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tate Compensation in Republic of Korea and Malaysia

        김춘환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2016 국가법연구 Vol.12 No.2

        This paper is a comparative legal research on State Compensation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Malaysia. Republic of Korea belongs to Civil Law but Malaysia belongs to Common Law. Nonetheless, the legal system of two countries is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This paper will discuss on the comparative method of the state tort liability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Malaysia. It will be focused on the general theory of the state compensation, the main features between two legal systems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relevant laws between two countries. 국가배상은 공무원 또는 공무를 위탁 받은 사인의 위법한 직무집행행위 또는 국가나 공공단체의 공공영조물의 설치 또는 관리의 하자로 인하여 개인에게 생명·신체 및 재산상의 손해를 가한 경우에 국가나 공공단체가 그 손해에 대하여 배상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국가배상은 손실보상과 함께 사유재산제를 보정해주는 근대입헌국가에서 정의와 공평의 원리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오늘날 국제화 시대에서 대부분의 나라가 채택하고 있는 필요한 법제도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과 말레시아의 국가배상의 주요내용을 비교·검토하기로 한다. 한국과 말레시아는 대륙법과 영미법을 각각 계수하고 있기 때문에 법체계가 서로 달라 동일선상에서 비교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지만 양국의 법제를 검토하는 것은 양국의 법제도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륙법과 영미법의 법체계를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배상의 일반이론, 한국과 말레시아의 국가배상의 주요내용과 그의 비교검토, 양국의 국가배상법의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 KCI등재

        저출산·고령화사회에 대한 공법적 과제

        윤수정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2022 국가법연구 Vol.18 No.3

        Demographic change is one of the major social changes in recent years. And the core trend of these demographic changes is the declining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As for the current demographic structure, the number of young people is decreasing due to the falling fertility rate and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is increasing,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This reality we are now facing causes the need for a systematic response through paradigm shift rather than recognizing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as a unique population phenomenon. The low fertility and aging population is a social phenomenon that appears a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people choose not to conceive and have children. And since these backgrounds and causes have limitations that are difficult to overcome by individual strength, not only the basic view of 'the right of pregnancy and childbirth', but also the problem of social integration through national identity, issues of sustainability and intergenerational justice, etc. It is necessary to discuss public law from the point of view of national tasks. In conclusion, in respons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national policies should not only maintain national sustainability, but also create a fertility and parenting-friendly environment so that individuals can respect their choices and happiness.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 which is the cause of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set the legislative direction considering the stabiliza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sharing of the burden of childrearing through work-family balance. Now is the time to sympathize with the seriousness of the low fertility and aging problem and to focus on solving the direct cause of the problem. 인구변화는 최근 주요한 사회변동의 하나이다. 그리고 이러한 인구학적 변화의 핵심적 흐름에는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이 있다. 현재 인구구조는 출산율 저하로 인해 청년층이 감소하고 노령인구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이러한 현실은 이제 저출산·고령화 상황을 특이한 인구현상으로 인식하기보다는 패러다임 전환을 통한 체계적 대응의 필요성을 야기시킨다. 저출산·고령화 현상은 비교적 많은 수의 사람들이 임신과 출산을 하지 않기로 선택함에 따라 나타난 사회적 현상으로, 그 배경에는 임신과 출산에 대한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한국의 사회·경제적 구조와 현실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경과 원인은 개인의 힘으로는 극복되기 어려운 한계를 갖기 때문에, ‘임신과 출산의 자유’라는 기본권적 관점뿐만 아니라 국가정체성을 통한 사회통합의 문제, 지속가능성과 세대 간 정의의 문제 등 국가적 과제의 관점에서의 공법적 논의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대한 국가정책은 국가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개인이 선택과 행복이 존중될 수 있도록 출산과 양육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저출산·고령화 현상의 원인인 사회·경제적 구조 개선을 위해 노동환경의 안정화와 일과 가정의 양립을 통한 양육 부담의 분담 등을 고려한 입법 방향의 설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금이야말로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공감(共感)하고, 문제의 직접적인 원인 해결에 집중하여야 할 시점이다.

      • KCI등재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방재정조정제도의 법적 과제

        김동균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2022 국가법연구 Vol.18 No.3

        Die ausgeglichene Staatsentwicklung kann nur verwirklicht werden, wenn die ausreichende Finanz- und Verwaltungskompetenz der Kommunen gewährleistet sind, um regionale Entwicklungspolitiken zu fördern, die den örtlichen Gegebenheiten und den Bedürfnissen der Einwohner entsprechen. Mit anderen Worten sind die verfassungsrechtliche Garantie der Selbstverwaltung und die Dezentralisierung die Voraussetzungen für die ausgeglichene Staatsentwicklung. Von der Einführung der kommunalen Selbstverwaltung bis zur Gegenwart gehen die Diskussionen über die Selbstverwaltung davon aus, dass die Zentralregierung relativ starke Kompetenzen hat. Insbesondere in finanzieller Hinsicht können die Kommunen wegen der unzureichenden Kompetenz auf Steuereinnahmen eigene Politiken zur regionalen Entwicklung nicht selbst entscheiden und umsetzen. Außerdem sollten für die ausgeglichene Staatsentwicklung ausreichende finanzielle Kompetenz für alle Kommunen gewährleistet werden. Die Finanzkraft zwischen den Kommunen ist jedoch sehr unterschiedlich. Derzeit gibt es in Südkorea verschiedene Finanzausgleichssysteme für die Ergänzung der kommunalen Finanzkraft und den Ausgleich der unterschiedlichen Finanzkraft zwischen den Kommunen. Dazu gehören die regionalen Zuteilungssteuer und der regionale Entwicklungsfonds. Es ist auch zu erwarten, dass kommunale Finanzkraft und unterschiedliche Finanzkraft zwischen den Kommunen durch den Fonds für die Kommunen mit geringer Einwohnerzahl ergänzt und ausgeglichen werden können. Es stellt sich jedoch die Frage, ob der kommunale Finanzausgleich seine wesentliche Funktion erfüllt. Beispielweise ist bei der regionalen Zuteilungssteuer fraglich, ob ihre wesentliche Funktion getreu erfüllt wird. Denn bei der Verteilung der regionalen Zuteilungssteuer werden finanzkraftunabhängige Faktoren berücksichtigt. Es soll vielmehr diskutiert werden, ob der Staat die regionale Zuteilungssteuer als Mittel zur Kontrolle der Kommunen nutzen könnte. Freilich findet sich ein horizontaler Finanzausgleich(Entwicklungsfonds) in Südkorea. Jedoch hat der Entwicklungsfonds eine Grenze, die sich aus der Form des Fonds ergibt. Der Entwicklungsfonds reicht außerdem nicht aus, um die unterschiedlichen Finanzkraft zwischen den Kommunen auszugleichen, und seine Laufzeit ist begrenzt. Dies gilt auch für den Fonds für die Kommunen mit geringer Einwohnerzahl. Eine Grenze besteht ferner darin, dass es schwerig ist, organische Beziehung zwischen den Finanzausgleichssystemen abzuleiten, weil jeweilige Finanzausgleichssysteme in verschiedenen Gesetze geregelt sind und einzeln disskutiert werden. 국가균형발전은 지방자치단체에 지역의 실정 및 주민의 수요에 부합하는 지역발전시책을 추진할 수 있는 행정적·재정적 권한과 여건이 보장되는 경우에 비로소 실현될 수 있다. 즉, 헌법상 보장된 자치행정의 실현과 이를 위한 지방분권은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선결문제에 해당하고, 각각의 개념들은 하나의 틀 안에서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지방자치제의 시행 후부터 현재까지 자치행정과 관련한 논의는 대부분의 권한이 국가에 집중되어 있다는 문제점에서부터 출발한다. 특히 재정적 측면에서 지방자치단체의 불충분한 조세수익고권 등은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 지역의 발전을 위한 시책을 결정하고 추진함에 있어서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또 국가균형발전을 위해서는 특정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모든 지방자치단체에 대해 일정한 재정적 여건이 보장되어야 하지만, 현실에서 지방자치단체 간 재정력 격차는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국가균형발전을 저해하는 원인 중 하나이다. 현재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다수의 지방재정조정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대표적인 제도로는 지방교부세 및 지역상생발전기금이 있으며, 인구감소지역은 일반적으로 세수력이 취약하기 때문에 인구감소지역 관련 지방자치단체에 배분되는 지방소멸대응기금도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력 확충 및 재정력 격차 조정을 위해 일정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다수의 지방재정조정제도가 실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별 제도들이 본질적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있다. 예를 들어 지방교부세의 경우 그 배분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력과 관계없는 다수의 요건들을 고려함으로써 제도의 본질적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지 의문이며, 오히려 국가가 지방자치단체를 통제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여지는 없는지 검토가 필요하다. 지역상생발전기금의 경우에는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출연한 재원을 통해 재정력을 조정한다는 점과 기금의 형식으로 한시적으로 운영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지방소멸대응기금도 기금의 형식으로 운영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으며, 타 제도와의 통폐합에 관한 검토가 필요하다. 나아가 현행 지방재정조정제도는 다수의 개별법을 통해 규율되고, 개별적으로 논의되고 있기 때문에 제도 상호 간 유기적인 관계를 도출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국가균형발전 및 자치행정의 실질적 보장을 위해 개별 지방재정조정제도의 개선 및 관련 법체계의 재정립에 관한 지속적인 논의가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제주특별자치도의 영리병원허가에 관한 법적 쟁점

        김남욱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2019 국가법연구 Vol.15 No.3

        The Jeju Special Law was established i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o create jobs for the vitalization of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due to the attraction of foreign tourists,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It permits foreign corporations to establish a for-profit medical corporation that can distribute profits by pursuing Yoonrison, who is prohibited in medical practice. According to the Jeju Special Law, after the deliberation of the Health Policy Committee, the right to open a foreign for-profit hospital is granted to the governor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pproval is obtained, and other matters related to profit-making hospitals can be determined by the road regulations. However, for-profit hospitals are excluded from medical institutions and medical benefit institutions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to prevent damage to the health insurance system. The question of whether the legal issues of a for-profit hospital belong to the legislator's discretion and the limits of the legislator's legislative discretion. In addition, the Jeju Special Law and the Ordinance on Medical Exceptions for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restrict applicants for establishment of for-profit hospitals to foreign corporations (limited to corporations and limited companies), and profits to Japanese corporations and medical professionals. Consider whether you have exceeded the limits of freedom of choice for occupations that are not constitutionally permitted to open hospitals. In addition, there is no basis for prohibiting Korean medical treatment in the prestigious prescriptions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or Governor based on the results of deliberation by the Medical Policy Council, and the ordinances regarding the Jeju Special Law and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Medical Special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onsider whether an administrative deputy officer whose contents include opening a hospital dedicated to foreigners with an administrative deputy officer (condition) is illegal. Considering that the conflict between residents in the permission to open a commercial hospital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as become serious, it is considered that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s guaranteed until the permission from the pre-planning stage. 제주특별법에서는 외국인 관광객 유치로 인한 의료관광산업활성화로 고용을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의료서비스 질의 제고 등을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에 설립된 외국법인에게 의료법에서 금지하고 있는 영리성을 추구하게 하여 이익을 분배할 수 있는 영리의료법인의 개설허가를 허용하고 있다. 제주특별법에서는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외국인영리병원에 대한 개설허가권 제주특별자치도지사에게 부여하고, 제주특별자치도지사의 열리병원허가전에 보건복지부장관은 승인을 얻도록 하고 있고 그밖에 영리병원에 관한 사항은 도조례로 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만, 영리병원은 국민건강보험법에 의한 요양기관이나 의료급여기관에서 제외하여 건강보험체계의 근간이 훼손되지 않게 하고 있다. 영리병원에 관한 법적 쟁점을 입법자의 재량에 속하는지와 입법자의 입법재량의 한계 문제를 검토한다. 또한 제주특별법과 제주특별자치도 보건의료특례 등에 관한 조례에서는 영리병원개설허가 신청권자를 외국법인(주식회사, 유한회사에 한함)에 한정하고, 우리나라의 법인이나 의료인에게는 영리병원개설을 허용하지 않아 헌법상 보장된 직업선택의 자유의 한계를 넘었는지를 검토한다. 또한 제주특별자치도지사가 보건정책심의위원회의 심의결과에 따라 제주특별법이나 제주특별자치도 보건의료특례 등에 관한 조례에서 명문으로 내국인진료를 금지한다는 근거가 없는데도 행정행위의 부관(조건)를 붙여 외국인전용병원으로 개원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행정행위부관이 위법한 지를 검토한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영리병원개설허가에 대한 주민간의 갈등이 심화된 사안이므로 계획수립 전단계부터 허가 시까지 주민들의 참여가 보장되는 방안을 검토한다.

      • KCI등재

        기본소득은 사회보장의 대안인가?

        김병록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2023 국가법연구 Vol.19 No.3

        In the face of the economic crisis caused by the COVID-19 epidemic, discussions on basic income are becoming active again. Basic income theorists say that AI and robots will eliminate jobs and that the introduction of basic income will be inevitable. But the problem is social security. The principle of a 'welfare state' must work in social security. The welfare state is based on mutual aid and social solidarity. It is a system in which citizens put taxes and insurance premiums into the community's piggy bank, and people who need them take them out according to the size they need. The entire nation saves money in piggy banks, but the n received is always a small number. The salary is generous because n is small. I don't take it right away, but I can always go and get help when I'm in danger and a need for social recognition arises. But there are no piggy banks in basic income countries. Everyone shares it as it is. It cannot be more equal than this, but the salary is inevitably low because there are many ns. And there is no social solidarity or mutual aid. The state just plays the role of Robin Hood. The contrast of redistribution varies by income level, and there is no social security or welfare. This is why social security cannot be left to basic income now and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global economic inequality, socioeconomic polarization is intensifying in Korea, and basic income is draw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system that can contribute to resolving economic injustice amid concerns over employment loss caused by digital technology innovation.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위기 국면 이후, 기본소득 논의가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 기본소득론자들은 AI와 로봇이 일자리를 없앨 것이라며 기본소득의 도입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문제는 사회보장이다. 사회보장에는 ‘복지국가’의 원리가 작동해야 한다. 복지국가는 상부상조와 사회적 연대를 바탕으로 한다. 공동체의 돼지저금통에 시민들이 세금과 보험료를 십시일반 집어넣고, 필요한 사람이 필요한 크기에 맞추어 꺼내어 가는 시스템이다. 돼지저금통에 저금은 전 국민이 하지만 받는 n은 늘 소수다. n이 작으니 급여가 후하다. 내가 당장 가져가지는 않지만, 나도 위험에 빠지고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욕구가 발생하면 언제나 가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기본소득 국가에는 돼지저금통이 없다. 모든 이가 그대로 나눠 갖는다. 이보다 더 평등할 수는 없으나 n이 많으니 급여가 낮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사회적 연대나 상부상조도 없다. 그저 국가가 로빈후드(Robin Hood) 역할만 한다. 소득수준별로 재분배의 명암이 달라질 뿐, 사회적 보장도 복지도 없다. 현재도 미래에도 사회보장을 기본소득에 맡길 수는 없는 이유다. 글로벌 경제의 불평등과 함께 우리나라도 사회경제적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는 추세이며, 최근 4차 산업혁명 담론과 함께 디지털 기술 혁신으로 인한 고용 감소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는 상황 속에서 기본소득은 경제적 부정의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대안적 제도로 주목받고 있지만 법적 검토의 필요성이 크다.

      • KCI등재

        지방소멸에 대응한 공법적 과제

        김남욱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2022 국가법연구 Vol.18 No.3

        인구감소와 지방소멸문제는 국가존립과 국가균형발전의 문제로 직결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기본법에 의하여 저출산·고령화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막대한 재정과 인구증가정책을 추진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인구출산율은 2021년 0.81명으로 세계 최하위에 놓여 있다. 지방의 일자리 감소와 지역불균형발전으로 수도권집중현상 가속화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수도권정비계획법, 지방대학육성법등을 제정하여 시행하여 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인구의 수도권집중현상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국가는 인구감소지역지원특별법을 2022년 6월에 제정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주도적인 인구감소지역의 위기대응과 국가의 지역맞춤형 종합지원, 지방자치단체·국가 간의 협력강화, 인구감소지역에서의 보육·의료·주거·교통·문화·출입국의 특례 규정을 마련하여 지역소멸을 대응하고자 한다. 인구감소와 지방소멸을 구분하여야 하나 인구감소지역지원특별법에서는 인구감소지역이라는 용어만 정의하고, ‘지방소멸’에 관한 개념을 정의하고 있지 않다. 지방소멸의 개념은 지역의 인구가 ㎢ 당 12.5명 미만의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으로서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 존립할 수 없고나 소멸위기에 놓여 국가로부터 사회적, 경제적, 재정적, 행정적인 특별한 조치가 요구되는 지역으로 개념 정의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지방소멸대응을 위한 헌법,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인구감소지역지원특별법의 주요 내용을 살펴본 후, 스페인 헌법, 스페인 카스티야라만차의 입법례를 검토하여 우리나라에 시사점을 모색하고 공법적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우리나라 헌법에서는 국가균형발전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으나 스페인 헌법 제2조와 제138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대성의 원칙을 명문화하여 지발소멸위기 또는 우려지역에 적극적 우대조치가 이루어져 해당지역의 주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인구감소지역과 지방소멸지역에서 주거이동과 정주성을 활성화하도록 정착보조금, 조세 감경, 빈집 마을재생을 통한 공유숙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인구감소지역지원특별법에서는 영육아보육시설 및 대학 설치, 유치원·초증등학교 폐교시 기초지방자치단체장 의견청취, 경비보조, 학교설립특례조치에 관한 특례규정을 두고 있으나, 지방소멸지역에서 학생 등의 교육권과 교육접근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할 필요가 있으므로 공교육접근권 보장, 학교유지, 학생들의 교육평등접근권보장, 인턴십프로그램, 비의무교육프로그램, 직업훈련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법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넷째, 일자리와 지역노동지장의 확대는 그동안 상실된 인구회복과 지방소멸을 억제하는 열쇠가 되므로 지방소멸지역에 실효성 있고 지역실정에 맞는 일자리창출과 더불어 지방소멸지역직원에 대한 인센티브와 공공민간프로젝트 및 개발촉진과 규제완화와 행정절차 간소화, 지방소멸지역 사업프로젝트와 계획이행관리제도, 자금조달프로그램(보조금)를 도입하여야 한다. 다섯째, 지방소멸지역이나 소멸위기지역에서는 대도시와 같은 문화축제를 할 수 없고 문화 인프라가 미흡하므로 주민들에게 문화적 접근권을 보장하도록 문화인프라를 구축하고, 해당지역의 무화유산과 유형유산을 계승발전과 더불어 관광산업을 적극 진흥하도록 하여야 한 ... The problem of population decline and local annihilation is directly linked to the problems of national existence and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Despite massive fiscal and population growth policies to solve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and aging according to the Framework Act on Low Fertility and Aging, the population fertility rate is 0.81 in 2021, which is the lowest in the world. As the phenomenon of concentr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accelerated due to a decrease in local jobs and unbalanced development of the region, the Special Act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e Metropolitan Area Reorganization Planning Act, and the Local University Promotion Act have been enacted and implemented to solve the problem. development is not resolved. The government enacted the Special Act on Support for Depopulated Areas in June 2022 to respond to local annihilation. In the same law, local governments lead crisis response in areas with reduced population, national customized comprehensive support,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countries, and special provisions for childcare, medical care, housing, transportation, culture, and immigration in areas with reduced population is putting. Although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population reduction and local annihilation, the Special Act on Support for Depopulation Areas defines only the term “depopulation area” and does not define the concept of “local annihilation”. It is necessary to conceptually define a region that requires special social, economic,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measures from the state as local governments cannot survive on their own or are in danger of extinction as an area with a low population density. In this paper, after examining the main contents of Korea's Constitution, the Special Act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nd the Special Act on Support for Depopulated Areas, to find implications for Korea and propose public law tasks by reviewing the Spanish Constitution and the legislative examples of Castile-La Mancha in Spain, present. First, although the Korean constitution provides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e principle of solidarity stipulated in Articles 2 and 138 of the Spanish Constitution is stipulated to provide positive preferential treatment to areas in danger of late extinction or concern, so that the lives of the residents of the area are made. quality should be improved. Second, shared accommodation through settlement subsidies, tax reductions, and vacant home village regeneration should be made to activate residential mobility and sedentity in areas with reduced population and local extinction. Third, the Special Act on Support for Areas with Decreased Population has special regulation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childcare facilities and universities, hearing opinions from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wh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are closed, subsidizing expenses, and special measures for school establishment. Since it is necessary to substantially guarantee the right to education and access to education, etc.,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should be made to ensure the right to access public education, maintain schools, guarantee equal access to education for students, internship programs, non-compulsory education programs, and vocational training. Fourth, since the expansion of jobs and local labor force is the key to recovering the lost population and suppressing the disappearance of local areas, it is possible to create effective and suitable jobs in the depleted areas, as well as incentives for workers in the depleted areas, and to develop public and private projects and projects. Promotion, deregulation, and simplification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project projects and plan implementation management systems for local extinction areas, and funding programs (subsidies) should be introduced. Fifth, as cultural festivals like large cities cannot be hel...

      • KCI등재후보

        국가발전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모색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을 소재로 하여-

        유진식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2019 국가법연구 Vol.15 No.1

        This paper looks into the history and the contents of Korean New Renewable Energy Law and suggests some solutions to solve the problems concerned. The main prescription of the existing law is that at first the government makes the basic plan and then public organizations are generally engaged in developing technology, making use of and supplying it. In private area the law subsides only the volunteering enterprisers. It can be said that if anything it works well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But it is not sufficient to meet the complicate problems around the new renewal energy policy. But, of course, they have good reasons to keep the simple structure. The main one is that the economic feasibility of new renewal energy is low. And so the market for it is difficult to develop voluntarily and the government is forced to spend the national budget and make the public organizations engage in. But the business situation has been changed greatly. As mentioned above, one of the biggest problems concerned about is the economic feasibility. But the government has already forecast that the problem will be solved around 2020. Then new renewal energy industry might well be regarded as an important one. And so the new renewal law characterized as supply sided will be reformed to meet the changing business situation. From the aspect mentioned above, those problems concerned about the existing law system is as follows; ①on environment, ②sharing the business earning, ③local autonomy, ④participation of citizens, ⑤regulatory system, ⑥adjustment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⑦international perspective, etc.. And so the solution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m. 본고는 신재생에너지법의 연혁과 주요내용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행법제는 아주 간략하게 묘사하면 국가(산자부장관)가 기본적인 계획을 세우고 이 계획을 바탕으로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기술개발, 이용 및 보급을 도모하고 있으며 민간영역에 대해서는 손을 드는 자에게 지원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조가 단순한 만큼 작동이 용이하겠지만 신재생에너지를 둘러싼 문제들은 이처럼 단순한 구조로 포섭하기에는 너무나 복잡하고 중층적이다. 물론 이처럼 단순한 구조를 추구하게 된 데에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그 중 가장 큰 이유는 신재생에너지의 경제성이 낮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시장이 형성되기 어렵고 결국 국가가 예산을 투입하여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정책을 펼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상황은 변하고 있다. 현재 신재생에너지정책을 펼치는데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경제성문제인데 이 점에 대해서도 정부는 2020년경에는 대부분의 신재생에너지의 경제성이 확보될 것이라는 전망을 이미 내놓은 적이 있다. 이렇게 볼 때 신재생사업이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 매김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누구나 동의하리라 생각한다. 따라서 육성 위주의 매우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는 현행 신재생에너지법은 여기에 규제의 틀도 더하여 주변의 상황변화를 충분히 포섭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에서 좀 더 체계적인 내용으로 개편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현행법제가 가지고 있는 주된 문제점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들 수 있다. 즉, ①환경, ②성과공유, ③지방분권, ④시민참가, ⑤규제의 틀, ⑥행정조직의 협조체계구축 그리고 ⑦국제적 시점 등이 그것이다. 개선방안 역시 위와 같은 점을 중심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보장행정의 법이론에 관한 기초적 연구

        김춘환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2020 국가법연구 Vol.16 No.1

        In modern countries, there have been attempts to entrust the duties of the administration from government offices to the private sector under the slogan of a small government. The attempt involved deregulation with external pressures as the main cause. The role of a modern nation is expanding too much to be handled with th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of a huge nation. Thus, the handling of public tasks and the security of quality of service while expanding the number of people in charge of public power and public interest are new duties of the administrative law. However, the nation's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are limited, and in a phenomenon where state finances are depleted, appropriate selection of tasks for what is possible and not possible is called on. The role of the state is never over even after the privatization of the public interest business. The state is in charge of directing and supervising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works projects by changing its role in the stage of carrying out public works projects on its own earlier stages. This new means of role is called guaranteed administration. The guarantee administration is the function of regulations and controls on the market economy, and the core of the guarantee administration is the concept of prescribed self-regul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emergence of security administration,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curity administration, the development of the security administration, the introductory understanding of the security responsibilities, and the prospects of the security administration. In this regard, I translated and summarized the Law Theory of Security Administration, which it was written by Hikatsuhiko Itanohiko. 현대국가에서는 ‘관에서 민’으로, ‘작은 정부’의 구호 하에서 지금까지 행정이 담당한 임무를 민간에 위탁하려는 시도가 진행되었고, 그 시도는 외압을 주된 유인으로 하는 규제완화를 수반하는 것이었다. 현대국가의 역할은 거대한 국가의 인적·물적 자원을 가지고도 담당할 수 없을 정도로 지나치게 확대되고 있다. 그리하여 공권력·공익의 담당자의 확대와 동시에 공공적 과제의 처리 및 서비스질의 담보는 행정법의 새로운 임무로 되었다. 그러나 국가의 인적·물적 자원에는 한계가 있어 국가재정이 고갈되는 현상에서는 가능한 것과 가능하지 않는 것에 대한 적절한 임무의 선별이 요청된다. 국가의 역할은 공익사업의 사화가 행하여진 이후에도 결코 끝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국가는 일찍이 스스로 공익사업을 수행하던 단계에서 그 역할을 변화시켜 공익사업의 실시를 위임받은 민간주체가 그 사업을 적절하게 실시하는가에 관하여 지시·감독하는 새로운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새로운 역할수단을 보장행정이라고 한다. 보장행정은 시장경제에 대한 규정·제어의 작용이고 보장행정의 핵심은 규정된 자기규정의 개념이다. 본고에서는 국가가 담당하는 새로운 역할로 보장행정에 관한 개괄적 기초적 연구로서 보장행정의 등장, 보장행정의 기능과 특성, 보장행정의 전개, 보장책임의 이해, 보장행정의 전망 등을 검토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 板恒勝彦의 「保障行政의 法理論」의 일부를 번역하고 정리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가법학의 본질과 연구대상 - 도전과 변화, 전망 -

        계인국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2019 국가법연구 Vol.15 No.3

        Es ist noch umstritten, wie der Begriff der Staatsrechtslehre definiert wird und ihre Gegenstände klargestellt wird. Allgemein hat man die Staatsrechtslehre unter eine allgemeine Lehre vom Staat und seine rechtliche Frage verstanden. Es ist jedoch kaum möglich, die umfassenden vielfältigen Gegenstände des Staates rechtswissenschaftlich zu behandeln. Die Staatswissenschaft als Ursprung der Staatsrechtslehre hat leider keine angemessene Methode bestimmt und foglich auf den Konflikt zwischen Sein und Sollen gemündet. Aus diesem Grund hat die Lehre vom Staat sich einerseits zur Allgemeinen Staatslehre, anderseits zum Staatsrecht als eine juristische Arbeit entwickelt. Meistens hat das Staatsrecht zwar mit dem Öffentlichen Recht gleichgesetzt. Zudem ist das Verfassungsrecht als Kern des Staatsrecht dargestellt hat. Gleichwohl hat sich das Verwaltungsrecht aufgrund seiner traditionellen “juristischen Methode” unabhängig entwickelt. Nachdem das Verwaltungsrecht sein eigene System geschaffen und das Verfassungsrecht das sog. “Verfassungsgerichtspositivismus” erfahren hat, ist die Staatsrechtslehre zwar zurückgetreten. Mit der Tendenz der Reform der Verwaltungsrechtswissenscahft in jüngster Zeit, die meist als „Neue Verwaltungsrechtswissenschaft“ genannt hat, ergreift die Staatsrechtslehre eine neue Gelegenheit zum Gewinn an Wissenschaftlichkeit und juristische Rationalität. 국가법학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연구대상을 명확히 하는 것은 여전히 논란 가운데에 있다. 일반적으로 국법학, 국가법학은 국가에 대한 학문 및 그에 대한 법적 문제를 연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포괄적이고 다양한 주제를 법학적으로 온전히 다루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국가법학의 원형으로서, 아직 분화되지 않은 학문형태였던 국가학은 속성상 학문적인 방법론을 명확히 하지 못하였고 법학과 관련하여서는 존재와 당위 가운데의 갈등을 야기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국가학은 비법학적 요소를 담은 일반 국가학을 한편에, 다른 한편에는 국가법으로 나누어졌다. 국가법은 공법과 동일시되거나 헌법을 핵심으로 하는 국가의 법으로 설명되었으나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 특히 행정법은 전통적인 그의 “법학방법론”을 통해 독자적으로 발전하여왔다. 이후 행정법이 계속 그의 체계를 형성해가고 헌법은 소위 “헌법재판실증주의”를 경험하면서 이론적인 국가법학은 쇠퇴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 “신행정법학”으로 표현되는 행정법학의 개혁을 통해 국가법학이 학문성과 법학적 합리성을 획득할 기회가 엿보인다.

      • KCI등재

        한·독 입법지원제도 비교 연구

        최용전,김도협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2022 국가법연구 Vol.18 No.3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or the constitution of each country, the principle of parliamentary legislation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most constitutionalist countries' constitutions. And legislative power is an essential and inherent power of Parliament. Nevertheless, the diversification, specialization, and diversity of legislative forms in modern society are weakening the posi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as a legislative body. In other words, the legislative expertise of the current National Assembly has reached its limit. In the case of local councils, such a realistic problem can be said to be more serious. In this reality, we analyze and compare the legislative support systems of Korea and Germany to obtain implications. Analyzing the legislative support system of the German Bundestag and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and the Hessischer Landtag in comparison with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and the Gyeonggi Provincial Assembly, and comparatively examining the results, I think that it will make an academic contribution to enhancing the value of constitutionalism. This paper examines the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and the Legislative Counsel Office in the National Assembly Secretariat, which are representative legislative support organizations in Korea, and analyzed the Secretariat and the Legislation Policy Division of the Gyeonggido Assembly. In addition, the legislative support organization of the German Senate and House of Representatives, the composition of the Hesse State Parliament, the Presidium (Praesidium), the Council of Elders of the Hesse State (Ältestenrat), and the Workin0g Group (Arbeitsgruppen) were examined. In particular, regarding the Working Group in Hesse, the Hesse Renewable Energy Summit and the composition, role and effectiveness of the working-level preparation group moving together according to the preparations for the Hesse summit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systems of the two countries, I was concerned about a more efficient and meaningful legislative support system for the National Assembly and local governments in Korea. 개별국가나 해당 국가의 헌법의 특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입헌주의 국가의 헌법에서 의회입법의 원칙은 가장 핵심적 요소이다. 그리고 입법권은 의회의 본질적이고도 고유한 권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사회의 다원화, 전문화 그리고 입법 형식의 다양성은 국회의 입법기관으로서지위를 약하게 하고 있다. 즉 현 국회가 가지고 있는 입법에 관한 전문성은 한계에 이르렀다고 하겠다. 이 같은 현실적 문제는 지방의회의 경우 그 심각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우리나라와 독일의 입법지원제도를 분석·비교해 보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우리나라 입법지원기관의 정점인 국회와 광역지방자치단체 중의 가장 규모가 큰 경기도의회의 입법지원제도를 분석하고, 이와 대비하여 독일 연방 상·하원의 입법지원제도와 헤센주 의회(Hessischer Landtag)의 입법지원제도에 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며, 비교법적으로 고찰하는 것은 입헌주의의 가치를 고양하는데 학문적 기여를 하리라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우리나라의 입법지원조직으로 대표되는 국회입법조사처와 국회사무처법제실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경기도의회의 의회사무처와 입법정책담단관 등을 분석할 것이다(Ⅱ). 그리고 이어서 독일의 상·하원의 입법지원조직과 헤센주 의회의 법지원제도로서 헤센주 의회의 구성과 의장단(Praesidium), 원로의원위원회(Ältestenrat) 및 실무준비반(Arbeitsgruppen) 등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Ⅲ). 특히 이 중 실무준비반에 관해서는 재생에너지와 관련한 헤센주 정상회의의 준비에 따른 그 구성과 역할 및 유효성 등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국회와 지방자치단체 모두에게 보다 더 효율적이고 유의미한 입법지원시스템에 대한 고민을 하고자 한다. 본 글에서 헤센주 의회를 선택한 이유로는 첫째, 헤센주는 인구 600만 이상으로 독일 내 금융의 수도라고 지칭되는 지방(州)정부로서 연방 내에서 차지하는 경제적·정치적 위치를 고려해 볼 경우에 우리나라에서의 대표적인 지방자치단체인 경기도와 비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둘째, 국가 권력구조체제라는 측면에서 하부 지방자치단체라는 조직적 성격에 주목한다면 독일의 단위는 지방(州)정부, 즉 란트(Land)라고 할 수 있으며 이 같은 기준으로 본다면 헤센주가 적절하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셋째, 헤센주의 경우에 헤센주 의회는 ‘헤센 주의회 의사운영규칙’에 근거하여 상임위원회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실무준비반(Arbeitsgruppen)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은 매우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과 독일의 입법지원제도에 관하여 비교해 보니,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회중심의 입법지원제도가 정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 내용을 보면 첫째, 국회입법조사처는 국회의 위원회 또는 국회의원이 요구하는 사항의 조사·분석 및 회답, 입법 및 정책 관련 조사·연구 및 정보의 제공, 입법 및 정책 관련 자료의 수집·관리 및 보급, 국회의원연구단체에 대한 정보의 제공 및 외국의 입법동향의 분석 및 정보의 제공 등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둘째 국회사무처법제실은 기본적으로 국회의원 또는 위원회가 요청한 법률안의 입안 및 검토, 대통령령·총리령 및 부령에 대한 분석·평가, 국내외의 법제에 관한 연구 및 그 밖에 국회의원의 법제활동에 관한 지원을 중심으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