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우주론적 신 현존 증명의 사변적 의미 -헤겔의 1829년 강의 원고를 중심으로-

        남기호 ( Nahm¸ Ki-ho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2 가톨릭철학 Vol.0 No.19

        평생 종교적 주제를 떠난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헤겔은 자신의 종교철학을 비교적 뒤늦게야 완성시킬 수 있었다. 특히 1829년 강의와 동시에 출판을 목적으로 저술된 「신 현존 증명들에 대한 강의들」은 비록 미완의 저술이긴 하지만 그가 대표적인 이 종교철학적 주제를 어떻게 구상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 글은 여기서 다루어진 우주론적 신 현존 증명의 사변적 의미를 고찰한다. 우연한 것에서 절대 필연적인 것에로 추론하는 우주론적 증명의 근본 결점은 전제에서 우연한 것을 절대 필연적인 것과의 연관 밖에 있는 자립적인 존재자로 정립한다는 데 있다. 그러나 우연한 것은 절대 필연적인 것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우연한 것이다. 따라서 이 의존성을 우연한 것 자체에 내재하는 부정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통찰이 중요하다. 우연한 것의 의존성은 자신의 타자인 절대 필연적인 것과의 완전한 결합의 결핍 속에서만 존재한다는 모순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존재론적 모순 속에서 우연한 것은 부정적인 것으로서의 자신의 우연성의 부정을 통해서만 존재한다. 바로 이 부정의 부정을 통해 절대 필연적인 것은 우연한 것의 내재적 존재 근거로 밝혀진다. 절대 필연적인 것의 관점에서 보자면 이 과정은 자신의 타자존재의 부정을 통해 매개되는 자기 자신과의 매개이다. 헤겔은 이 과정을 우연한 세계의 내재적 필연성을 밝히는 모든 학문적 인식함의 과정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우주론적 증명의 내용적 완결은 끝없이 진행될 수밖에 없는 이 인식함의 과정에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우연한 것 전체의 존재 근거로서 절대 필연적인 것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형식적으로 충분히 논증가능하다. 이렇게 사변적으로 이해된 우주론적 증명은 궁극적으로 인식과 믿음, 철학과 종교를 다시 화해시키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Obwohl Hegel zu Lebzeiten religiöse Themen nicht verlassen hatte, konnte seine Religionsphilosophie erst zu spät zur Vollendung kommen. Insbesondere sein Manuskript, Vorlesungen über die Beweise vom Daseyn Gottes, das zugleich mit dem Kolleg von 1829 zwecks der Publikation abgefasst wurde, zeigt nicht vollkommen, aber deutlich, wie er dieses typische Thema der Religionsphilosophie konzipiert. Dieser Aufsatz unterzieht die spekulative Bedeutung des hierin behandelten kosmologischen Beweises vom Dasein Gottes der Betrachtung. Der Grundfehler des kosmologischen Beweises, der vom Zufälligen zum absolut Notwendigen übergeht, liegt darin, dass das Zufällige in der Prämisse als selbstständig Seiendes außer dem Zusammengang mit dem absolut Notwendigen gesetzt ist. Aber eben darum, weil es vom absolut Notwendigen abhängig ist, ist es zufällig. Vor allem ist von großem Belang, die Abhängigkeit als das dem immanent Negative einzusehen, das nur aus dem Widerspruch entspringt, dass es im Mangel am vollkommenen Zusammenhang mit dem absolut Notwendigen besteht. In diesem ontologischen Widerspruch ist es vermittelt der Negation seiner Zufälligkeit als des Negativen. Eben hierdurch kommt das absolut Notwendige als der immanente Seinsgrund des Zufälligen zutage. Vom Standpunkt des absolut Notwendigen aus gesehen ist dieser Prozess die Vermittlung mit sich selbst vermittelt der Negation seines Andersseins. Hegel fasst den Prozess als den Vorgang alles wissenschaftlichen Erkennens auf, das Aufmerksamkeit auf die immanente Notwendigkeit der zufälligen Welt richtet. In diesem endlosen Vorgang besteht die inhaltliche Vollendung des kosmologischen Beweises. Trotzdem ist formaliter suffizient beweisbar, dass innerhalb des Vorgangs das absolut Notwendige als der Seinsgrund des Zufälligen im Ganzen sein muss. So spekulativ verstanden lässt sich der kosmologische Beweis als ein Versuch ansehen, Erkennen mit Glauben, Philosophie mit Religion wieder zu versöhnen.

      • KCI등재
      • KCI등재

        독일 고전철학의 자연법(Naturrecht) 개념

        남기호(KiHo Nahm) 한국사회이론학회 2018 사회이론 Vol.- No.54

        국가 이론의 기초로서 기능했던 자연법 이론은 서양 사상사의 지속적인 연구 대상이었다. 이 글은 칸트, 피히테, 셸링, 헤겔로 대표되는 독일 고전철학에서의 자연법 개념을 그 문자적 어원과 함께 철학적 함의의 측면에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자연법(Naturrecht) 개념은 푸펜도르프의 구분 이전까지는 자연법칙(Naturgesetz) 개념과 자주 혼용되었다. 자연법칙이 자연에 정립된 필연적 본성이라 한다면, 자연법은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에게 정립된 필연적 본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자연법에 따라 인간 자신이 정립한 공동체의 현행 규범들은 실정법 내지 법률이라 불린다. 따라서 자연법 개념은 실정법 제정의 기초로서 비판 또는 정당화 기능을 지닌다. 자연법은 인간에게 본성적으로 속하는 것을 마땅히 보장하는 법(Recht)이자 이러한 보장을 받는 자의 당연한 권리(Recht)이기 때문이다. 칸트, 피히테 그리고 헤겔은 인간적 본성의 법으로서 자연법 이론을 전개한 반면, 셸링은 인간적 본성의 실천 철학적 실현과정으로서 자연권 이론을 연역했으나 새로운 학문으로 구체화하진 못했다. 칸트를 제외한다면 줄곧 적극적인 비판 기능을 수행했던 자연법 이론은 그러나 그 이론적 편차와 시의적 부적실성으로 인해 독일 고전철학 후기에 몰락의 길에 접어들게 된다. The Theory of Natural Law(Naturrecht) as foundation of state theory was one of continued themes of research in the history of western thought. This article tries to consider the concept of Naturrecht in classical German philosophy with its literal etymology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 Until the division of Pufendorf, the concept of Naturrecht was often used mingled with the concept of Naturgesetz(Law of Nature). If Naturgesetz is the necessary nature set in natural things, Naturrecht can be defined as the necessary nature set in human beings as rational. The current norms of community established by human beings themselves according to this Naturrecht are called positive laws(positive Rechte oder Gesetze). Therefore, the concept of Naturrecht has critical or justifying function as the basis of enactment of positive laws. Because Naturrecht is the law(Recht) which ensures deservedly what belongs naturally to human beings, as well as the just right(Recht) of the insured. Kant, Fichte and Hegel developed the theory of Naturrecht as Recht of human nature, whereas Schelling deduced the theory of Naturrecht as practical-philosophical process of realizing human nature, but could not shape it into a new science(neue Wissenschaft). But the theory of Naturrecht which played constantly the active critical role except for Kant, headed for a downfall, because of theoretical deviation and timely inaccuracy in the late classical German philosophy.

      • KCI등재

        도덕적 세계관의 부도덕성 - 『정신현상학』에서 헤겔의 칸트적 도덕성 비판 -

        남기호 ( Nahm Kiho ) 한국헤겔학회 2021 헤겔연구 Vol.- No.50

        헤겔은 『정신현상학』에서 프랑스 혁명에 대한 비판적 반성을 통해 도달한 정신의 단계를 도덕적 세계관이라 부른다. 이 글은 이에 대한 해석적 재구성과 비판적 조명을 시도하고자 한다. 도덕적 세계관은 칸트 이후의 전반적인 정신적 경향으로서 자신의 개별적 직접성을 지양하고 보편타당한 의지를 도모할 줄 아는 의식의 세계관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관은 도덕성과 자연의 이원론에서 출발하기에 다양한 모순들의 보금자리이기도 하다. 헤겔은 이 모순들을 자신 나름의 방식으로 해석한 칸트의 요청들 즉 도덕성과 행복의 조화, 도덕성과 감성의 조화 그리고 세계의 지배자로서의 신에 대한 요청들로 분석한다. 이에 따르면 의식은 피안의 존재로 요청된 조화를 전제하면서도 바로 이 조화를 현실적으로 실현하는 행위 속에서 요청들을 외면할 수밖에 없다. 또는 유한자의 도덕적 미완성과 요청된 조화의 완전성에 입각해 자신의 감성적 행위를 부정할 수밖에 없다. 이로부터 의식의 온갖 시미치떼기가 발생한다. 결국 이렇게 혁명으로 폐허가 된 인간 삶의 재건설 가능성을 칸트적인 도덕관으로 모색하던 의식은 요청된 완성에도 미완의 행위에도 그렇다고 그 중간상태에도 머물지 못하는 미결정의 트리렘마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 헤겔의 진단이다. In the Phenomenology of Spirit, Hegel calls the stage of Geist reached through critical reflection on the French Revolution as the moral world view, which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tically reconstruct and critically estimate. The moral world view is, as the general cultural atmosphere after Kant, the world view of consciousness that can sublate his own individual immediacy and promote the universally valid will. However, this world view on the basis of dualism between morality and nature is also the nest of various contradictions. Hegel, per his own interpretation, analyzes these as Kant’s postulates of the harmony between morality and happiness, the harmony between morality and sensibility, and the God as the ruler of the world. According to this, although presupposing the postulated harmonies as being beyond, consciousness cannot help but to ignore the postulates just in its own act of realizing these harmonies actually. Or, from the viewpoint of its own moral imperfection and the completeness of the postulates harmonies, it cannot but deny its sensible action. Therefore, it dissimulates in various ways. Finally, as Hegel diagnoses, the consciousness that seeks the possibility to rebuild human life ruined by the revolution with the Kantian moral view comes to fall into an indecisive trilemma of the postulated completeness, the imperfect action, and the intermediate state.

      • KCI등재

        헤겔 법철학에서 사회적 국가의 기초와 애국심

        남기호 ( Ki Ho Nahm ) 한국헤겔학회 2015 헤겔연구 Vol.0 No.38

        이 글은 헤겔 법철학에서 사회적 국가의 기초 근거들을 추출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이 근거들로는 법 개념과 인정 연관 그리고 공동체의 선소여성을 들 수 있다. 헤겔은 칸트나 피히테와 달리 법을 자유의지 주체들의 외적 연관이 아니라 내재적으로 자유의지의 현존 그 자체로 정의한다. 이에 따르면 관념적으로나 실재적으로 현존하는 자유의지는 결코 침해되어서는 안 되며, 그 현존이 불가능해지는 모든 상황은 불법이 된다. 자유의지의 자립적 현존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법이 없기에 불법도 없다. 개별자의 생의 위험 앞에 모든 타인들의 권리들은 소멸한다. 이때 의식이론으로서의 인정투쟁 이론은 법철학에서 혁명의 발발을 정당화하는 기능을 한다. 헤겔은 법철학에서 직접 인정투쟁 이론을 전개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에 근거해 자립적 주체들의 법적 인정 연관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혁명이나 현상유지 그 어느 쪽에도 합법성이 부여될 수 없음을 강조한다. 인간은 언제나 자신이 속한 민족이나 국가의 구성원으로 태어난다. 따라서 공동체가 개별자에게 요구하는 만큼 개별자도 공동체 속에서의 존립 권리들을 지닌다. 개인은 언제나 이미 주어진 공동체의 조건들에 적응하고 향유하며 사적 성공을 성취한다. 즉 모든 인간은 자신의 공동체에 대한 기여를 매개로 해서만 사적 이익을 추구할 수 있다. 이는 각자가 자신의 목적을 자유롭게 추구할 수 있는 공동체의 보편적 제도들을 잘 갖추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를 통해 헤겔의 사회적 국가의 기초 근거들은 보편적 복지 국가의 모델로까지 발전할 수 있다. 자유가 각자의 일상적 삶의 연관을 통해 보편적으로 보장되는 이러한 국가에 대한 정치적 성품으로서 헤겔은 보편적 애국심을 제안한다. Dieser Aufsatz beabsichtigt Grunde fur den Sozialstaat aus der Hegelschen Rechtsphilosophie auszuziehen und einzuschatzen. Als solche Grunde sind Rechtsbegriff, Anerkennungsverhaltnis und Vorgegebenheit der Gemeinschaft anzugeben. Anders als Kant oder Fichte definiert Hegel das Recht nicht als das außere Verhaltnis der freiwilligen Subjekte, sondern immanenterweise als das Dasein selbst des freien Willens. Demgemaß soll der sowohl idealiter als auch realiter da seiende freie Wille auf keinen Fall verletzt werden, und alle Umstande, in denen dessen Dasein unmoglich ist, werden zu Unrecht. Wo das selbstandige Dasein des freien Willens unmoglich ist, besteht kein Recht, deshalb auch kein Unrecht. Vor der Lebensgefahr des Einzelnen verschwinden Rechte aller anderen. Aus diesem Grunde spielt die Lehre vom Anerkennungskampf die Rolle, in der Hegelschen Rechtsphilosophie den Ausbruch der Revolution zu rechtfertigen. Hegel entfaltet in seiner Rechtsphilosophie zwar nicht unmittelbar jene Lehre, allein betont vor ihrem Hintergrund, dass die grundsatzliche Gerechtigkeit weder fur die Seite von Revolution noch fur die Seite von Status quo hergestellt werden kann. Des Weiteren wird jeder Mensch immer als ein Mitglied eines bestimmten Volkes bzw. Staates. Deshalb hat jeder Einzelne so viele Rechte zum Bestehen auf seine Gemeinschaft, wie sie Anspruche an ihn hat. Jeder kann lediglich vermittels seines Beitrags zur Gemeinschaft sein Privatinteresse verfolgen. Die Bedingung dafur ist namlich, dass die Gemeinschaft mit den allgemeinen Institutionen gut ausgestattet wird, vermittels deren jeder seinen eigenen Zweck frei in die Tat umsetzen kann. Demzufolge lassen sich die Grunde fur den Sozialstaat bei Hegel zu einem Modell fur den allgemeinen Wohlfahrtsstaat entwickeln. Als die politische Gesinnung gegenuber einem solchen Staat, in dem die Freiheit des jeden in den alltaglichen Lebensverhaltnissen allgemein garantiert wird, definiert Hegel eben den allgemeinen Patriotismus.

      • KCI등재

        논문 : 칼 슈미트의 국가론에서의 리바이어던 -그 정치적 상징의 오용과 홉스의 정치철학적 의의-

        남기호 ( Ki Ho Nah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5 시대와 철학 Vol.26 No.4

        칼 슈미트의 『토마스 홉스의 국가론에서의 리바이어던』(1938)은 그의 나치 협력 이전 이론으로의 복귀로 평가되곤 한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한 분석을통해 그의 기본 이론이 이미 독재 및 나치와의 협력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음을 밝히고, 아울러 홉스 정치철학의 현재적 의미를 되살리고자 한다. 이 저서에서 슈미트는 무엇보다 거대한 국가 기계를 상징하는 홉스의 리바이어던이 그의 개인주의적 요소들 때문에 실패했다고 평가한다. 슈미트가 거론하는 개인주의적 요소들은 원자화된 개별자들의 다원주의적 자연 상태, 무정부주의적 사회계약, 종교적 판단 및 법률적 사유의 사적 자유 영역 인정 등이다. 이 때문에 주권적 결단이 중요시되는 홉스의 국가는 간접 권력들의 무정부가능성을 극복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슈미트의 이러한 비판은 자신이 구상한권위 있는 결단을 독점하는 주권자 중심의 총체국가에 그 궁극 의도가 있다. 그러나 홉스의 국가론은 극단적 개인주의가 극단적 전체주의와 하나의체계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의 자연 상태는 생존권 보장이 없는 만인의 투쟁을 절대적 자연권으로 인정한 것으로서 국가 형성 이후에도 저항권으로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더구나 군주의 권위(authority)은 본인(author)인 백성들의 자연권을 기계적으로 실현하리라는 낙관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다. 슈미트는 개인주의가 극단화될 때 초래될 수 있는 전체주의의 위험을위험으로 보지 않으며 오히려 국가 총체성의 확보를 위해 내면의 자유까지도흡수하는 개인주의와 자유주의의 절멸을 원한다. 이 때문에 그는 홉스에게서권위의 기원에 대해 묻지 않으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결코 철회될 수 없는 만인의 절대적 자연권 즉 인권의 기초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Carl Schmitt` The Leviathan in the State Theory of Thomas Hobbes(1938) is now and then regarded as his return to theoretical positions before his cooperation with Nazis. This paper tries to reveal per analysis of the treatise that his foundational theory already implies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with dictatorship or Nazis, and to revive the presentive meaning of Hobbes` political philosophy. In the treatise Schmitt estimates above all that Hobbes` Leviathan as symbol of huge machine-state failed because of his individualistic elements, for instance, the pluralistic state of nature out of atomized individuals, the anarchist covenant, the recognition of private liberty for religious judgement and juristic thinking. On this account Hobbes` commonwealth, in which the sovereign decision is of key importance, is nevertheless not able to overcome the possibility of anarchy from indirect powers. This criticism of Schmitt intends ultimately to conceptualize the total state, in which the sovereign monopolizes authorized decisions. But the state theory of Hobbes should be considered as one system of radical individualism with radical totalitarianism. According to him, in the state of nature is the struggle as the absolute right of nature recognized to everyone without guarantee of safe life. Thus, there is always room for the right of resistance after construction of state. Besides, his state theory is based on optimism, in that the authority of prince realizes automatically the natural rights of subjects as authors. Schmitt does not count as danger the totalism, which could be brought about from the extremization of individualism, but longs rather for complete extermination of individualism and liberalism inclusive of inner freedom, in oder to establish the totality of state. Therefore, he neither asks Hobbes about the origin of authority, nor mentions the foundation of human right as absolute right of nature given to everyone, which is never in any situations revocable.

      • KCI등재

        논문 : 헤겔의 형벌이론에서의 사형제 폐지 가능성

        남기호 ( Ki Ho Nah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1 시대와 철학 Vol.22 No.3

        사형 규정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대표적인 형벌이론은 응보이론이다. 응보는 개념적으로 복수에서 기원하기 때문에 오늘날에도 많은 설득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글은 역으로 바로 응보이론을 통하여 사형의 폐지 가능성에 천착해 보고자 한다. 헤겔 법철학은 자신의 응보이론을 체계화하면서 사형의 대체 형벌 가능성에 도달한 좋은 본보기를 보여준다. 응보 원리에 따르면 형벌은 일차적 강제로서의 범죄가 행해졌을 경우에만 이차적 강제로서 부과된다. 강제는 개념적으로 모두의 자유의지의 현존을 침해하는 범죄자의 자유의지의 현존이기에 그 자체가 모순적이다. 이러한 모순은 비록 범죄자의 의지에 대한 것이라 해도 이차 강제로서의 응보에도 포함된다. 응보적 형벌 또한 범죄자가 자신의 침해 의지를 보편화하는 한 그의 자유의지의 현존을 침해하는 모두의 자유의지의 현존이다. 자유의지의 현존은 헤겔에 따르면 바로 법이기에 응보는 불법을 자신의 내용으로 하는 법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응보가 대상으로 하는 것이 자유의지의 외적 현존일 수밖에 없다는 점에 있다. 의지 또는 사유의 자유 자체는 존재론적으로 결코 강제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응보의 실행은 외적 범죄 침해에 대한 경험적 고려를 필연적으로 수반한다. 그러나 이를 통한 형벌 규정은 결코 응보 개념에 충전적일 수 없다. 개념적 보편을 완전히 실현하는 경험적 개별자란 없기 때문이다. 형벌 규정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것은 바로 응보적 정의와 자기 확실성을 함축하는 민족의 교양 수준이다. 안정된 사회일수록 범죄 피해는 개별적인 것으로만 남기에 이에 따른 형벌도 점점 완화된다는 것이 응보 실행에 대한 헤겔의 기본 관점이다. 더 나아가 참된 응보의 대상은 외적 범죄 피해가 아니라 바로 그 피해를 초래한 범죄자의 악한 의지여야 한다. 따라서 자유의지의 현존을 무화한 살인에 대해 사형으로 응보하는 것은 외적 침해에 대한 복수에 머무를 뿐 진정한 응보의 목적을 성취한 것이라 보기 어렵다. 응보의 궁극 목적이 범죄 의지의 자기 지양에 있다면 형벌은 삶의 보편적 토대를 보장하면서 자기반성의 계기를 마련해 주는 것이어야 한다. 이로써 헤겔의 응보이론은 범죄자의 개선을 위한 사형의 대체 형벌 가능성에 이르게 된다. 응보의 참된 목적이 바로 여기에 있다면 사형제는 궁극적으로 폐지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다. Die reprasentative Lehre der Strafe, die fur die Notwendigkeit der Todesstrafe spricht, ist die Wiedervergeltungslehre. Die Wiedervergeltung findet viel Beifall, in der Hinsicht, dass deren begriffliche Urspruch Rache ist. Aber dieser Aufsatz ist ausgerichtet auf die Abschaffbarkeit der Todesstrafe umgekehrt eben durch die Wiedervergeltungslehre. Hierfur ist Hegels Rechtsphilosophie ein gutes Vorbild, in dem Punkt, dass sie durch die Systematisierung der Wiedervergeltungslehre zur Ersetzbarkeit der Todesstrafe gelangt. Nach dieser Lehre wird die Strafe nur dann als zweiter Zwang aufgelegt, wenn das Verbrechen als erster Zwang begangen wurde. Der Zwang ist begrifflich als das Dasein des freien Willens des Verbrechers, der das Dasein desfreien Willens aller verletzt, in sich widerspruchlich. Dieser Widerspruch ist in der Wiedervergeltung enthalten, obwohl als zweiter Zwang gegenuber dem verbrecherischen Willen. Die retributive Strafe ist auch das Dasein des freien Willens aller, der das Dasein des freien Willens des seinen Willen verallgemeinernden Verbrechers verletzt.Da das Dasein des freien Willens Hegel zufolge eben das Recht ist, ist die Wiedervergeltung als das Recht anzusehen, das das Unrecht zu seinem Inhalt hat. Schwierigkeit bringt es mit sich, dass der Gegenstand der Wiedervergeltung nichts anderes als das außerliche Dasein des freien verbrecherischen Willens sein kann. Denn der Wille bzw. das Denken selbst kann ontologisch uberhaupt nicht gezwungen werden. Demnach muss fur die Vollfuhrung der Wiedervergeltung zwangslaufig empirische Rucksicht auf die außerliche Verletzung des Verbrechens genommen werden. Aber die Bestimmung der Strafe dadurch kann nie dem Begriff der Wiedervergeltung adaquat sein, aus dem Grunde, dass es kein empirisches Einzelnes gibt, das das begriffliche Allgemeine vollstandig realisiert. Deshalb muss bei der Bestimmung der Strafe vor allem die Bildung des Volks berucksichtigt werden, die die retributive Gerechtigkeit und Selbstgewissheit der Gesellschaft impliziert. Dass je sicherer die Gesellschaft ist, umso mehr einzeln der Schaden des Verbrechens bleibt, daher desto milder die Strafe wird, ist Hegels grundlegende Ansicht uber die Vollfuhrung der Wiedervergeltung. Des Weiteren musste der Gegenstand der wahrhaften Wiedervergeltung nicht der außerliche Schaden, sondern vielmehr der Schaden hervorbringende b?se Wille sein. Dann ist die Todesstrafe lediglich eine Rache gegenuber dem außerlichen Schaden, schwierig, den Zweck der echten Wiedervergeltung zu erringen, der nicht zuletzt in der Selbstaufhebung des verbrecherischen Willens liegt. Die Strafe muss nach dem Moment der Selbstreflexion auf der allgemeinen Grundlage des Lebens ausgerichtet sein. Aus diesem Grunde kommt Hegel Ersetzbarkeit derTodesstrafe vorzuschlagen. Wenn der Zweck der wahren Wiedervergeltung eben hierin liegt, dann muss die Todesstrafe endgultig abgeschafft werden.

      • KCI등재

        헤겔 논리학 : 헤겔 『논리의 학』에서의 개념의 개념

        남기호 ( Ki Ho Nahm ) 한국헤겔학회 2012 헤겔연구 Vol.0 No.31

        헤겔은 난해한 개념들을 많이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따라서 그의 개념에 대한 이해는 그의 철학에 접근하는 좋은 방식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글은 헤겔이 『논리의 학』에서 상론한 개념의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논리의 학』의 첫 부분인 객관 논리학은 대상 자체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대상일반의 존재와 본질을 이루는 즉자적 순수 개념을 다룬다. 이 개념은 실체의 상호작용 단계에서 개념 자체로서의 자립성을 획득한다. 그러나 개념의 대자적 자립성은 개념이 그 자체로 있을 수 있는 자아에서만 가능하다. 자아는 대자적 순수 개념 자체이다. 여기서 개념은 그 자체로 보편, 특수, 개별로 다루어진다. 주관 논리학에서 이렇게 고찰되는 개념 자체는 이제 참된 존재로 파악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개념 자체에서 실재적인 것이 연역되어야 한다. 이 연역은 개념과 통일된 더나은 실재성의 산출 조건이기도 하다. 참된 개념은 개념과 실재성의 통일인 이념단계에서 이렇게 실현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헤겔의 개념은 존재를 기준으로 참된 존재의 실현을 목표로 한다. Hegel ist dafur viel bekannt, dass er Gebrauch von manchem heiklen Begriff machte. Deswegen ist das Verstehen von seinem Begriff ein guter Weg zu seiner Philosophie. Dieser Aufsatz beabsichtigt in diesem Hinblick, den Begriff des Begriffes in seiner Wissenschaft der Logik in Betracht zu ziehen. Deren erster Teil, die objektive Logik handelt nicht vom Gegenstand selbst, sondern vom reinen Begriff an sich, aus dem das Sein und Wesen des Gegenstandes im Allgemeinen besteht. Der reine Begriff an sich erreicht auf der Stufe der Wechselwirkung von Substanzen die Selbststandigkeit als der Begriff selbst. Aber die Selbststandigkeit des Begriffes fur sich ist nur im Ich, wo der Begriff als solcher sein kann. Das Ich ist der reine Begriff fur sich selbst. Dabei wird der Begriff selbst als Allgemeines, Besonderes und Einzelne behandelt. Dieser Begriff im zweiten Teil, der subjektiven Logik, muss von nun an als das wahrhafte Sein gefasst werden. Dies besagt, das Reelle muss aus dem Begriff selbst hergeleitet werden. Diese Herleitung ist zugleich die Bedingung fur die Erzeugung der mit dem Begriff vereinten, besseren Realitat. Der wahre Begriff lasst sich auf der Stufe der Idee als Einheit des Begriffes und der Realitat in die Wirklichkeit umsetzen. Zum Schluss bezweckt Hegels Begriff gemaß dem Sein die Realisierung des wahrhaften Seins.

      • KCI등재

        법철학적 관점에서 본 헤겔의 『안티고네』 해석 - 법의 문자와 비판정신 -

        남기호 ( Nahm Kiho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8 시대와 철학 Vol.29 No.3

        이 글은 『정신현상학』에서 전개된 헤겔의 『안티고네』 해석을 법철학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안티고네』의 비극은 각각 신적인 법칙과 인간적 법칙, 가족과 정치 공통체, 여성과 남성을 원리적으로 대변하는 조형적 인물들로서 안티고네와 크레온이 일면적으로 자신을 관철하려는 충돌에서 빚어지는 결과이다. 따라서 이 결과는 안티고네뿐만 아니라 크레온에게도 비극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자신의 개별성의 기원을 망각하고 정치 공동체적 보편만을 관철하려는 실정 권력으로서의 크레온에 비해 이에 대항해 인간을 인간 자체로서 인정하려는 자연법적 원리의 수호자로서 안티고네의 인륜적 의식은 더 완전하다. 헤겔은 자연적인 성차에 따라 역할을 할당하는 전통적인 성 역할론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으나, 『안티고네』의 해석과 이후 법철학적 논의를 통해 궁극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합일, 인간적 법칙과 신적인 법칙의 통일이 인륜적 공동체 전체의 활동적 중심(Mitte)을 형성해야 한다고 본다. This article sheds new light on Hegel’s interpretation of Antigone in the Phenomenology of Mind from law-philosophical viewpoint. The tragedy of Antigone results from the collison of the divine law and the human law, family and political community, woman’s and man’s principle which Antigone and Kreon as plastic characters will respectively represent and onesidedly accomplish. Therefore, the result appears not only as tragic to Antigone but also to Kreon. But compared with Kreon as bearer of positive power who forgets his origin of individuality and accomplishs only the universal of political community, the ethical consciousness(das sittliche Bewusstsein) of Antigone who will, as defender of the principle of natural law, recognize human being in itself, is more perfect. Although not completely overcome the traditional role theory of sexuality on the basis of natural sexual differences, Hegel by his interpretation of Antigone and later law-philosophical delibrations deems that the unification of man’s and woman’s principle, the unity of the human law and the divine law should ultimately make up the active middle of ethical community(sittliche Gemeinschaft) all o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