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확장적 극 공간에 관한 연구 : <로드씨어터 대학로>를 중심으로

        오은영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atre stage is the place where illusion is created, different from the reality of everyday life. The fantasy and self-reflection that we feel in this space occurs through artistic experience. Then what is an artistic experience and what is artistic expression? It is clear that both are based on creativity. Creative expression is done through physical representation, and it leads us to think about what an artistic experience is. The ultimate goal in performing arts is to communicate with the Spectator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most performing arts have been very clear in the space of the theater that the place and role of Performer (actor) and Spectator (audience) were separated. However, modern society, which has grown rapid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spectator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of performing arts, thereby causing many concerns for creators to be more creative and to communicate. It may be that both creators and spectators naturally want these changes because creativity brings growth to humans through self-reflection and self-acceptance. These changes also led to new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in traditional theatrical aesthe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performing spaces (theater), Performer (actors), and Spectators (audience). Currently, the performing arts continue to try various experimental performances in order to draw active participation from the spectators, but most of the performances are delivered through traditional way; text representation, in a separated space between the stage and audience, what we call a theatre. There by, there is little change in the acceptance and the passive attitudes. The theatrical space of the performing arts is a space where artistic experiences are made; a space that creates theatrical space through experience, and it is also a space containing stories about human life. Art and creativity can be called life. Because in life there is always a source of creativity everywhere. Therefore, life itself is based on creativity. This theatrical space is closely associated with life, and it is a place to bring the opportunity for the spectator to experience the art beyond just looking at it. The performance genre in the open space is a result of creating a new spatial aesthetics by allowing the audience to create their own dramatic space through various perceptional methods. In this way, theatrical space becomes a significant element in communication- an ultimate goal in art. In this study, it is viewed that the ‘space’ in which the act is performed, and artistic experience takes place is very important. Moreover, because it is viewed that the theater is the story of a life, there is a necessity to expand the perspective and thoughts of everyday space and to go beyond the limited space and expand the theatrical space to everyday space. Based on this background, I first examined the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space through the epoch, and examined the concepts and discourses of the everyday space. Also, the concept of two genres: Site–specific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Theatre, which attempted to stray away from the theater (traditional space) and expand theatrical space, are summarized and characterized. It is viewed that the terms of Site–specific performances from the concept of Site–specific arts, and looked into how they have been changed / developed with the influence of minimalism and happe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art. The theatrical expansion is classified into urban significance, aesthetic significance, and space expansion, and delve into its characteristics to examine the concept of immersive performance, which is actively being attempted lately. Based on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s that have been developed as theatrical expansion, I have examined the necessity of theatrical expansion and aesthetic changes. Based on these interlocking characteristics, the researcher has restricted the performance cases to the shows that actively uses the ‘everyday space’. In addition to this, the immersive performances <The Road Theater Daehak-ro 1> (2016) and <Road Theater Daehak-ro 2> (2017) were analyzed. <Road Theater Daehak-ro> is a type of performance in which the daily space called ‘Daehak-ro’ becomes a performance space and the experiences is made by moving to locations. The performance is based on walking so there is a space movement. In other words, movement of the Spectators and physical performance is essential. It can be characterized that the elements from the everyday space are interacting organically, creating one’s own illusion; in other words, different from the fictiveness where modes of representation are reproduced by texts and fancy decorative sets. The aesthetic elements of everyday space are encountered through walking and the theatrical space is completed as a process of ‘recognition – stimulation – reaction – reason’. In the daily space, the spectator constantly creates a new dramatic space with one’s own sensibility and sense, and the everyday space is reborn into a theatrical space while giving one’s own theatricality. <Road Theater Daehak-ro> uses the existing elements of actual everyday space as a theatrical factor, 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spectator to experience the dramatic experience of voluntary performance. This form of performing arts is an extension of various genre, making the performance smore recognizable and enjoyable by linking reality and one’s being. Above all, the open environment in everyday space changes spectator’s attitude voluntary and spontaneously, and brings synergy of interactive creativity, enabling the deeper communication and immersion of the performances. It is confirmed that this kind of performance in everyday space gave the spectator more opportunities in artistic experiences and enriched their lives. The immersive performance, which is a form of expanded theatrical space, is based o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pectator. It is found that the use of the current daily space regenerate dramatic space through a continuous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tators and various aesthetic stimuli and reaction. In other words, moving acts that use everyday space will enable the spectators to have diverse perspectives and thoughts. Through these poin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veryday space is the medium / factor of the new aesthetic creation. Finally, this paper explores the wider perspectives and thoughts about the existence of everyday space for theatrical space expansion. It confirmed the relationship by looking between the art and everyday life and think about what ultimately art is and what we want to get from art. From the 20th century to the present, attention has been constantly being given to performing arts spaces and spectators. Through this interest and our research, we recogniz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theatrical space. I hope that by meeting spectators through creative works and appreciating art can enrich one’s life. Through the expansion of various genres, the performing arts will be more activated and developed as a media that can meet the needs and desires of the audience in the modern society. To this end, there should be constant interest and continuous research and trial from the performing arts community. 극 공간이란 현실의 일상과는 다른 환영적 공간의 창출이 일어나는 곳이다. 이러한 공간에서 우리가 느끼는 환상과 자기 사유는 예술적 경험을 통해 일어난다. 그렇다면 예술적 경험은 무엇이고 예술적 표현이란 무엇일까. 이 두 가지 모두 창조성이 기반이 되어 일어난다는 것은 분명하다. 창조적 표현은 물리적 재현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예술적 경험은 무엇인가를 생각해보게 된다. 공연 예술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용자와의 소통에 있다. 과거부터 지금까지 대부분의 공연 예술은 극장이라는 공간 안에서 행위자(배우)와 수용자(관객)의 장소와 역할의 분리가 확실했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급속히 성장한 현대 사회는 공연 예술에 대한 수용자의 기대와 인식의 변화를 불러왔고, 이는 창작자에게 있어서도 더욱 창의적인 창작물을 만들고 소통하기 위해 많은 고민을 하게 했다. 창조성은 인간에게 자기 사유와 자기 수용을 통한 성장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창작자와 수용자 모두가 이러한 변화를 자연스럽게 원하고 있는 것일지 모른다. 또한 이와 같은 변화는 기존의 공연 공간(극장), 행위자(배우), 수용자(관객)의 관계에 대한 전통적 연극 미학에 있어 새로운 시각과 해석을 가져오게 했다. 현재 공연 예술계는 수용자의 보다 능동적인 참여를 위해 다양한 실험적인 공연의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공연들은 여전히 극장이라는 무대와 객석이 분리된 공간 안에서 텍스트로부터의 모방과 재현을 통한 전통적인 방식으로 전달되고 있다. 그로인한 수용자의 수용 방식과 수동적인 태도의 변화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공연 예술의 극 공간은 예술적 경험이 이루어지는 곳으로서 경험의 과정을 통한 새로운 극적 공간을 창출하는 공간이기도 하며, 삶이라는 인간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예술과 창조성은 곧 삶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삶 속에는 계속해서 창조성의 원천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삶 자체가 창조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극 공간은 삶과 매우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으며 수용자에게 예술을 그저 바라보는 것에서 나아가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다주는 곳이다. 열린 공간에서의 공연 장르는 수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지각 방식을 통해 스스로의 극 공간을 만들어 나가게 하는 새로운 공간 미학이 창조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술의 궁극적 목적인 소통에 있어 극 공간은 매우 중요하게 생각해보아야 할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그 행위가 실천되고 예술적 경험이 이루어지는 실재의 ‘공간’을 매우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연극은 곧 삶의 이야기라는 것에서 삶의 공간인 일상 공간에 대한 시각과 사고의 확대와 극장이라는 제한된 공간을 벗어난 극 공간 확장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다. 이와 같은 배경에 따라 먼저 시대적 흐름을 통한 전통적인 극 공간의 구조를 알아보고 이에 확장으로 본 일상 공간에 대한 개념과 담론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전통적인 극 공간이라 할 수 있는 극장을 벗어나려는 시도로서 확장적 극 공간 연출이 이루어진 장르로 장소 특정적 공연과 환경 연극의 개념을 정리하며 특성을 알아보았다. 장소 특정적 공연의 용어를 장소 특정적 미술의 개념으로부터 보며 예술사적으로 미니멀리즘과 해프닝의 영향과 함께 변화/발전되어 왔음을 살펴보았다. 이에 확장된 극 공간을 도시적 의미, 미학적 의미, 공간의 확장으로 구분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 최근 활발히 시도되고 있는 이머시브 공연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와 같이 극 공간의 확장으로 발전되어지는 공연 형태의 변화와 특성을 토대로 극 공간의 확장의 필요성과 미학적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들이 맞물리는 특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극장을 벗어나며 ‘일상 공간’을 적극 활용한 공연 사례로 제한을 두었으며, 이에 이머시브 공연 <로드씨어터 대학로 1>(2016), <로드씨어터 대학로 2>(2017)를 분석했다. <로드씨어터 대학로>는 대학로라는 일상 공간이 공연 공간이 되고 장소를 이동하며 체험하는 형식의 공연이다. 공간을 이동해야한다는 점에서 보행을 기반으로 한다. 즉, 수용자들의 움직임, 신체적 수행은 필수적이다. 비주얼적인 표현 양식은 텍스트에 의해 재현되고 창조된 화려한 장식적 세트와 같은 즉, 제작되어진 요소로부터의 허구성 보다는 일상 공간 그 자체에 실제 존재하는 요소들이 그 역할을 대신하며 이들과의 유기적인 상호 작용으로 자신만의 환상(illusion)을 만들어 낸다는 특성을 알 수 있었다. 일상 공간이 지니는 미학적 요소들을 보행을 통해 마주하며 극 공간을 ‘인식 – 자극 – 반응 – 사유’의 과정으로 완성해 나간다. 일상 공간 안에서 수용자는 자신의 감성과 감각으로 새로운 극적 공간을 끊임없이 창출해나가고 스스로의 연극성을 부여하면서 일상 공간은 연극적 공간으로 재탄생되었다. <로드씨어터 대학로>는 실재하는 일상 공간의 현존하는 요소들을 연극적 요소로 활용해 수용자의 자발적인 수행을 이끌어 극적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형태는 공연 예술에서 다양한 장르 확대로 수용자에게 공연을 현실과 나라는 존재 안에서 연결시켜주면서 공연을 더욱 친숙하게 인식하고 향유하게 만든다. 무엇보다 일상 공간에서의 열린 환경은 공연을 바라보는 수용자의 태도를 자발적이고 자연스럽게 변화시키며, 쌍방향적인 창조성의 시너지를 불러 공연의 더욱 깊이 있는 소통과 몰입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처럼 일상 공간에서의 체험 형태의 공연은 수용자에게 보다 더 흥미롭고 즐거운 예술적 경험의 기회를 가져다주며 그들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확장적 극 공간의 한 형태인 이머시브 공연은 무엇보다 수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하고 있고, 현존하는 일상 공간의 활용은 다양한 미학적 요소들로 수용자와의 유기적인 관계에서 끊임없는 자극과 반응을 일으켜 극적 공간의 재창출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일상 공간을 활용한 이동 관극 행위는 수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시각과 사고를 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일상 공간은 더욱 확장된 새로운 미학 창출의 매개이자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극 공간의 확장을 위해 극이 존재하는 일상 공간에 대해 넓은 시각과 사고를 인식해보고자 살펴보면서 궁극적으로 예술은 무엇이고 우리가 예술을 통해 얻고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하며 예술과 일상의 관계를 확인했다. 20세기부터 현재까지 공연 예술의 공연 공간과 수용자에 대한 관심은 끊임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이러한 관심과 본 연구를 통해 극 공간 확장을 통한 가능성을 인식하며, 더욱 창조적인 작업으로 수용자와의 만남을 이루고 예술 향유의 충족으로 삶이 더욱 풍요로워지기를 바란다. 다양한 장르의 확장을 통해 현대 사회의 수용자가 더욱 필요로 하고 원하는 것을 충족할 수 있는 매체로써 공연 예술이 더욱 활성화되고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공연 예술계의 꾸준한 관심과 지속적인 연구 및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연예술분야에서의 해외 사례 연구

        최아리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In the present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amount of data that is generated and distributed every day is enormou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storage technology by technological innovation has made it easier to produce, store and process data, and the amount of data that can be accommodated has started to grow rapidly. Then the term "Big Data" began to be used as a proper noun. With big data, we are analyzing data sets scientifically and in real time, predicting outcomes and providing alternatives. It is also actively using big data analytics to find meaningful content among many data sources in various fields. However, while big data is already deeply embedded in our reality, the cultural and performance arts sectors that are subject to this research have not been activated.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need to introduce big data,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agencies carried out projects such as database building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Nevertheless, no concrete measures have been proposed for the use of performing ar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implications through analysis of overseas cases such as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and to propose measures to utilize big data applicable to the domestic performing arts based on the results. To this end, the use cases of various data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abroad were examined using the tools case study method.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Big Data projects in the UK and Data Arts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case analysis was followed by in-depth analysis using the Big Data utilization stage indicators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examination of prior research and research of theoretical background, it was also worth utilizing big data in domestic performance art field that was introduced but not activated, and possibility of successful use was made. Second, the analysis of overseas cases showed th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were using data for efficient marketing. In addition, the two countries have the common ground that their planned projects were carried out as regional projects.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s are as follows. UK consulting projects were established same agent but different ways. And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consulting projects were established with integration center of Data. Third, for an in-depth analysis of overseas cases, the analysis results from the metrics designed in this study generally met all phases and elements well, and the alternatives for non-satisfy components were also well met. Both British and U.S. cases tend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iring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professionals during the project. On the other hand, we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the performance and arts related agencies through the utilization phase index and found that there were a number of unsatisfactory factors. Due to confirmed by the fact that the data utilization goals of domestic institutions are divided into ‘archive type’, which has a strong personality for preserving data, and ‘data utilization type’, which has a strong personality for utiliz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overseas cases and the analysis of domestic statu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on how to effectively utilize big data in marketing in the domestic performing arts sector. First is the resident of a dedicated data analyst within the agency. A dedicated data analyst is needed to screen out meaningful data and find meaningful results through them. Second, it is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performances. When an indicator related to the quality assessment of a performance is developed, the effectiveness of the performance can be increased and more granular targeting can be achieved in marketing. Third,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data institution. This is an era in which integrated marketing processes need to be conducted, not just a single marketing process. An integrated data consulting organization needs to be established to cover a wider range of areas than the traditional marketing areas and to take advantage of the data generated to achieve advanced marketing. Although the analysis results of overseas cases may differ slightly from those of domestic situations, there is a clear need to try to introduce data utilization measures in line with the current trend. If it is used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the institution, it will be able to create a case where domestic performing arts institutions can use data as a model.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utilize big data efficiently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to reduce promotional and marketing costs, improve the quality of performance, and attract new audiences. 현재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매일 생성되고 유통되는 데이터의 양이 매우 방대하다. 뿐만 아니라 기술 혁신에 따른 저장 기술의 발전이 데이터 생산·저장·가공을 편리하게 해 주어 수용 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폭증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빅데이터’라는 용어가 고유명사로 쓰이기 시작하였다. 빅데이터를 통해 우리는 데이터 집합을 과학적이고 실시간으로 분석하면서 결과를 예측하고 대안을 제공받고 있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데이터들 중 유의미한 내용을 찾아내는 빅데이터 분석을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빅데이터가 이미 우리 현실 깊숙이 들어와 있는 데 반해, 문화예술분야와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공연예술분야는 빅데이터의 활용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빅데이터의 도입 필요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고,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들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의 사업이 진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공연예술분야에서의 구체적인 활용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국과 미국 등 해외사례의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한 다음,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공연예술분야에 적용 가능한 빅데이터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구적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선례적으로 해외 공연예술분야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데이터의 활용 사례들을 고찰하였다. 분석 대상은 영국의 빅데이터 프로젝트와 미국의 Data Arts 프로젝트 사례였으며, 사례 분석 후 본 연구에서 정립한 빅데이터 활용단계지표를 활용하여 심층 분석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의 고찰과 이론적 배경의 연구를 통하여 도입은 되었지만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국내 공연예술분야에서도 빅데이터를 활용할 가치가 있고, 성공적인 활용의 가능성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해외 사례의 분석 결과 영국과 미국은 데이터를 효율적인 마케팅을 위해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두 나라는 국가기관으로부터 계획된 사업을 지역 단위의 프로젝트성 사업으로 시행했다는 공통점이 있었으며, 영국의 경우 같은 주체가 다른 방법으로 프로젝트를 시행했고, 미국의 경우 통합 데이터 컨설팅 기관의 설립으로 프로젝트의 처음부터 끝까지 한 번에 이루어졌다는 차이점도 있었다. 셋째, 해외사례의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계한 지표를 통한 분석 결과 분석한 해외 사례들은 모든 단계 및 요소를 대체로 잘 충족하고 있었고, 미충족 요소의 경우 대안도 존재하였다. 영국과 미국의 사례 모두 프로젝트 진행 시 데이터 관리·분석 전문 인력(기관)의 채용에 대한 내용을 특히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국내 공연예술분야 관련 기관의 현황을 활용단계지표를 통해 분석한 결과 미충족 요소가 다수 나타났는데, 이는 국내 기관의 데이터 활용 목표가 자료 보존의 성격이 강한 ‘아카이빙 형’과 활용의 성격이 강한 ‘데이터 활용 형’으로 나뉜다는 점에서 비롯된 결과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외 사례의 분석결과와 국내 현황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내 공연예술분야에서 빅데이터를 마케팅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였다. 첫째, 기관 내 전담 데이터 분석가의 상주이다. 유의미한 데이터를 선별해내고 그를 통해 통찰력 있는 결과를 찾아내는 전담 데이터 분석가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둘째, 공연의 질 측정을 위한 지표의 개발이다. 공연의 품질 평가와 관련된 지표가 개발될 경우, 공연의 작품성이 높아지고 마케팅 시 더욱 세분화된 타겟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통합 데이터 기관의 설립이다. 현재는 기존의 단일화 된 마케팅이 아닌 통합 마케팅 프로세스가 진행되어야 하는 시대이다. 기존의 마케팅 영역보다 더 넓은 영역까지 포함하며 생성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첨단 마케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통합 데이터 컨설팅 기관이 설립될 필요가 있다. 물론 해외사례의 분석 결과는 국내 실정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시대적인 흐름에 맞추어 데이터 활용 방안들의 도입을 시도해야 할 필요성은 분명히 있다. 기관의 실정에 맞추어 변형하여 사용한다면 국내 공연예술기관에서도 충분히 데이터를 모범적으로 활용한 사례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공연예술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공연관련 홍보·마케팅 비용의 절감, 공연 작품의 질 향상, 신규관객 유치 등 다양한 효과를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코로나19 시대의 공연 영상화 사업 연구 : 서울예술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은정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erforming arts market, damaged by Covid-19, handle the crisis by switching to performance in online streaming. Since operating the concert halls have been hard,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pioneered a new market and created new profits with online-based performance content. The online-based performance due to Covid-19 has quickly grown in about 2 years, seeking to switch to paid contents and expand the genre. Nevertheless, the online-based performance is still limited to the role of a supplement for live stage performance, but it has not been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gen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future persistence of online-based performance. The beginning of the study is from the question with concerns that “Will the online-based performance content market continue to be maintained in the future?” Also, the background of the question is from the instability of online-based performance developed quickly in the unique situation of virus pandemic, the performance and video in the opposite point of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the interest in showing a downward trend in 2 years of business progress. The scope of the study focused on the musical genre that most actively has progressed the online-based performance. Among them, it concentrated on more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which actively carried out related projects, collected more specific information, and was drawn the conclusion by depth interviews. The online-based performance of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began as an alternative project to cope with forced non-face-to-face situation. Its features the methods of producing and streaming performance videos with the uniqueness of the performing arts. After that, it formed a market by establishing paid-contents and attempted expand its genre by developing new contents such as web musicals. Currently, it is building a metaverse with theme of the work and preparing for the next level of online-based performance. In terms of performance, the online-based performance project of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left very meaningful achievements. It recorded about 200 million KRW in sales numerically. Artistically, it proved the difference in differentiated quality from previous recording videos, and formed a new interaction because of changes in transmission methods. The parts that are not able to be evaluated quantitatively were supplemented by result analysis. Also, the potentials of the online-based performance were checked by SWOT analysis. The preceding research prepared evaluation standard by selecting questions based on problems and suggestions presented by researchers and answering based on the case of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If the situation of Covid-19 is better, the face-to-face culture may be revitalized, so the online-based performance recognized as alternative solution may lose its competitiveness. However,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has maintained a change suitable for the times with the convergence of art and technology progressed even before Covid-19. This means it will be the future continuity and might be expected to create a new type of performing ar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explored the process of the online-based performance focusing on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analyzed the results, and then use them as the basis for future prospects. It would be expected to be precious as a history of the online-based performance promoted by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hope it will be meaningful basis for the online-based performing arts project and for research related to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공연예술계는 영상화 전환으로 위기에 대처하고 있다. 많은 공연예술단체는 극장의 운영이 어려워지자 온라인 기반의 공연 영상 콘텐츠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수익에 나섰다. 팬데믹으로 가속화된 공연의 영상화는 약 2년 만에 유료화 전환과 장르적 확장을 꾀하며 급성장하였다. 하지만 공연 영상은 여전히 무대 공연의 대체재 혹은 보완재 역할로 한정될 뿐 독립적인 장르로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팬데믹으로 가속화된 공연 영상화의 미래 지속성을 가늠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연 영상 콘텐츠 시장이 일상 회복 후에도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을까?’라는 우려 섞인 질문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여기에는 감염병 유행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급속도로 발전한 공연 영상화의 불안정함과 매체의 특성이 대척점에 있는 공연과 영상, 그리고 사업 진행 2년 만에 하향세를 보이는 관심도가 그 배경에 존재한다. 연구 범위는 공연예술 장르 중 공연 영상화가 가장 활발하게 나타난 뮤지컬 분야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사업을 진행한 서울예술단의 사례를 통하여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타당성 있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서울예술단의 공연 영상화는 강제적 비대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대체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공연예술의 고유성을 염두에 둔 공연 영상 제작과 스트리밍 송출 방식이 특징이다. 유료화 전환으로 시장을 형성하였고 웹뮤지컬과 같은 새로운 콘텐츠의 개발로 장르 확장을 시도하였다. 현재는 작품을 주제로 한 메타버스 구축을 진행하며 다음 단계의 영상화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성과적 측면에서 서울예술단의 공연 영상화 사업은 유의미한 업적을 남겼다. 수치적으로는 약 2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였다. 예술적으로는 이전 기록용 영상과 달라진 품질의 차이를 증명하였고 전달 방식의 변화로 인한 새로운 상호작용을 유발하였다. 정량적 평가가 불가능한 부분은 결과 분석으로 보완하였다. SWOT 분석으로 다각도에서 공연 영상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 연구자들이 제시한 문제점과 제언을 기반으로 질문을 선정하고 서울예술단의 사례를 기준으로 답변하여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공연 영상화 사업이 위기 대응책에 머문다면 대면 문화의 완전한 복귀와 동시에 경쟁력을 잃게 된다. 현재 공연예술계는 팬데믹 이전부터 진행해오던 예술과 기술의 융복합 콘텐츠로 시대에 적합한 변화를 계속해서 강구하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시도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공연예술 탄생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예술단이라는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공연 영상화의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고 미래 예측의 토대로 삼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자는 이 논문이 팬데믹 시대가 재촉한 공연 영상화의 초기 기록으로서 실질적 가치를 지니길 기대하며 나아가 공연예술 영상화 사업과 서울예술단 관련 연구에 유의미한 초석이 되길 바란다.

      • 전통예술공연의 서비스 품질에 따른 관객의 만족도 연구 : 2014년 국립극장 공연을 중심으로

        공재민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erforming arts market in the past was mainly operated by suppliers and hardly reflected the demand of specific consumers. However, recent performing arts market covering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is changing from a supplier-oriented system into the system that focuses on customer satisfaction which is becoming sophisticated, diversified, and individualized. This study intended to expand the consumption of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by perceiving the importance of the consumption behavior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audience who are the consumers of performances considering this change in the performing arts market. For such a research aim, the consumer selection behaviorism for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was examined in terms of marketing studies based on the psychological approach of consumer behaviors. Since it is difficult to expand the consumption of performing arts due to the insufficient experience of the consumers resul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tial product, the repeated consumption after viewing determines the favorable attitude toward a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into the consumption behavior by each element based on the satisfaction that consumers feel after viewing a performance in order to form a marketing framework for building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performance. So, as one of marketing strategies for audience development in the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this research analyzed marketing factors that consumers of a traditional art performance evaluate. Besides,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to examine what effects service quality of traditional art performance that audience perceive have on performance satisfaction, trust and loyalty meaning a continual rel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the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held with thos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among 212 spectators who viewed a performance in the traditional art performance genre at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2014 by handing out and collect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lso, in setting the study model, variables related with the service quality factors for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were extracted by referring to the 5 dimensions of SERVQUAL which is widely applied in the service industry: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athy, and considering the 7P, the service marketing-mix for art products. This study intended to verify the hypothesis by using the service quality dimensions of SERVQUAL Model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angible and intangible service equality of the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and the empirical analysis which used reliability and loyalty as dependable variables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satisfaction with performanc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group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the data collected and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1.0, to verify the hypothesis. Besides, in-depth interview findings were derived from 5 spectators who had seen the performance in the traditional art performance genre at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on December, 2014 using CIPP Model. As such, based on data analysis collected from audience survey, research findings were presented in terms of effects of service quality on performance satisfaction of audience and their trust and loyalty in the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gives a suggestion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for future study. 과거의 공연예술 시장은 공급자 위주의 관점에서 제공되어 특정의 소비자 욕구가 반영되기가 쉽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전통예술공연을 비롯한 공연예술 시장은 공급자 중심에서 고급화·다양화·개성화되고 있는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논문는 이러한 공연예술 시장의 변화에 맞춰 공연소비자인 관객의 만족도에 따른 소비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통예술공연의 소비확대를 위한 기초연구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소비자 행동 심리학적 접근을 기반으로 마케팅학의 차원에서 전통예술공연의 소비자 선택행동론을 연구하였다. 공연은 경험재라는 특성으로 인해 소비자의 경험부족으로 공연예술에 대한 소비확대가 어렵기다. 따라서 관람 후 반복적인 소비가 공연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를 결정짓는다. 그러므로 공연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형성의 마케팅틀을 가지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공연관람 후에 느끼는 만족도에 따른 요소별 소비행동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예술공연의 관객개발을 위한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전통예술공연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평가하는 마케팅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전통예술공연 관객이 지각하는 전통예술공연 서비스 품질이 공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속적인 관계를 의미하는 신뢰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설문조사와 심층면접 연구를 택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예술공연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9월~10월, 국립극장에서 전통예술공연 장르의 공연상품을 관람한 관객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참여에 동의한 표본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실행하였다. 그리고 연구 모형을 설정함에서 전통예술공연 서비스 품질 요인은 일반적으로 서비스업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SERVQUAL의 5가지 차원인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확신성, 공감성을 기반으로 예술상품의 서비스 마케팅믹스 7P를 고려하여 관련 변인들을 도출하였다. SERVQUAL의 모형을 활용한 서비스 품질 차원을 전통예술공연 유·무형적 서비스 품질의 특성에 맞추어 독립변수로 사용하였으며 관객의 공연만족 간 관계를 파악하여 신뢰와 충성도를 종속변수로 도입한 실증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t검증, 군집 분석, 조절회귀분석을 통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심층면접 연구는 2014년 12월에 국립극장에서 전통예술공연 장르의 공연상품을 관람한 관객 5명을 대상으로 CIPP 평가모형을 채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관객조사로 획득된 자료의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통예술공연의 서비스 품질에 따른 관객의 만족도와 더불어 신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전통예술공연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며 앞으로의 연구과제에 대해 제언하였다.

      • 공연예술축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문화자원봉사자 관리방안 연구

        은윤지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paper is about the study on the management of cultural resource voluteers for smooth operation of performing art festival. Each local government in Korea has activated an effective festivals in developing the uniqueness and tourist industry of the region in accordance with the introduction of local self-governing system in 1995. This trend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estivals held in each region as well a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ultural volunteers with the reason of smooth operation of festival, recruitment of personnel and the cost reduction.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where cultural volunteers are dropped out due to the poor management compared to the status of holding various festivals. As a result, cultural volunteers are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s. Therefore, a system to manage and organize them efficiently is required. If we look at the researches on cultural volunteers of performing art festivals conducted so far, we can find that there is not enough case studies that presented the improvements in the direction practically desired by cultural volunteers or survey conducted directly by them, and that researches are mainly conducted focusing on cultural volunteers. Under this background, I wanted to investigate the ways to manage cultural volunteers for the operation of performing art festival through the survey. I conducted preceding research and literature search to make survey items. To draw out the items of survey, I grasped the factors on the 'operation of performing art festival"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es and selected 6 festivals which had operation system for cultural volunteers to create factors on the 'management of cultrual volunteers' based on each operating manual and plan. The survey was consisted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performing art festival currently participating, the importance of factors considered a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hosting of performing art festival, the satisfaction with the activities of cultural volunteers currently participating and the importance of operating factors of cultural volunteers considered a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hosting of performing art festival. The implications drawn by analyzing the gap difference of eac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re as follows. Both cultural volunteers and visitors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peration of cultural volunteers in terms of providing professional personnel to operate ‘Operation of performing art festival'. In addition, improvements in provision of festival information and professional personnel and additional services are required. Among them, the factor that both visitors and cultural volunteers considered to be improved in the type of professional personnel were 'Assign professional personnel to solve the problem of and support festivals and performance progress' and 'Operation of performance and cultural professional volunteers to secure the festival professionalism.' Therefore, I investigated cultural volunteers by focusing the operation of cultural volunteers in terms of the provision of professional personnel. Next, the results of survey on ‘Management of cultural volunteers' with cultural volunteers showe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contents operation, organization management and facility manage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ype with big difference of gap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as the same as the type of feeling dissatisfaction, except for the type of visitor management. The specific improvem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surrounding facilities of festival, festival experience program and campaign should be included in the pre-education course of cultural volunteers. Second, secretariat of festival and cultural volunteers should have meaningful exchange time before holding the festival.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cultural volunteers feel a sense of achievement by giving them appropriate rewards and awards. Fourth, the environment which cultural volunteers can actively support the performance team should be created by collecting the opinions on supplies and support required by the artists before the festival. Fifth, education related to solving various problems should be conducted when doing pre-education. We have look at the ways to improve operations of cultural volunteers that are required to operate performing art festival smooth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ducted survey on practical operation of cultural volunteers, which haven't been conducted before, and presented the ways for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of cultural volunteer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has limitation given that the scope was applied only to the performing art festival and didn't reflect the opinions of festival management in the survey.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divide each festival by size, type and genre and examine the management of cultural volunteers who work in the festivals in the follow-up study. I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in the follow-up study on the management of cultural volunteers of festival and will help to improve the management ways of cultural volunteers of performing art festival. 본 논문은 공연예술축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필요한 문화자원봉사자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1995년 지방자치제의 도입에 따라 각 지방정부는 지역의 고유성과 관광산업 개발에 효과적인 축제를 활성화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지역 축제의 수가 증가함은 물론, 축제의 원활한 운영, 인력 충원, 비용 절감 등의 이유로 문화자원봉사자의 수도 자연스럽게 늘어났다. 하지만 축제의 주요 인력인 문화자원봉사자들에 대한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해 문화자원봉사자들이 중도 탈락하는 사례가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축제 문화자원봉사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진행된 공연예술축제 문화자원봉사자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문화자원봉사자에 대한 사례연구는 많았지만 그들을 대상으로 한 직접적인 설문조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설문조사를 통해 공연예술축제 문화자원봉사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우선, 설문문항을 설계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하였다. 특히,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공연예술축제 운영’에 관한 요소를 파악하고, 문화자원봉사자 관리 체계를 갖춘 6개 축제(서울거리예술축제,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수원연극축제, 자라섬재즈페스티벌, 전주세계소리축제, 통영국제음악제)의 문화자원봉사자 운영매뉴얼 및 운영계획서를 토대로 ‘문화자원봉사 관리’에 관한 요소를 도출하였다. 설문 대상으로 선정된 축제는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아시테지국제여름축제, 평창대관령음악제, 인천펜타포트락페스티벌이며, 설문 당시 축제에 참여 중이었던 방문객 134명과 문화자원봉사자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현재 참여 중인 공연예술축제 운영에 대한 만족 요소, 공연예술축제를 운영에 대한 중요 요소, 현재 참여 중인 문화자원봉사자 관리에 대한 만족 요소, 공연예술축제 운영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문화자원봉사자 관리 중요 요소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Gap차이분석을 통해 도출된 함의는 다음과 같다. ‘공연예술축제 운영’을 위해 문화자원봉사자와 방문객 모두 전문인력 제공의 측면에서 문화자원봉사자 관리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전문인력 제공 유형에서 방문객과 문화자원봉사자 모두가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요소는 ‘축제 및 공연 진행의 문제 해결과 지원을 위해 전문 인력 배치’와 ‘축제 전문성 확보를 위해 공연 및 문화 전문 자원봉사자 운영’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인력 제공의 측면에서 문화자원봉사자 관리에 집중하여 문화자원봉사자를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문화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자원봉사 관리’에 관해 조사한 결과, 그들은 콘텐츠 운영, 조직관리, 시설 관리 부분에서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Gap차이가 큰 유형은 방문객 관리 유형을 제외하고 불만족을 느낀 유형과 동일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연예술축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필요한 문화자원봉사자 관리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자원봉사자 사전 교육 과정에 축제 주변시설과 축제 체험 프로그램 및 캠페인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축제 개최 전 축제 사무국과 문화자원봉사자들 간 의미 있는 교류 시간을 가져야 한다. 셋째, 문화자원봉사자들에게 적절한 보상과 시상을 하여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해야 한다. 넷째, 축제 개최 전 공연을 하는 예술가들에게 필요한 물품 및 지원에 대한 의견을 모으는 등 문화자원봉사자들이 공연 팀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다섯째, 사전 교육 시 각종 문제 해결과 관련된 교육을 체계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문화자원봉사자들이 방문객이나 예술가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이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훈련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진행되지 않았던 실질적인 문화자원봉사자 관리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문화자원봉사자의 관리 방안을 제언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반면, 본 연구는 공연예술축제만을 범위로 설정했다는 것과 설문대상에서 축제운영진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각 축제를 규모, 종류, 장르별로 나누어 그 축제에서 활동하는 문화자원봉사자들의 관리에 관해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가 축제 문화자원봉사자 관리 관련 후속 연구에 활용되고, 나아가 현 공연예술축제의 문화자원봉사자 관리방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시각장애 예술인과 함께하는 ‘인클루시브’ 뮤지컬 공연방안 연구 : 배리어프리 개념을 중심으로

        서가영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현재 한국장애예술인협회에 등록된 예술인은 343명이며 그중 뮤지컬 경력을 가지고 있는 시각장애 예술인은 총 6명이다.시각적 이미지를 중시하는 뮤지컬의 특성상 뮤지컬 분야에서의 시각장애 예술인 활동은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이 장애라는 장벽을 넘어 공연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배리어프리(barrier-free)’개념을 활용하여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모두가 함께하는 인간 중심의 ‘인클루시브(inclusive)’ 뮤지컬 제작을 위한 공연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동안 시각장애인이 공연예술을 향유하기 위한 방법론들을 제안하는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다. 이들 연구는 주로 시각장애인이 관람객의 입장일 때 공연의 관람을 돕는 방법을 제시하는 연구가 많았다. 수년 전부터 국내에는 배리어프리, 인클루시브를 내건 장애인과의 협업을 이루는 공연 작품이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 예술인과 비장애 예술인과의 뮤지컬 협업을 위한 연구로써 장애인들의 관람에 관해 연구했던 기존 논문들과는 차별점을 둔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국내 장애예술인의 활동 현황을 알아보기 위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국내외 장애인을 위한 공연단체 및 장애예술인과의 협업을 진행하는 단체의 사례조사, 실 시각장애 예술 관련인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뮤지컬 협업을 위한 실질적인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장면별 변화하는 무대 위 연출 이해도’와 ‘무대 위 움직임 협업’이란 두 가지 문제점을 중심으로 다음의 세 가지 공연방안을 고안하였다. 첫째, 무대 위 공간감과 장면별 세트의 이해를 돕는 ‘촉각 무대 평면도’. 둘째, 색채 간 고대비를 이루어 사물에 대한 식별도를 높이는 ‘색의 고대비 연출법’. 셋째, 움직임 협업을 위해 무대 바닥에 구역을 나누기 위한 ‘점자블록 활용’. 위 방안은 시각장애 예술인과 비장애 예술인이 ‘예술이라는 이름 아래 모두가 평등한’ 환경에서의 공연예술을 만들어가는 방안 제시이자 나아가 비주류에만 머물러 있던 장애인의 예술 활동이 다양한 협업을 통해 활발해짐으로 공연예술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주목되지 않았던 시각장애 예술인과의 공연예술 활동에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음을 밝힌다. Currently, there are 343 artists registered in the Korea Disabled Artist Association, in which six percent of them are visually impaired artists with musical experience. Due to the nature of musicals that value visual images, the activities of visually impaired artists in the musical field are ra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human-centered "inclusive" musical collaboration manual that allows everyone to enjoy performing arts beyond the barrier of disability. In the meantime,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uggest methodolog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enjoy performing arts. These studies mainly suggested ways to help blind people watch performances as part of the audience. Since many years ago, many performances involving barrier-free and inclusive collaborations with disabled people have appeared in Korea. This study is aimed at musical collaboration between visually impaired and non-disabled artists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the disabled plays a role of the audience. Therefore, the researcher conducted a pilot study to research the current status of disabled artists in Korea. Then realistic solutions were derived through case studies of organizations that collaborate with disabled artists at home and abroad and interviews with visually impaired artists. This researcher devised the following three collaboration instructions, focusing on the two problems of "understanding the direction on the changing stage by scenes" and "collaboration through movements on the stage" derived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Simulation Touch Tour" helps you understand the space on the stage and the set of each scene. Second, the "Color Contrast Directing Method" helps you distinguish where the objects are by contrasting colors. Third, "Utilizing Braille Blocks" helps you collaborate for the movements on the stage by dividing areas on the stage floor. The above instructions will present the manual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non-disabled artists to create performing arts in an environment where "all of them are equal under the name of art" and furthermore serve as a positive starting point for disabled artists to come into the mainstrea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the empirical data necessary for performing arts activities with visually impaired artists, which were not noted in the previous studies.

      • 국내 공연예술 창작 지원의 유형 연구 : 공공지원을 중심으로

        김다솜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arrival of the creation industrial era brings along the increasing values of creation area, for example the rise of copyright. Therefore, the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supporting programs for performing arts creation grow in many various forms each da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ategorize each performing arts creation support based on the background and needs of them, and finally propose the effective method for the performing arts support. In the creation industrial era, as the performing arts is a higher value added business, it has a means of business. In addition to that, it takes the social responsibility by releasing the society’s conflict and the educational role by developing youth’s good personality. And through the aesthetic appreciation value of the art, it contributes towar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people. Therefore, the support based on social consultation are well invigorated because the art has a characteristic of market down but socially contributable by creating external benefi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governmental support for performing art creation, this research examines supporting programs in Ministry of Culture, Korean Culture and Arts Committee and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The major supports from Ministry of Culture are ‘Creation Factory Project’ and the operation of National Art Organizations. Creation Factory is a new strategic supporting project taking a break from the temporary payment for production cost that used to be a traditional governmental support. The national art organizations governed by Ministry of Culture support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its arts genre by cultivating the artist and by presenting the creation outcomes. Above this, this organization tries to help the artists protect rights and sustainable welfare by legislation. Korean Culture and Arts Committee support the following performing arts creation supporting project: direct and indirect way of various supporting project, ‘Crowd funding’ that promotes rather small on-line donation, ‘The Artist House’ that supports space and information for creation activity and ‘Arko Performing Arts Incubation’ that foster the rising young artist.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upports ‘The Regular Public Contest Project’ and ‘NArT(New Art Trend)Project’ to help discover great artwork and raise new artists. And this foundation takes a role of promoting performing arts creation by operating several projects for ‘Creation Space’ and ‘Art Center Resident’ organization as much as Korean Culture and Arts Committee do. This researcher categorizes each governmental support for the performing arts creation by direct and indirect support and group them based on supporting objective. Direct supporting program from the government is the “Artwork Contest” whose objective is to select the excellent artworks. And both direct and indirect support is “Reinforcement of the Capability” which strengthens the artist’s ability. Indirect support programs are “Creator Protection” which helps artists by securing their rights and producing proper art eco-system and enabling a creation invigoration. “Environment Setup” is also indirect support which provides a space for artwork and an opportunity for oversea posting. At last, “Support Inducement” is a donation program for artists or information providing for supporting program so that all supports can be led to the artists. According to the category arrangement, today’s governmental supports for performing art creation have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supporting category only be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al support. This, for example “Artist Protection”, can be operated based on the institutional policy. “Support Inducement” is the category that can be trusted by the donators only if implemented by the non-profitable governmental support. With this condition, this support can guarantee freedom of expression. Secondly, “Artwork Contest” is the category that has no considerable differentiation compared to non-governmental support. However, governmental supports always need to have a long administrative procedure that risks a bad impression to its dignity. Therefore, this support requires overcoming this disadvantage. Thirdly, unclear and massive governmental support regarding support beneficiaries is not particularly effective because artists tend to lack in information gathering. Only when the support program has a clear objectives and identities, it will be helpful to the artists. Governmental support has responsibility in developing the national culture status by proposing exemplary role model. Governmental support should be differentiated and identified compared to non-governmental support and by strengthening the supports that the non-governmental activities certainly have a limitation, it can improve the artist’s working conditions and develop the creation vitalization. With the effective governmental supporting plan, the domestic performing arts market will have rich contents that can increase for people to have opportunities of art experience. And it is expected that it brings the economical profit and the growth in national status and trust by strengthen the educational and artistic capability. 현시대는 창조 산업의 시대로, 저작권을 필두로 창작의 영역에 대한 가치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정부와 민간의 공연예술 창작 지원 프로그램은 그 규모와 종류가 날로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예술 창작에 대한 지원의 배경과 그 필요성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실현되고 있는 창작에 대한 지원을 유형화하여 효율적인 지원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창조산업 시대에 공연예술은 고부가 가치의 영역으로, 산업 수단으로서 가치를 가지며 사회의 다양한 갈등을 완화하고 청소년들의 인성함양에 기여하는 교육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예술의 본질적인 심미적 가치를 통해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따라서 예술은 시장실패의 특성이 있지만, 다양한 외부편익을 창출하며 사회에 기여하는 바가 크기 때문에 사회적 합의에 따른 지원의 영역이 활성화되어있다. 연구자는 공연예술 창작에 대한 공공지원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공공지원의 주체를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서울문화재단으로 한정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시행하는 지원에는 크게 창작팩토리 사업과 국립예술단체의 운영이 있다. 창작팩토리 사업은 기존의 정부 지원 방식이었던 일시적인 제작비 지원 형식에서 탈피한 새로운 전략적 지원사업이다. 국립예술단체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으로 운영되며 해당 예술 장르의 발전과 보급을 위한 창작품 발표 및 예술가 양성을 돕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외에도 법률제정을 통해 예술가들의 권리보호와 복지문제의 해결에 힘쓰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문예진흥기금을 통한 문예진흥기금공모사업 중 창작에 대한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여러 지원사업과 온라인을 통한 소액기부를 유도하는 크라우드 펀딩, 지원정보제공 및 창작공간을 지원하는 예술가의 집, 신진예술가를 육성하는 아르코공연예술인큐베이션 운영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공연예술 창작 진흥에 힘쓰고 있다. 서울문화재단은 지역문화재단을 대표하는 의미로 공공지원의 현황을 살피기 위한 주체로 분류하였는데, 정기공모 사업과 유망예술육성지원사업(NArT)으로 우수 작품을 발굴하고 예술가의 육성을 지원한다. 또한 창작공간 및 공연장 상주예술단체 육성지원사업을 운영하며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 버금가는 공연예술 창작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공연예술 창작에 대한 공공지원을 직접지원과 간접지원으로 구분하여 지원목적을 기준으로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공연예술 창작을 위한 공공지원 사업 중 직접적인 방식에 의해 지원되는 유형으로는 우수작품 발굴을 목적으로 하는 ‘작품발굴형’이 있다. 또한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지원이 융합된 유형으로는 예술가들의 창작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역량강화형’이 있다. 간접적인 지원으로는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여 올바른 예술생태계를 조성하고 창작 활성화를 유도하는 ‘창작자보호형’, 공간지원 및 예술가 국외파견을 통해 창작환경을 조성하는 ‘환경지원형’이 있다. 마지막으로 기부활동을 유도하고 예술가에게 지원정보를 제공하며 예술지원에 대한 원조와 수혜의 측면 모두를 유도하는 ‘지원유도형’이 있다. 이러한 유형 정리를 통해 오늘날 공연예술 창작에 대한 공공지원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지원으로만 실현이 가능한 지원유형이 존재한다. 이것은 ‘창작자보호형’같이 제도적인 장치에 기반을 두어 시행될 수 있는 유형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지원유도형’은 비영리적인 성격의 공공지원으로 실현될 때, 예술가들에게 창작 방향의 자주성을 보장하고 기부자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작품발굴형’은 민간지원에서도 활발히 행해지고 있는 지원유형으로, 민간지원과 비교하였을 때 차별성이 부족하다. 불필요한 행정절차를 요구하는 공공지원은 그 위상이 떨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공공지원만의 이점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원 주체별 정체성이 부족한 방대한 공공지원은 정보력이 매우 취약한 예술가들에게 그 실효성이 떨어진다. 뚜렷한 정체성을 확보하였을 때보다 효율적으로 예술가들에게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다. 공공지원은 모범적인 사례를 제시하며 문화예술의 위상을 높이고 발전에 기여할 책임이 있다. 공공지원은 민간지원과 비교하여 차별적이고 정체성이 확실해야 하며, 민간지원이 한계를 갖는 유형을 강화함으로써 예술가들의 창작 활동을 개선하고 활성화해야 한다. 위와 같이 효율적인 공공지원을 통해 국내의 공연예술시장이 풍부한 콘텐츠를 확보하면 국민의 예술 향유 기회가 상승할 것이다. 또한 창작된 작품을 통한 경제적 이익이 기대되며 교육적, 예술적 역량 강화를 통해 국가의 위엄과 신망이 향상될 것이다.

      • 클래식 음악공연의 좌석등급 및 티켓 가격 인플레 문제 연구

        오경지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87

        오늘날 국내 클래식 음악공연계에 새롭게 대두된 좌석등급 인플레이션 현상은 기존까지 공연장 내 최고 좌석이었던 R(Royal)석을 밀어내고 그 상위에 VIP(Very Important People)석, 또 그 상위에 VVIP(Very Very Important People)석, 마지막으로 최고 상위에 P(President)석을 만들어내며 관객들로 하여금 공연장 내 혼란과 위화감을 조성하였다. 좌석등급의 변동과 함께 티켓 가격도 천정부지로 상승하였고 이에 지불능력이 없는 저소득층과 청소년들은 유명 아티스트의 클래식 음악공연 감상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최고 등급위에 새로운 최고 등급이 오르는 ‘옥상옥(屋上屋) 등급’의 문제와 티켓 가격 인플레이션 현상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클래식 음악공연이 하나의 음악공연예술상품으로서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 살펴보고 공연장 내 좌석등급 분류방법 및 티켓 가격 결정원리를 조사하였다. 또한 2002년부터 2012년까지 예술의전당에서 공연된 음악공연예술상품들의 좌석등급과 티켓 가격의 추이를 조사하여 그 간의 좌석등급 및 티켓 가격 인플레이션 현황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완화할 수 있는 개선방안으로 2012년 7월부터 예술의전당이 시행하고 있는 ‘좌석등급 표준제’를 알아보았으며 기업의 바람직한 예술후원 문화 정착과 청소년 및 저소득층을 위한 티켓 판매 확대를 제안하였다. 음악공연예술상품은 사회적으로 소비를 권장할 만한 가치가 있는 가치재(價値財)적인 상품이며,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함께 즐길 때 그 가치가 상승하는 공공재(公共財)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합리적인 좌석등급 분류와 티켓 가격 산정은 많은 사람들이 거리낌 없이 공연장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There are several seat grades in classical music performance, such as R(Royal) seats, S(Special) seats, A seats and so on. Generally, the R seats are regarded as the highest class among them. However, recent seat grade inflation called "Top over the Top" produced not only VIP(Very Important People) seats above the existing R seats, but also VVIP(Very Very Important People) seats, and P (President) seats. A lot of low-income groups who cannot afford to pay the expensive ticket price are losing the opportunity to appreciate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of famous artists. Thus, this phenomenon promoted an atmosphere of social confusion and disharmony. In this study, problems caused by the ticket price inflation are handled in all aspects, as well as trends of ticket prices are tracked which have been played in the Seoul Arts Center (SAC) for the last 10 years. Furthermore, some solutions to the problems are also present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seat grade classification methods and ticket pricing principles. "Standard Seat Grade"' which has been implemented in the seoul arts center since July 2012, the desirable corporate's sponsorship, and the expansion of ticket sales for adolescents as well as the low-income groups will allow many different group of people to freely enjoy various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아시아문화' 프로그램과 시민 수요도 분석 : 예술극장과 시민아카데미의 사례

        이가율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87

        The starting point of the establishment of Asia Culture Center (under the ACC) was a Roh Moo-hyun’s election platform, ‘Promotion of Cultural Capital, Gwangju, Korea’ in 2002. The goal of the pledge was to spread the cultural resources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ease the geographic inequality of cultural art and realize the cultural equality of the people. Since then, the establishment of the ACC was discussed as a key hub for the Asia cultural hub project. It was to establish a ACC in Gwangju to build the foundation of Asian culture and foster the cultural city of Gwangju by enhancing the cultural value of the region. In other words, the ACC was established to create and produce contents focusing on 'Asia Culture' and to play the role of a cultural power plant in Gwangju. The success of the cultural city promotion strategy through cultural institutions depends o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particular, unlike other cultural complexes in Korea, the ACC has a special characteristic of putting ‘Asia culture’ at the center. Therefore, continuous efforts are required to resolve the gap between local resident and ‘Asia culture’. Gwangju residents and art management researchers have long pointed out that the content of ‘Asia Culture’ by the ACC is difficult to understand due t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that programs that can understand the contents are also quite limited. So far, studies of the ACC focused mainly on the construction of the ACC on the local economy and on the cultural value of the citizens of Gwangju. On the other hand, no study was found on the awareness and demand of the citizens of Gwangju on the 'Asia Culture' content that the ACC has constantly introduced. Against this backdrop, the researcher recognized the need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Asia Culture’ program of the ACC and analyze the need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Asia Culture’and the demand of the ‘Asia Culture’ program of the local people. In particular, the role of the ACC theater that regularly presents 'Asia culture' and ACC Academy, who is in charge of education for ordinary citizens, was important and judg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implementation methods of the 'Asia Culture' program of the ACC Theater and Academy of the ACC were identified and the citizens' demand was analyzed. A survey was conducted to access understanding and demand level of 'Asia culture'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 of Gwangju residents. The contents of the survey included understanding of 'Asia Culture' of Gwangju residents, preference for 'Asia Culture' program, number of preference for 'Asia Culture' program,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and interest in the program. In addition, the Commission analyz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r preference of 'Asia Culture' based on the performance and educational experience of an ACC theater or Academy.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urvey,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found: First, the purpose of the visit was found to be different in understanding the 'Asia culture'. Specifically, the users of the inner space of the ACC had a higher understanding of 'Asia cultur' than the users of the outer space, and they were much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Asia Culture' program in the future. This can be said that the 'Asia Culture' program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ACC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ublic in terms of understanding and demand. Second, the experience of watching ‘Asian culture’ performances at ACC theater and taking ‘Asia culture’ classes by ACC Academy shows a difference in their understanding of ‘Asia culture’.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ACC acadamy' experience in education does not affect the ACC theater's understanding of ‘Asia culture’. This could raise questions about the virtuous circle driving principle pursued by the ACC Third, most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urpose of visiting, do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method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preferred the 'experience type' approach.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ay that the current ACC academy was held and the needs of citizens. In conclusion, the creation, production and education programs of the ACC were abstract and difficult because the concept of 'Asia Culture' pursued by the ACC was unclea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itizens' demand and the gap have occurred. Up until now, prior study related to the ACC has raised the importance of the ACC's 'Asia Culture' content and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However, it was hard to find a paper that focused on the plan.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cognized the problems raised in prior research and attempted to approach the current status of the 'Asia Culture' program and the needs of citizens. However, this study limits the scope of only cases of ACC theater and Academy.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Asia Culture' contents and programs by the ACC Culteral Exchange, ACC Creation, ACC Archive&Research, ACC Children. We expect this research to be used for further research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Asia Culture' program of the ACC.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하 문화전당) 설립의 단초는 2002년 노무현 대통령 후보의 선거 공약인 ‘광주문화수도 육성’이었다. 이 공약의 골자는 수도권에 집중된 문화자원을 지역에 분산시켜 문화예술향유의 지리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국민의 문화적 평등을 실현한다는 것이었다. 이후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사업의 핵심 거점시설로써 문화전당의 설립도 함께 논의되었다. 광주에 문화전당을 설립하여 아시아문화의 기반을 구축하고,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높여 문화도시 광주를 육성하는 것이었다. 즉, 문화전당은 문화도시를 견인하기 위해‘아시아문화’를 중점적으로 콘텐츠를 창·제작하고, 광주의 문화발전소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문화기관을 통한 문화도시 융성전략의 성공 여부는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에 달려 있다. 특히 문화전당은 국내의 다른 복합문화공간과 달리‘아시아문화’를 중심에 내세운다는 특수성을 지닌다. 따라서 광주시민과 ‘아시아문화’의 괴리감을 해소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광주시민들과 예술경영 연구자들은 오래전부터 문화전당의 ‘아시아문화’ 콘텐츠가 난해하여 이해하기 어렵다는 문제와 ‘아시아문화’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한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지적을 해왔다. 현재까지 문화전당에 관한 연구는 주로 문화전당의 건립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광주시민의 문화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등 건립에 중점을 두었다. 반면, 문화전당이 지속적으로 선보일‘아시아문화’콘텐츠에 대한 광주시민의 인식과 요구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자는 문화전당의 ‘아시아문화’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 지역민의 ‘아시아문화’이해도 및 ‘아시아문화’프로그램 수요도를 분석할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특히, 정기적으로‘아시아문화’ 공연을 선보이는 예술극장과 일반 시민의 교육을 담당하는 시민아카데미의 역할이 중요하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문화전당의 예술극장 및 시민아카데미의‘아시아문화’ 프로그램 현황과 구현방식을 유형별로 파악하고 시민의 수요도를 분석하였다. 광주시민들의 관점에서 ‘아시아문화’ 콘텐츠에 대한 이해도와 수요도에 대해 접근하고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광주시민의 ‘아시아문화’ 이해도, ‘아시아문화’프로그램 선호방식, ‘아시아문화’프로그램 선호횟수, 향후 참여 의지, 프로그램 관심도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예술극장 혹은 시민아카데미의 ‘아시아문화’ 공연 및 교육 경험에 따른 ‘아시아문화’ 이해도나 선호방식에 차이가 있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함의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문화전당의 방문목적은 ‘아시아문화’ 이해도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문화전당의 내부공간 이용객은 외부공간 이용객보다 ‘아시아문화’ 이해도가 더 높았으며, 향후 ‘아시아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의지도 월등히 높았다. 이는 문화전당 내부공간의 ‘아시아문화’ 프로그램이 시민에게 이해도 및 수요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예술극장의 ‘아시아문화’공연 관람 경험 및 시민아카데미의 ‘아시아문화’교육 수강 경험은 아시아문화 이해도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민아카데미의 교육 수강 경험은 예술극장의 ‘아시아문화’ 공연 이해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전당에서 추구하는 선순환적 구동 원리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방문목적 등 대부분 변수는 선호방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대다수가 ‘체험형’의 방식을 선호하였다. 즉, 현재 시민아카데미가 고수하는 강좌형 방식과 시민의 요구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문화전당이 추구하는 ‘아시아문화’의 컨셉이 뚜렷하지 않았기 때문에 문화전당의 창·제작 및 교육프로그램이 추상적이고 난해하였다. 그러므로 시민들의 수요도와 괴리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문화전당 관련 선행연구에서 문화전당의 ‘아시아문화’ 콘텐츠 난해성과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의 중요성이 제기되어왔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방안을 중점적으로 연구한 논문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제기되었던 문제점을 인식하고 문화전당의‘아시아문화’ 프로그램 현황과 시민의 수요도 분석의 접근으로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예술극장과 시민아카데미의 사례만을 범위로 설정했다는 제한점을 지닌다. 따라서 향후문화정보원, 어린이문화원, 민주평화교류원, 문화창조원의 ‘아시아문화’ 콘텐츠 및 프로그램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후속 연구에 활용되고, 나아가 문화전당의 ‘아시아문화’ 프로그램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공연 티켓시스템 활용현황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정지연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87

        Recently the government announced that it will push for the amendment of Public Performance Act for managing the computer system of concerts and overall establish the Integrated Computer System of Performing Arts through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in 2016. The Integrated Computer System of Performing Arts is a computer network established to enhance transparency in the world of performing arts and as the amendment of the public performance act takes place, the Integrated Computer System of Performing Arts has become a necessity rather than a choice which then changes the market structure of performance ticket system from monopoly to competition. Therefore, in order for the operator of the performance ticket system to have a competitive edge, methods for improvement must be search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research on market flow. Performance ticket system is an essential process to go through in order to watch a performance wherein the buyer goes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performance overview, ticket reservation and payment stages, to be admitted to the performance. In the past the performance ticket system was a structure that only verified entry but recently, its scope has broadened to identification of the trend in performance production, management of members, marketing, convenience features and more, in order for it to be used in various ways. However,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flow of the performance ticket system and the range of possible utilization by the staff, practitioner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coping with the changes and applying them.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be of help to the staff by depicting the current utilization of the performance ticket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perator and also aims to propose a way to improve the ticketing system by studying the market flow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eatures of local and foreign performance ticket systems. This thesis studies the current local and foreign performance ticket system utilization through academic journals, websites, news articles, interviews with the staff and more. The status of utilization of SAC ticket of the Seoul Arts Center, Nanta and PMCKIDS of PMC Production, and Interpark which are domestic performance ticket system was studied in the operator’s point of view centering on the features used by the buyer. As for the foreign system, the theater ticket system of Japan, ATG Tickets of the Ambassadors Theatre of England, and Ticketmaster from the United States are researched and their features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at of the domestic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domestic performance ticket system, it was seen that first, due to the continuous absence of research, the system could not provide systematic convenience to the buyers. Second, compared to overseas, there is only little development for additional service products related to the performance for buyers in the local setting. Third, the local performance ticket system market range is quite confined wherein it mostly consists of citizens and tourists. Based on what is mentioned above, the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three methods that could be us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ticket system. First,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a real time data analyzing system such as a history network. A specialized system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continuously research systematically. If research is done systematically with the history network that keeps track of the past together with the current real time data analysis, then the performance ticket system will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Second, the scope of the additional services related to the performance must be expanded. Abroad, they have expanded the range of additional services by specializing performance products and selling it through building a website for the products. However, in the case of Korea, the implementation of additional services outside the performance ticket and related goods is quite insignificant. The country should also develop additional products and with this in line, additional services of the performance must be broadened to provide various services to the buyers. Third, infrastructure for a global market must be established. When one observes the current status abroad, it can be seen that many countries have established ticket systems and are operating it. However with Korea, the structure for the global market is weak for there is a lack of recognition of international business. To prepare for the coming global competition, the operator must establish an infrastructure. In conclusion, the overall introduction of the Integrated Computer System of Performing Arts would change the structure of the performance ticket system from monopoly to competition. Thus, to go along with the changes and be prepared, the operator must be informed of the demands of the buyers and analyze the market flow both local and abroad to stay competitiv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utilize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performance ticket system. 최근 정부는 2016년도에 공연전산망 운영을 위한 공연법 개정을 추진하고 예술경영지원센터를 통해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을 전면 구축한다고 밝혔다.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은 공연계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구축하는 전산망으로 공연법 개정이 추진되면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공연 티켓시스템의 시장구조는 독점에서 경쟁으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공연 티켓시스템 운영자는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현황 분석과 시장 흐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공연 티켓시스템은 공연관람을 위해서 거쳐야 하는 필수과정으로 구매자는 공연 티켓시스템에서 공연개요 확인, 티켓 예매, 티켓 결제의 단계를 거쳐야만 공연 관람이 가능하다. 과거의 공연 티켓시스템은 입장 여부만 확인하는 구조였지만 최근에는 공연제작의 동향파악, 회원관리, 마케팅, 편의기능 등 다방면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그 범위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실무자는 공연 티켓시스템의 흐름과 활용가능 범위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해 변화에 따른 대처와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연 티켓시스템의 활용현황을 운영자 관점에서 기술하여 실무자에게 도움이 되고자하며 시장 흐름 연구와 국내외 현황의 비교분석을 통해 공연 티켓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학술지 논문과 웹사이트, 신문기사, 실무자와의 인터뷰 등을 통해 국내외 활용현황을 연구하였다. 활용현황은 운영자 관점에서 구매자가 활용하는 특장점 중심으로 국내 공연 티켓시스템인 예술의전당의 SAC Ticket, 피엠씨프러덕션의 난타와 PMCKIDS, 그리고 인터파크를 조사하였다. 해외는 일본 극단 사계의 티켓시스템, 영국 앰배서더시어터 그룹의 ATG Tickets, 그리고 미국의 티켓마스터를 조사한 후 국내외 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국내외 공연 티켓시스템을 비교분석한 결과 첫째, 지속적인 연구의 부재로 구매자에게 체계적인 편의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해외에 비해 국내는 구매자를 위한 공연 관련 부가 서비스 상품 개발이 미미하다. 셋째, 국내 공연 티켓시스템의 시장 범위는 내국인과 여행객으로 협소한 범위를 가지고 있다. 앞서 언급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공연 티켓시스템의 개선방안으로 다음 세 가지 사항을 제안하였다. 첫째, 히스토리 네트워크 및 실시간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 지속적인 연구를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전문화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과거를 기억하는 히스토리 네트워크와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연구한다면 공연 티켓시스템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될 것이다. 둘째, 공연 관련 부가 서비스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해외는 공연 상품을 전문화하여 상품사이트를 구축해 판매하는 등 부가 서비스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공연 티켓과 관련된 상품 이외에 부가 서비스에 대한 도입이 미미하다. 이제 국내도 부가 상품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연 부가 서비스 범위를 확대해 구매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글로벌 시장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해외 현황을 살펴보면 공연 티켓시스템을 여러 나라에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해외 사업에 대한 인식이 결여되어 글로벌 시장에 대한 구축이 미흡하다. 이에 운영자는 앞으로 다가올 글로벌 경쟁을 대비하여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결론에서는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의 전면 도입으로 독점에서 경쟁으로 공연 티켓시스템의 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운영자는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구매자의 수요를 파악하고 국내외 시장 흐름 분석을 통해 이를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가 공연 티켓시스템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