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매체별 건강정보에 대한 노출과 신뢰도가 건강행위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다이어트 행위에 대한 효과를 중심으로

        이다나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지난 30년 동안 이룩한 고도의 경제 성장과 국민의 생활수준의 향상은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관심을 나날이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신문, 방송, 뉴스, 인터넷 등의 매체를 통한 건강관련 의학 정보의 수요가 증가되었으며,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매스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력도 커지고 있다. 이 연구는 매스미디어에서 제공되는 건강 관련 정보의 수용자들이 자주 이용하는 매체와 매체의 신뢰도 및 실제 건강생활 실천도, 유익성, 필요성 등을 조사, 분석한 것이다. 그 중 여러 가지 성인병을 유발하여 중증 질병으로 분류된 비만과, 치료방법인 다이어트 정보를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전국 20세 이상 인구 2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미디어에서 제공되는 비만과 다이어트 관련정보들을 수용자들은 얼마나 접하며 어떻게 이용하는지 정확히 알고, 이를 토대로 어떤 매체를 자주 접하고 그 매체에 대한 신뢰도가 수용자들의 건강행위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응답자들의 성별 연령별로 다이어트의 관심도에 관한 조사는 대부분 다이어트에 대해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어트의 목적은 대다수가 건강해지기 위해서 다이어트가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매체 중에선 TV와 인터넷을 통해 다이어트 정보를 가장 많이 얻었고, 신뢰도는 TV가 인터넷보다 높았고 유익성도 비슷하였다. 다이어트 정보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는 부분도 비슷하였으며, TV와 인터넷에서 제시하는 건강행위의 실천도 높았다. 신문을 자주 구독하여 다이어트 정보를 많이 얻을수록 수용자들이 느끼는 다이어트 정보의 신뢰도가 높고 유익하다고 느꼈다. 그러나 정보의 필요성은 느끼나 건강실천횟수는 현저히 낮았다. 잡지를 자주 보는 수용자들이 느끼는 정보의 신뢰도가 높고 유익하다고 느꼈다. 잡지에서 제시하는 건강행위는 TV와 인터넷 보단 낮았지만 높은 실천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헬스 커뮤니케이션 분야 중 비만과 관련하여 다이어트에 대해서 미디어와 수용자가 올바른 커뮤니케이션이 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조사를 통해 수용자들은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듯이 정보를 제공하는 입장의 콘텐츠 제작자, 정보 제공자는 수용자의 건강생활에 정보가 직결됨을 명심하여 더 좋은 정보로 수용자들의 욕구충족과 해소에 보탬이 되고자 이 연구를 진행 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수용자들이 잘못된 정보의 습득으로 받았던 피해와 검증되지 않은 채 무분별하게 제공되는 정보로 인해 수용자들이 받은 피해사례 및 잘못된 정보의 검증을 통해 수용자들의 주체적인 의식 함양과 보다 적극적인 이용과 만족을 끌어 낼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find the kind of media used to obtain health information by the users provided by the mass media and to analyse its necessity and advantage as well as how it affects their compliance to the health life. The study deals specifically in the information of the diet which is the treatment method of the obesity which falls into a category of severe disease causing various adult diseases. Internet survey was conducted on population number of 200 people aged over 20 to find out exactly how the information on diet provided by different kinds of media were accessed and used. Also, based on this information, kind of medium commonly used and how its reliance helps the health has been observed. A lot of information came from TV and internet and their reliance and benefit were also similar. Their need was highly recognized and compliance to the performance in health was also high. Also, reading the newspaper often to obtain the information on diet also allowed the population to feel that it is highy reliable but its need and their compliance to the health performance was relatively low. In contrast, the information acquired from megazines were thought to be highly reliable and entertaining with high compliance to the health performance although it was lower than TV or internet.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how well the communication takes place between the population and the media which provides the information on diet from the health communication area. As it is known from the survey that the users have high reliance on media,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dedicate in fulfilling the desire of the users by having the content producers and the information providers who deliver the information to assure that more valuable information is updated in the media as it directly relates to the health life of the users. Based on the study, distributing incorrect and unverified information could result in the users to have the sense of ownership to the information leading to many victims. It is important to take a further step in searching for ways to draw active usage of information derived from various media and give high satisfaction to the users.

      • 국내 언론의 경제위기 보도 특성에 관한 연구 : 조선일보, 한겨레, 매일경제의 금융위기 보도를 중심으로

        이우성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how the press in our ountry, especially newspapers, organized the economic realities related to the financial crisis under the economic crisis from USA, through analysis on their contents. The major contents include the analysis on the news article about the financial crisis, analysis on quotations from news gathering sources appeared in articles, presence of real names from news gathering sources for the direct quotations, analysis on the overemphasis on news gathering sources, presence of economic outlooks, analysis on the tone of arguments for those outlooks, etc. Newspapers for such analyses include Chosun Ilbo as representing the conservative newspaper, The Hankyoreh as having the progressive tendency, and Maeil Business Newspaper as the representative economic newspaper. The analysis on the tone of arguments in articles aimed at identifying whether the dominant tone of arguments is negative or positive. The analysis on contents of headlines and texts in articles aimed at identifying who the behavioral entity dominantly appearing in reporting on the economy in the press is through the analysis on quotations appeared in reports on the financial crisis. The analysis on the presence of real names from news gathering sources for the direct quotation attempted to identify the presence of real names from news gathering sources, patterns of news gathering sources with the mentioned real names, and differences among three newspapers. The analysis on the presence of economic outlooks and the tone of arguments on those outlooks aimed at analyzing the real identity of the financial crisis and identifying the presence of suggestions for the specific visions for the future.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s suggested the theory of reality construction for the press reports above all. This theory is underlying in identifying how the press is organizing the economic reality with regard to the financial crisis. The theory of reality construction is divided into the theory of reality reflection that the press reflects the objective reality of society, as it were, and that the press reports the constructed reality of society rather than the truth, as it were. Second, this essay attempted to identify features for the functions of reports on the economy and the establishment of agenda on the economic reality as it studied the economic news. The gatekeeping theory was also adopt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long with reports on the crisis by the press. Selecting news with the objectivity and fairness through the gatekeeping under the circumstances of crisis is a very important reporting activity. The gatekeeping can be an essential procedure under the circumstances of crisis, considering the fact that negative news might increase under the deteriorated economic circumstances, especially like the economic crisis. Under these intents, seven items of research issues in total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n contents. The period for the analysis was decided for a period from 19 September 2008, when the financial crisis from USA was intensified, to 31 December 2008, when the financial was considerably soothed. 632 pieces of articles in total from three newspap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redominant tone of arguments was overwhelmingly negative in three newspapers. The positive tone of arguments was 36.6% while the negative tone of arguments reached 63.4%. The negative news was more than the positive news in the economic news. It was consistent with the preceding studies that such a tendency is more prominent in the economic crisis. The political features between the conservative newspaper and progressive newspaper could be seen in that Maeil Business Newspaper (65.8%) and Chosun Ilbo (52.5%) showed the relatively lower tone of arguments, while The Hankyoreh showed the highest ratio of 72.2% in the ratio of negative tone of arguments. 44.5% were mentioning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financial crisis while Maeil Business Newspaper showed the highest ratio of 55.5%. The economic newspaper seemed to have been more prominent that the general daily papers in the analytical and in-depth reports. The Hankyoreh showed the highest ratio of 93.3% in the tone of arguments for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financial crisis, which was far greater in the negative tone of arguments that Maeil Business Newspaper (74.5%) and Chosun Ilbo (70.8%). As the frequency to use the real names of news gathering sources in their headlines goes over 90% for all the three newspapers, it stands for their efforts to maintain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articles for newspapers. The frequency to mention the real names of news gathering sources went over 80% even in the text, and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among three newspapers. As this paper, however, restricted analyses on newspapers to Chosun Ilbo, The Hankyoreh and Maeil Business Newspape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se findings as the overall patterns of reports by the Korean press. It is also regretable to fail to deal with reports by the press over the Internet regarding the financial crisis, in that the issues on the financial crisis and foreign exchange crisis were passionately argued as shown from the circumstances like Minerva. In addition, analyses on the news reports on the financial crisis by the broadcasting companies can be an important genre in that the candle protest started from the television broadcasting last year. 본 연구는 미국발 경제위기하에서 국내언론, 특히 신문의 금융위기와 관련된 경제적 현실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 내용은 금융위기에 관한 신문기사의 논조분석, 기사에 나타난 취재원의 인용구 분석, 직접인용구의 취재원 실명여부 및 취재원 편중여부 분석, 경제전망 여부 및 전망의 논조 분석 등이다. 분석 대상 신문은 대표적 보수신문으로 일컬어지는 조선일보, 진보적 성향을 띠고 있는 한겨레신문, 그리고 경제지의 대표격인 매일경제신문으로 정했다. 기사의 논조분석은 지배적인 논조가 부정적이냐, 긍정적이냐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기사의 헤드라인과 본문의 내용분석에서는 금융위기 보도에 나타난 인용구 분석을 통해 언론의 경제보도에서 지배적으로 등장하는 행위체가 누구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직접 인용구의 취재원 실명여부 분석에서는 취재원의 실명 언급여부, 실명언급 취재원의 유형, 그리고 세 신문간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경제전망 여부 및 전망의 논조 분석은 신문이 금융위기에 대한 실체를 분석하고 구체적으로 미래의 비전을 제시했느냐의 여부를 살피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배경은 먼저 언론보도의 현실구성이론을 제시했다. 금융위기와 관련, 언론이 경제적 현실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는데는 이 이론이 뒷받침되고 있다. 언론보도의 현실구성이론은 언론이 객관적인 사회현실을 그대로 반영해준다는 현실반영이론과 언론보도가 진실을 그대로 보도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된 사회현실을 보도한다는 입장으로 나뉘고 있다. 두 번째로 이 논문에서 경제뉴스를 연구했기 때문에 경제보도의 기능과 경제현실의 의제설정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았다. 언론의 위기관련 보도와 게이트키핑 이론도 이론적 배경으로 택했다. 위기상황에서 게이트키핑을 통한 객관성, 공정성을 갖춘 뉴스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보도활동이며 특히 경제위기와 같이 경제상황이 악화되면 부정적 뉴스가 늘어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위기상황에서 게이트키핑은 필수불가결한 절차라고 하겠다. 이같은 취지하에서 모두 7개 문항의 연구문제를 선택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했으며 분석대상 기간은 미국발 금융위기가 심화된 2008년 9월16일부터 금융위기가 상당히 진정된 그해 12월31일까지로 정했다. 3개 신문에서 모두 632건의 기사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했으며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세 신문의 지배적인 논조는 부정적 논조가 압도적이었다. 긍정적인 논조는 36.6%였던 반면에 부정적 논조는 63.4%에 달했다. 경제뉴스는 부정적인 뉴스가 긍정적인 뉴스보다 더 많고, 이같은 경향은 경제위기시 더 두드러진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했다. 신문별 부정적 논조의 비율은 한겨레신문이 72.2%로 가장 높았으며 매일경제(65.8%), 조선일보(52.5%)는 상대적으로 부정적 논조가 적었다는 점에서 보수신문과 진보신문의 정파적 특성을 찾을 수 있었다. 금융위기의 전개방향에 대해서는 44.5%가 언급하고 있었으며 매일경제가 55.5%로 가장 높았다. 경제신문이 분석적.심층적 보도측면에서 종합일간신문보다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기의 전개방향에 대한 논조에서는 한겨레신문이 93.3%로 가장 높았으며 매일경제(74.5%), 조선일보(70.8%)에 비해 부정적 논조가 크게 우세했다. 헤드라인에 실명취재원을 활용하는 빈도가 세 신문 공히 90%를 넘어섬에 따라 신문들이 기사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반증했다. 본문에서도 실명취재원을 언급한 경우가 80%를 넘어섰으며 세 신문이 큰 격차를 보이지 않았다.

      • 텔레비전 연예정보프로그램의 특성과 의미구성연구 : 지상파 3사 연예정보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수연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한류의 뜨거운 바람이 전 세계에 불고 있다. 한국에서 제작된 콘텐츠 영화, 드라마, 음악 등이 아시아를 넘어 미국과 남미까지 해외로 수출되면서 한국은 문화와 콘텐츠에 등장하는 연예인들도 전 세계인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이와 관련된 문화와 연예 산업은 과거 '저급한 문화란 인식'에서 지금은'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산업은 콘텐츠의 경쟁력으로 드러날 뿐 아니라 출연하는 스타와 연예계 종사들에게도 관심이 드높아지고 있다. 특히 스타라 불리는 연예인들은 인기와 고소득을 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선망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또 유행의 선도자가 되고 있다. 이들에 대한 관심은 어린이부터 중장년층까지 확대되면서 기존에 연예정보의 시초였던 스포츠신문, 텔레비전 연예정보프로그램과 새로운 미디어 매체인 케이블 텔레비전, 위성방송, 인터넷까지 연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활발한 취재 경쟁을 벌이고 있다. 따라서 조금 더 빠른, 많은 고급 연예 정보의 확보를 위해 매체 간의 정보, 취재경쟁은 과열화 양상까지 띠고 있다. 이들은 대중의 시선을 끌기 위해 인기인에 대한 과잉보도, 선정적인 제목달기, 기사 부풀리기 등 더욱 쉽게 조회 수를 올릴 수 있도록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매체의 발달로 연일 비슷한 장면과 내용이 다른 채널, 같은 성격의 방송프로그램에서 동일하게 중계되고 있고, 전날 봤던 포털의 연예뉴스가 다음날 연예정보프로그램에서 방송 되는 일이 빈번해지고 있는 것이다. 이밖에도 몇몇 유명 연예인들에 대한 연예정보프로그램의 편중화도 심각하다는 평가다. 이러한 경쟁 속에서 연예정보를 소비시키기 위해 조금 더 선정적인 제목이나 내용을 포함시키거나 스폰을 받은 상업적 요소가 증가하면서 연예정보를 다루는 모든 매체들은 선정성과 상업성에 대한 질타를 받아왔다. 그중 공공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존재해야하는 텔레비전의 경우 또한 이러한 과열된 연예시장경쟁에서 빠지지 않고 있다. 텔레비전은 선정성과 상업성이 바탕이 될 경우 부정적인 영향은 다른 매체보다 더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데, 현재 방송되는 지상파 연예정보 프로그램의 의도와 본질은 형태와 내용의 불균형으로 공공성과는 멀어져 그 존재의 의미가 퇴색되어가고 있다고 비판받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그렇다면 우리가 비판하고 있는 지상파 3사의 연예정보 프로그램은 실제로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예정보 프로그램이 실제로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 밝히는데 주목하였다. 따라서 다매체 시대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텔레비전이 연예 정보 프로그램의 특성과 의미를 지상파 3사의 프로그램을 구성과 포맷, 출연자(진행자, 리포터), 의제와 내용 분석을 통해 찾아보려 한다. 또한 연예정보 프로그램 지상파 3사의 공통점을 밝혀 연예정보 프로그램이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고, 차이점을 밝혀 각방송사 마다 어떠한 경쟁력을 갖기 위해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어떤 것인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연예정보프로그램의 과열화 현상에 따라 변화된 연예저널리즘 문제점과 보완점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지상파 텔레비전 연예정보 프로그램에서 연예정보의 공공성이나 저널리즘적인 접근보다는 선정성과 상업성이 크게 드러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전반적인 진행 양식 또한 우리가 흔히 보는 뉴스의 보도 양식을 차용하고 있는데, 이는 시청자들을 마치 연예정보를 뉴스인 것처럼 인식하게 하고 있다. 이것은 단순하게 시청자들에게는 뉴스의 개념으로 소구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연예계와 언론사간의 연계된 광고시장, PR의 통로로 활용되고 있는 것을 본 논문은 밝히고 있다. In the past, the entertainment industry was once discounted as 'rather a cheap culture' but nowadays, it is being considered as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high-quality entertainment information much quicker, the broadcast media's competition in coverage for news and information has been overheating. Due to imbalance between structure and contents, the original purpose and essence of entertainment information programs being aired on terrestrial television has failed and been criticized as it loses the meaning of its existence.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to focus on finding out characteristic natures of entertainment information program and how its structure is meaningful.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format and structures', 'the role in MC and reporters' and 'the agenda and contents' of entertainment information programs on SBS, MBC and KBS, how are they similar and different? As research method, entertainment information programs of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 Munhwa Broadcasting Company (MBC), Seoul Broadcasting System (SBS) were selected respectively. Analysis period was set from March 18th to Apr 23th as total of 6 weeks. 18 entertainment information programs of these 3 broadcasting stations aired during this period were set as a universe and 299 items (SBS 78, MBC 116, KBS 105) were analyzed. Research result clearly shows that entertainment information programs on terrestrial televisions focuses more on sexually suggestive and commercial viability rather than its publicity or journalistic approach. In its overall format, it is adopting a format of news reporting and this makes audience recognize entertainment information as if it is a real news. Simply, entertainment information is seemed to be accepted as news to audience. This study, however, makes clear that it is being used as an advertising market or PR tool between entertainment business and the press

      • 의료기사 속 사진이미지가 공신력 평가와 수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진에 나타나는 정보원 공신력과 위협소구 효과를 중심으로

        김진범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ire health consciousness of the people by analyzing what effects image characteristics of photos and source credibility have on evaluation on medical institutions of an individual who see photo images in medical articles of newspapers and marketing PR practitioners of medical institutions deliver health information to the public more efficiently.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the presence of photos, four kinds of press release types was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on medical articles provided by medical institutions after seeing articles, treatment expertise of medical institutions, preference for medical institutions as dependent variables and previous medical knowledge level as moderating variables in this study. The research hypotheses and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photos,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ree kinds of dependent variables, information satisfaction on health information provided by medical institutions, treatment expertise of medical institutions, preference for medical institutions. Second,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ree kinds of dependent variables, information satisfaction on medical articles provided by medical institutions according to four kinds of press release types, treatment expertise of medical institutions, preference for medical institutions. Third,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ree kinds of dependent variables, preference for medical institutions, treatment expertise of medical institutions, information satisfaction on medical articles provided by medical institutions by three kinds of photo types according to previous medical knowledge level in medical articles providing heart disease information. To verify the above hypotheses and research issues, the random online experimental survey was conducted by dividing 232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aged over 25-year-old to less than 60-year-old into 4 groups according to press release types. For survey questions, 10-point Likert scale was used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integrating factors through selective reliability analysis between item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the group that read press release with photos highly evaluated all items, information satisfaction on information provided by medical institutions, treatment expertise of medical institutions, preference for medical institutions etc. Second, evaluation on a hospital according to press release types appeared not significant. Third, people who have high previous health knowledge highly evaluated all items, information satisfaction on information provided by medical institutions, treatment expertise of medical institutions, preference for medical institutions etc. in the photos of <source expertise>, <source trustworthiness> compared to those who have low previous health knowledge.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have low previous health knowledge highly evaluated only information satisfaction on information provided by medical institutions, treatment expertise of medical institutions in the photos of <fear appeal> compared to those who have high previous health knowledge. These results showed that an individual receiving medical information by mass media is more affected by press release with photos than press release without photos and people who have high previous health knowledge are greatly influenced by photos of source credibility that is, <source expertise> and <source trustworthiness> and those who have low previous health knowledge by photos of <fear appeal>. This provides implications on in which direction PR practitioners of medical institutions should provide health information to the public. 본 연구의 목적은 신문의 의료기사 속 사진 이미지를 접한 개인이 의료기관에 대한 평가에서 정보원 공신력 및 위협소구 효과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보자 한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 홍보 실무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대중에게 건강 정보를 전달하도록 유도하고 국민들의 건강 의식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진의 유무, 4가지 보도자료 유형을 독립변수로, 기사를 본 후 의료기관이 제공한 의료기사에 대한 정보 만족도, 의료기관의 치료 전문성, 의료기관에 대한 호감도를 종속변수로, 그리고 사전 건강신념 수준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연구 가설 및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진 유무에 따라 의료기관이 제공한 건강 정보에 대한 정보 만족도, 의료기관의 치료 전문성, 의료기관에 대한 호감도 등 3가지 종속변인 각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4가지 보도자료 유형에 따른 개인의 의료기관이 제공한 의료기사에 대한 정보 만족도, 의료기관의 치료 전문성, 의료기관에 대한 호감도 등 3가지 종속변인 각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심장질환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기사에서 사전 건강신념 수준에 따라 3가지 사진 유형별로 의료기관이 제공한 의료기사에 대한 정보 만족도, 의료기관의 치료 전문성, 의료기관에 대한 호감도 등 3가지 종속변인 각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위의 연구 가설 및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인 25세 이상 60세 미만 성인 남녀 232명으로 58명씩 총 4개의 보도자료 유형에 따라 그룹을 나눠 무작위 온라인 실험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10점 리커트(Likert)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항목 간 선별적으로 신뢰도 분석을 통해 요인을 통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진을 제시한 보도자료를 접한 군이 의료기관이 제공한 정보에 대한 정보 만족도, 의료기관의 치료 전문성, 의료기관에 대한 호감도 등 모든 항목에 대해 높은 평가를 하였다. 둘째, 보도자료 유형에 따른 의료기관에 대한 평가는 유의미 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사전 건강신념 수준이 높은 사람은 <정보원 전문성>, <정보원 신뢰성>의 사진에서 의료기관이 제공한 정보에 대한 정보 만족도, 의료기관의 치료 전문성, 의료기관에 대한 호감도 등 모든 항목에서 사전 건강신념 수준이 낮은 사람에 비해 높은 평가를 내렸다. 반면 사전 건강신념 수준이 낮은 사람은 <위협소구>의 사진에서 의료기관이 제공한 정보에 대한 정보 만족도, 의료기관의 치료 전문성에 대해서만 사전 건강신념 수준이 높은 사람에 비해 높은 평가를 내렸다. 이상의 결과는 의료정보를 대중 매체에 의존하여 제공받는 개인은 사진이 없는 보도자료보다 사진이 제시된 보도자료에 영향을 받으며 사전 건강신념 수준이 높은 개인은 정보원 공신력(source credibility) 즉, <정보원 전문성(expertise)>과 <정보원 신뢰성(trustworthiness)>에 대한 사진에서, 사전 건강신념 수준이 낮은 개인은 <위협소구(fear appeal)>의 사진에서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료기관 홍보 실무자들이 어떤 방향으로 일반인에게 건강 정보를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 커뮤니케이션 매체 유용성과 이용이 의료소비자 지식과 대학병원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송낙중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dical consumers' perceived level and usefulness of communication media, and to verify the effect of communication media on consumer's knowledge and preference for university hospital depending on their actual use of media.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 based on 469 medical consumers over 30, beginning April 4th, 2011 for two weeks. 10-point Likert type scale was used for each question on the survey.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a pretest was conducted before the distribution of the final questionnaire to the participants. Following are the results. <RQ1> The first research question deals with medical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and usage pattern of media.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medical consumers with higher income level, lower education level and in older aged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mass media utilization. It showed that for those of higher income level, the usefulness of the hospital information acquired by internet was significantly influential. It was also found that the use of social media was meaningful in terms of hospital information usefulness among medical consumers in older age group. In addition, the usefulness of the hospital information acquired via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highly educated male consumer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usage pattern of the communication media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at consumers with lower education level and higher income level acquire hospital information by mass media. Also when achieving the hospital information by internet or social media, the result showed that the usefulness of the media is more influential to those with higher income level and the majority of male consumers with higher education obtain hospital information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RQ2>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dentified the relationship of the consumers' knowledge about university hospital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ny signigicant differences on knowledge of university hospital by gender, age, education and income level.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consumers with higher income level and in older age group were more knowledged about university hospitals. <H1> The first hypothesi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ume of medical consumers' knowledge and their perceived level of communication channel utilization. Results indicated that usefulness of information acquired by interne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we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 knowledge compared to other channels. <H2> The second hypothesi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media usage pattern and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university hospital. Findings revealed that acquiring information via Internet and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would affect medical consumers’ knowledge significantly. <RQ3> The third hypothesis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preference for university hospital and medical consu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and income levels. According to the findings, less educated females showed higher level of preference for university hospital. However, this finding has limitation due to its trivial effect. <H3> The final hypothesi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consumer knowledge and preference for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re highly educated medical consumers showed stronger preference for university hospital. In other words, as consumers have higher level of medical and hospital knowledge, they showed higher level of preference for university hospital. This study evokes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selection of strategic communication channel delivering hospital information and medical knowledge to medical consumers. Moreover,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consumer's knowledge and preference for hospitals, this study reveals that medical information w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enhance preference for university hospital.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소비자들의 인지된 커뮤니케이션 매체 유용성과 매체 이용 행태를 파악하고 매체 이용에 따른 의료소비자 지식과, 대학병원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1년 4월 4일부터 14일간 대학병원 이용경험이 있는 30대 이상 의료소비자 4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각 문항별로 10점 리커트(Likert)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 문항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조사를 실시 한 후 최종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절차를 거쳐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서는 인구통계학적인 측면에서 의료소비자들이 인지하는 매체 유용성과 매체 이용 행태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연령과 소득이 높고 학력이 낮을수록 4대 매체의 유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인터넷 매체를 통한 병원 정보의 유용성은 소득이 높을수록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병원정보의 유용성은 연령이 높을수록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대인관계를 통한 병원 정보의 유용성은 학력이 높을수록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커뮤니케이션 매체 이용 행태와 인구통계학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력이 낮고 소득이 높을수록 4대 매체를 이용해 병원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 인터넷 매체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해 병원 정보를 얻는 경우도 소득이 높을수록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남성이면서 학력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를 통해 병원 정보를 얻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문제 2>에서는 의료소비자들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라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대학병원 지식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즉 성별, 나이, 학력, 수입에 따라 대학병원 지식에 어떠한 유의미한 특성이 있는지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연령이 높고 소득이 많을수록 대학병원에 대한 지식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가설 1>에서는 인지된 커뮤니케이션 매체 유용성에 따른 의료소비자 지식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일반 인터넷 채널의 정보 유용성과 대인관계 채널 유용성이 소비자 지식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가설 2>에서는 매체 이용 행태에 따른 의료소비자의 대학병원 지식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일반 인터넷을 이용해 병원 정보를 얻는 경우와 대인관계 채널을 이용해 병원 정보를 얻는 경우 의료소비자의 지식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문제 3>에서는 의료소비자들의 성별, 나이, 학력, 수입에 따른 대학병원 호감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분석한 결과 여성이면서 학력이 낮을수록 대학병원 호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미미한 영향력을 보여 충분한 설명력을 지니기에는 부족했다. 마지막으로 <연구가설 3>에서는 의료 소비자 지식과 대학병원 호감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분석한 결과 의료소비자 지식이 높을수록 대학병원 호감도에 강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즉 병원&#8228;의료 지식이 많은 소비자는 대학병원에 대한 호감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 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병원정보와 의료정보를 효율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전략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선택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동시에 의료소비자 지식과 병원 호감도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의료소비자들에게 의료 및 병원 정보를 제공해 소비자의 의료지식을 높이는 것이 대학병원 호감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밝히는 계기가 되었다.

      •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언론 프레임경향 연구 : 신문사와 방송사에 나타난 프레임경향 분석 중심으로

        김 선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플라스틱 오염(Plastic Pollution)에 대한 신문사들의 중앙일간지와 방송국의 지상파 방송에 나타난 언론 프레임 경향에 관한 연구이다. 플라스틱 오염은 최근 지구촌의 생태계를 위협하는 아주 심각한 환경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산더미처럼 쌓여가는 쓰레기 산들과 바다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는 해양 플라스틱 오염문제, 그리고 이제는 우리의 생활 속으로 파고드는 미세플라스틱(Micro Plastic) 문제가 신문 및 TV 등 여러 언론 매체를 통해 집중적으로 다루어지면서 이제는 플라스틱 오염문제가 사회적, 경제적 영역을 초월하여 세계인의 건강영역까지 영향을 주는 모든 국가들이 힘을 합하여 함께 풀어나가야 할 21세기의 가장 큰 숙제 중 하나로 등장하게 되었다. 한편, 현대사회에서 환경문제를 다루는 언론보도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언론의 보도 형태에 따라 플라스틱오염이 사회의 큰 이슈가 되기도 하고, 환경오염의 수용자인 대중이 받아들이는 심각성과 인식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국가의 환경정책 수립과 수행에 직․간접적으로 관여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언론보도 프레임이 구성되는 방식에 따라 뉴스에 대한 개인의 해석과 영향이 달라지고(이준웅, 2005), 여론의 방향성이 특정한 방향으로 형성될 여지가 많으므로 환경문제를 다루는 언론보도의 프레임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라스틱 환경오염에 대해 그동안 언론사가 어떤 프레임을 통해 대중에게 보도를 해 왔는지를 조사하고, 그간 문제 해결을 위해 언론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 왔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과거 약 20여 년간(2000.1.~2019.10.) 플라스틱 오염에 관련된 언론보도 유형을 의미연결망 분석기법을 통해 프레임 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시기는 플라스틱 환경오염이 언론에 조금씩 등장하기 시작한 2000년도를 기점으로 5년 주기로 하여 총 4시기로 구분하였으며, 각 분석시기별 언론보도 프레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5년 주기로 설정한 이유는 자원순환기본법에 의해 국가 폐기물정책 시행계획이 5년 주기로 수립되고 있으므로 폐기물정책 시행에 따라 사회적 현상과 그에 따른 언론보도의 내용이 변화되었을 것으로 판단되어 분석기간을 5년 단위로 설정하였다. 또한 최소한 5년 단위로 분석해야 좀 더 뚜렷한 프레임의 변화를 시기별로 감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분석기간을 5년 단위로 설정한 이유도 있다. 연구방법의 첫 번째 단계로 우선 지난 20여 년간 플라스틱 오염에 관한 54개의 신문사와 방송사들의 언론보도 자료들의 수집 및 정제작업을 거친 후 동시출현 빈도수를 기준으로 주요단어들을 추출하여 매트릭스를 생성하였다. 다음 단계로 의미연결망 기법을 통해 관련된 단어들이 시기별로 어떻게 연결되어 의미구조를 구성하였는지 분석하였으며, 또한 하위 군집분석을 통해 시기별로 주요단어들로 형성된 주제를 분류하여 프레임유형들을 파악한 후, 4시기를 통해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 언론 프레임의 총괄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처음에는 우선 플라스틱오염에 관해 보도를 할 만한 주요 신문사들만 선정하였으나, 주제에 관한 보도 횟수가 연구목적을 위한 빅데이터를 형성하기에는 너무 적어 언론사 리스트를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지방 신문사들뿐만 아니라 그 외에도 잘 알려진 방송국들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언론사들은 총 54개였다. 49개 신문사들은 경향신문, 국민일보, 내일신문, 동아일보, 문화일보, 서울신문, 세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경남신문, 경인일보, 매일신문, 국제신문, 중부일보, 부산일보, 전남일보, 매일경제, 중부매일, 헤럴드경제, 머니투데이, 한국경제, 아주경제, 광주매일신문, 광주일보, 강원도민일보, 강원일보, 아시아경제, 울산매일, 경기일보, 서울경제, 디지털타임스, 파이낸셜뉴스, 충청일보, 중도일보, 충청투데이, 전북일보, 영남일보, 한라일보, 제민일보, 전남도민일보, 무등일보, 전자신문, 경남도민일보, 경상일보, 광주일보, 그 외 대구일보였으며, 5개 방송국들은 KBS, MBC, OBS, SBS, 그리고 YTN 이었다. 본 연구에 도입된 프레임유형들은 Iyengar(1991)과 Semetko와 Valkenburg(2000), 그리고 황애리와 나은영(2017)의 연구결과로 제시되었던 다양한 프레임유형들과 그 외 Carnegie, Polya, 최상복, 김진학, 이민규 등 다양한‘단계적 문제해결 기법’들을 기반으로 설정한 잠재적 가상 프레임 유형들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새로 분류하여 재구성한 프레임유형들이다, 이렇게 재구성된 프레임들은 먼저 크게 형식적 프레임과 내용적 프레임으로 나뉘고, 형식프레임은 또 다시 일화적 프레임과 주제적 프레임으로 나뉘었다. 그리고 내용프레임은 4개의 상위 프레임들과 14개의 하위 프레임들로 분류되었다: 좀 더 자세히, (1)‘문제제기 및 상황파악’프레임 (‘단순정보제공’프레임, ‘갈등’프레임, ‘인간흥미’프레임, ‘경제결과’프레임, ‘건강피해’프레임, ‘위기’프레임), (2)‘주요문제설정’프레임 (‘문제이해’프레임, ‘원인 귀인’프레임), (3)‘해결책 구상 및 대책수립’ 프레임 (‘해결방안모색’프레임, ‘대응—개인적 대처/예방’프레임, ‘대응—법적, 제도적, 정책적 대처/예방’프레임, 그리고 (4)‘대책실천과 결과분석 및 조정’ 프레임 (‘해결방안 및 규제시행’프레임, ‘결과발표 및 검토’프레임, ‘평가 및 시정’프레임)이다(참고 <표 2>).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기간인 지난 20년 동안 연구된 언론사들이 플라스틱오염이라는 주제에 사용한 보도 프레임들은 거의 대부분 형식적인 면에서는 일화적 프레임보다 주제적 프레임을 사용한 것으로 들어났으며, 내용적인 면에서는 위 4가지 상위 프레임들 (문제제기 및 상황파악 프레임, 주요문제설정 프레임, 해결책 구상 및 대책수립 프레임, 대책실천과 결과분석 및 조정 프레임)이 시기와 큰 상관없이 대체로 모든 시기에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오염이라는 주제가 주요 토픽으로 보도되기 시작한 1시기에는 내용적 프레임의 첫 번째 프레임인 ‘문제제기 및 상황파악’ 프레임이 집중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4가지 상위 프레임들이 모두 1,2,3,4시기에 지속하여 나타났다. 이렇게 문제제기 및 상황파악 프레임이 지속적으로 매 시기마다 사용된 이유는 언론이 플라스틱오염에 대해 점차적으로 더 깊게 알게 되면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이슈들을 발견한 점도 있지만, 실지 과거에 없었던 새로운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보도 자료들을 통해 등장하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000년 이후 쓰레기 분리수거 문제 외에 해양에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가 점점 강도 깊게 다루어지다가, 최근에 와서 쓰레기 수입을 금지하는 중국, 태국, 필리핀 등의 잇따른 정부정책 발표이후 쓰레기를 더 이상 중국이나 인근국가들로 수출할 수 없어 한국에 쌓이는 쓰레기더미로 인한 문제, 그리고 최근에는 미세플라스틱 조각들이 일상생활 먹거리(생선 스시, 바다 소금, 생수 등)속에서 발견되고 있다는 정보들이 나타나면서 언론보도 프레임은 문제해결단계의 첫 번째 프레임을 벗어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새로운 문제들을 제시하는 프레임사용이 일상화되고 있는 상태로 나타났다. 또한 ‘주요문제설정’ 프레임과 ‘해결책 구상 및 대책수립’ 프레임, 그리고 ‘대책실천과 결과분석 및 조정’ 프레임 모두 1,2,3,4 시기에 함께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플라스틱오염이라는 이슈가 단순한 일화적인 이슈가 아니라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인 주제이며, 내용상으로도 시기에 따라 새로운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등장하면서 관련된 모든 문제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모든 단계적 프레임들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보도 상황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좀 더 세부적으로 각 시기를 살펴보면, 위 4가지 상위 프레임들 중 한 두 개의 프레임들이 각 시기별로 더 강하게 집중적으로 나타났음을 군집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시기별로 14개의 하위프레임들의 출현빈도수를 살펴보면서 각 시기마다 세부적으로 차별화된 프레임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주요문제설정 프레임도 문제제기 및 상황파악 프레임처럼 역시 모든 시기에 나타났으나 2기부터 점점 강화되어 3시기 와 4시기에 점점 강한 영향력 있는 군집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해결책 구상 및 대책수립 프레임과 대책실천과 결과분석 및 조정 프레임의 절정기는 3시기와 4시기로 나타났다. 플라스틱 오염 관련 언론보도 프레임을 시기별(5년 주기)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1시기(2000년~2005년) 제1시기의 언론보도는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제기하고 상황을 파악을 하는 종류의 기사가 주류를 이루었는데, 이는 아직 플라스틱 오염을 심각한 수준으로 다루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시기에는 ‘환경호르몬’과 ‘플라스틱’ 단어 출현 빈도가 가장 상위에 랭크되었고, 의미연결망 분석에서 ‘환경호르몬’이 출현빈도수가 가장 많아 가장 큰 원형 노드를 형성하였다. 의미연결망 군집 분석결과 “환경호르몬’이라는 단어를 중심으로 형성된 군집만이 가장 크고 뚜렷한 군집으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호르몬은 플라스틱이나 비닐의 원료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일종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랩이나 사발면 등의 1회용 용기에 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제품에 열이 가해질 때 용출되는 특성으로 인해 분석과학자들에 의해 이 시점부터 새로운 인체 유해 물질로 제기되었다. 상대적으로 출연빈도가 적지만 이때부터 ‘바다’ 단어가 등장함으로써 향후에는 해양오염 문제로 옮겨갈 수 있음을 언급하는 정도의 언론보도가 있었다. 1시기는 문제제기 및 상황파악 프레임이 주도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하위 프레임으로는 단순정보제공 프레임과 건당피해 프레임 그리고 위기프레임이 주로 사용되었다. 뚜렷하지는 않으나 두 번째로 형성되려는 군집은 주요문제설정 프레임이었으며 이와 함께 출현된 하위 프레임은 문제이해 프레임과 원인귀인 프레임이었다. 2. 제2시기(2005년~2010년) 1시기에는 플라스틱 문제를 노출하는 기사들이 많았다면 2시기에는 문제를 더 이해하고 원인을 분석하는 언론 보도들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출현 빈도수 상위 1, 2위 단어는 ‘플라스틱’과 ‘쓰레기’로 나타났고, 이 시기에는 플라스틱 오염문제의 제시 수준을 넘어 어떤 문제점들이 실제로 발생하는지를 좀 더 세밀한 보도 경향을 나타냈다. 즉, 분리수거나 플라스틱 재활용 등의 단어들이 더 많이 등장하면서 제품생산과 포장단계에서 플라스틱의 과다 사용 문제, 어떻게 해야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일 수 있을까 등의 의제설정의 수가 증가경향을 나타냈다.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에서도 연결정도 중심값 상위 1위 2위인 ‘플라스틱’, ‘쓰레기’라는 단어 다음 순위로 조각, 거북이, 바다, 연안, 물고기 등의 단어 중심성 값이 증가되었다. 특징적인 것은 바다, 오염, 해양이라는 단어가 비교적 상위 랭크를 차지하면서 해양쓰레기 및 하천의 오염문제를 제시하는 의제설정이 등장하는 시기였다. 군집분석 결과에 의하면 가장 큰 군집이 문제제기 및 상황파악 프레임으로 나타났고, 두 번째로는 대책실천과 결과분석 및 조정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는 늘어나는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이미 실행되고 있는 분리수거와 같은 정부의 규제시행과 이에 대한 결과를 보도하는 프레임의 유형이 늘어나고 있었음을 뜻한다. 그러난 아직도 단어들의 중심성을 살펴볼 때 보도내용들이 1시기와 유사하게 문제제기 및 상황파악 프레임 그리고 하위프레임으로는 단순정보제공프레임과 경제결과프레임 그리고 건강피해프레임과 위기프레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시기였다. 3. 제3시기(2011년~2015년) 제3시기에는 ‘문제 제기 및 상황파악’ 프레임에 해당되는 단어(플라스틱, 바다, 쓰레기, 미세플라스틱 등)들이 여전히 앞선 시기와 마찬가지로 공통적으로 최상위로 등장하였고, ‘주요문제설정’과 관련된 단어(폐플라스틱, 미세플라스틱, 해양, 바다)들과 ‘해결책 구상 및 대책수립’과 관련된 단어들(수거 등), 그리고 ‘대책실천과 결과분석 및 조정’과 관련된 단어들(사실 등)이 동시에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주목할 만 것은 제1, 2시기에는 한국, 중국, 일본 등의 동남아 국가 위주의 단어가 등장했지만, 제3시기부터는 영국, 미국 등의 나라가 등장하면서 폐플라스틱에 의한 해양 오염이 한 지역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고, 지역을 뛰어넘어 해양과 대기를 통해 아메리카와 유럽대륙까지 연결되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 발전되고 있음을 알리는 언론보도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시기였다. 이러한 사실은 의미연결망 및 군집분석 결과에서 연결정도 중심성 값의 변화경향을 통해 확인 가능하였다. 3시기에는 1,2시기에 비해 훨씬 세밀하게 플라스틱 오염문제가 분석되어가는 패턴이 들어났으며, 특히 미세플라스틱 문제가 ‘미세’와 ‘알갱이’와 같은 상위권 단어들을 통해 1,2시기에 버려진 쓰레기들이 이미 분해되어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사이즈로 해양을 오염시키고 있다는 내용의 보도 자료들이 증가한 것이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나타났다. 군집분석에 의하면 문제제기 및 상황파악 프레임이 가장 큰 군집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주요문제설정 프레임, 그 다음으로 해결책 구상 및 대책 수립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2시기에 비해 3시기에는 12개의 크고 작은 모든 군집들이 모두 군집답게 형성되어가는 모습을 들어 낼 뿐만 아니라 그들 모두가 서로 강하게 연결되어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매우 긍정적인 패턴을 보여주는 시기다. 그리고 아직도 문제이해와 원인귀인의 하위 프레임들의 출현빈도수가 높은 가운데 언론보도가 복잡한 플라스틱오염이라는 주제에 대해 1,2 시기에 비해 훨씬 더 성숙한 모습으로 보도프레임을 잡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시기다. 4. 제4시기(2016년~2019년) 제4시기에는 앞선 시기 그 어느 때 보다도 크고 뚜렷한 의미연결망 군집으로 나타난 프레임 수도 더 많아지고 크고, 작은 모든 프레임들이 서로 강하게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시점으로 조사되었다. 물론 이 시기에도 문제제기 및 상황파악 프레임과 주요문제설정 프레임들이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나, 4시기의 특징은 문제해결단계에 나오는 모든 단계적 프레임들을 모두 적용하여 과거와 현재에 등장한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체계로 언론보도 프레임이 설정되는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2개의 모든 의미연결망 군집들이 강하게 응집되어 가면서 군집의 크기와 상관없이 서로 강하게 연결되어있는 것이 특징인 시기다. 그리고 1,2,3시기와는 달리 대책실천과 결과분석 및 조정 프레임이 가장 큰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주요문제설정 프레임과 이에 따른 하위프레임들(문제이해 프레임과 원인 귀인 프레임)이 두 번째와 세 번째로 가장 큰 군집으로 나타나면서 이제는 언론이 플라스틱 문제를 충분히 이해하면서 대책을 구상하는 보도의 시기를 넘어 실지 해결책을 시행하는 보도의 시기로 전환하였음을 보여주는 시기로 나타났다. 시기별로 플라스틱 오염 문제에 대한 언론보도 프레임 특성을 요약하면, 문제해결단계 이론인 ‘문제제기 및 상황파악’, ‘주요문제설정’, ‘해결책 구상 및 대책수립’, ‘대책실천과 결과분석 및 조정’ 등의 4가지와 유사한 단계로 지난 20년간 언론 프레임이 형성되어 온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라 이 4가지 단계적 프레임들의 점점 성숙되고 상관관계가 더욱 강해지는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플라스틱 오염’을 포함한 환경 이슈는 단편적이고, 단발성 이슈가 아닌 매우 복합적이며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현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회가 점점 산업화됨에 따라 새로운 환경문제가 발생될 수밖에 없으며, 게다가 환경문제를 제기하는 분석도구가 점점 고도화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환경문제를 다루는 언론은 제기되는 환경 문제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최종적으로는 해결대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도록 기초적 정보제공과 방향을 설정하는데 역할을 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분해는 되어도 지구에서 사라지지는 않는 계속 늘어만 가는 플라스틱이라는 재질이 인류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계속적으로 큰 사회의 이슈로 남을 것이다. 또한 이에 대한 사회적 토론과 분쟁도 계속 늘어날 것이다. 플라스틱으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대중의 무리와 환경보호에 중점을 두는 대중의 무리는 끊임없는 분쟁으로 이어져 나갈 것으로 예측되면서 앞으로의 언론의 역할의 중요성을 늘어만 갈 것이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언론이 어떤 프레임을 설정하여야 이 복잡한 플라스틱오염 문제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그리고 과학적 솔루션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며 어떻게 해야 미래를 위한 사회적 대화를 촉구할 수 있을지, 이에 대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는 통계적 분석에 필요한 빅 데이터를 위한 좀 더 많은 플라스틱오염에 관한 기사들을 모집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플라스틱오염 문제가 너무 다양하고 복잡하여 언론사들이 보도프레임 설정에 있어 어느 정도 혼란과 혼동을 피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 문제는 인류이의 건강과 생존 그리고 지구 생태계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문제이기에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린다.

      • 모바일인터넷 이용행태와 정책적 함의에 관한 연구

        이준희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In this study we try to look for motives of mobile internet users and see the features of use behaviors due to use motives. Also, we seek for the policy implications which means by these empirical outcomes. Research questions due to these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 how do the differences shown in demographical variables? Second, how are the relations between motives and behaviors of mobile internet users? Third, what are the differences of use motives and behaviors in terms of fee system (fixed or metered fee system using groups) which is chosen by mobile internet users? Fourth, what are the differences of use motives between heavy users and light users? Fifth, what are the solution plans of mobile internet activation that users prefer? For these research questions, we’ve conducted survey, and the results from the data collected by surve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centives for various classes of people need to be groped. Secondly, services for various genres should be developed. Thirdly, customized contents in features of ages need to be offered. Fourthly, rate of use costs need to be lowered. Lastly, activation plans for users should be prepared. 인터넷에 이동성을 부여한 모바일인터넷(Mobile Internet)은 이용자들이 정보사회 생활을 편리하게 누릴 수 있게 하는 ‘만능 커뮤니케이터(Communicator)’이면서 국가적으로 전&#8228;후방산업간 연관효과가 높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 모바일인터넷은 선진국에 비해 이용률이 매우 낮고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지 못하였으므로 수요자의 이용행태와 니즈(needs)를 고려한 새로운 정책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인터넷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이용 행태의 특징을 조사(survey)&#8228;분석하고 이러한 실증적인 결과들이 의미하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일반적인 모바일인터넷 이용 특성의 경우 대부분 10분 이하의 이용 시간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주 이용 연령층은 20대와 30대가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교육 수준이 높거나 전문직업을 가진 이용자들이 그렇지 않은 이용자보다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모바일인터넷 이용 동기를 요인분석으로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요인은 ‘유용성’, ‘커뮤니케이션', ‘정보 추구’였다. 세 가지 요인 중에서 이용 동기가 가장 강한 것은 ‘정보 추구’ 요인이었으며, 현재는 모바일인터넷이 정보 획득을 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들 모바일인터넷 이용 동기에 대한 성별, 연령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연령별 집단간에는 세대군집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세대별 집단은 10대, 20대, 30대가 선호하는 서비스, 30대, 40대가 선호하는 서비스 그리고 40대, 50대가 선호하는 서비스로 나뉘어 졌다. 세대별 집단이 선호하는 서비스로는 10대, 20대, 30대가 오락관련 서비스, 30대와 40대가 커뮤니케이션 관련서비스, 40대와 50대가 금융거래, 주식거래 등 경제활동서비스가 있었다. 모바일인터넷 이용 동기가 이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회기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정보추구 동기가 ‘자료 및 정보 획득’ 관련 서비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커뮤니케이션 관련 서비스’의 경우 유용성, 커뮤니케이션, 정보 추구 동기가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정보 추구 동기가 ‘커뮤니케이션서비스’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여가활동 관련 서비스의 경우’ 커뮤니케이션 동기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나, 유용성 동기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는 주식 및 은행거래 등 유용성을 목적으로 모바일인터넷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게임, 영화 등 오락관련 서비스 이용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경제활동 관련 서비스’의 경우 유용성 요인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나 커뮤니케이션 요인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는 커뮤니케이션 동기로 모바일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 경제 관련 서비스의 이용이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치기반 관련 서비스’의 경우 유용성, 정보 추구 동기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반면 커뮤니케이션 동기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정보 추구 동기가 ‘위치기반 관련 서비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는 정보추구 동기 목적이 강할수록 ‘위치기반 관련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할 것을 의미한다. 반면 커뮤니케이션 동기 목적이 강할수록 ‘위치기반 관련 서비스’의 이용이 감소할 것임을 알 수 있다. 모바일인터넷 이용행태로 구분한 집단별 이용 동기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이용 행태 집단별 t-test는 이용량과 이용요금제 선택기준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모바일인터넷 이용자에 대한 전체 인터넷 이용 시간을 기준으로 소량이용자와 다량이용자로 구분하고, 이용요금제도 선택기준은 한 달간 사용요금이 정해져 있는 ‘정액요금 형태’와 쓰는 만큼 이용요금을 부담하는 ‘종량요금 형태’의 가입자로 구분하였다. t-test 결과 유&#8228;무선이 포함된 전체 인터넷 이용 시간에 따른 모바일인터넷 이용 동기의 차이점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요금제도 선택기준에 따른 이용 동기의 경우 모두 ‘정액요금 형태’ 가입자 집단의 평균이 ‘종량요금 형태’ 가입자 집단의 평균보다 더 높은 값을 보여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모바일인터넷 활성화를 위해 수용자들이 선호하는 정책요소를 빈도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모바일인터넷 수용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정책요소는 이용요금 인하, 다양한 정액요금제 도입, 배터리용량 확대, 전송속도 개선, 개인정보 보호 등의 순이었다. 반면 긍정적인 응답이 적었던 정책요소들은 서비스 이용방법 교육지원, 모바일인터넷 접속방법(단축키) 개선, 스마트폰의 확대 등이었다. 특히, 유&#8228;무선통합요금제 도입을 선호하는 응답자가 70%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수용자들은 모바일인터넷 이용요금을 절약하고, 무선인터넷 활성화도 이룰 수 있는 중요한 정책요소로 유&#8228;무선통합 요금제를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TV 탐사보도와 언론윤리에 관한 연구 : KBS 다큐멘터리 <3대 세습, 그들은 탈북한다>를 중심으로

        안양봉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진실을 추구하기 위해서라면 비윤리적인 취재도 용인되는 것인가? 비윤리적으로 취재하고 획득한 뉴스가 공익성이 있다면 윤리적인 면죄부를 받을 수 있을 것인가? 많은 기자들이 이런 고민을 한다. 언론의 사명인 ‘진실 추구’와 언론인의 규범인 ‘언론 윤리’가 대립하는 딜레마적 상황. 이런 취재 현장에서 기자는 어떤 기준을 갖고 판단해야 할까? 이 연구는 중국에 숨어사는 탈북자를 취재한 <3대 세습, 그들은 탈북한다> 사례를 통해 언론 윤리 문제를 살펴보았다. 프로그램 취재 과정에서 발생한 ‘사칭 취재’, ‘비밀 촬영’, ‘불법 취재와 제작진 억류’ 상황을 구체적인 모티브로 사용 했다. 한국 언론이 중국 탈북자를 취재하다가 중국 당국에 적발되면, 기자는 구금되고 탈북자는 북한으로 강제 송환된다. 때문에 중국에 있는 탈북자들은 한국 언론인을 만나려 하지 않는다. 이런 상황 탓에 제작진은 신분을 감추고 비밀 촬영을 했다. 제작진의 이런 판단은 윤리적 정당성이 있는 것일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윤리적으로 정당하다’. KBS 방송제작 가이드라인은 보도의 공익적 가치가 크고, 다른 수단의 취재 방법이 없을 때 비밀 촬영을 허가한다. 또한 미국 <포인터 미디어연구소>는 기자가 비윤리적 취재방법을 선택하기에 앞서 사려 깊은 윤리적 결정 과정을 거쳤을 경우 예외적으로 인정한다. 그렇다면 취재원이 생사의 기로에 섰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들은 탈북한다> 제작진은 2,000km 넘는 대장정 끝에 이들의 생명을 구했다. 하지만 제작진은 ‘불법 취재’라는 꼬리표를 달았고, 억류됐다. 도덕학자 시셀라 보크(Sissela Bok)는 언론의 사명인 진실 추구와 언론 윤리가 대립하는 상황에서 선택한 취재 방식이 정당한가는 기자 자신의 양심에 비추어 고민해야 한다고 정의한다. 제작진의 잘못으로 빚어진 일이 아닌 만큼, 현지의 책임 있는 기관에 구조를 요청하는 것으로 끝낼 수도 있었다. 그러면 불법 취재라는 낙인과 강제 억류의 고통은 피할 수 있다. 하지만 언론인으로서 양심에 비추어, 취재원 보호 의무를 성실하게 준수한 것인지에 대한 자책은 남을 것이다. 비록 불법 취재라는 꼬리표가 남더라도, 오히려 법을 어긴 것이 윤리적 정당성을 준 것이 아닐까? 이 연구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언론인이 지켜야 할 윤리 의무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했다. 또한 언론 윤리 이론화 과정에 대한 검토를 통해 윤리학적 뿌리인 의무론(Deontology)과 목적론(Teleology)을 고찰했다. 언론 윤리는 왜 준수해야 하는지도 제시했다. 한국 언론의 대표적 윤리인 한국 기자협회와 KBS의 윤리강령, 방송제작 가이드라인을 분석했다. 한국 언론의 윤리 강령이 선언적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윤리 강령 준수를 강제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마련된 윤리위원회도 실질적으로는 무용지물이라는 것도 지적했다. 국민은 취재가 윤리적이지 않다면 보도의 진실성마저 의심한다. 수용자의 정보 접근권이 확대된 탓이다. 탐사보도 제작물이 확대되면서 부작용으로 언론의 윤리성 시비도 늘고 있다. 그런데 정작 언론인들은 이런 수용자의 변화에 무감각하다. 취재 현장에서는 별다른 문제의식 없이 비윤리적 취재가 남용되고 있다. 비윤리적인 취재는 해당 언론인에 대한 자격 시비를 넘어서 한국 언론에 대한 불신으로 확대된다. 한국 언론이 심각하게 윤리 의무에 대해 숙고해야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 낮시간대 TV 정보 프로그램의 구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주부시청자들을 중심으로

        유혜영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2005년 12월 1일부터 지상파TV의 평일 낮방송이 허용됐다. 평일 낮 시간대 방송 허용과 함께 지상파TV는 뉴스와 정보 프로그램을 전면배치했다. 본 연구는 평일 낮 시간대 지상파TV의 편성전략을 알아보고 수용자의 시청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평일 낮 시간대 방송되는 프로그램 중 뉴스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 주부 대상 정보 프로그램 두 가지를 골라 콘텐츠와 시청률을 분석했다. 그 중 하나는 KBS-2TV <감성매거진 행복한 오후> 다른 하나는 SBS-TV <김미화의 U> 이며 이 두 프로그램의 편성전략을 기본으로 주요 콘텐츠, 그를 통해 얻어낸 시청률과 분당 시청률을 통해 이 시간대 수용자인 주부들의 선택에 대해 알아봤다. 수용자의 시청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현대사회에 있어 매스 미디어의 효과를 잘 설명하고 있는 이용과 충족이론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실시하였고 수용자들의 미디어 이용동기를 바탕으로 수용자들의 욕구를 알아보았으며 이용과 충족이론적 접근에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인 양적 설문조사 방법을 택해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수도권 거주하는 주부 200명을 대상으로 TV 시청여부, 낮 시간대 시청여부, 시청이유, 주부 정보 프로그램에 방송됐으면 하는 내용과 방송되지 않았으면 하는 내용 전반에 대해 질문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청자의 욕구가 무엇인지 알아보았고 그를 통해 낮 시간대 TV 정보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구조와 특성을 고찰하였다. Major TV networks have increased broadcasting hours since December, 2005 when the daytime broadcasting on weekdays was allowed. But because the daytime commercial price and hit rate are low, the production costs have to be reduced. Then it's the daytime broadcasting hours that require efficiency of making good quality shows with low budget. In addition, daytime hours lose the viewers on cable TV channels that catch most of the viewers' eyes with sensational scenes. They also have low audience ratings compared with the prime time. Nevertheless, the viewers are mostly housewives, which is better than wide range of viewers and can be an advantage to direct the shows. The daytime broadcasting draws attention due to the unique trait of its own, which leads to study on what kind of programs can fit the most during the day. In order to find out the behaviors of receivers, this thesis discusses the pre-research based on the two theories; one is to explain the effect of mass media in modern society and the other is the Theory of Uses and Gratifications. It also presents needs of the receivers on the ground of what motivates the receivers to use media. With the weekday daytime broadcasting, the major TV networks mainly aired information shows for housewives during the day. This thesis looks into the programming strategies of major TV networks and audience ratings. It analyzes the ones of two main daytime information shows for housewives; 'Happy Afternoon - Magazine For You' on KBS 2TV and 'U with Mihwa Kim' on SBS - TV. This thesis discus the guests, topics and audience ratings per minute and how these factors affect the choice of the main daytime receivers who are housew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