회적 안전망에서 배제된 비정상적인 청년세대의 유별난 취미나 일탈 등으로 오인하거나 단순화할 수 있는 가능성도 상존한다. 이는 하나의 물질문화로서 청년세대의 LP수집 현상과 그에 수반되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과 부작용을 과도하게 개인화하거나 세대 담론으로 환원론적으로 치환하기에 우리 사회의 구조화한 경제적, 사회적 문제들이 무겁게 존재하는 이유에서다.

      • KCI등재

        한국 복지국가의 역진적 선별성 : 소득계층과 고용지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윤홍식,이충권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8 No.2

        본 연구는 ‘역진적 선별성’ 개념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노동자의 근로소득과 고용지위에 따른 사회보험(공적연금, 고용보험)의 차등적 분배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 2006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복지패널조사 15년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시계열분석 결과 한국 사회보험의 역진적 선별성은 분석기간 동안 상당히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안정적 고용상태의 중산층 이상 계층과 불안정 고용의 저소득계층 간 사회보험 가입 여부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대적으로 안정적 고용상태에 있는 노동자가 실업의 위험으로부터 더 보호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복지국가의 확대가 ‘역진적 선별성’을 완화하고 불평등과 격차를 줄이는 실질적 대안이 되기 위해 필요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Based on the concept of “regressive selectivity”,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social insurance (public pension, employment insurance) by workers' earned income and employment status in Korea.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or 15 year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from 2006 to 2020. As a result of the time series analysis, the regressive selectivity of Korean social insurance was significantly eased during the analysis period, but there was still a large difference in social insurance coverage between the middle-class or higher-class in stable employment and the low-income class in unstable employ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workers in relatively stable employment were more protected from the risk of unemploy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proposed the necessary policies for the expansion of the welfare state after the COVID-19 pandemic to become a practical alternative to alleviate regressive selectivity and reduce inequality and disparity.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기혼 근로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영향 요인 분석

        오유라,송운기,김성훈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8 No.2

        코로나19 시기 학교의 폐쇄, 돌봄 서비스의 중단 등으로 인한 기혼 여성의 돌봄노동 증가가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기혼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증가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제8차년도(2020년) 여성가족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인적요인, 근로환경요인, 가족요인에 해당하는 변수를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과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취학자녀수, 미취학자녀수, 나이, 근로시간, 성별분업인식 요인이 코로나19 시기 기혼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본 연구결과 기혼여성의 성별분업인식은 전통적 성역할인식에서 벗어나 평등적인 인식으로 변화되어가고 있지만, 인식과는 달리 가사노동시간 분담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현실을 밝혀냈다. 특히, 성별분업인식과 달리 가사노동시간에 부담을 주는 요인은 자녀 존재의 유무였으며, 코로나19 시기 돌봄기관의 폐쇄가 결국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가적 재난시기에서 돌봄 자녀가 있는 기혼 여성에 대한 지원 방안과 가족 내 가사노동 분담의 방향성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have affected the increase in housework hours by recognizing the increase in care work hours reported by married women during the COVID-19 period as a problem. Therefo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data from the 8th(2020)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KLoWF) data and inputting variables corresponding to individual factors, working environment factors, and family factors. As a result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number of school-aged children,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age, working hours, and gender division of labor were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in domestic work hours of married women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notabl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married women's perception of gender division of labor is changing from traditional gender role perception to egalitarian perception, but unlike perception, housework time sharing is not being achieved. In particular, unlike the recognition of gender division of labor, the factor that put a burden on housework time w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and it was found that the closure of care institutions during the COVID-19 period was ultimately affecting the increase in women's housework hou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measures for married women with caring children in times of national disaster and directions for sharing housework within the family were sugges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초기 청소년들의 유튜브 시청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부모 중재, 또래 중재, 부모의 유튜브 시청량의 조절효과 검증

        최윤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8 No.2

        청소년의 유튜브 시청이 급증하며 유튜브 시청이 학업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튜브 시청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그 관계를 부모 중재, 또래 중재, 부모의 유튜브 시청량이 어떻게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 학년 부모와 자녀 300쌍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유튜브 시청은 초등학교 고학년 어린이의 학업성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기 청소년들이 유튜브 시청에 대해 또래 집단의 영향을 받으면, 학업 성취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부모가 유튜브 시청을 많이 할수록 자녀의 학업성적이 낮아지는 현상도 관찰되었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부모가 제한적 중재를 하면 유튜브 시청이 학업성적 하락에 미치는 영향이 약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주도 학습 습관이 완성되지 않은 초기 청소년들의 경우, 부모가 시청 시간과 프로그램에 대해 제한을 두면 유튜브의 부정적 영향이 감소하는 것이다.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YouTube viewing of adolescents on academic achievement was tested. Additionally,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intervention, peer intervention, and parental YouTube view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ube view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also analyzed. For this study, 300 pair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grades 5th and 6th were surveyed. The results showed that watching YouTub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children in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Peer mediation and parental viewing also had negative effects on academic performances. The moderation analyses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YouTube viewing on the decline in academic performance was alleviated when parents adopted restrictive mediation.

      • KCI등재

        상실 경험 중년의 균형적 시간관, 의미재구성, 역경후 성장의 관계

        안주현,양수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8 No.2

        본 연구는 상실을 경험한 중년기 성인의 시간에 대한 균형적인 태도가 상실로 인해 무너진 삶의 의미 구조를 새롭게 재건하는 의미재구성 과정을 거쳐 역경후 성장에 기여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실을 경험하였으며 상실 경험 당시의 충격 및 고통이 심각했던 만 40-64세 중년기 성인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균형적 시간관과 역경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미재구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상실을 경험할 수 있는 중년을 대상으로 상실에 적응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내적 자원을 확인하고 역경후 성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제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기의 역경후 성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중년기 성인이 상실을 딛고 역경후 성장에 이를 수 있도록 돕는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 balanced time perspective in middle-aged people who have experienced loss supports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meaning reconstructing.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data from a survey of 230 middle-aged adults aged 40 to 64 who have experienced severe lo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meaning reconstruc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lanced time perspective and posttraumatic growth. This study shed light on a mechanism for enhancing posttraumatic growth for middle-aged adults who may have suffered a number of difference losses. The findings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posttraumatic growth in middle age and how to intervene to help middle-aged adults recover from loss and grow.

      • KCI등재

        자립준비청년의 지역사회 자립지원 프로그램 참여경험

        임주원,김서현,홍진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8 No.2

        본 연구에서는 당사자 관점에서 자립준비청년의 지역사회 자립지원 프로그램 참여경험의 의미를 심도 있게 이해했다. 이를 위해 과거 가정외보호를 받은 청년 중 지역사회 자립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는 8명의 연구참여자를 엄선하여 초점집단면담과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과 주제분석법을 적용해서 분석했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에 관한 의미가 총 5개의 상위구성요소 및 17개의 하위구성요소와 더불어서 드러났다. 상위구성요소는 ‘흔들리던 울타리 밖 오락가락한 마음 다독여준 손길’, ‘유채색 활동으로 새 일상 만들어준 자립지원 프로그램’, ‘혼자였던 날 위해 자립지원 한뜻으로 모인 지역사회’, ‘세상 덮친 코로나에 못내 아쉽던 교류방식’, ‘보호종료 이후의 의지처 찾아 든든해진 자립이라는 경주’였다. 중심주제는 ‘빛 밝혀준 반주자와 발맞춰 헤쳐가는 자립의 시행착오’와 같았다. 끝으로, 연구의 발견점을 중심으로 자립준비청년의 행복하고 건강한 자립생활 지원을 위하여 지역사회 자원 기반의 통합적 자립지원 방안, 서비스와 정책의 효율적 연계 전략, 프로그램의 지속과 확산 대책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thoroughly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self-reliance support program in a community for the youth in readiness for self-reli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son directly concern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eight research participants who had participated in a self-reliance support program in a community, out of the youth who had received an out-of-home care service in the past to conduct focus group and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pply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and the inter-topic meaning analysis method. The study showed that the meaning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revealed along with five upper components and 17 lower components. The upper components were “the hand that consoled the wandering heart outside the swaying fence,” “the self-reliance support program that created a new daily life with a chromatic activity,” “the community in which people gathered unanimously for self-reliance support for me who has been alone,” “the interaction method that has felt lacking due to COVID-19 that hit the world,” and “the race of self-reliance that came to be secure by finding a place on which they can depend after the end of protection.” The main topic was “the trial and error of independence that keeps pace with the accompanist who turned up the light to win through.” Lastly, centering around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this study proposed comprehensive plans for supporting independence based on community, strategies for the efficient connection between services and policies, and measures for the continuance and spread of the program for supporting the happy and healthy independent living of the youth in readiness for self-reli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