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의 “자기인용구문”에 대하여

        박나리 ( Na Ree Park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4 언어와 정보 사회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self-quoted phrase which uses a quotation “-da go ha-“ when a speaker says his own opinion. In general, quotation phrases are used when the speaker quotes the original speaker’s utterances.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quotation phrases have been focusing on these general quotation and a self-quoted phrase has not been researched though it appears highly often in newspaper columns or academic theses etc.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a self-quoted phrase and to explain its own discourse-pragmatic and text functions based on its unique morphological-syntactic structure.

      • KCI등재

        학술논문의 텍스트성 분석 -의도성(intentionality)을 중심으로-

        박나리 ( Na Ree Park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08 텍스트언어학 Vol.25 No.-

        Intentionality, which means the text producer`s own will to weave a text is one of the textualities which make a sequence of sentences a consistently meaningful structure, namely, text(Beaugrande·Dressler 1981). This study examines how the intentionality exhibits in the academic thesis text genre. Unlike other text genres, in the academic thesis, text producer`s intention of producing the text is clearly manifested, which can be called an intention-expressed discourse. It is characterized as object(thesis)-oriented first person deixis, stereotypical performative verbs and different scales of description in both generalization and content-compactness motivated by the text producer`s consideration about the text receiver`s cognitive level according to the text-developing process. These are operated by `the mechanism of efficiency` which helps the text receiver activate his own schema regarding the text. It seems to be highly efficient to manifest the text producer`s intention in the academic text genre which has not only complex but difficult meaning structures. This is fulfilled by the text-stereotypical intention-expressed discourse. This discourse functions as a text data base toa text producer and as a schema invoke regarding the theme of the academic text genre to a text receiver.

      • KCI등재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 학습자를 위한 자기인용의 "-다고 하-" 구문 교육방안

        박나리 ( Na Ree Park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6 언어와 정보 사회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educate Korean self-quoted phrase which has a form as ‘-dago ha-’ to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an academic purpose(KAP). ‘Self-quoted phrase’ is frequently used in academic theses since it is highly useful to manipulate the writer’s voices with objectivity. However, the fact that KAP learners seldom produce this self-quoted phrase in their writings shows urgent necessity to consider the education for this phrase. Also, non-existence of the explanation about this phrase or insufficient explanations in many textbooks for KAP learners seem to require more specific grammatical approach to this self-quoted phrase.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suggest how to describe Korean self-quoted phrase in view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ow to teach this phrase specifically in KAP classroom suggesting its teaching model and its methods.

      • KCI등재후보

        의성어 교육방안 제안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화자의 ‘웃음’ 의성어 인식 비교

        박나리 ( Park Na-ree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7 No.-

        본 연구는 보다 적극적인 의성어 의태어 교육을 통해 한국어 어휘의 고유한 특징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생생한 한국어 구사 능력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의성어 의태어 교육방안 연구의 일환으로서 한국어 모어화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즐겨 사용하는 웃음 관련 의성어(이하 ‘웃음 의성어’로 지칭)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바람직한 교육적 방향성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일반 한국어교재 및 의성의태어 전문 학습자용 교재에 나타난 웃음 의성어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웃음 의성어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부터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이를 의성어의 본유적 특징에 입각한 항목을 중심으로 ‘주관식의 열린 설문’을 시행하여 귀납적으로 살폈다. 이어 바람직한 웃음 의성어 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기 위해 이에 대한 한국어 모어화자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과 비교 대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교육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한국어 모어화자와 한국어 학습자 간에 웃음 의성어에 대한 인식 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웃음 의성어를 사용하는 ①화자(성별과 연령), ②발화상황(웃을 때의 상황), ③웃음의 진정성, ④웃음의 인상적 이미지, ⑤웃음의 물리적 특징(웃을 때의 입 모양, 소리의 크기, 웃을 때 동반되는 동작언어 등)에 대한 인식의 차가 크게 나타나, 이들을 대조 변인으로 추출할 수 있었으며, 개별 의성어를 교수할 때에 이들 다섯 가지의 대조 변인을 중심으로 한 의성어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둘째, 웃음 관련 개별 의성어에 대한 개별 학습자 간 인식의 차도 매우 크게 드러났다. 이러한 현상은 웃음 의성어를 개별적으로 가르친 후에 이들을 다시 앞서 언급한 다섯 가지의 대조변인에 따라 종합적으로 비교 대조하는 교육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고 보았다. 셋째, 웃음 의성어를 파생시키는 주요 메커니즘인 모음조화에 대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특별한 인식을 갖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바, 모음조화와 웃음 의성어와의 분화 및 생산 관련성을 이해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생산을 적극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의성어를 다룬 예외적인 한국어교재의 경우, 단순 설명과 예시 위주로 교재가 구성되어, 보다 실제적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관심과 동기를 효과적으로 불러일으킬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Highly developed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re one of the outstanding characteristics in Korean language which hardly appear so often in other languages. Accordingly, these words in Korean language are very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learn. However, nearly every Korean textbooks do not these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so specifically. This can cause many Korean learners to unaware of one of the most vivid and peculiar Korean expressions. This study tries to explore how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can be taught for foreigners as the first step in studies of desirable educations for onomatopoeic and mimetic Korean words since laughing onomatopoeic words are greatly often used by Korean native speakers in daily life. For this objective, first, how onomatopoeic words are suggested in main ten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examined. Then, in order to figure out desirable education way, not only Korean learners' consciousness but also Korean natives' ones are looked through and compared each other. Based on results of these examination, followings are suggested for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education. Firstly, there seems to exist such a big gap between Korean natives and Korean learners in understanding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especially on its producer's age and sex, speaking situation, laughing impression, sincerity of laughing, and its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aughing. This phenomenon concludes these three differentiative features are stressed when instructing laughing onomatopoeic words. Secondly, enormous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learners in understanding of each laughing onomatopoeic words are examined. This shows us that general comparison between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after the instruction of each. Also, this can be understood as a convincing evidence that onomatopoeic words in group are to be treated in Korean textbooks in an explicit way. Thirdly, Korean learners are likely not to be so conscious of vowel harmony in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Therefore contrasts between bright vowels and dark vowels in production of onomatopoeic laughing words are necessary to learn. Lastly, realistic materials which are used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can be encouraged in order to raise learners' interests and motivations.

      • KCI등재

        블러브(blurb)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여행 안내서의 블러브를 중심으로-

        박나리 ( Na Ree Park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6 텍스트언어학 Vol.40 No.-

        A blurb is a short promotional piece accompanying a creative work and is the book description you find on the back of a book to describe a book``s contents. It may be written by authors or publishers or quote praises from others. In general, available potential readers tend to decide whether he/she purchases a book or not after examining both its title and its blurb. Namely, a blurb functions as a crucial motivator to push potential readers to buy its book. Therefore, a blurb is relevantly related to the other para text of covers, which is a ``title``. While other para texts such as titles, footnotes, prefaces have been profoundly examined in the previous studies under the relevances with its main text, blurbs have not been investigated in the text-linguistical perspective. However, considering these blurbs`` text circumstances, we can easily guess there might exist highly deliberate text producer``s strategy in weaving it.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unique characteristics of blurbs and to explore text producer``s strategy for writing the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dapts travel guidebooks as a main text genre. Since the travel guidebook genre has various different versions dealing with one theme according to its authors and publishers, producing- strategy of blurbs is expected to be even more deliberate and elab orate than any other text genres. In addition, blurbs`` unique characteristics are to be compared with those of ``titles`` so that ultimately strategy of ``jacket-dusts`` may be made explicit.

      • KCI등재

        논문 : 외국인 유학생이 생산한 설득적 텍스트 분석-장르 기반 문법 모델을 바탕으로-

        박나리 ( Na Ree Park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4 한국어 교육 Vol.25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suasive texts produced by foreign students in KAP(Korean as an Academic Purpose) largely in view of genre-based grammar model. Writing persuasive texts are one of the most crucial tasks in language curriculum since its ability is highly needed communicative skills which requires much of train and practice. Nevertheless, in KAP area, persuasive writing has not been mainly discussed, yet. In order to become fundamental research of how to teach writing a persuasive text in KAP, this study analyses persuasive texts produced by foreign students in perspective of genre-based grammar model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educational grammar models in ESP(English as a Second Language). Overall, this analysis finds commonly outstanding phenomenon in foreign students` texts. Educational methods which are suggested on the grounds of this analysis are followings. The hierarchy of meaning structures and its corresponding expressions should be learned, respectively. Rather than connecting words such as “grigo”, “graseo” etc., various kinds of complex expressions are necessary to be educated as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gets higher. Variation of expressions should be learned, as well. Practice which changes speaker-involved tone into non-involved tone in texts are needed, also. Both of definition and quotation should be recognized by a KAP learner as effective ways to clarify the topic of his persuasive text and to intensify validity of his own argument. (University of Seoul).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각주 쓰기 교육방안 연구

        박나리 ( Na Ree Park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3 한국어 교육 Vol.24 No.3

        As KAP(Korean as an Academic Purpose) learners have been highly increasing over the last decade, the significance of effective education for them has been emphasized. Writing an academic thesis has been commonly mentioned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academic tasks by KAP learners. This study specifically analyzes footnote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text genre-based phenomena of the academic thesis which cannot be found in any other text genres. The reason why this study is conducted is that the errors of KAP learners' footnotes are largely misleading and thus cannot function well in the text. On the premise that learner-oriented education is possible only when learners' texts are considered, this study analyzes KAP learners' footnote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regarding literacy errors and tendency of frequency, specific learner-oriented education for writing footnotes are suggested.

      • KCI등재

        목적격 조사 ‘을/를’에 대한 한국어교육적 연구: 비전형적인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박나리 ( Park Na-ree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8 언어와 정보 사회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ous meanings of the Korean object particle eul/reul in perspective of general grammar description which has been regarded as highly effective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due to its compact explanation about each grammatical items and to suggest grammatical syllabus of for eul/reul. This research tries to suggest procedural grammatical syllabus for Korean particle eul/reul that covers not only its typical meaning but its atypical meanings considering frequency, range, conceptual difficulty and usefulness. Suggested syllabus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grammar description for foreign learners and its education. Also, it is expected that several particles having atypical meanings like eul/reul shall be able to get some references from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as well.

      • KCI등재

        사실조건의 ‘-면’에 대한 담화 화용적 연구 -형태 통사적 의미기능과의 유기적 상관성을 중심으로-

        박나리 ( Park Na-ree ) 국어학회 2013 국어학 Vol.68 No.-

        국어의 연결어미 ‘-면’은 불가능한 가정적 사태나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조건적 사태뿐만 아니라 발화시 현재, 실제로 발생하는 사태까지 선행절로 삼을 수 있다(예. 할아버지, 거기 그렇게 서 계시면 위험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면’에 대한 연구는 [가정]과 [비사실조건]의 의미기능이 주로 논의되어 [사실조건]의 ‘-면’에 대해서는 제대로 다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실조건의 ‘-면’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사실조건]이라는 형태 통사적 의미기능이 실제 발화상황에서 어떠한 담화 화용적 특징으로 나타나고 어떠한 화자의 담화 화용 전략으로 이어지는지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사실조건의 ‘-면’이 사용되는 발화상황을 살펴본 결과, 일반적으로 화청자가 발화현장을 공유하는 직시 상황에서의 사실이 선행절로 취해짐을 알 수 있었다. 직시 상황이라는 것은 본질적으로 화청자의 눈앞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맥락으로 삼기에 청자가 그 사실성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부인할 수 없는 사실내용을 근거로 삼음으로써 이로 인해 도출되는 후행절의 사실성과 정보적 가치가 더욱 공고화된다고 보았다. 한편 ‘-면’의 통사적 특징은 인지문법에서 말하는 주의(attention)의 창문화(windowing)로 이해하였다. 곧 ‘-면’을 통해 발화현장에서의 직시 상황 가운데 특정한 한 요소에 주의를 집중시키게 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조건구문과 의미상 유사하다고 기술되었던 구정보의 주제구문뿐만 아니라 신정보의 초점구문과도 구분되는 ‘-면’의 독자적인 특징으로서 ‘구정보의 특정 요소에 대한 초점화’로 이해될 수 있었다. 사실조건의 ‘-면’이 선행절에 대하여 창문화의 기능을 한다면 후행절에 대해서는 공간 형성자(space builder)로 기능한다. 곧 ‘-면’은 기본 공간(base space)인 선행절의 사실내용에 대한 이행점(transitive point)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후행절 내용인 핵심적 투사 공간(projected space)을 형성함으로써 인식 세계의 확장을 가져온다. 한편 ‘-면’ 자체가 갖는 형태적 의미기능인 [추상적 법칙성]은 사실조건의 상황에서 [객관적 일반성]으로 발현되면서 후행절의 내용이 화자 개인의 생각이라기보다는 객관적인 공신력을 가진 것임을 은근히 암시하는 전략적 효과도 파생시킨다. 이처럼 사실조건 ‘-면’이 함의하는 [객관적 일반성]과 실재하는 발화현장적 요소에 대한 창문화 그리고 이를 근거로 귀결된 후행절 내용의 사실성 및 후행절 내용에 대한 강조는 직시적인 발화현장에서 명령이나 요청 등 강한 수행성을 요구하는 화행에 사실조건의 ‘-면’이 자주 사용되는 이유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discourse-pragmatic characteristics of factual conditional ‘-면’ which has not been analyzed in the previous studies yet especially under the relevance to its own morphological-syntactic functional meaning. Factual conditional ‘-면’ has its former phrase of deixis utterance situation. In general, deixis situation can be defined as one shared its information by both a speaker and a listener, so its factuality are admitted by both of them which evokes firm truth condition of ‘-면’. Besides, ‘-면’ functions as windowing which makes the listener pay attention to one of the given deixis situation. The reason why ‘-면’ can play a role of windowing is because it functions as a space builder or a trigger in the utterance which establishes the transitive point and by which can enlarge listener’s mental base into projected space, as it were, the latter phrase of ‘-면’. Furthermore, ‘-면’ which has [+abstract principal] in its own morphological functional meaning implies that the content of latter phrase is induced not by speaker’s own individual subjective opinion but by objective evidence. These series of the grammatical mechanism are dedicated for factual conditional ‘-면’ to be usually used in the utterance situation of the speaker’s strong speech acts such as orders or suggestions towards the listener.

      • KCI등재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 학습자를 위한 학술논문 각주 분석 ­텍스트 기능과 기능별 언어표현을 중심으로-

        박나리 ( Na Ree Park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7

        본 연구는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각주 쓰기 교육방안의 기반연구로서 한국어 모어화자의 학술논문 각주에 나타나는 텍스트 기능을 유형화하고 그 기능에 따른 언어표현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는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술논문 각주에서 문식성의 오류를 심각하게 보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각주 자체가 본격적으로 논의된 연구가 없었던 까닭에, 각주에 대한 구체적인 교수학습방안 마련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자체도 마련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학술논문의 각주는 목표하는 대상(object)에 따라 크게 텍스트에 대한 메타적 언급, 본문 텍스트 내용의 보충, 다른 텍스트의 제시와 언급이라는 기능으로 구분되었다. 텍스트에 대한 메타적 언급의 경우는 다시 대상이 포괄하는 영향권(scope)에 따라 전체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는 메타발화(텍스트 소개, 감사 표현, 텍스트 생산목적 재언급, 연구범위 한정 언급, 주요용어의 의미역 조정 언급, 텍스트 수용자의 비판 선취(先取), 연구한계 인정과 후속 연구 언급), 텍스트의 구성 및 형식을 언급하는 발화(텍스트 구성 언급, 약호나 표시에 대한 설명) 그리고 텍스트 수용자의 이해 맥락 조절과 관련된 메타발화로 다시 하위유형화 되었다. 한편 본문의 텍스트 내용을 보충하는 기능은 각론적인 용어의 개념상술, 각론적인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에 대한 상술, 다양한 예(例)의 나열, 사변적이거나 개인적인 내용 언급의 기능으로 다시 분류될 수 있었으며, 다른 텍스트의 제시와 언급의 경우에는 인용출처 단순 제시, 인용표지를 사용한 간접인용, 현(現) 텍스트 생산자의 기술 안으로의 융합(amalgam)이 직접인용에 비해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각주의 다양한 기능과 언어표현이 기능별로 학문목적 학습자에게 다변화되어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술논문 각주가 학술논문의 의사소통상황의 전반에 걸쳐 기능을 발휘하는 만큼, 학술논문의 내외적 의사소통상황에 대한 자동화된 인식의 훈련이 학습자들에게 필요하다고 보았다. 의사소통상황에 따라 각주를 다르게 변주할 수 있는 유연한 담화화용능력의 훈련도 요구된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henomenon of para-text ``footnote`` in academic theses and to categorize it according to its text functions. In the previous investigations, footnote has been underestimated as only para-text to the main text so its functions have not been researched specifically. However, footnote is one of the prominent text genre-based features of academic thesis and serious footnote errors made by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KAP) in their theses requires us to develop educational treatment of footnotes writing for KAP learners. As a fundamental study for the educational methods for footnotes writing, this study looks through and analyze 30 theses by Korean mother tongue writers in Korean Education academic areas. The conclusion is as followings. Text functions of footnote utterances in academic theses are largely divided into meta utterance as to its text structure and making-up utterance for its main text. The former is categorized as the whole text-scoped utterances(utterance of text introduction, gratitude utterance, re-utterance of text purpose, utterance of its research scope, terminological utterance), utterances as to its text structure(text deixis utterance, indication utterance) and text-receiver oriented utterance(text producer`s self-defence, preoccupation of text receiver`s criticism, in-advanced admittance of criticism, control of text receiver`s understanding context). The latter is dealing with mentioning source of the previous studies, explanation of numbers in the main text, explanation research methods and object, enumeration of many examples, description of writer`s highly individual opinion, specification of term. Whereas words and expressions according to each functions in footnote utterances are highly typical, its patterned items are to suggest in the textbook along with its fun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