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무용수납가구 디자인을 위한 수납가구 이용행태에 관한 사례연구

        하숙녕 ( Sook Nyung Ha ),신화경 ( Hwa Kyoung Shin ) 상명대학교 디자인硏究所 2006 디자인硏究 Vol.18 No.-

        사무실 환경에 맞는 수납가구의 디자인은 외형도 중요하지만 수납물품에 따른 적합한 가구선택 및 내부디자인이 요구된다. 즉, 업무형태, 수납행태 등에 부합하는 수납가구 디자인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무실 근무자를 대상으로 수납가구의 이용행태와 사용상의 문제점 및 요구를 파악하여 수납가구 디자인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납가구에 대한 사용실태를 파악한다 둘째, 수납가구별 수납행태를 파악한다. 셋째, 수납가구별 요구되는 설계 및 디자인을 파악한다. 수납가구별 이용행태에 관한 사례조사 결과에 의한 수납가구디자인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수납가구의 내부구획 및 단의 높이 등은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의 종류와 관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납가구는 수납물품의 정리 패턴 및 종류에 따라 사용상의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bookcase와 cabinet 등은 내부 단 높이 조절이 요구되며 선반이 휘지 않도록 견고해야 한다. 또한 서랍 처리가 된 경우의 수납가구는 서랍이 너무 세분화 되어 얇은 서랍에 수납할 수 있는 용품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는 배려가 필요하다. -선반이나 서랍 안에도 수납물품을 정리, 보관하는데 필요한 divider(간막이)가 요구되며 divider의 형태는 사용자에 따라 그 칸이나 넓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배려가 있어야 한다. 또한 내부 구획에 의한 수납이 부족하거나 없는 경우에는 에에 대체할 만한 엑세서리를 개발하여 외부에서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 필요하다. -팀구성의 변화와 이동은 수납가구의 재배치 및 수납 물품의 재정리를 요하게 되므로 수납물품의 재배치 및 정리작업에 소용되는 시간절약을 위해 개인용 수납가구에 대한 배려 및 이에 대한 이동성이 디자인에 반영되어야 한다. -수납용 가구의 위치는 대부분 책상 옆에 위치하기를 희망하였으며, 가구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책상과 연결하여 작업면으로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책상면과 연관된 디자인이 필요하다. The design of office furniture requires to be circumspective for both the exterior and interior perspective, meaning that it should be appropriate for the office environment and specious for the filing purpose. In other words, the arrangement of office furniture should be efficient along with specious filing cabinets inside the furniture. Interviewing office workers over problems and requirements on office furniture, I intend to provide the fittest office furniture design. Case study is as follows. First, Identify worker demands to office furniture. Second, case study on the filing usage by furniture. Third, identify the design requirements for each filing system furnitures. In accordance with case studies, the design filing furniture shall be as follows. Inner design (division/height of shelf) of filing furniture is closely linked with what is filed. Given that the filing furniture would be flexible depending on how to file and what to file, shelves of bookcase and cabinet shall not be easily bent but easily convertible in height. However, note that the divided drawer shall not be too narrow to file. For neat arrangement, dividers are necessary for shelf and drawer. The shape of divider shall be flexible, not fixed, so that users can change corresponding to their purpose. Furniture accessory, attachable outside of the furniture, shall be developed in case for lack of inner space. Corporate reshuffle is accompanied by rearrangements of office furniture and filing furniture. As such office furniture design shall reflect portability to save time and efforts regarding the rearrangements. The results of this showed case study that most workers prefer the filing furniture closely located to the desk. For more efficient furniture design, the surface of filing furniture shall be convertible to the extension of the main desk.

      • 디지털 도어락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방향

        유부미 ( Boo Mee Yoo ) 상명대학교 디자인硏究所 2005 디자인硏究 Vol.16 No.-

        모든 사람은 작건 크건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어떤 한 장애를 가진다. 장애의 유무, 연령, 성별, 국적, 인종 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사람들이 즐겁게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생활환경을 계획하는 것을 유니버설 디자인적 개념이라 하며 유니버설 디자인의 영역은 제품, 시설, 도시 등의 눈에 보이는 것으로부터 서비스와 시스템 등 눈에 보이지 않는 것까지 총체적인 것을 포함한다. 모든 것이 상호 관련하여 보완되는 유니버설 디자인 사회를 기대하며 이제까지의 기술 중심적 개발에서 사용자 중심적 개발로 개념의 전환이 필요함을 말한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나이 및 신체적으로 장애가 있는 사람들만을 배려한 디자인이 아니라 세대, 육체적 또는 정신적인 능력, 환경, 성, 문화, 인종 등의 차이에서 오는 다양한 제약에서 벗어나 모든 사람들에게 평등한 혜택을 주며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인간 중심 디자인이다. 즉, 유니버설 디자인은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 개념으로 누구든지 단시간이라도 장애를 겪는 경험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한 것이며 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들을 구분하여 별도로 제품 및 환경을 사용하도록 하고자 함이 아니라 일반인들과의 동일한 사용을 전제로 양자가 모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 디자인 개념을 말한다. 상품에 대한 가치 기준도 상품의 기능을 중시하는 경향에서 사용 편리함을 중시하는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령이나 장애의 유무에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 제품 개발을 위하여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다양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개발을 위하여 사용자의 성향과 사용자의 사용법이 제품 기능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조건이 되어야 한다. 인터페이스와 제품의 핵심 기능을 밀접하게 연관지음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고 중요한 부분은 눈에 쉽게 띄고 일관성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황에 맞는 피드백을 해주어야 한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새로운 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미래의 패러다임을 선도할 수 있는 교두보로서의 역할을 해내면서 기업 이미지를 향상시키며 이윤창출을 극대화하고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생산자적 측면에서 바라본 유니버설 디자인의 효과는 첫째, 상품성 향상으로 사용하기 쉽게 디자인함으로서 판매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둘째, 판매시장 및 계층의 확대로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함으로써 판매율을 향상시키고 셋째, 신규상품의 개발에 있어서 사용자 시점의 상품개발로 신상품을 창출할 수 있으며 넷째, 개발비 절감 실현으로 상품개발 초기 단계부터 사용자의 요구를 수렴하는 디자인을 전개하며 다섯째, 기업이미지 향상으로 고객 중심의 제품 개발로 기업 이미지를 홍보할 수 있으며 여섯째, 사회적 책임의식으로 불특정 다수는 물론 특수계층도 생각하는 책임개발을 하는 기업으로 발전하게 해준다는 것이다. 고기능화 만으로 상품의 차별화를 꾀하는 것은 한계에 달하고 있다. 고객은 고기능보다 사용하기 편리한 점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예술과 공학의 공동발전모형으로 본 환경디자인의 개념에 관한 연구

        한상돈 상명대학교 디자인硏究所 2005 디자인硏究 Vol.16 No.-

        디자인의 영역이 확장되면서 환경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로 부각되고 있다. 환경디자인은 예술-공학의 공동발전을 기할 수 있는 화두로서 여기서는 경제발전적 시각과 문화발전적 시각으로 환경디자인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환경디자인의 바른 이해를 위하여 모더니즘 시대의 3대 거장, Gropius, Le Corbusier, Frank Lloyd Wright의 환경디자인 개념에 대하여 재해석을 시도하였고 포스트모더니즘의 환경디자인에 대하여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디자인 부흥기에 어떻게 환경디자인을 해석할 것인가를 정리하여 미래에 환경디자인이 지향할 바와 그 개념을 정립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논문을 계기로 아직은 완전히 정립되지 않은 환경디자인의 개념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 It comes drastically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design because of the actual design`s renaissance era in Korea. The environmental design should be the co-development methodology for art and engineering. We analyzed this co-development methodology in the economic development view and the cultural development view to figure out the environmental design precisely. We analyzed equally the modernism design concept by the Modernism Maestro, Walter Gropius, Le Corbusier and Frank Lloyd Wright. We analyzed also Post-modernism design because we are in Post-modernism design era actually. In conclusion, we try to arrange the environmental design concept in the actual design`s renaissance era in Korea. We hope this thesis could be a important step to arrange the environmental design concept and develop environmental design in this era.

      • 중학교 미술교육의 친환경디자인 개념 연구

        유부미 ( Boo Mee Yoo ) 상명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09 디자인硏究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미술교육의 친환경디자인 개념을 정립하여 친환경디자인을 교육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다. 친환경디자인은 자연의 보호와 순환을 위한 사회를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제는 국가 단위를 넘어서 전 세계적인 환경의 보존과 에너지를 논하는 차원으로 발전하였다. 산업사회 중심적인 디자인의 개념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과 우리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디자인에 관한 개념으로, 디자인 가치에 대한 의식의 변혁이 요구된다. 환경과의 조화를 위한 디자인은 자원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는 것으로 집약할 수 있으며 디자인의 계획, 설계를 포함하는 개발과정을 거쳐서 유지 보수 및 폐기 그리고 재사용이나 재활용에 이르는 전 과정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친환경디자인은 최종 산물에 필요한 재료와 공정에 관한 문제에 책임 있는 선택을 하는 것으로 디자인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친환경디자인을 위한 목표를 설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교육을 통한 친환경디자인에 대한 올바른 안목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현재 우리가 지니고 있는 문제를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해결방법을 찾아보도록 한다. 거시적 관점에서 친환경디자인을 이해함으로써 친환경디자인의 가치를 인식하고 지속적인 디자인 교육을 통한 사회적 파급효과를 기대한다. This study seeks to establish an eco-friendly design concept for arts education in middle school an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such education in eco-friendly design. The purpose of eco-friendly design lies in the realization of a society that conserves natural resources and respects the natural cycle, and has developed to such a level in which the entire world and not merely a single nation is involved in address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energy issues. It requires revolutionizing our awareness of the value of design from an industry-oriented one into one that is centered on protecting the environment and ourselves. Design that is in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may be summarized as one that minimizes the use of nature and energy. It also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entire course of the development process involving design planning and layout, maintenance, and disposal, as well as reuse and recycling. An eco-friendly design entails the responsible selection of material and processes necessary for the final product. Establishing its goal, therefore, is a prerequisite to the implementation of eco-friendly design.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form a correct view of eco-friendly design through education. Accordingly, solutions to such an issue will be first approached by identifying the issues we currently face. It is expected that an understanding of eco-friendly design from a macroscopic viewpoint will help recognize the value of eco-friendly design with social ripple effects through consistent design education.

      • 할인점 시장에서 디자인 중심의 경영 혁신을 내세운 타겟의 성공 사례 연구

        이원제 ( Won Je Yi ) 상명대학교 디자인硏究所 2007 디자인硏究 Vol.19 No.-

        소비자의 소득수준, 개성과 생활양식, 가치관, 경제 환경, 즐거움 등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공간이기도 한 할인점 업계는 로열티가 높은 소비자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아이디어 경쟁이 일어나는 곳이기도 하다. 할인점 타겟은 이러한 대내외 환경 가운데 디자인 중심의 경영이라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부동의 1위 월마트를 위협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디자이너들과 타겟만의 디자인 중심의 조직과 문화가 있었다. 따라서 유통시장에서 혁신적인 디자인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는 타겟의 사례연구를 통해 디자인 중심의 경영이 어떠한 형태로 이뤄지고 있는지 그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주로 타겟사의 정기간행물, 논문, 국내외 서적, 매체 등의 자료조사와 현장방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국내외 할인점의 유형과 발전 사항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타겟이 취급하는 제품, 매장, 디스플레이, 제휴카드 그리고 광고를 통해 디자인 중심의 비니지스 철학을 보여주는 여러 사례와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나타난 타겟의 디자인 중심의 경영혁신성공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고 이러한 타겟에 대해 연구된 사례를 통해 통합이미지경영(TIM) 모델에 비추어 그 장단점을 분석해봤다. 결론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된 타겟의 경영사례 분석을 통해 CEO의 확고한 디자인 마인드, 디자인을 제품전략의 출발점으로 인식, 소비자를 선도하는 디자인제품이나 문화제공, 독립적인 디자인팀 운영 등 디자인 중심의 경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In discount store business, which is a space representing consumers` lifestyle in terms of their income level, personality, mode of living, value system, economic environment and pleasure, intensive competition is taking place for attracting consumers with high loyalty through new ideas and changes. In the middle of such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however, discount store Target is adopting a differentiate strategy, which is design-centered management. Thu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make a case study of Target displaying innovating design leadership in the distribution market and to examine the pattern and direction of design-centered management. Target is a foreign enterprise that is not running business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surveys using annual reports, foreign books and theses, periodicals, magazines and media related to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conomy. Types and development of discount stores, Although it is a distributor, Target reveals its design-centered business philosophy through its items, counter display, affiliated credit card companies, and advertisements. Thus, We examined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Target`s design-centered management by reviewingand interpreting previous case studies through the TIM business process of enterprise image management. Through the case study of Target`s design-centered management. Based on the case study of Target`s design-centered management and the change of external environment, we suggest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design-centered management as follows.

      • 환경디자인: 새로운 디자인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새로운 디자인 패러다임: "인간-환경 상호작용"

        한상돈 ( Sang Done Hahn ) 상명대학교 디자인硏究所 2005 디자인硏究 Vol.16 No.-

        In moden era, we are in the new age of design. In Korea, we are in the "belle epoque" of design especially. How can we prepare the future of 21st century in the "belle epoque" of design in Korea? We propose the presentation of environmental design concept as a new design paradigm in the "belle epoque". We need the wide concept of design for preparing the future design concept. We define the environmental design concept for developing the art and the engineering at the same time. In this point, We`ve to mention about the new design methodology of environmental design as like a organic methodology of design. We want to underline the environmental design concept for co-development of th art and engineering. We can divide the environmental design in two concepts by the economic and cultural view and in three aspects by the micro, meso and macro aspects. The environmental design i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for the future concept of design. So, the designers have to define the environmental design as a new design paradigm and conceptualize the environmental design as a new design aspects for the 21st century. Furthermore, the designers have to prepare the future design concept as a new methodology for developing the country. This thesis is dedicated on the efforts for conceptualizing the environmental design and preparing the new age of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