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삼(Salvia miltiorrhiza) 추출물의 천연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 연구

        GUO NAN 서경대학교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단삼(Salvia miltirrohiza)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연구하여 천연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단삼(Salvia miltiorrhiza radix)은 꿀풀목(Tubiflorae),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뿌리의 색이 붉어 자단삼, 적삼, 홍근으로도 불린다. 중국이 원산지로, 한의학적으로 단삼의 건조된 뿌리가 활혈거어, 양혈소종, 청심안신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오래전부터 혈액순환 촉진, 항혈전, 생리통, 생리불순, 산후복통 완화, 타박상, 피부 발진, 정신적 안정, 불면증 치료 등의 약재로 사용되었다. 최근의 선행연구로는 당뇨병성 신장 질환, 고지혈증 예방, 항암제 유효성 등 의학 관련 연구가 발표되었으나, 미용 산업 관련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단삼 에탄올 및 열수추출물의 천연화장품 소재로서의 안정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항산화 활성, 세포독성, 항염, 항주름, 수렴 효능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동결 건조된 단삼 150 g을 각 80% 에탄올과 60℃ 정제수를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추출 수율은 에탄올추출물 26.333% (39.5 g), 열수추출물 40.667% (61 g)를 나타냈다. 2. 항산화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assay, ABTS assay, FRAP assay, 총 폴리페놀 함량(TPC)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측정 방법에서 농도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에탄올추출물과 열수추출물의 활성 정도는 거의 유사하였다. 3. 세포독성 측정을 위하여 마우스의 대식세포 RAW264.7 cell과 인간정상 섬유아세포 NHDF cell을 대상으로 MTT assay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RAW264.7 cell 및 NHDF cell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화장품 원료로서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4. 항염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LPS로 처리한 RAW264.7 cell에 단삼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염증매개물질인 NO, cytokine TNF-α와 IL-6, 염증유도 효소인 iNOS와 COX-2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NO, TNF-α, IL-6의 분비량이 감소되었고,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보다 항염 효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5. 항주름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type I pro-collagen 합성 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단삼 열수추출물에서 농도의존적으로 elastase 활성이 저해되었으며, type I pro-collagen의 합성량은 단삼 각 추출물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상승하였다. 6. 수렴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색소단백질인 hemoglobin을 이용하여 단삼 각 추출물과 결합하는 정도를 측정한 결과, 단삼 에탄올추출물 10 mg/mL의 농도에서 74.5%의 수렴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단삼 에탄올추출물과 열수추출물은 인체 피부세포에 대한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천연화장품 소재로서의 안전성이 확인되었으며, 항산화 활성은 물론 염증을 일으키는 매개물질에 대한 억제 활성, 콜라겐 합성 촉진, 수렴 활성 등 다양한 효능평가에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단삼 에탄올 및 열수추출물의 천연성분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its use as a natural cosmetics material by studying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salvia miltirrohiza extract. Salvia miltiorrhiza radix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ubiflorae, Labiatae, which is also called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ed ginseng, red root because of its reddish roots. Its origin is China, and since, in oriental medicine, the dried root of salvia miltiorrhiza has been known to have the effects of Hwalhyeolgeoeo (promoting blood circulation and removing clogged or stagnant travasated blood), Yanghyeolsojong(cooling the blood and removing the edema) , and Cheongsimansin (purifying the mind and calming the mind) for a long time, so it has been used as a medicine to promote blood circulation, antithrombosis, menstrual pain, menstrual irregularity, after pain relief, bruises, skin rashes, mental stability, and insomnia treatment. Although recent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medicine such as diabetic kidney disease, prevention of hyperlipidemia, and the effectiveness of anticancer drugs have been published, there are no studies related to the beauty industry. Therefore, in this study, experiments on antioxidant activity, cytotoxicity, anti-inflammatory, anti-wrinkle, and astringent efficacy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s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 of salvia miltiorrhiza as a natural cosmetic material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conclusions obtained are as follows. 1. Using 80% ethanol and 60°C purified water as solvents, 150g of freeze-dried salvia miltiorrhiza was extracted, and the extraction yield was 26.333% (39.5 g) of ethanol extract, 40.667% (61g) of hot water extract, . 2. In order to measure the antioxidant efficacy, DPPH assay, ABTS assay, FRAP assa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TPC) were measured. As a result,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verifi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in all measurement methods, and the activity levels of the ethanol extract and the hot water extract were almost similar. 3. In order to measure the cytotoxicity, MTT assay was measured for macrophage RAW264.7 cells from mice and NHDF cells from normal human fibroblasts. As a result, cytotoxicity was not observed in RAW264.7 cells and NHDF cells, and its safety as a cosmetic raw material was verified. 4. In order measure the anti-inflammatory efficacy, LPS-treated salvia miltiorrhiza extract was treated by concentration in RAW264.7 cells to check the expression levels of inflammatory mediators NO, cytokines TNF-α and IL-6, and inflammation-inducing enzymes iNOS and COX-2. As a result, the secretion of NO, TNF-α, and IL-6 was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ethanol extract had a higher anti-inflammatory effect than the hot water extract. 5. In order to measure the anti-wrinkle efficacy,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and the synthesis ability of type I pro-collagen were measured. As a result, the elastase activity was inhibit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in the hot water extract of salvia miltiorrhiza, and the synthesis amount of type I pro-collagen was vertically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in each salvia miltiorrhiza extract. 6.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degree of binding with each salvia miltiorrhiza extract using hemoglobin, a pigment protein to measure the astringent effect, astringent activity of 74.5% was shown at a concentration of 10 mg/mL of ethanol extract of salvia miltiorrhiza. Integrating above results, ethanol extract and hot water extract of salvia miltiorrhiza showed almost no toxicity to human skin cells, verifying safety as a natural cosmetic material and in addition to antioxidant activity, it also showed its effects in various efficacy evaluations such as inhibitory activity against mediators that cause inflammation, collagen synthesis promotion, and astringent activit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 of salvia miltiorrhiza will have a high potential for use as a natural cosmetic material.

      •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가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최영재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4287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how the values of college students of beauty art major influence the career-decision making style,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career guidance for college students of beauty art major to become a professional person. To achieve this aim, a survey was carried out on students of beauty art major (hair, skin esthetic, make-up, nail art) in colleg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between April and June 5, 2014, and 332 copies among them were selected as final subject of analysis. Collected data was used for SPSS 18.0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female students were the majority with 309 persons (92.0%), 99 respondents among them were senior students (29.5%), and 235 students (69.9%) responded that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beauty art major was ‘because they had interest and aptitude’, implying that large percentage of students give priority to their interest and aptitude in selecting their major. Yet 181 students (53.9%) answered that ‘I did not take an aptitude test upon entering the college’, implying that still there are more colleges that do not administer an aptitude test. Presently, the skin esthetic was taken up by most students as a detailed major, with 181 students (53.9%), followed by majors of Make-Up, Hair, and Nail Art. Most desired field of employment after graduation was opening a personal shop or franchise shop, with 145 respondents (43.2%), followed by working at a hospital,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 department store or goods corporation. Sightly high percentage of respondents, 187 students (55.7%), said that they obtained esthetic-related national certificates. Second, it was revealed that factors for values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were values of material orientation, ego-realization orientation, practicality orientation, emotion-orientation, social-relation orientation, and consciousness-of-others orientation. Factors for satisfaction with major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included satisfaction with subjects, class, relation, and awareness; and factors for career maturity were purposefulness, decisiveness, preparedness, confidence, and independence. Factors for career decision-making were rationality, intuitiveness, and dependence. Third,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showed distinct corelation in terms of every factor for values, except for material-oriented and emotion-oriented values; and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nd their career maturity showed distinct corelation in terms of all factors for values. Gratification with major of beauty art students and career maturity showed corelation in terms of every factor, except fo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Satisfaction with majors and career maturity showed corelation in terms of every factor. Career decision-making style and career maturity also showed corelation in terms of all factors. Fourth, with regard to difference in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students in upper grades showed higher values of material orientation and ego-realization orientation, and consciousness-of-others orientation, and students in lower grades showed higher social relation-oriented values and emotion-oriented values. With regard to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specific major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material-oriented values and ego realization-oriented values were high in majors of skin esthetic, and social relation-oriented values and practicality-oriented values were high in majors of hair. Students who want to work at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material orientation, ego-realization orientation, and social relation-orientation. With regard to the different satisfaction with maj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senior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majors, and students of skin esthetic or hair major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different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senior students showed high career maturity, and students of skin esthetic or hair major showed high preparedness, and students who want to work at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 showed high career maturity. With respect to different career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senior students, skin aesthetic majors, and students intending to work at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s showed high rationality in decision making. Fifth, the results of analysis of influence between values, satisfaction with major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tyle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re as follows.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were turned out to influence every factor for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maturity, especially the values of ego-realization orientation showed the biggest influence.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influence every factor for career decision-making style. Satisfaction with majors by beauty art college student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maturity, and it was analyzed that satisfaction with major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every factor for career decision-making style. This research outcomes are significant in that it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a rational decision making concerning the career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by analyzing the impact of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tyle. Through this research, a career educational course for the right and accurate career decision-making by beauty art students, as well a 본 연구는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이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미용전공대학생이 전문직업인으로 나아가기 위한 진로지도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14년 04월부터 06월 05일까지 수도권 지역의 미용전공대학생(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 대상으로 332부를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의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은 여학생이 309명(92.0%)으로 높았으며, 학년은 4학년이 99명(29.5%)으로 나타났고 미용전공을 선택한 동기는 ‘관심과 적성이 있어서’가 235명(69.9%)로 나타나 학생들이 전공 선택 시, 자신의 관심과 적성을 고려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입학 시 ’적성검사를 받은 적이 없다’가 181명(53.9%)으로 아직 적성검사를 하지 않는 학교가 더 많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 세부전공은 피부가 178명(53.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메이크업, 헤어, 네일 전공 순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취업희망분야는 개인 샵 또는 프랜차이즈 샵이 145명(43.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병원,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 백화점 또는 제품회사의 순으로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관련 국가자격증을 취득하였다는 187명(55.7%)으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 요인은 물질지향 가치관, 자아성취지향 가치관, 실용지향 가치관, 감성지향 가치관, 사회관계지향 가치관, 타인의식지향 가치관으로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요인은 교과만족, 수업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으로 나타났으며, 미용전공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요인은 목적성, 결정성, 준비성, 확신성, 독립성으로 나타났다. 진로의사결정유형 요인은 합리적, 직관적,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과 전공만족도간에는 물질지향, 감성지향가치관을 제외한 모든 가치관 요인과 뚜렷한 상호관련성을 보였으며, 가치관과 진로성숙도간에는 모든 가치관 요인과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가치관과 진로의사결정유형 간에도 모든 가치관 요인과 상호관련성을 나타냈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의사결정유형 간에는 수업만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간에는 모든 요인에서 상호관련성을 나타냈다.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성숙도간에도 모든 요인에서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넷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치관의 차이는 고학년일수록 물질지향, 자아성취지향, 타인의식지향 가치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학년일수록 사회관계지향, 감성지향 가치관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가치관의 차이는 물질지향과 자아성취지향 가치관은 피부전공이 높았으며, 사회관계지향과 실용지향 가치관은 헤어전공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은 물질지향, 자아성취지향, 사회관계지향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는 고학년일수록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헤어·피부 전공학생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는 고학년 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피부나 헤어전공학생이 다른 전공학생에 비해 높은 준비성을 보였으며,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의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의사결정의 차이는 고학년과 피부 전공자,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에게서 합리적 의사결정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진로의사결정유형간의 영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은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가장 많은 영향력을 보인 것은 자아성취지향 가치관으로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은 진로의사결정유형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는 진로의사결정유형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에 따른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미용전공대학생의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전공대학생의 바르고 정확한 진로결정을 위한 진로교육과정 개발과 향후 전문직업인으로써 직무만족 향상 및 자부심 고취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미용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미용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만족, 전공만족이 진로결정,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2년제, 4년제 미용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황수진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287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find out how field practice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satisfaction affect career path determination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of beauty majors, and to establish a systematic direction for cultivating professional beauty workers at the university concerned. The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f-controlling questionnaire to students of two-year and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data analysis collected was used by SPSS Ver. 24.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showed that the two-year system was female for gender, first grade for grade, middle grade for grade, hair for major, and the most suitable field practice period was four to five weeks, and the most suitable field practice period for the second grade for the first semester, The four-year system was followed by women in gender, third grade in grade, middle grade in grade, and hair in major, and the most suitable field practice period was four to five weeks, and the most suitable field practice period was the first semester in grade 2. Second, based on the survey of the surveyors' field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field satisfaction is based on two factors: satisfaction with hands-on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hands-on training, Major satisfaction is due to three factors: 'textbook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wareness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is due to 'planning', 'purpose' and 'researchability', Job preparation activities were classified as two factors: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y' and 'self-improvement activity'. Third, the impact of field satisfaction on career path determination in the survey target is defined as the two-year system is defined as the lower the factors of on-site practic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propensity of the on-site practical experience satisfaction, and the more the factors that satisfy the practical training, the more the planning factors, the lower the on-course decision, Field exercise satisfaction is not related to the purpose and impact of career decisions, The higher the propensity of the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hands-on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hands-on training, the more the factors of studyability, the more factors that are subordinate to career decisions, were identified as the relation of the definition, The four-year system is defined as an increasing number of planning factors, which are sub-factory factors for fieldwork satisfaction, that are sub-factor of course determination, The higher the propensity of the laboratory experience satisfaction factor, which is a sub-factory factor of the on-site practic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relevance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y factor of the career decision, The higher the propensity of the field experience satisfaction factor, the lower the field experience satisfaction factor, the more the studyability factor, was found to be the relation of the definition. Fourth, the impact of fieldwork satisfaction on job preparation behavior of the survey subjects was found to be due to the definition of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which is a sub-factory factor of field practice satisfaction, and the tendency of practical education satisfaction factors of both two and four-year system, The two-year system was defin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mprovement behavioral factors, a sub-factor of job preparation behavior, as the propensity for the on-site practical experience satisfaction and practical education satisfaction factors increased, The four-year system was found to be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an increasing number of self-improvement behavioral factors, a sub-factor of job preparation behavior, as the propensity for satisfaction factors in practical education, a sub-factor of on-site practical satisfaction. Fifth, the impact of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path determination by the survey target is defined as the two-year system has a higher tendency toward curriculum satisfaction factors, which is a sub-factor of major satisfaction, and the more planning factors, which are the sub-factor of career decision, The purpose,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decision, is not related to majo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tendency of the factors of curriculum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wareness satisfaction, which are lower 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the more research factors that are lower factors of career decision, were found to be the relation of the definition, The four-year system is defined by the definition that the lower the factors of the majo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tendency of the factors of curriculum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wareness satisfaction, the more the factors of planning, the lower the factors of career decision, Objective,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decision, has no influence with major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propensity for curriculum satisfaction factor, the more research factor was found to be. Sixth, the impact of the major satisfaction on job preparation behavior of both the two and four-year system was found to be due to the definition of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which is a sub-factor of the major satisfaction, which is a sub-factor of the job preparation behavior, The two-year system is defin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mprovement behavioral factors, which are lower factors of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higher the tendency of the curriculum satisfaction factors, which are lower factors of the major satisfaction, The four-year system has been shown to be the definition of an increasing number of self-improvement behavioral factors, a sub-factor of job preparation behavior, as the tendency toward relationship satisfaction factors, a sub-factor of major satisfac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o combine practical training contents and theoretical background before field practice, On the problems you might encounter in the hands-on lab, you should draw up a textbook for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How to send students to the most suitable practitioners based on a questionnaire that students can find out about the desired occupational groups and the basic information they want to support and the surveyors they are interested in, To help students with uncertainty about their majors, they should suppor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ptitude tests for their majors and desired occupational groups to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In the case of social beginners, only students who want to be guided based on problems caused by employment and who want to be certified by the vocational group during the vacation will be provided with the Diploma education, Lastly, when preparing the curriculum, it suggests guiding students to become more knowledgeable about the subject in depth by mak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advanced classes of the subject, and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beauty care. 미용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장실습만족과 전공만족이 진로결정과 취업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관련학과의 대학에서 전문적인 미용산업 종사자를 배양하기 위한 체계적 방향을 정립하기 위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증조사는 서울·경기 지역의 2·4년제 대학교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해 연구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2년제는 중간성적의 1학년 여학생, 전공은 헤어, 가장 적당한 현장실습 기간은 4∼5주, 가장 알맞은 현장실습 실습시기는 2학년 1학기 순으로 나타났고, 4년제는 중간성적의 3학년 여학생, 전공은 헤어, 가장 적당한 현장실습 기간은 4∼5주, 가장 알맞은 현장실습 실습시기는 2학년 1학기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본의 현장실습만족, 전공만족, 진로결정, 취업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을 알아본 결과 현장실습만족은 ‘실습경험 만족’, ‘실습교육 만족’ 2가지 요인으로 전공만족은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3가지 요인으로, 진로결정은 ‘계획성’, ‘목적성’, ‘연구성’ 3가지 요인으로, 취업준비행동은 ‘정보수집활동’, ‘자기계발활동’ 2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조사대상의 현장실습만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2년제는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실습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계획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실습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연구성 요인이 각각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고, 4년제는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계획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목적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연구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의 현장실습만족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2·4년제 모두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실습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정보수집활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고, 2년제는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실습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자기계발행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4년제는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자기계발행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의 전공만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2년제는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계획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연구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고, 4년제는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계획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연구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사대상의 전공만족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2·4년제 모두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정보수집활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고, 2년제는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자기계발행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4년제는 전공만족의 관계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자기계발행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장실습 전 실기 위주의 교과 내용과 이론적 배경을 접목한 교육과, 실습 시에 대면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학과의 교과 편성, 학생들에게 희망하는 직업군과 지원하고자 하는 실습업체 및 해당 실습업체에 관련하여 학생이 인식하고 있는 기초정보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설문지를 토대로 가장 알맞은 실습업체에 파견하는 방법, 자신의 전공에 대하여 불확실성을 가지는 학생들에게 개인의 특성 및 전공과 희망하는 직업군에 대한 적성검사를 지원하여 학생들의 전공만족 개선, 사회초년생의 경우 취업 시 야기되는 문제점들을 토대로 지도하고 희망하는 학생들에 한하여 방학 중 해당 직업군에 필요한 자격증 외에 디플로마 교육, 마지막으로 교과편성 시 해당 전공의 초급반부터 고급반까지의 차이를 둬 보다 해당 전공을 심도깊게 숙지할 수 있게끔 지도하는 것을 제시하며, 미용학과의 학생들을 위한 전공만족 및 취업지도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 朝鮮時代 鄕校와 書院의 空間構成과 風水立地에 관한 硏究 : 地域別 주요 鄕校와 書院을 중심으로

        허태호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4287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 시대 교육과 배향 기관인 향교와 서원이 지닌 풍수적 입지상의 특성을 분석하며, 이의 연장선상에서 교육과 문화관광의 측면에서 이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조선은 유교이념이 사회운영의 제반원리로 작동하는 유교국가 체제이다. 국가적 차원에서도 유교국가 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지방민을 교화할 목적으로 향교를 모든 군현에 설립하였다. 향교를 통해 유교 중심의 교육과 문화를 강화, 확대하려는 의도였다. 한편 서원의 등장은 조선사회의 정치변동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조선 중기 사림정치의 도래 이후, 서원은 사림들의 활동 근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향교와 서원은 유교와 풍수사상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유교의 위계질서와 절제미를 표출하고 있으며, 풍수적 지형을 통하여 인재 배출 통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입지와 배치의 측면에서도 산줄기를 타고 오는 지기地氣를 온전히 받도록 하는 풍수지리의 요소를 중요하게 적용한다는 공통점을 지니면서도, 기능의 중요성에 따라 차이점을 보였다. 본 논문은 여덟 곳의 향교와 다섯 곳의 서원을 대상으로 하여, 배향기능과 강학기능 그리고 이와 연계된 공간배치, 풍수적 입수와 혈의 결지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능과 그 중요성에 따라 공간 구성의 차이를 보였다. 첫째, 기능의 중요성에 따른 우선순위의 차이이다. 향교는 선현에 대한 제향, 강학, 사회교화 등이며, 서원은 강학과 제향, 그리고 풍류와 지역사회의 도서관 역할 등이었다. 둘째, 향교와 서원의 배향대상과 공간구성의 차이이다. 향교는 배향대상으로 중국을 포함시켰다. 반면, 서원은 중국을 제외시켰으며, 서원의 학맥을 대표하는 사람 1인을 배향하였다. 따라서 향교는 배향인물이 많았기 때문에 대성전⦁동무⦁서무에 나누어 배향하였다. 서원은 사당에 배향을 하였다. 다음으로 건물 배치의 차이이다. 향교는 배향공간의 대성전과 강학공간의 명륜당을 중심으로, 전묘후학⦁전학후묘⦁좌묘우학⦁우학좌묘 등을 기준으로 삼았으며, 선현을 배향하는 대성전을 위계상 우선시 하였다. 서원은 배향 인물이 적어 전면으로 나오지 못하고 가장 깊숙한 곳에 배치하고 있다. 규모도 작았으며, ‘사당’이라고 명명하였다. 셋째, 강학기능과 배향기능의 공간구성에 있어서 위계질서를 엄격하게 구분하였다. 강학공간은 유학의 가르침을 직접 주고받는 공간이며 배향공간은 제사를 통해 선현들의 가르침을 되새기는 수양공간으로 제례행사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건물의 배치 위치나 높이도 위계상으로 대성전이 명륜당보다 높고 크다. 명륜당의 단과 건물의 높이는 대성전보다 낮아야 하며, 건물의 규모도 대성전 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넷째, 향교와 서원의 입수 영역이다. 향교는 지방의 관부에서 읍성 밖으로 1리 혹은 3리 이내에 배치되었으며, 관부의 남쪽에 배치되지 않았다. 이것은 관부가 자좌오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간섭하지 않기 위함이었다. 향교는 관부의 동쪽 혹은 서쪽에 별도의 지맥을 잡아 배치하였으며, 굳이 자좌오향을 고집하지 않았지만 특이한 점은 대성전이 혈처에 배치한 곳이 많았던 것이다. 반면 서원은 관부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좌향은 자좌오향이 대부분이었으며, 강당을 혈처에 배치하였다. 이것은 사림이 자좌오향을 선호하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혈처에 강당을 배치한 것으로 미루어볼 때, 강학기능을 중요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향교와 서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시점에서 향교와 서원을 조선시대의 교육기관과 같은 역할로서 기대할 수는 없지만, 점점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를 전승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쉽게 학습할 수 있는 기회의 장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향교, 서원, 강학, 배향, 대성전, 명륜당, 청룡, 백호, 풍수입지, 사당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two majo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Joseon dynasty, played roles to demonstrate order and moderation of Confucianism and to develop talents by Feng Shui topography as the coexisting space with the perspectives of Confucianism and Feng Shui. Hence, with respect to the locations, orientations, and architectures of two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was aimed to review how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were expressed differently with the selection criteria of Feng Shui topography for local officers and noblemen to receive the wisdom from the mountain range; to seek the utilization status and plans of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that had maintained their position as serving places of ancestors for some scholars; and to find out the useful implications of the architectures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To do so, 8 Confucian schools and 5 Seowons in the local administrative cities were investigated as the study subjects including Confucian schools in Seonggyungwan, Naju, Jeonju, Sangju, Gyungju, Cheongju, Chungju, and Chuncheon; and Sosoo, Dosan, Byungsan, Pilam, and Museong Seowons, respectively. They were divided by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firs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spatial functions, organization, and Feng Shui location were reviewed for both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Differences were also reviewed and lastly, their utilization status and plans were approach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was the organizer, either public or private. With respect to the foundation period, Confucian schools had been originated from the Goryeo dynasty and they were established at the local counties in King Seongjong, the Joseon dynasty while Seowons were originated in the 16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Main functions of Confucian schools were memorial service for the ancestors as a top priority followed by pursuit studies and reforming society. Seowons functioned pursuit studies first followed by memorial service for the ancestors and they played roles as public libraries for the communities. In terms of locations, Confucian schools were located in downtown near the local government offices while Seowons were located in the uncrowded areas with good scenery. Second, with regard to differences of the function of serving the past scholars and space, Confucian schools prioritized serving the past scholars including Confucius, 4 Wes, 10 Cheols, and national 18 Hyuns while Seowons served one scholar representing their schools. Therefore, Confucian schools served separating them into Daesungjeon, the East, and the West since the ancestors were many, and Seowons served them in the shrine. With respect to the allocations of architectures, there were allocation criteria in Confucian schools including Jeonmyowhohak, Jeonhakwhomyo, Jwamyowoohak, and Woohakjwamyo based on Daesungjeon and Myungryundang as the spaces for ancestor service and studies, respectively, and they prioritized Daesungjeon to serve the ancestors. Since the number of ancestors to be served in Seowons was not many, the shrine was located deep inside without exposure in front. Third, the hierarchical order was strictly divided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lecture function and orientation function. The Ganghak space is a space for directly exchanging the teachings of Confucianism, and the Orientation space is a training space that reflects the teachings of the predecessors through rituals. Fourth, related to the locations, Confucian schools were located within 1 to 3 Ri out of fortress from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nd they were not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government office. This was not to interfere each other since the government office was located as Jajwaohyang. Confucian schools were located in the east or west of the government office following separate vein, and they did not follow Jajwaohyang with clean area of Daesungjeon. On the other hand, Seowons were located in the calm and noncrowded areas without affecting the government office following separate vein, and they followed Jajwaohyang, reflecting its preference by scholars in Joseon. Allocation of auditorium in Seowons at the caves implicated they empathized pursuit studies. Fifth,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s of utilization status as the cultural tourism, Confucian schools were designated as ‘treasures’ or ‘local cultural properties,’ while 9 Seowons were enlisted as ‘UNESCO World Cultural Heritages’ in 2019. In terms of education, both institutions focused on personality education commonly, while the students were children and general public for Confucian schools and multiple targets were for Seowons including children, adolescents, adults, foreigners, and so on connecting with cultural tourism. For future development plans, Korean Seowon Integrative Conservation Management Corps took the initiatives for succession of Seowons. There is Union of Confucian schools for Confucian schools, however, they showed ununified features with loud voices from each scholar, separately, which made the investigator depressed. They should develop educational and playing programs integrating th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o as for the youth to approach them easily without burden. Keywords: Confucian School, Seowon, Pursuit Studies, Serving the Past Scholars, Daesungjeon, Myungryundang, Blue Dragon, White Tiger, Feng Shui, Shrine.

      • 남성의 사회적 이미지 형성을 위한 눈썹 형태와 추구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 20〜30대 남성을 중심으로- : 한국과 중국 20〜30대 남성을 중심으로

        왕아정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20∼30대 남성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눈썹 형태와 추구하는 이미지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추론하고, 이를 통해 남성의 사회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있어 추구이미지에 따라 인상 형성에 주요 변인이 되는 눈썹 형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 및 통계에 의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한국 남성의 일반적 특성의 경우 ‘26∼30세’, ‘미혼’, ‘애인 없다(미혼)’, ‘사무/관리직’, ‘대학교 재학 및 졸업’과 ‘고등학교 졸업’ 순이었고, 중국 남성의 경우는 ‘20∼25세’, ‘기혼’, ‘애인 없다(미혼)’, ‘생산/기술직’, ‘대학교 재학 및 졸업’, ‘대학원 재학 및 졸업’ 순이었다. 이를 통해 같은 연령대의 중국 남성이 한국 남성에 비해 일찍 결혼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직업도 한국은 ‘사무/관리직’이 많은 반면, 중국은 ‘생산/기술직이 많았으며, 학력에 있어 중국 남성들의 대학원 진학이 한국 남성보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선호하는 눈썹 형태는 한국 남성의 경우 ‘표준형’, ‘일자형’, ‘아치형’, ‘상승형’, ‘각진형’ 순이었고, 중국의 경우는 ‘표준형’, ‘아치형’, ‘각진형’, ‘상승형’, ‘일자형’ 순이었다. 이를 통해 한국과 중국 남성의 가장 선호하는 눈썹 형태는 ‘표준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가장 선호하지 않는 눈썹 형태는 한국은 ‘각진형’, 중국은 ‘일자형’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국 남성들이 가장 선호하지 않는 ‘각진형’ 눈썹을 중국 남성들이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 중국 남성들이 남성적인 이미지를 보다 많이 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국과 중국 남성 모두 가장 추구하는 이미지는 ‘자연스러운’ 이미지였고, 가장 추구하지 않는 이미지는 모두 ‘귀여운’ 이미지였다. 그러나 한국 남성들의 추구이미지에서 중·하위권에 차지하는 ‘품위 있는’, ‘남성적인’, ‘역동적인’, ‘강인한’ 이미지가 중국 남성들에게는 상위권에 추구하는 이미지로 나타났으며, 중국 남성들에서 하위권을 차지한 ‘부드러운’ 이미지가 한국 남성들에서는 상위권을 차지하여, 추구 이미지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 남성들이 대인관계나 사회생활을 하는 데 있어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것 보다는 원만한 관계 형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중국 남성들은 한국 남성들과 비교해 남성적인 이미지를 더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남성적인 강인함을 드러내는 것을 좋아하는 성향이 있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추구 이미지는 고학력일수록 높게 나타나 중국의 사회적 이미지 추구에 있어서 ‘직업’보다 ‘학력’이 우선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사대상의 추구이미지에 따른 선호하는 눈썹 형태는 한국 남성의 경우 ‘부드러운’ 이미지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표준형’ 눈썹을 가장 선호한 반면, 중국 남성의 경우 ‘자연스러운’, ‘품위 있는’, ‘지적인’, ‘강인한’, ‘발랄한’, ‘남성적인’, ‘도시적인’ 이미지에 모두 동일한 ‘표준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국 남성들은 추구하는 이미지와 눈썹 형태가 갖는 일반적인 이미지가 서로 부합된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과 중국이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남성들의 성향이나 인식의 차이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국에 비해 중국 남성들이 눈썹 형태가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과 외모를 통해 자신의 사회적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인식이 아직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가 중국 남성들의 외모와 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사회적으로 더욱 성숙한 남성상을 만들어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졸업앨범 작품분석 : -안은비의 자작곡 '별거 없더라', '음(Umm)', '아리랑 헤어지지 못한 그 이야기' 의 음악 분석을 중심으로-

        안은비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4271

        본 논문은 안은비의 졸업작품 ‘별거 없더라’, ‘음(Umm)’, ‘아리랑 헤어지지 못한 그 이야기’ 총 3곡에 대한 각각의 분석을 통하여 작곡자의 의도를 밝히고, 향후 1인 아티스트로서의 창작 활동에 학문적인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곡의 분석 내용은 가사, 화성, 편곡, 믹싱(Mixing) 네 가지 측면으로 분류하여 각 곡의 특징을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각 챕터의 마지막에는 곡에 사용된 믹싱 기법을 서술하여, 사운드 적으로 어떤 결과물을 얻고자 했는지를 설명하였다. 졸업작품 제작에 사용된 악기와 화성 진행, 보컬&사운드 디자인의 이론 및 특징을 통해 곡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고 특히, DAW 내의 가상악기(Virtual Studio Technology Instrument)와 곡에 사용된 Sample Sound 및 Plug-in의 특징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1인 전문 프로듀서로서 거듭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each of graduation works, “Nothing Special,” “Umm,” and “Arirang, The Story I Couldn’t Break Up With” to clarify the composer’s intention and provide academic support for her future creative activities as a solo artist. The Analysis contents they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 lyrics, harmony, arrangement, and mixing. They are analyzed and described in the same way. Toward the end, this research described the mixing method used explanation which sound results the composer attempted to obtain, after creating the songs. This paper helped understand instruments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graduation work, harmony progression, as well as theory and characteristics of vocal and sound design and the songs. Particularly, the composer intends to become a professional solo producer and ability to produce high-quality music b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of these technological too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struments(VSTi), sample sound, and plug-ins in the DAW study.

      • SNS매체별 프로그래매틱 광고특성이 소비자의 광고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을 통한 Beauty Service 소비자를 대상으로 비교

        박하은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271

        ABSTRACT The Effect of Prometric Advertising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Advertising Attitudes and Behavior by SNS Media - Comparison of Beauty Service consumers through Naver, Kakao, Facebook, and Instagram- Park, Ha Eun Dept. of Beauty Arts The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Along with ADTech, which combines advertising and technology, a new advertising ecosystem is being formed as the main market for digital advertising shifts its focus to mobile devices. Among them, "Programmatic Advertising" is one of the most recent researchers' interest. Programmatic advertising is a system that analyzes the search path of mobile users and provides customized ads that users need, which is related to the sales/purchase process of Naver, Kakao, Facebook, and Instagram. In the case of Naver, the latest search terms in the Naver search window and banner ads that appear when viewing articles are examples, such as Kakao's purchase and use as "cash-up" through "Kakao Page Advertising Customization," and Facebook's example is "the phenomenon of recommended posts appearing on feeds" and finally, a "view on Instagram." Popular postings are a phenomenon in which customized post advertisements are posted by identifying users' tastes within th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and emotional attitudes of beauty services and products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them through programmatic advertisements by SNS media, and to check the medium effect of each media (Naver, Kakao, Facebook, Instagram). Although interest in SNS has increased due to the recent surge in mobile usage,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programmatic advertisements that can be easily exposed by executing advertisements based on big data compared to many SNS marketing studies that value prolifer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for marketing strategies for competitive advantage and strengthening of the beauty service industry by analyzing the types of advertisements shown in the growing SNS-based mobile applications and identifying the main factors that generate efficient management performance of programmatic advertising types. Research samples for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a total of 7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en and women in their teens and 50s who were able to use social network services (SNS), and a total of 447 were classified for final analysis.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advertising characteristics of each SNS medium that customers using SNS services were tard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nsumers' advertising attitudes and behavior. Second, the analysis of mobile daily usage tim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p<.05).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identified depending on age (p<.000) with 68.3% for women over 3 hours and 48.5% for men over 3 hours (p<.000). Third, the analysis of the average number of daily SNS visits showed that women had the highest rate of 54.8% and men 39.3% depending on gender,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In contra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depending on age (p<.000). Finally, a one-way var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key variables due to utilization behavior, and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age time per day, and the average of less than an hour for cognitive behavior was the highest (p<.05). In addition, for emotional attitudes, oral intentions, and intentions of purchase, the average of more than 2 hours and less than 3 hours was the highest (p<.00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connections, with the highest mean of 1-3 times for cognitive behavior (p<.05), emotional attitude, oral intentions, and intention to purchase were the highest average of 7-9 times (p<.001).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of failing to clearly present the psychological type cause of SNS consumers as the part of the advertisement's attributes (the reason for the change in behavior) has not been clearly reveal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SNS advertisements by media. Nevertheless,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first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more efficient advertising approach and to compare the purchase path and impact of beauty services and products through programmatic advertisements, limited to four types of SNS media.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it will use SNS platform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to build diversity and efficiency, attract and manage potential customers in marketing strategies, and finally lay the foundation for using SNS as a means of generating profits for companies. 광고와 기술이 접목된 ADTech기반과 함께 디지털광고의 주력 시장이 모바일로 무게 중심을 옮겨 가면서 새로운 광고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다. 그 중에서 최근 연구자가 관심을 끄는 것이 ‘프로그래매틱 광고 (Programmatic Advertising)’이다. 프로그래매틱 광고는 모바일 이용자의 검색경로를 분석하여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이는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의 판매/구매 과정과 관여되어있다. 네이버의 경우는 ‘네이버 검색창의 최근 검색어’ 및 ‘기사자료를 볼 때 뜨는 배너광고’를 사례로 들 수 있으며, 카카오의 예로는 ‘카카오페이지 광고 맞춤설정’을 통해 ‘캐시받기’로 구매하여 이용하는 사례와, 페이스북의 예로는 ‘피드에 추천게시물이 뜨는 현상’이며, 마지막으로 인스타그램에서는 ‘돋보기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나오는 인기게시물’이다. 인기게시물은 자주 클릭하는 이용자의 취향을 시스템 내에서 파악하여 맞춤형 게시물광고가 뜨는 현상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SNS매체별 프로그래매틱 광고를 통하여 뷰티 서비스 및 제품의 이용·구매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SNS 광고특성과 뷰티서비스·제품의 인지적, 감정적 태도와 구전의도 및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각 매체별(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의 매개 효과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발단은 최근 모바일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SNS를 통하여 제품 및 서비스를 홍보를 하는 마케팅 광고가 우세됨으로써 SNS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지만 확산성을 중요시 하는 SNS 마케팅 연구들이 많은 것에 비해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광고를 집행하여 쉽게 노출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프로그래매틱 광고에 대한 연구는 사실상 많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활발히 성장하고 있는 SNS 기반 모바일 어플레케이션에 나타난 광고유형을 분석함과 동시에 프로그래매틱 광고유형의 효율적인 경영성과를 창출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뷰티서비스산업의 경쟁력 및 강화방안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연구표본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조사대상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이용이 가능한 10대 – 50대 남녀를 대상으로 총 70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으며, SNS광고를 통해 뷰티서비스이용 및 뷰티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특정대상자를 분류하여 총 44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SNS 서비스 이용 고객이 지각한 SNS 매체별 광고특성이 소비자의 광고태도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모바일 하루사용 시간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볼때, 성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여자의 경우 3시간 이상의 비중이 68.3%, 남성의 경우 3시간 이상이 48.5%로 나타나 연령에 따라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p<.000). 셋째, 하루평균 SNS방문접속 횟수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는 10회이상이 54.8%, 남자는 39.3%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에 반해 연령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p<.000). 최종적으로 이용행동에 따른 주요변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하루 사용시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인지적 태도의 경우 1시간 미만의 평균이 가장높게 나타났다(p<.05). 또한 감정적태도, 구전의도, 구매의도의 경우 2시간 이상-3시간 미만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접속횟수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인지적태도의 경우 1-3회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p<.05), 감정적 태도와 구전의도, 구매의도는 7-9회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본 연구는 SNS광고를 매체별로 비교분석하여 진행함으로써 광고속성에 대한 부분(행동변화의 이유)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아 SNS 소비자의 심리적 유형원인을 명확히 제시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래매틱의 개념을 정립하여 보다 효율적인 광고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함과 필수요소가 된 SNS매체를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4개의 유형별로 한정하여 프로그래매틱 광고를 통한 뷰티서비스· 제품의 구매경로와 영향을 비교분석한 연구는 처음 진행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를 바탕으로 뷰티서비스산업 분야에서 SNS플랫폼을 활용하여 다양성과 효율성을 구축하고 마케팅 전략에 있어서 잠재고객유치 및 관리, 최종적으로는 기업의 이익 창출 수단으로 SNS를 활용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미용 서비스 종사자(헤어)의 성격유형별 서비스 지향성과 고객 지향성의 관계 : MBTI를 중심으로

        박선영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271

        오늘날 사회가 변화하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서비스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이 중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미를 추구하려는 욕구가 높아짐으로써 미용의 필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미용 서비스업에서의 고객은 특히 기업이 가질 수 있는 가장 주요한 자산으로 이것을 유지하는 방법은 미용 서비스 질의 향상을 통한 고객 만족을 높이는 것이다. 미용 산업은 인적 자원의 의존도가 높아 외부 고객에 대한 관심만큼이나 접점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부 고객, 즉 종사원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미용 서비스업 종사자의 서비스 지향적 태도가 고객 만족과 행동에 결정적 요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러한 행동이나 태도는 훈련이나 교육 등을 통해서 변화되고 나타나기도 하지만, 인간이 가진 개별적인 성격 특성과도 관련이 있다고 사료된다.미용 서비스업에서 차지하는 서비스 지향성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서비스 지향성의 개념과 구성 요인들을 알아보고 미용 서비스업 종사자의 성격유형과 서비스 지향성, 고객 지향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 지향성과 고객 지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것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운 후 연구 하였다. 본 연구는 성격 특성 평점 척도인 MBTI를 이용하여 16개의 성격유형과 4개의 선호 경향으로 구성되어 잠재되어 있는 선천적 심리 경향을 찾은 후, 미용 서비스업 종사자의 일반화 되어 있는 성격유형을 도출해 내었다. 또한 이러한 성격유형에 따른 서비스 지향성과 고객 지향성의 차이를 분석하여 미용 서비스업 종사자들의 서비스 지향성 교육에 유효한 기초 자료가 되어 미용 서비스업의 내부 마케팅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미용 서비스업 종사자의 성격유형이 서비스 지향성과 고객 지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 조사법을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통계 처리하여 분석, 정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6.0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미용 서비스업 종사자들의 성격유형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한 빈도 분석, 둘째, 서비스 지향성과 고객 지향성의 차원을 알아보기 위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에는 주성분 분석과 Varimax 회전 방법이 사용되었다. 셋째, 미용 서비스업 종사자의 MBTI성격유형에 따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교차 분석(χ²-test), 넷째, 미용 서비스업 종사자의 MBTI성격유형에 따라 서비스 지향성과 고객 지향성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t-test와 분산분석, 다섯째, 서비스 지향성이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 회귀분석, 여섯째, 미용 서비스업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서비스 지향성과 고객 지향성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산분석의 경우 사후 검정으로 Duncan Test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성격유형의 변수를 선호 지표별, 기능별, 기질별, 16가지 성격유형별 군집으로 나누어 집단화 하였다. 둘째, 미용 서비스업 종사자의 성격유형에 대해 분석한 결과, 외향, 감각, 감정, 인식형, SF, NF, SP, ENFP, ESFP가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의 특성상 외형적이고 오감에 의해 실제의 경험을 중시하는 감각적 성향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서비스 지향성에 대한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3개의 요인(서비스 리더십, 서비스 접점, 자발적 서비스 노력)이 도출 되었다. 넷째, MBTI 유형별 서비스 지향성, 고객 지향성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서비스 리더십 요인에서는 MBTI 고 비율 집단인 ENFP, ESFP가 MBTI 저 비율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서비스 접점 요인에서는 선호 유형 중 외향과 고 비율 집단인 ENFP, ESFP에서 높게 나타났다. 자발적 서비스 노력 요인 에서는 선호 유형 중 외향(E)―내향(I)과 기능별 성격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MBTI 유형별 고객 지향성과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서비스 지향성이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49.5%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접점 요인, 서비스 리더십 요인, 자발적 서비스 노력 요인의 순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미용업의 서비스 지향성이 높을수록 종사자들의 고객 지향적인 서비스가 높게 나타나 충성도 높은 고객의 창출로 이어지며 고객 만족을 통한 미용 서비스업 경영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여섯째, 미용 서비스업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지향성과 고객 지향성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연령, 직위, 근속년수, 직무 성과, 근무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앞으로 미용 서비스업 종사자의 성격유형에 맞는 효율적인 내부 마케팅으로 고객 지향적 서비스 지향성의 교육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며 미용 서비스업 종사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Today, the importance of service industries increases as the world and technologies are developed. Especially, a beauty treatment is coming into the picture as the interest about life quality is heightened and the desire to seek the beauty. Customer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is the most important asset. For keeping the customers, the customer satisfaction should be raised by improving a service quality. The beauty industry should be concerned with internal customers, i.e. employees as well as external customers because the dependence of human resources is high. It means the service-oriented attitudes of the beauty industry employees has a critical influenc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These attitudes may be changed and revealed by education and training. However, they must b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nature. This paper present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the service orient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the type of characteristics of service industry employees, service orient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This paper assumes that these can be changed 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is paper finds out an inborn psychological tendency which is composed of 16 character types and 4 preference types using a psychometric questionnaire, MBTI and concludes generalized character types of employees in a beauty industry. Additionally, the difference between a service orientation and a customer orientation is analyzed according to these character types and this helps an internal marketing in a beauty industry because it is used to educate beauty industry employees. The data analysis is evaluated by SPSS 16.0 and the detailed analyses are as follows: 1) a frequent analysis for finding 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distribution of the character types of employees in a beauty industry, 2) two factorial analyses (component analysis and varimax revolution analysis) and a reliability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rvice orientation and a customer orientation, 3) a cross analysis (χ²-test) for finding out a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MBTI character types of employees in a beauty industry, 4) a t-test and a distribution analysis for finding out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of a service orient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according to MBTI character types of employees in a beauty industry, 5)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finding out whether a service orientation influences on a customer orientation, 6) a cross analysis for finding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of a customer orientation and a service orient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in a beauty industry.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are grasped and the character types are grouped into 16 individual types according to preference indices, functions and characters. Second, the character types of employees in a beauty industry are mostly extraversion, sense, emotion, cognition, SF, NF, SP, ENFP and ESFP. We can know that the sensuous tendency which puts emphasis on practical experiences is high because of the natures of the service works. Third, as a result to analyze a service orientation, it results from three factors which influences the service orientation, i.e. service leadership, a service point of contact and a voluntary effort for services. Fourth, as a resul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rvice orientation and a customer orientation according to MBTI types, A leadership factor of ENFP, ESFP in MBTI high ratio group is higher than that in the MBTI low ratio group. There are th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a voluntary effort for a service between External(E) and Internal(I) of a preference type. As a resul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a customer orientation according to MBTI types,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Fifth, the impact of a service orientation on a customer orientation is 49.5%. A service point of contact influences on the service orientation, followed by a service leadership and a voluntary effort for a service. In conclusion, as the service orientation in a beauty industry is high, the customer-oriented service of employees in the industry is also high, which results from keeping valuable customers and increases the outcome of a beauty service by satisfying the customers. Sixth, as a result to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of a service orientation and a customer orient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ees in a beauty service industry, there are som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ages, positions, years of service, achievements and time to work. customer-orient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types of In conclusion, the education for a service-orientation and employee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should be performed as an internal marketing and the consistent interest and concern on employees in the industry are needed.

      • MZ세대 라이프스타일과 개인특성, 자아존중감, 헤어관리행동의 관계

        김아름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4271

        MZ세대는 급변하는 트렌드를 잘 수용하고 이를 사회 주류 문화로 가 장 빠르게 형성시키는 인구집단이며, 뷰티 기업들은 개성을 중시하는 MZ세대를 강력한 소비행동의 주체로 구분하고 있다. MZ세대의 소비자 행동을 깊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삶에 전반적으로 작용하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소비자의 의사결정을 좌우하고 구매 행동에 개입되는 개인의 특성 요소로 자아존중감이 크게 자리 잡고 있다.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개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MZ세대의 특징을 이론적으로 접근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과 개인특성, 자아존중감, 헤어관리행동의 차이를알아보고, 각 요인의 관계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실증조사를 위해 2021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 까지 MZ세대를 대상으로 대면과 비대면 설문으로 실시되었고, 705부가 최종적으로 분석을 위한 자료로 사용되었으며, SPSS 22.0 프로그램을 통한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수 간 관계 파악을 위해 t-test과 일월변량분석, 사후검증 Duncan test,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요약하자면,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은 자아존중감, 개인특성, 헤어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은 개인특성과 헤어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MZ세대의 삶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발생하는 소비특성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MZ세대를 대상으로 서비스와 마케팅을 제공하는 주체의 성장을 도모하며, 뷰티산업 경쟁력 확보 등 고객 지향적인 결과물에 도움을 주는 데 그 의의가있다.

      • 미용종사자의 여가활동 태도가 직무스트레스와 조직 유효성 및 고객 지향성 관계

        김윤선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4271

        국문요약 미용종사자의 여가활동 태도가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 및 고객지향성의 관계 경제구조의 변화와 과학기술의 발달로 삶에 대한 변화가 시작되면서 과거에는 의식주와 같은 기본 생활의 욕구를 채우는 것이 우선이었고, 현대사회에서는 직무외의 시간을 보람 있게 영위하는 삶을 매우 가치 있고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종사자를 대상으로 근무시간 외의 활동인 여가활동의 태도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 및 고객지향성에 어떠한 관계를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종사자의 여가활동을 통하여 근무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미용서비스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검증을 위해 서울, 경기지역에 위치한 미용서비스 산업 종사자 남녀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해 조사한 총 564부 설문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고,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및 분산분석(ANOVA), 회귀분석, 경로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미용종사자의 여가활동 태도, 직무스트레스,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의 타당도 및 신뢰성 분석을 통해 요인분석을 한 결과, 여가활동 태도는 ‘심리적 만족’, ‘자주적 만족’ 두 가지 요인으로 도출 되었고, 직무스트레스는 ‘업무적 스트레스’, ‘공정성 스트레스’ 두 가지 요인으로 도출 되었으며, 조직유효성은 ‘조직몰입’, ‘직무만족’ 두 가지 요인으로 도출 되었다. 고객지향성은 ‘전략적 서비스’, ‘주도적 서비스’ 두 가지 요인으로 도출 되었다. 둘째, 미용종사자의 여가활동 태도가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여가활동 태도는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활동 태도는 조직유효성의 하위요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활동 태도의 하위요인 심리적 만족은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미용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업무적 스트레스에서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가 나타났고, 조직유효성의 하위요인 조직몰입에서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미용종사자의 여가활동의 참여는 조직에 대한 신뢰와 더불어 고객이 만족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미용종사자는 개인의 시간을 활용하여 여가활동을 참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여가활동으로 생활의 활력과 더불어 즐거움, 행복을 찾게 되면서 조직에 대한 신뢰와 일에 대한 성장 및 성취감이 형성되어 업무를 즐기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미용서비스 산업의 만족과 더불어 업무에 대한 만족으로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미용서비스 산업에서는 경영관리에서 제일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미용종사자의 관리를 위하여 개인적인 여가활동이 아닌 조직에서 함께 참여하여 활동할 수 있는 여가활동을 조직적으로 시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