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 일본어학습자의 니즈 분석 - 초급일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

        조대하(Dai ha Cho)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논총 Vol.27 No.-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를 전후해 대학에서 일본어과가 신설되어 일본전문가를 양성하기기 시작한 이래, 대학의 일본어교육은 일본의 경제성장과 국제화의 분위기 속에서 학습자수가 증가해갔으며 2001년의 일본문화 전면개방으로 전성기를 맞이했다. 그러나 일본의 장기적인 경제 불황과 2011년 동일본지진 이후 방사능 오염사태를 비롯해 외교관계 악화 등의 영향으로 최근 일본어학습자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여파는 대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국제교류기금이 2012년 조사한 ‘세계의 일본실어교육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2009년도에 비해 한국 내 일본어학습자수는 12.8% 감소했다. 본고는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일본어교육 환경변화가 대학의 일본어교육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며, 이러한 변화가 학습자의 학습요구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고찰 대상으로써는 우리 대학의 초급일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요구(needs) 조사를 실시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설문을 통해 조사·분석하고 앞으로 대학의 일본어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고찰 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일어일문학과 교과과정의 경우, 심화과정이나 복수전공 과정 모두 일본어교육을 위한 주당 단위수가 매우 부족해 전공교육이 부실화되고 있으므로 전공과목 단위수를 높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요구(need)조사 결과 학생들의 일본어교육 목적은 실리지향성이 높으므로 도구적 동기(instrumental motivation)가 강화되도록 취직이나 앞으로 학생들이 담당하게 될 업무와 관련된 교과목을 개발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산·학·연을 아우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university of Japanese education is a process to train in Japanese experts. Therefore, university of works to grasp a current status of Japanese education correctly, is that will be had an important meaning in Japanology.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smart machinery and tools bring a big change for education including economy and a social change recently. The wave of such as a change begins Japanes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while overlapping negative events such as Korea-Japan relations and radioactive contamination, Japan’s image is falling to the ground. Needs of the Japanese learner is being changed and diversified by these changes in flow. In this paper, as research of Japanese education current status grasp examine the author’s affiliated university of Japanese literature curriculum. Furthermore, check the current learning situation and think about future countermeasures though the survey of majored students needs. To summarize the study result, due to lack of Japanese education units in intensive and double major curriculum, the units should be increased. In addition, result of needs survey is that students of Japanese education purpose aim for tangible advantage, so we need to increase a class related to employment and responsibilities to enhance an instrumental motivation

      • 학제간 통합교과목 운영사례

        김인경(In kyoung Kim)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논총 Vol.30 No.-

        본 연구는 두 가지의 의미 즉 재배와 문화를 내포하고 있는 culture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했다. <식물과 문화> 교과목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가장 중점을 두었던 점은 ‘plants’ 과 ‘culture’라는 두 단어의 관계에 있었다. 현대사회에서 식물이라는 유형의 생명개체들의 재배(culture)와 무형의 다양한 문화(culture)의 상관관계의 밀접함에 대해서 학생들에게 어떻게 흥미롭게 다가가게 할 것인가에 많은 비중을 두었다. 인간의 의미 있는 문화적 삶에 은유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윈의 도태, 선택, 생존경쟁과 같은 몇 몇 기초개념 이론들에서 보듯이 증대하고 있는 자연과 문화의 연계성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문화현상을 재조명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강의로 나아가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였다. 과학인문학자인 브뤼노 라투르(Latour, 2009)는 근대주의에서는 ‘인간’으로 규정되면 모든 권리가 부여되어 정치나 윤리의 영역의 주체가 되고, 반면 ‘비인간’ 사물로 규정되면 모든 권리가 박탈되어 과학의 영역으로 간주된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주장에 대하여 특히 생태학적 측면에서는 많은 논의가 있고, 자연과학과 인문사회학의 융합 연구가 실행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우수한 성과가 주목받고 있다. 또한 자연과 문화의 연계성에 대한 관심은 과학기술학자이건 인문학자, 사회과학자 그리고 자연과학학자인건 간에 공통적으로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기반으로 한 학제간 통합교과목 개발을 통해 학생들은 시대의 변화와 함께 개인적, 집단적, 국가적, 세계적 문화의 변화 발전과정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이며, 인문학적 사유를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직접체험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학생들은 현재의 다양한 문화현상을 분석, 해석할 수 있게 되어 미래의 개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nalysis began from the perception of Culture, which contains two meanings: Cultivation and culture. When we arranged the course on <Plants and Cultures>, w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ords, ‘plants’ and ‘cultures’. We placed high importance on how to approach students in an interesting way explain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tangible culture of living organisms and intangible culture in modern society. As Charles Darwin’s basic concept of elimination, selection, and survival of fittest were metaphorically referred to in meaningful human life, we aimed at an effective course to review cultural phenomenon including the growing interest on the connection between nature and culture. Bruno Latour a literati scientist, indicated that if one is defined as a ‘human’ in modernism, it becomes a subject to politics or ethics with all rights granted, while if one is defined as ‘non-human’ it will be deprived of rights and regarded as an area of science. Related to such argument,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especially on ecological side, and excellent achievements have been made on integrated analysis between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and social scientist. Also, there have been growing interests on the connection between nature and culture, commonly among scientific technician, humanities scholars, political scientists, and even natural scientis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courses based on such need of the times, students can cultivate their ability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the world as well as the procedures of changes and developments of personal, collective, national, and global culture in general. In addition, they can attain humanistic thinking. Furthermore, having ability to analyze and understand different cultural phenomenon, they will be able to actively deal with the future developments.

      • 학제간 통합교과목 운영사례 : 식물과 문화

        김인경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논총 Vol.29 No.-

        본 연구는 두 가지의 의미 즉 재배와 문화를 내포하고 있는 culture 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했다. <식물과 문화> 교과목 프로그램을 구성 할 때 가장 중점을 두었던 점은 ‘plants’ 과 ‘culture’라는 두 단어의 관 계에 있었다. 현대사회에서 식물이라는 유형의 생명개체들의 재배 (culture)와 무형의 다양한 문화(culture)의 상관관계의 밀접함에 대해서 학생들에게 어떻게 흥미롭게 다가가게 할 것인가에 많은 비중을 두었다. 인간의 의미 있는 문화적 삶에 은유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 윈의 도태, 선택, 생존경쟁과 같은 몇 몇 기초개념 이론들에서 보듯 이 증대하고 있는 자연과 문화의 연계성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문화 현상을 재조명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강의로 나아가기 위한 목표를 설 정하였다. 과학인문학자인 브뤼노 라투르(Latour, 2009)는 근대주의 에서는 ‘인간’으로 규정되면 모든 권리가 부여되어 정치나 윤리의 영 역의 주체가 되고, 반면 ‘비인간’ 사물로 규정되면 모든 권리가 박탈 되어 과학의 영역으로 간주된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주장에 대하 여 특히 생태학적 측면에서는 많은 논의가 있고, 자연과학과 인문사 회학의 융합 연구가 실행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우수한 성과가 주목 받고 있다. 또한 자연과 문화의 연계성에 대한 관심은 과학기술학자 이건 인문학자, 사회과학자 그리고 자연과학학자인건 간에 공통적 으로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기반으로 한 학제 간 통합교과목 개발을 통해 학생들은 시대의 변화와 함께 개인적, 집 단적, 국가적, 세계적 문화의 변화 발전과정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이며, 인문학적 사유를 습득할 수 있는 기 회를 직접체험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학생들은 현재의 다양한 문화 현상을 분석, 해석할 수 있게 되어 미래의 개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 김동리의 민족문학론과 제3 휴머니즘론

        문흥술(Moon Heung Sul)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논총 Vol.24 No.-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Kim Dong Ri asserted national literary of the right against national literary of the left. Kim's national literary is pure literary. It is the third humanism that emphasizes the protection of humanity. Kim asserted that national literary is the basis of national spirit and national spirit is humanism of the national unit and the humanism is part of the world-wide humanism. Kim had asserted pure literary since generation debate under Japanese colonization. 「Munyeodo」 (1936) is the prototype of Kim's pure literary. This work is based on shamanism and aims for the unity of human and nature. 'MoHwa' is a new type of human that follows the ultimate fundamental state of human personality and life. She is equal to a new type of human that is based on the third humanism. Kim's shamanism had been presented as keeping the uniqueness oh Korean before the liberation and had been presented as the third humanism that emphasizes the protection of humanity.

      • 이기영 『두만강』에 나타나는 매개자의 변이와 그 특성

        문흥술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논총 Vol.29 No.-

        이기영의 장편 대하소설 『두만강』에 나타나는 대립 구조는 민중계 급과 지배계급과의 갈등과 조선민족과 일제와의 갈등, 곧 계급모순과 민족모순에 의한 갈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작품은 이러한 갈등 구 조에 긍정적 인물을 보다 높은 단계로 고양시키는 매개자를 삽입한다. 그리고 그 매개자가 1부에서 3부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바뀐다. 이 매개자의 변화야말로 이 작품의 특성을 규정짓는 핵심 요소이다. 1부의 매개자는 양반 지식인 출신 이진경이다. 이진경은 봉건 양반 과 관련된 모순된 제도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신교육을 통한 개화사상 의 계몽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그러한 교육을 통해 봉건 질서와 왜놈을 물리치고 백성들이 편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을 지향한다. 이처 럼 개화를 통한 반봉건과 일제에 맞선 조선 민족이 결합된 이진경의 사상은 다름 아닌 부르주아 민족주의에 해당한다. 곧 이진경의 매개 적 역할은 반봉건, 반외세를 목표로 하는 부르주아 민족주의 혁명을 담지하는 것에 국한된다. 이진경을 매개자로 한 부르주아 민족주의 혁명은 실패로 귀결된다. 실패의 원인은 독립단체들의 이기적인 파행으로 제시되고 있다. 기존 독립운동을 하던 이들은 죽거나, 변절하여 일제의 앞잡이가 된다. 이 들의 죽음과 변절은 부르주아 민족주의에 의한 독립운동의 실패를 의 미한다. 3부에서는 씨동과 분이의 매개자로 먼저 사회주의 서적과 노동 체 험이 제시된다. 씨동과 분이는 김일성 휘하로 들어가기 전에 사회주 의 책과 노동 체험을 매개자로 하여 사회주의 이념을 알게 되고 그 이 념에 의해 조직화되는 과정을 밟는다. 3부 30장 ‘평강판’에서부터 씨동은 반제동맹에 가입해 김일성을 만 나면서 책을 통해, 또 탄부생활을 통해 받아들이게 된 계급의식과 사 회주의 이념과 완벽하게 일체가 된다. 여기서 매개자는 김일성 동지 이다. 반일운동이 ‘인민의 혁명적 무장투쟁’이라는 보다 적극적이며 높은 단계로 나아가야 할 필연성을 띨 때, 김일성 동지가 등장하는 것이다. 매개자로서의 김일성 동지의 등장이야말로 이 작품이 드러내고자 하는 궁극적 주제에 해당한다. 민족이 곧 노동인민계급이라는 자각을 하고 노동계급의 단결과 무장투쟁을 통해 민족해방을 지향하는 것, 그러한 민족과 노동계급 전부를 아우르는 위대한 지도자가 김일성 동 지라는 것, 그 김일성 동지야말로 ‘조국’ 그 자체이자 ‘백성’을 감싸 안 는 ‘부모(어버이 수령)’라는 것, 그 수령은 자신의 실체를 드러내지 않 는 신비로운 존재이지만 ‘광명의 서광’을 비쳐주는 위대한 존재이며 그런 존재의 영도를 따르는 것이야말로 ‘영예로운’ 것이라는 것, 그런 김 동지와의 완전한 합일을 강렬히 지향하는 것, 그것이 이 작품의 궁 극적인 주제이다.

      • KCI등재

        엘리어트와 포스트모더니즘 : 《황무지 The Waste Land》의 포스트모던성을 중심으로

        李廷鎬 서울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91 人文論叢 Vol.25 No.-

        The Waste Land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a quintessentially modernistic poem written by a representative modernistic poet, T.S.Eliot. Or is it? Even though the poem was written during the so-called modernistic period by one of the most typical modernistic poets, it does not necessarily follow that it is or should be a modernistic poem. This poem defies this kind of easy categorization and stands on its own peculiar characteristics. This is the main reason why critics have not so far reached a consensus on how to deal with it. In this respect, we can try to read it from a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e one conventionally practised so far. Concepts like postmodernism and postmodernity, then, can serve us very well for this purpose. Especially the period-neutral concept like postmodernity will be a very useful tool in reading this poem. What makes this poem different from other modernistic poems is that it does not have a narrative, or a story, to tell. This means that it does not seem to have a unified organizing principle, generally understood as telos, because it is wholly composed of fragments. In this sense, this poem demands a new reading strategy. Of all things, the feature of seeming purposelessness of this poem makes it very postmodernistie, because postmodernity (and postmodernism, too) literally thrive on the meaninglessness and fragmentariness of the world in general and of the work of art itself in particular. This aspect of meaninglessness, then, leads us to note the decentered nature of the poem. The Waste Land, a mere "heap of broken images", does not have a center in its structure in the conventional sense of the term. We cannot, therefore, say for sure who the original author/authors is/are: Eliot/Pound/ the writers of the quoted fragments/ and/or the reader of the text as the poem. The original writer/writers can and/or cannot be either one of these and, at the same time, all/none of these. In this confused state of affairs, not a single definite meaning can be fixed on this text as to its story-line, because the text itself is connected with other texts ad infinitum. In this regard, even though The Waste Land is written in the so-called modernistic period by a well-known modernistic poet, it definitely demands to be read as a postmod ernistic text.

      • KCI등재

        자동기술과 초현실주의 이미지의 의미와 특성

        吳生根 서울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92 人文論叢 Vol.27 No.-

        On peut considerer l'ecriture automatique comme l'activite fondatrice du surrealisme. Dans le premier Manifeste du surrealisme, Andre Breton fait de l'ecriture automatique un moyen privilegie de produire un texte poetique. La production d'un texte automatique boulverse les regles admises de l'activite litteraires. La revelation de l'ecriture automatique a en effet montre que le langage peut etre utilise d'une tout autre facon que selon l'usage habituel, sans etre soumis a la double contrainte de la logique et de la communination immediate. Il en resulte que le mot en lui-mime beneficie d'une certaine independance par rapport au sens qu'on lui recocait d'ordinaire. Le probleme de l'ecriture automatique ne peut etre separe de celui de l'image surrealiste, parce que le langage de l'ecriture automatique produit de telles images, en liberant l'esprit des exigences du reel immediat. Se livrer a une une serie d'images surrealistes, c'est faire eclater le quotidien, transgresser ses limites, aller au-dela du concevable et du dictible. Dans l'image surrealiste, le hasard s'opposera a l'intention, et introduit une nouvelle maniere de penser les rapports entre langage et sujet, entre langage et societe. En we rendant compte de ces caracteristiques de l'ecriture automatique et de l'image surrealiste, notre etude a essaye de reveler l'activite creatrice du surrealisme, Dans cette optique, le surrealisme est reellemint creation d'un monde ecrit, mais d'un monde qui depasse les emplois ordinaires du lang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