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본고장을 벗어난 아시아 쌀에 대한 해석: 박물관 전시에 관한 이야기

        마이클라인슈미트 ( Michael Reinschmidt ) 쌀.삶.문명연구원 2009 쌀삶문명 연구 Vol.3 No.-

        이 논문은 남부 캘리포니아의 한 박물관에서 성대하게 개최된 쌀 전시회를 위해 정보와 자료, 그리고 이야기를 수집하려는 목적으로 한국에서 수행한 쌀 연구에 대해 기술한 것이다. 필자는 왜 UCLA의 파울러 뮤지엄이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장기간에 걸쳐 최초로 아시아의 쌀문명 연구를 수행했는가에 대해 논하고자 했다. 또한 점차 아시아적 관점으로 음식을 생각하고 받아들이기 시작한 서구인의 시각에서 필자가 겪은 쌀에 대한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이와 같은 필자의 관점 변화는 쌀과 함께 했던 한국 내에서, 또 한국을 벗어난 초국가적인 삶의 무대와 그에 따른 이야기를 첨부함으로써 설명된다. 파울러 뮤지엄의 전시회는 아시아의 쌀 문화를 예술적으로 기리는 것처럼 보이도록 기획되었지만 그 전시는 또한 최근 수 십 년에 걸쳐서 이루어진 발전 속에서 서구사회가 옛 사회로부터 발전해온 음식과 단절된 것에 대한 해석을 도와주기도 한다. 연구 결과와 다양한 범주의 자료와 이야기를 통해 전시회는 관람객들에게 음식과 육체적, 정신적, 그리고 영양학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고 가치 있는 일임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다. This article describes rice research in Korea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data, objects, and stories for a rice exhibition in a Southern California museum. I provide insight into why the UCLA Fowler Museum would go through a lengthy process of conducting original research on Asian rice cultures (1998-2003). I discuss my experiences from a Western perspective as someone who gradually immerses into thinking and feeling about food through rice from an Asian perspective. Much commentary on my rite-de-passage is added by settings and stories from Korean domestic and transnational lives with rice. While the Fowler exhibition was designed to appear as an artistic celebration of Asian rice cultures, it also helped to interpret nontransparent disconnects with food that Western societies developed in recent decades. Research findings and a brilliant exhibition including various categories of objects and narratives effectively communicated to visitors that there is meaning and purpose in maintaining a close physical, spiritual, and nutritional relationship with one`s food.

      • 찰벼의 다양한 종류의 공존으로 본 황강 동족의 쌀문화가 지닌 생태적 가치

        최해양 ( Hai Yang Cui ) 쌀.삶.문명연구원 2009 쌀삶문명 연구 Vol.3 No.-

        동족( 族)은 중국 백월(百越)족 계통의 중요 구성원으로서 반세기 이전부터 찹쌀을 주식으로 삼아왔다. 찰벼의 생산량이 적기 때문에 이후 경제 발전 과정 중에``찹쌀을 인디카계 쌀로``, 또는``인디카계 쌀을 잡곡으로``변화시키는 등의 운동을 거쳐, 이 지역의 주민들은 전통적인 찰벼 경작을 포기하도록 압박을 받았다. 이제는 단지 오지의 동족 마을에서만 찰벼 재배의 전통적인 방식이 남아 있는데, 귀주성( 州省) 리핑현(黎平) 슈앙장현( 江) 황강촌( 村)이 그 한 예이다. 황강촌 주민의 전통적 찰벼 재배 방식의 체계적인 조사를 통하여, 그와 유사한 생활 방식이 현지에서 높은 수준의 다품종 쌀 재배 방식을 만들어 냈을 뿐만 아니라, 중요한 생태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점도 발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동족이 지닌 전통 문화의 생태가치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통해,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정립하는 과정에서 그것을 제대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Dong is an important member of Baiyue system, which has been eating glutinous rice in half a century ago. Glutinous rice cultivation due to low output, which in the subsequent course of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the "glutinous rice to indica type rice", "indica type rice to miscellaneous", the residents of these areas were forced to abandon the traditional glutinous rice cultivation. The traditional livelihood of glutinous rice cultivation methods only exist in extremely remote Dong village, Liping County of Guizhou Province Huang Shuangjiang Village Township is an example. After the systematic investigation of glutinous rice cultivation in the traditional way of livelihood of the residents, we found a similar traditional livelihood in the local levels not only higher than the output of the integrated hybrid rice species, but also have important ecological value. Therefore, we need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livelihoods of the ecological value; it will build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land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process.

      • 『임원경제지』의 문명사적 가치

        심경호 ( Kyung Ho Sim ) 쌀.삶.문명연구원 2009 쌀삶문명 연구 Vol.2 No.-

        서유구(徐有)가 엮은『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는 매우 특이한 책이다. 홍만선의『산림경제(山林經濟)』등 한국과 중국의 저서 900여 종을 인용하여 엮은 유서(類書) 형식의 편저이되, 천·지·인의``세계``전체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향촌의 일만을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다른 유서들이 기존의 문헌에서 논평 없이 자료를 취하여 집성하는데 주력한 것과는 달리, 이 책은 서유구 자신이 기왕에 엮은『금화경독기(金華耕讀記)』를 대폭 활용하는 동시에 서유구 자신의 논변을 첨부하여 고증적 특성을 강화하였다. 이 점에서는 유서가 아니라『사고전서』가 말하는 잡고(雜考)의 형식에 가깝다. 게다가 서유구는 이 책에서 농업 경제 정책 및 사대부의 이상적인 농촌생활 양식에 관해 논했으므로, 『임원경제지』는``경세(經世)의 서``라는 본질을 잃지 않으면서 방법상``탐구의학``을 시도한 결정(結晶)이며, 한거(閑居)의 가치를 발견한 취미교양서의 특성도 지닌다. 서유구는 객관 지식을 진리론의 관점에서 축적하기 위해 문헌자료와 경험사실을 집성한 것이 아니라``우리나라를 위한다``는 목적의식에 따라『임원경제지』를 편찬하였다. 따라서『임원경제지』는 변증을 겸한 유서·잡고류 편저들 가운데서도 조선의 문화·문물을 변증한 부류에 속한다. 또한 모든 변증은 현실에 적용될 수 있는 삶의 방식을 모색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그리고 그러한 모색은``비교``의 방법을 수반하였다. 그렇기에『임원경제지』는 일반적인 유서들과 달리 비교문화론의 관점을 갖추고 있다. 『임원경제지』에 나타난 서유구의 사상은 조선후기의 중농주의 계열을 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임원경제지』에서 서유구는 농촌에 거처하는 사대부층의 이상적인 삶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향촌 사회의 구성원 전체가 삶의 조건을 개선하는 방안을 탐색하게 되었다. 그렇기에``향거양지(鄕居養志)``를 위해 검토한 많은 사안들은 향촌의 구성원 대다수에게 공통된 생활조건의 문제를 탐색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Imwon Gyeongjeji edited by Seo, Yugu (徐有) is a fairly unusual kind of book. It followed formally a normal system of other leishus (類書, reference works arranged by categories) which refered to many korean and chinese books like Sanlim Gyeongje (山林經濟) and dealt substancially with not the whole world of tian(天), di(地), ren(人) but with affairs which happened in hyangchon (鄕村, villiage). Moreover, while other leishus simply adopted materials from existing literatures without any personal comments, Imwon Gyeongjeji frequently applied his own writing, Geumhwa Gyeongdokgi (金華耕讀記) adding his own comments as well. In this ponit, it is kin formally not to leishu but to zakao (雜考) when we follow the system of Siku Chuanshu (四庫全書). Also, it is methodologically a fruit of evidential research, which at the same time keeps its character as a book for statecraft in a sense that in this book he commented on policies for agriculture and ideal life pattern of shidaifu (士大夫). Seo, Yugu edited Imwon Gyeongjeji not to accumulate documentary materials or matters experienced, but to do for the good of his own country. On that account, among the books of leishus and zakaos, it can be classified especially as a group which demonstrates the culture and staffs of Joseon dynasty. Also all demonstration was with a purpose of search for methods by which one can apply it to realities of life. That is the reason why we can think of it as having a point of view of the theory of comparative culture. Throught the Seo, Yugu`s thought disclosed in Imwon Gyeongjeji, we may regard him as a physiocrat in late Joseon dynasty. He also, in the course of proposing the ideal life of shidaifu who lived in villages, researched as well a methodology by which the whole members of communities could improve the conditions of their life. We can also say in that point that the examination of mental cultivation in a village life (鄕居養志) extended to the research of life environment which was common to all members of a community.

      • 서구의 근대자의식과 쌀문명

        이정덕 ( Jeong Duk Yi ) 쌀·삶문명연구원 2008 쌀삶문명 연구 Vol.1 No.-

        서구에서 르네상스(15세기)시기에 고대와 구분된 동시대(modern)로 인식되었고, 17세기에 이르러서야 중세가 시대적 용어로 정립되어 중세와 구분되는 동시대(modern)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동시대(modern)가 중세보다 크게 진보했다는 자의식을 반영하여 19세기부터는 동시대(modern)가 개선된 것, 만족스러운 것, 효율적인 것도 의미했다. 18세기말부터 서구 동시대(modern)가 인류 최고의 진보단계이며 따라서 비서구가 이를 따라올 것이며 또는 그렇게 해야 한다는 생각이 일반화되었다. 결국 modern이라는 개념은 서구가 이성, 과학, 합리성, 민주주의, 자본주의을 이룩한 데 반하여 비서구는 열등하고 정체되어 있다는 의식을 내재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근대라는 말 자체가 서구가 도달한 핵심가치로 포장되고, 비서구에는 이것이 없다고 전제하고 있다. 따라서 근대라는 말 자체에 서구가 우월하다는 내용이 이미 내포하여 근대/전근대의 틀 자체가 세계를 서구중심적 시각에서로 보도록 만든다. 하지만 서구는 르네상스 이후 이슬람으로부터 상업, 이성, 과학을 배웠으며 계몽기와 산업혁명 기간에 인도와 중국으로부터 농업기술, 철강기술 등의 다양한 기술을 흡수했으며 또한 중국의 이성, 합리성, 국가체제, 민본주의 등을 배웠다. 따라서 서구가 만들어낸 modern 개념은 서구와 동양이 서로 깊숙하게 상호침투하며 영향을 미쳐온 사실을 반영하지 못한 채 서구를 일방적으로 우월한 것으로 왜곡하고 있다. During the Renaissance in the 15th century, the Western scholars recognized their period as modern because they realized that they were different from the classic period. During the 17th century, the concept of the middle age was established and the modern was used as a separate period from the middle age because they thought that they were more developed than and different from the middle age. After France Revolution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modern also implied more improved and more efficient. From the late 18th century, the Westerners started to believe that the modern Europe was most progressive and other civilizations should follow European steps. This consciousness of modern is the consciousness that the West is progressive but the Rest is stagnated. Reason, science, rationality, democracy and capitalism are the aspects of the ``modern`` West, and other areas should imitate Western values in order to achieve ``the modern``. Since the rest, including China and India, were stagnated because of their inner inertia, they cannot achieve modern by themselves. They needs the Western intervention. Most scholars including Marx and Weber thought that only the intervention by the West can change the inertia of the East. After all, "the modern" is described as Western characteristics and values that China and India didn`t have. This is not true. The Western Europe learned rationality, commerce, science and reason from Islam, especially in Spain and also from the middle east during the Renaissance period and also many technology, reason, rationality and state system from India and China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Western concept of modern conceals the interaction between Europe and the East and creates a pure opposit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is process was described by Edward Said in his book Orientalization. The similar process also happened in the development of the Western self-consciousness of modern in the Western Europe from the 15th century.

      • 국민국가 비판론으로서의 문명론

        와타나베고조 쌀·삶문명연구원 2008 쌀삶문명 연구 Vol.1 No.-

        문화와 문명의 개념차이에 대해서는 니시카와 나가오에 의한 재검토가 이미 행해졌다. 19세기 말 국민국가형성기에 프랑스를 중심으로 세련된``문명``개념은 보편주의적인 외양을 갖춘 내셔널리즘이고 그것에 대항해서 독일에서 세련된``문화``개념은 개별주의적인 내셔널리즘이라고 부를 수 있다. 각각의 담당자는``시민``으로 불리는 국민과``Folk``로 불리는 국민이었다. 이 보고에서는 조금 다른 두 가지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해보고 싶다. 하나는 프랑스 인류학의 모스에서 레비-스토로스에 이르는 문명론의 전개이다. 이 전개과정에서 국민국가의 주체로서``시민``은 어떻게 주제화 되었는가. 나머지 하나는``시민``은 어떤 국가장치를 통해서 국민화 되었는가 하는 문제다.

      • 아시아적 시야에서 본 벼와 쌀

        다나카고지 쌀·삶문명연구원 2008 쌀삶문명 연구 Vol.1 No.-

        동아시아로부터 인도아시아 대륙에 펼쳐진 <아시아 도작권(稻作圈)>은, 벼를 재배하고 쌀을 먹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세계 유수의 인구조밀지역이다. 그리고 각국 문화의 기저가 도작(稻作)과 미식(米食)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전통을 공유한다. 아시아 도작권이 거쳐온 도작기술의 발전과정을 되돌아보면서, 도작이 지니는 현대적 의의를 생태, 환경, 문화의 면에서 검토한다. 또한 경제의 글로벌화 기치아래 식량생산이나 곡물무역과 같은 측면만이 강조되는 속에서도, 도작이나 쌀의 문제를 우리의``생명``과``삶``이라는 시점으로부터 재고해 나가는 일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 근대화 과정에 있어서 우편사업의 창설과 역할 -대만의 사례를 중심으로

        리페이중 쌀·삶문명연구원 2008 쌀삶문명 연구 Vol.1 No.-

        서양열강의 압력에 의해서 막부말 메이지기(幕末明治期)의 일본은 근대국가를 형성할 것인가, 식민지 지배를 받을 것인가 양자택일의 기로에 직면하였다. 서구열강으로부터 뒤쳐짐을 극복하기 위해서 서양의 제도를 본보기로 한 일련의 근대화정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근대화정책을 서양적인``문명화``로 간주할 수 있을까. 이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이 보고는 19세기 이후, 문명화·근대화의 일환인 우편제도, 특히 대만의 우편제도에 초점을 두어, 우편제도가 어떤 사상에 지탱되어 형성되고 만들어졌으며, 어떤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는지를 명확히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인 분석과 고찰방법에 대해서는 첫째, 중국(청국)이 주권국가로서 근대화하는 과정에서, 그``주변부``에 위치한 대만의 우편제도가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분석한다. 둘째, 명치일본이 제국주의국가로서 확대되어가는 과정에서, 점령하의 대만우편제도가 그 후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분석한다. 셋째, 양자를 비교 대조함으로써 청국통치하의 대만우편제도와 식민지배하의 대만우편제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명확히 밝히고자 한다. 이상의 분석과 고찰을 통해서 우편사업에서 보이는``근대화``를 명확히 밝히고 싶다.

      • 쌀과 민족주의 -국경을 넘어서

        한경구 ( Kyung Koo Han ) 쌀·삶문명연구원 2008 쌀삶문명 연구 Vol.1 No.-

        쌀 시장 개방에 대해 쌀의 민족문화적 중요성과 우리의 정체성과의 관련, 우리 쌀의 우수성과 건강상의 문제, 식량 주권 등을 강조하며 쌀 농사를 지켜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어 왔다. 이 글은 이러한 논의와 관련하여 다음 세 가지를 주장하고자 한다. 첫째, 쌀은 한국인의 민족적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는 일본에서와 마찬가지로 근대에 창출된(invented) 것이다. 둘째, 농사, 특히 쌀 농사는 국가적으로 증산을 위한 노력이 집중되면서 자연에 대한 외경이나 생명에 대한 존중 등을 상실하였으며 화학비료와 농약의 대량 사용, 수리시설의 확충, 간척, 기계화 등의 자본 투입을 통해 철저히 계량화, 공업화되었다. 이러한 농업의 왜곡은 새만금 사업이라는 엄청난 모순에서 잘 드러난다. 셋째, 민족주의 담론이나 이미 공업화된 농업을 더 한층 합리화하고 대규모화하는 노력으로는 쌀 수입 개방이나 쌀시장 개방에 대한 대응은 물론 식량안보에도 한계가 있다. 세계화의 물결에 대한 대응은 국가와 민족의 경계를 넘는 세계화된 전지구적 협조가 필요하다. In the face of mounting pressure to open rice market, it has been strongly argued that rice cultivation should be protected at any cost, because rice is not only good for health, food security, and environment, but also closely related with the sense of national identity in Korea. This paper addresses the following three issues. Firstly, rice as an indispensible part of Koreans` sense of identity is a relatively recent idea` it is an instance of invented tradition. Secondly, rice cultivation has been increasingly industrialized. The colonial period and the period of rapid economic growth under Part regime saw the application of modern scientific and engineering methods such as mechanization, extensive irrigation, heavy use of chemical fertilizers and insecticides, reclamation, etc.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reveals the extent to which Korean agriculture lost the sense of being in harmony with or awe of nature. Thirdly, nationalist discourse on rice or increased industrializaiton of agriculture, therefore, cannot become the answer to the challenges faced by Korean farmers. What is needed is the realization of the global nature of the problems and efforts at cooperation beyond the national borders.

      • 땅길과 물길의 근대적 변화와 지역사회

        김종혁 ( Jong Hyuk Kim ) 쌀·삶문명연구원 2008 쌀삶문명 연구 Vol.1 No.-

        전근대 땅길과 물길은 18세기에 상품경제의 발달과 함께 근대적 변화를 단초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20세기 초에 물길은 더 이상 변화를 이어가지 못했고, 땅길에서는 철도가 근대적 변화를 주도하였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에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당연하지만 새롭게 인식해야할 것 같다. 간단히 얘기하면, 이는 새로운 교통수단, 즉 증기기관차의 등장을 의미한다. 이점에서 도로교통에서의 근대적 변화는 포장도로 및 자동차의 보급과 밀접하게 연관될 것이다. 길의 근대적 변화는 교통수단의 변화, 도로 경관의 변화, 도로 기능의 변화, 교통주체의 인식의 변화 등을 초래하였다. 도로망의 변화가 지역구조를 변화시키는 주요 요인임을 인정한다면, 길의 근대성을 추적하는 것은 지역사회와 지역문화, 또는 지역의 근대성에 접근하는 중요한 방편이 될 수 있다. Both landroad and waterway provided the clue on the development at marketplace and the modernizing diversity during the eighteenth-century Korea. However, these role was subsequently transferred the waterway to railroad. So the waterway did not remain in existence during the modern period. We will focus on the use of the fossil fuel. It is the steam engine that figured prominently in new traffic facilities. The modernizing road traffic system was closely connected with both building of paved road and automobile production. The modernizing change of the road led to the diversities of road landscape, the road function, subject`s role and so on. Change of the road network took a key role of primary element in the change of the regional structure. Therefore, the tracing on the modernity of the road was very useful to understand the modernity of the local community and local culture.

      • 고려시대 월령과 국가운영

        한정수 ( Han Jung Soo ) 쌀.삶.문명연구원 2011 쌀삶문명 연구 Vol.4 No.-

        본 연구는 고려시대 월령의 수용 배경과 의미, 그리고 그 내용이 왕조체제에 어떻게 부합되었는가와 국가운영 면에 어떻게 나타났는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고려 건국 초 일어난 재이현상과 그에 대한 해석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그것은 음양론적 천인감응론과 연결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내용은 고려왕조의 음양론적 시간관이 반영된 월령에 대한 이해와 연결되고 있기도 하였다. 천명(天命)을 표방한 고려왕조 운영에 하나의 틀로 적용되었으며, 그로 인한 국가운영의 변화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고려왕조에서는 월령사상을 수용한 후 월령의 틀을 농정 및 형정, 재이의 해석과 대응, 길례의 국가제사 등 국가운영 전반의 큰 기준으로 삼았던 것이다. 다만 그것은『예기』<월령>과 함께 당대에 재편된『당월령』등에 영향을 받은 것이었음이 확인된다. 동시에 이러한 월령의 틀은 시간지배자로서의 왕권을 신비화하면서도 왕도정치의 합리적 명분을 부여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결국 월령은 중세왕조로서의 합리적 국가운영의 기틀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 want to search for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acceptance of monthly order in Goryeo and examine how it coincided with dynasty system and appeared in the administration of state. After the acceptance of the theory of monthly order, Goryeo dynasty made its scheme the important standard of administrating state affairs including agricultural administration, penal administration, the comprehension and correspondence of disaster and abnormality and the auspicious ceremony of state. However, it is certain that it was affected by monthly order of Books of Rites and Ancient Ceremonies(Yegi) and monthly order of Dang China which was reorganized at that time. In monthly order of Dang China, what was for emulating heaven and obeying climate including ancestral ritual, astronomy and climate, administration and moral training was reflected and the authority of the emperor was newly symbolized. In Goryeo dynasty, monthly order made royal power to be magnificent as the ruler of time and grant to it rational cause of kingly way about agriculture and farmers. Eventually, the scheme of monthly order was very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gave the foundation for rational administration of state for medieval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