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4년제 대학교 및 2·3년제 전문대학 반려동물분야 교육과정 분석 및 비교 연구
한얼(Eol Han),김은지(Eun Ji Kim),김호진(Ho Jin Kim),조상문,정아현(A Hyun Jung),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19 Animalia Vol.1 No.1
과거 ‘애완동물’이라는 단어는 이제는 ‘반려동물’이라 부르면서 반려동물의 사회적 지위가 상승하였고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는 이미 1000만을 넘어섰다. 사회적으로 반려동물의 관심이 커지며 반려동물 분야 종사자들에게 더 많은 지식과 전문성을 요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반려동물 관련 교육과정이 존재하는 2,3년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를 파악하고 이들 대학의 전체 과목 대비 반려동물 관련 과목 비율과 편성된 과목의 종류도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통하여 2,3년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 간 반려동물 분야의 교육과정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3년제 전문대학 내 반려동물 관련 교육과정은 실습위주의 과목이 주로 편재되어있었으며 학과 내 반려동물 관련 과목 비중이 높았다. 반면 4년제 대학교의 경우, 포괄적이고 이론위주의 과목이 주로 편재되어 있었으며, 전 과목 대비 반려동물관련 과목 비율이 낮게 나와 2,3년제 전문대학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차이점이 있었다. The social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s, called now but ‘pet’ in the past, has risen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that have companion animals exceeded 10 million. The public becomes interested in companion animals steadily and then demands more knowledge and expertise from companion animal worker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colleges and universities that have curriculums for companion animal. Then we found the ratio of companion animal subject to all subjects and kinds of companion animal subjects. Based on the survey data,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curriculum between colleges and universities.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practice-oriented subjects were concentrated in curriculum in colleg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niversities, comprehensive and theoretical-oriented subjects were organized mainly and low proportion of all subjects, in the department, then after all, there was differences when compared to the curriculum of colleges.
남하연(Hayeon Nam),박지우(Jiwoo Park),이예슬(Yeseul Lee),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25 Animalia Vol.6 No.1
본 연구는 달팽이 점액질이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사람의 손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하며 여드름을 유발하는 주요 균주다. 항균 효과가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는 평판도말법을 사용했다. 달팽이 점액질과 S. aureus 를 함께 배양한 배지를 실험군으로 설정하였으며, 멸균생리식염수와 S. aureus 를 배양한 배지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S. aureus 의 배양 정도가 감소한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달팽이 점액질이 S. aureus 에 대해 항균 효과를 발휘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지만, 본 실험은 표본 수가 충분하지 않았고, 실험군에서 달팽이 점액질과 균이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멸균생리식염수와 달팽이 점액질의 비율이 정확히 통제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배지에 접종된 S. aureus 의 양이 일정하지 않았을 가능성 등이 결과 해석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 달팽이 점액질이 그람 양성균 및 음성균에 대해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달팽이 점액질이 S. aureus 에 대해 항균 효과를 가질 가능성을 시사하는 유의미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달팽이 점액질을 이용한 피부 감염 및 여드름 치료제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보다 신뢰도 높은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snail mucus has an antibacterial effect on Staphylococcus aureus . Staphylococcus aureus is the main strain that is distributed at the highest rate in the human hand and causes acne. As a method for examining whether or not the antibacterial effect is significant, a spreading method is us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culture medium in which snail mucus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cultured together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ulture medium in which sterile saline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cultivated as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observed that the culture of Staphylococcus aureus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snail mucus may have an antibacterial effect on Staphylococcus aureus . However, the number of samples in this experiment is not sufficient, and the ratio of sterilized saline to snail mucus may not have been accurately controlled because snail mucus and bacteria may not be evenly mix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amount of S. aureus inoculated in the medium may have affected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Nevertheless, based on the fact that snail mucus has antibacterial effects on gram-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hows snail mucus S. We have shown meaningful result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ntimicrobial effects on aure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judged to be available as basic data in the development of skin infections and acne treatments using snail mucus in the future, and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draw a more reliable conclusion.
2018년도 정밀변화관찰 연구와의 비교를 통한 불암산 생태경관보전지역 동물상 변화 조사
김동원(Dongwon Kim),이종현(Jonghyeon Lee),김희경(Heekyung Kim),김동엽(Dongyup Kim),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24 Animalia Vol.5 No.1
Fiv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detailed change observation study conducted from March 12, 2018 to June 4, 2018, within the Sahmyook University Bulam Mountai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in Seoul (37°39'47.59” latitude, 127°05'42.00” longitude). More updated survey results are needed. In addition, the 2018 precision change observation study lacked some data, such as nocturnal birds of prey, and it is believed that there will be changes in fauna due to the addition of disturbing factors such as the development of a forest kindergarten after the precision change observation study. Therefore, updated data was added through a survey of the fauna of the Bulam Mountai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Newly observed species compared to 2018 were 27 species of birds, 3 species of mammals, and 1 species of amphibian, and species observed in 2018 but not observed in this survey included 5 species of birds, 1 species of mammal, and 1 species of reptile. Compared to 2018, the number and diversity of bird species have increased, and this will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when establishing plans for the Bulam Mountai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in the future.
노즈워크용 장난감을 대하는 단두종과 장두종의 행동차이 연구
권소연(So Yeon Kwon),김정은(Jeong Eun Kim),박은수(Eun Soo Park),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20 Animalia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노즈워크용 장난감을 대하는 단두종과 장두종의 행동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견종으로는 Boston Terrier(2016년생, 중성화X, 암컷) 1마리, Pug(2019년생, 중성화O, 남) 1마리, Golden Retriever(2012년생, 중성화X, 암컷 / 2018년생, 중성화O, 암컷) 2마리 총 4마리이다. 실험에 사용한 노즈워크용 장난감은 빨간색(R) 1개, 파란색(B) 1개, 노란색(Y) 1개 총 3개이다. 동물행동과학연구실과 연구원 본인의 집에서 실험이 진행되었다. 장난감을 주어서 시작할 때부터 내부에 있는 사료(힐스 사이언스 다이어트 스몰 포 라이트) 50g을 다 먹을 때까지의 행동을 영상으로 기록하였다. 견종 1마리당 3개의 장난감을 주어서 12번의 영상이 기록되었고, 그 영상들을 분석하여 견종마다 장난감을 코로 터치하는 횟수, 앞발로 터치하는 횟수, 사람을 보는 횟수,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횟수, 특이한 행동 등을 정리하였다. 정리 결과 앞발로 터치하는 횟수는 장두종보다 단두종이 비교적 많았으며, 견종의 성격차이에 따라 행동차이가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short-nosed dogs and long-nosed dogs in dealing with toys for nosework. There are a total of four dogs used in the experiment: one Boston Terrier (born in 2016, neutralization X, female), one Pug (born 2019, neutralization O, male), and four Golden Retriever (born in 2012, neutralization X, female / born in 2018, neutralization O, female). There are three toys for nosework used in the experiment: one red (R), one blue (B), and one yellow (Y).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the animal behavioral science lab and the researcher"s own home. From the start of the toy, we recorded their behavior from the time they ate 50 grams of the inside feed (Hills Science Diet Small For Light). Each dog was given three toys, and 12 videos were recorded, and each dog was analyzed to summarize the number of times the toy was touched with its nose, the number of touching with its front feet, the number of people watching, asking for help, and so on. As a result of the organization, the number of touchings with the front foot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head, and behavioral differences were shown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breed.
생태경관보전지역인 삼육대 불암산 조류 종 관찰을 통한 제명호의 생태적 가치 연구
임경택(Kyungtaek Lim),신채율(Chaeyul Shin),최리아(Lia Choi),한다현(Dahyun Han),정훈 반려동물연구학회 2022 Animalia Vol.4 No.1
본 연구는 생태·경관보전 지역인 삼육대 불암산의 조류 종 관찰을 통해 2017년 관찰 결과와 비교하여 제명호의 생태적 가치에 대해 연구하였다. 6월 25일부터 9월 26일까지 총 20번의 현장조사를 진행하였고, 제명호~삼육대 후문 까지를 세부 조사 지역으로 정하였다. 조사지역에서 하루 2시간 이내로 쌍안경과 카메라를 이용하여 직접 관찰, 또는 소리를 이용해 동정 후 기록하였다. 그 결과 2017년의 제명호 인근 조류 종 관찰 자료는 약 35 종이 관찰되었으나 이번에는 29종으로 감소하였으며, 관찰된 보호종 또한 10종에서 8종으로 감소하였다. 감소의 원인으로는 늘어난 강수량과 물이 충분히 고이지 않는 웅덩이로 꼽고 있으며 본 연구결과는 생태·경관보전 지역인 불암산 제명호 부근의 조류 서식지 훼손 및 훼손 가능성을 판별하여 서식지의 보강 및 앞으로의 관리에 대한 개선방안을 고찰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and study the ecological values of Jemyung Lake compared to the observation results in 2017 through the observation of bird species of Buram Mountain in Sahmyook University, a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ELCA). For achieving the aim of this study, a total of 20 field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from June 25,2022 to September 26, 2022, and the area from Jemyung Lake to the back gate of Sahmyook University was set up for a detailed investigation area. Within 2 hours a day in the detailed investigation area, we directly recorded observation with binoculars and camera or sorted by the sound of bird spec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that about 35 bird species investigation data near Jemyung Lake were observed in 2017, but this time, the number of bird species decreased to 29, and the observed legal protected species also decreased from 10 to 8. The reason for the decrease is that increased precipitation and puddles that does not form enough water.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o be an important data for improvement plan consideration about habitats reinforcement and care for future through discrimination of bird habitats damage and the possibility of damage near Jemyung Lake in Buram Mountain, a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ELCA)
이수인(Su-in Lee),김민재(Min-jae Kim),이동화(Dong-hwa Lee),홍지우(Ji-woo Hong),김로원(Ro-won Kim),김민주(Min-joo Kim),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22 Animalia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반려견의 먹이 섭취 환경에 따른 반응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견종으로는 Toy poodle (2016년생, 중성화O, 남) 1마리, Golden Retriever (2012년생, 중성화X, 여/2018년생, 중성화O, 여) 2마리 총 3마리이다. 실험에 사용한 먹이(훈련용 트릿)는 총 30개이다. 실내 장소로는 동물행동과학연구실과 연구원 본인의 집, 실외 장소로는 제 2과학관 앞과 아파트 단지 내 공원에서 실험이 진행되었다. 기록 측정은 반려견이 먹이를 인식했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내부에 있는 먹이 10개를 다 먹을 때까지의 행동을 영상으로 기록하였다. 견 종 1마리당 2가지 환경 조건에서 관찰해 6번의 영상이 기록되었고, 그 영상들을 분석하여 견종마다 코를 핥는 횟수, 먹이를 먹는 데 걸린 시간, 먹이에 집중하지 않은 시간 등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세 마리 모두 내부보다 외부에서의 먹이 섭취 시간이 길었으며, 먹이 섭취 시 초당 코를 핥는 횟수도 외부에서 더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환경의 변화가 반려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그들의 입장을 이해해 보기 위한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in response according to the food intake environment of dogs was investigated. The dog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one Toy poodle (born in 2016, neutralized O, male) and two Golden Retriever (born in 2012, neutralized X, female/2018), neutralized O, female. The total number of food (training treatments) used in the experiment was 10.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front of the Animal Behavior Science Laboratory and the researchers own house as indoor places, and in front of the 2nd Science Museum as outdoor places and in the park in the apartment complex. The record measurement was based on the time when the dog recognized the food, and the behavior until eating all 10 internal prey was recorded as an image. Six images were recorded by observing under two environmental conditions per dog, and the images were analyzed to summarize the number of times each dog licks its nose, the time it took to eat, and the time it did not focus on feeding. As a result, all three dogs had a longer time to eat outside than inside, and the number of times they licked their noses per second increased from outs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data to find out how environmental changes affect dogs and to understand their positions.
불암산 생태경관 보전지역 육상절지류(거미목, 딱정벌레목) 및 양서류 조사 – 생태가치를 중심으로
기세환(Sehwan Ki),박요한(Yohan Park),이혁재(Hyukjae Lee),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25 Animalia Vol.6 No.1
본 연구는 불암산 생태경관 보전지역 내 삼육대학교 제명호 일대(37°38′29.06″N, 127°5′ 58.48″E)에서 서식하는 육상 절지동물 및 양서류의 서식지를 조사하였다. 연구는 3월부터 양서류의 동면이 시작되는 11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월 1회씩 진행되었으며, 육상 절지동물은 거미목과 딱정벌레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거미류는 돌 뒤집기, 손으로 직접 채집, 통으로 쓸어 담기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딱정벌레류는 함정 채집, 돌 뒤집기, 손으로 직접 채집, 통으로 쓸어 담기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양서류는 돌 뒤집기, 손으로 직접 채집, 뜰채질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거미목에서는 16과 50종이 관찰되었으며, 딱정벌레목에서는 14과 39종이 확인되었다. 양서류는 4과 6종이 발견되었다. 또한, 서울시 보호야생생물 목록에 포함된 종은 거미목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딱정벌레목에서는 1종, 양서류에서 5종이 보호종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양서류에서 청개구리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이번 연구는 거미류, 딱정벌레류, 양서류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불암산자연환경 보호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거미목은 동정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딱정벌레목은 피트폴 트랩만 사용하여 조사되었고, 양서류는 선행 조사에서 발견된 종들이 관찰되지 않는 등 여러 보완점과 새로운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에 추후 연구를 통해 충실한 기초 자료가 쌓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구 지역에서는 낙엽과 흙이 파헤쳐지고 양서류의 은신처가 파괴되는 등 환경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지속될 경우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역할이 약화되고 생물 다양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환경 변화가 지속된다면,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서의 본래 기능을 상실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해당 지역의 생물 다양성 감소로 이어질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es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terrestrial arthropods and amphibians in the vicinity of Jemyeongho Lake at Samyuk University, located within the Bulamsa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37°3 8′29.06″N, 127°5′58.48″E). Surveys were conducted monthly from March to November, totaling nine sessions, and focused primarily on the orders Arachnida and Coleoptera among terrestrial arthropods. The results revealed 16 families and 50 species of Arachnida, 14 families and 39 species of Coleoptera, and 4 families and 6 species of amphibians. Additionally, species listed in Seoul’s protected wildlife register were not found among Arachnida but included one species of Coleoptera and five species of amphibians. Notably, Dryophytes japonica was newly recorded,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for biodiversity research in the Bulamsan area. This research provides foundational data on arachnids, beetles, and amphibians in the Bulamsan region and emphasizes the need for conservation of the area’s natural environment. However, limitations such as incomplete identification of some arachnid species, reliance on pitfall traps for beetle surveys, and the absence of certai n amphibian species observed in previous studies indicate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employing diverse methodologies. Moreover,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study area, including the removal of leaf litter, soil disturbance, and destruction of amphibian hideouts, pose a threat to the conservation area’s ecological functions and biodiversity. Continuous environmental degradation may weaken the role of the Bulamsa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and lead to a decline in biodiversity. Active conservation efforts are essential to maintain ecological stability and biodiversity in the region.
물의 형태에 따른 개(Canis lupus familiaris )의 선호도 분석_온도와 향을 중심으로
임소현(So Hyean Lim),이혁재(Hyeok Jae Lee),이우연(Woo Yeon Lee),최윤서(Yoon Seo Choi),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21 Animalia Vol.3 No.1
본 연구는 물의 형태에 따른 여러 견종들의 선호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견종으로는 Golden Retriever(2018년생, 중성화O, 여) 1마리, Shih Tzu(2011년생, 중성화X, 여/ 2013년생, 중성화O, 남) 2마리, Maltese(2013년생, 중성화O, 남) 1마리, schnauzer(2011년생, 중성화X, 남) 1마리이다. 실험은 총 2가지이며 실험 A는 각각의 온도와 색깔을 매칭, 실험 B는 각각의 향과 위치를 매칭하여 학습을 진행한 후, 각각의 독립변인을 동일하게 하였을 때에도 견종이 반복적으로 선택하던 색상과 위치를 선택하는지 관찰하였다. 동물행동과학 연구실과 각 연구원의 집에서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산책 및 노즈워크 이후 물을 섭취하는 행동을 영상으로 기록하였다. 견종 1마리당 하나의 실험에 대해 12회의 영상이 기록되었으며, 이에 대해 최초선택, 반복선택, 평균 음수량을 기록하였다. 영상분석 결과 모든 견종에게서 22 ℃ 이하의 온도와 단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반려견의 원활한 음수 섭취를 도울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ferences of various breeds according to the type of water. The dog specie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Golden Retriever (born in 2018, neutralized O, female), Shih Tzu (born in 2011, neutralized X), female / 2013 neutralized O, male), Maltese (born in 2013, neutralized O, male), and schnauzer (born in 2011, neutralized X). There are a total of two experiments, and Experiment A matches each temperature and color, and Experiment B matches each scent and location to observe whether the dog selects the color and location repeatedly even when each independent variable is the sam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animal behavior science laboratory and at the homes of each researcher, and the behavior of drinking water after walking and nose work was recorded as a video. Twelve images were recorded for one experiment per breed, and the initial selection, repetitive selection, and average negative quantity were recorded. As a result of imag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ll breeds prefer temperatures and uniases below 22°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basic data to help dogs consume negative water smoothly.
고나영(Nayoung Koh),노대찬(Daechan Roh),노현우(Hyeonwoo Noh),조현우(Hyeonwoo Cho),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20 Animalia Vol.2 No.1
본 연구는 2020년 11월 4일부터 11월 10일까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동 중랑천의 용비교(37˚32’40”N 127˚01’53”E)부터 성동대교(37˚33’08”N 127˚02’38”E)까지 수조류의 이용 현황을 살펴보고 개체군을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조사 방법으로는 쌍안경(Kowa×8, Nikon×8)과 카메라(Nikon Coolpix p500)를 사용하였으며, 조사 구역을 나눠 개체 수는 중복되지 않게 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10시부터 12시까지 3차례에 걸쳐 총 17종 1492마리의 개체수를 조사하였으며, 수조류들의 행동 유형을 알아보았다. 연구 기간 동안 가장 많이 관찰된 수조류는 민물가마우지 Phalacrocorax carbo (26.87%)와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23.66%)가 대표적이었다. 조사가 진행된 시간 내 수조류들은 주로 휴식(resting)과 헤엄치는(swimming) 행동 유형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월동 수조류의 월동지로서 중랑천의 중요성을 유추할 수 있었고, 따라서 중랑천의 관리가 더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using of waterbirds from Yongbigyo(37˚32’40”N 127˚01’53”E) to Seongdonggyo(37˚33’08”N 127˚02’38”E) in Jungrangcheon, Seongdong-dong, Seongdong-gu, Seou. It was conducted from November 4 to November 10, 2020. We divided our study area to prevent double counting of the populations of waterbirds, and we used binoculars(Kowa×8, Nikon×8) and camera(Nikon Coolpix p500). During the study period, we conducted the study total 3 times, from 10 a.m. to 12 p.m. We monitored the number of waterbirds and we also observed their behavior patterns. As a result to this, there were 17 species and 1492 individuals in Jungrangchun. The most observed species were Phalacrocorax carbo (26.87%) and Anas platyrhynchos (23.66%). During the time of the investigation, the type of behavior that waterbirds mainly showed was resting and swimming.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nfer the importance of Jungrangchun as wintering place for wintering waterbirds. Therefore, we belived that the care for Jungrangchun will be more necessary.
이시윤(Siyoon Lee),조혜원(Hyewon Cho),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25 Animalia Vol.6 No.1
본 연구는 도시 내 유의미한 녹지 면적으로 작용하는 도시 공원에 대한 수분 곤충의 실 이용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2024년 4월 26일부터 2024년 10월 19일까지 총 10회 진행되었다.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도시 조경 공간 네 곳과 하남시에 위치한 도시 조경 공간 네 곳을 조사한 결과, 조사 구역 1곳당 하루 평균 9.525마리, 6.875종의 수분 곤충을 발견하였다. 또한 개체수와 종수 사이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시 조경 공간에서 자주 발견된 종으로는 양봉꿀벌, 배추흰나비, 남방부전나비, 꼬마꽃등에 등이 있다. 도시 조경 공간에서 관찰된 수분 곤충의 수와 종류는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 조경을 구성하는 식물 군집의 개화 시기, 종별 이주 시기 등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도시 공원 계획 단계에서 적절한 식물종을 선택한다면 수분 곤충의 도시 공원 이용율을 유의미하게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26, 2024, to October 19, 2024, through a total of 10 survey sessions, to assess the actual utilization of pollinator insects in urban parks, which function as significant green spaces within the city.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four urban landscaping sites located in Seoul, and four urban landscaping sites in Hanam-si. The results revealed an average of 9.525 individual pollinator insects and 6.875 species per survey site per day. Furthermor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sect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was identified. The most commonly observed species in the urban landscaping spaces included honeybees (Apis mellifera), cabbage white butterflies (Pieris rapae), southern swallowtail butterflies (Papilio garamas), and small flower beetles (Trichodes alvearius). It is suggested that the observed number and diversity of pollinator insects in these spaces were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seasonal temperature fluctuations, the blooming periods of the plant communities that comprise the landscape, and the migration timings of various specie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areful selection of plant species during the urban park planning phase could significantly enhance the utilization of urban parks by pollinator ins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