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4년제 대학교 및 2·3년제 전문대학 반려동물분야 교육과정 분석 및 비교 연구

        한얼(Eol Han),김은지(Eun Ji Kim),김호진(Ho Jin Kim),조상문,정아현(A Hyun Jung),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19 Animalia Vol.1 No.1

        과거 ‘애완동물’이라는 단어는 이제는 ‘반려동물’이라 부르면서 반려동물의 사회적 지위가 상승하였고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는 이미 1000만을 넘어섰다. 사회적으로 반려동물의 관심이 커지며 반려동물 분야 종사자들에게 더 많은 지식과 전문성을 요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반려동물 관련 교육과정이 존재하는 2,3년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를 파악하고 이들 대학의 전체 과목 대비 반려동물 관련 과목 비율과 편성된 과목의 종류도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통하여 2,3년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 간 반려동물 분야의 교육과정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3년제 전문대학 내 반려동물 관련 교육과정은 실습위주의 과목이 주로 편재되어있었으며 학과 내 반려동물 관련 과목 비중이 높았다. 반면 4년제 대학교의 경우, 포괄적이고 이론위주의 과목이 주로 편재되어 있었으며, 전 과목 대비 반려동물관련 과목 비율이 낮게 나와 2,3년제 전문대학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차이점이 있었다. The social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s, called now but ‘pet’ in the past, has risen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that have companion animals exceeded 10 million. The public becomes interested in companion animals steadily and then demands more knowledge and expertise from companion animal worker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colleges and universities that have curriculums for companion animal. Then we found the ratio of companion animal subject to all subjects and kinds of companion animal subjects. Based on the survey data,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curriculum between colleges and universities.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practice-oriented subjects were concentrated in curriculum in colleg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niversities, comprehensive and theoretical-oriented subjects were organized mainly and low proportion of all subjects, in the department, then after all, there was differences when compared to the curriculum of colleges.

      • 물의 형태에 따른 개(Canis lupus familiaris )의 선호도 분석_온도와 향을 중심으로

        임소현(So Hyean Lim),이혁재(Hyeok Jae Lee),이우연(Woo Yeon Lee),최윤서(Yoon Seo Choi),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21 Animalia Vol.3 No.1

        본 연구는 물의 형태에 따른 여러 견종들의 선호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견종으로는 Golden Retriever(2018년생, 중성화O, 여) 1마리, Shih Tzu(2011년생, 중성화X, 여/ 2013년생, 중성화O, 남) 2마리, Maltese(2013년생, 중성화O, 남) 1마리, schnauzer(2011년생, 중성화X, 남) 1마리이다. 실험은 총 2가지이며 실험 A는 각각의 온도와 색깔을 매칭, 실험 B는 각각의 향과 위치를 매칭하여 학습을 진행한 후, 각각의 독립변인을 동일하게 하였을 때에도 견종이 반복적으로 선택하던 색상과 위치를 선택하는지 관찰하였다. 동물행동과학 연구실과 각 연구원의 집에서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산책 및 노즈워크 이후 물을 섭취하는 행동을 영상으로 기록하였다. 견종 1마리당 하나의 실험에 대해 12회의 영상이 기록되었으며, 이에 대해 최초선택, 반복선택, 평균 음수량을 기록하였다. 영상분석 결과 모든 견종에게서 22 ℃ 이하의 온도와 단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반려견의 원활한 음수 섭취를 도울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ferences of various breeds according to the type of water. The dog specie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Golden Retriever (born in 2018, neutralized O, female), Shih Tzu (born in 2011, neutralized X), female / 2013 neutralized O, male), Maltese (born in 2013, neutralized O, male), and schnauzer (born in 2011, neutralized X). There are a total of two experiments, and Experiment A matches each temperature and color, and Experiment B matches each scent and location to observe whether the dog selects the color and location repeatedly even when each independent variable is the sam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animal behavior science laboratory and at the homes of each researcher, and the behavior of drinking water after walking and nose work was recorded as a video. Twelve images were recorded for one experiment per breed, and the initial selection, repetitive selection, and average negative quantity were recorded. As a result of imag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ll breeds prefer temperatures and uniases below 22°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basic data to help dogs consume negative water smoothly.

      • 중랑천 하류 일대 수조류 조사

        고나영(Nayoung Koh),노대찬(Daechan Roh),노현우(Hyeonwoo Noh),조현우(Hyeonwoo Cho),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20 Animalia Vol.2 No.1

        본 연구는 2020년 11월 4일부터 11월 10일까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동 중랑천의 용비교(37˚32’40”N 127˚01’53”E)부터 성동대교(37˚33’08”N 127˚02’38”E)까지 수조류의 이용 현황을 살펴보고 개체군을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조사 방법으로는 쌍안경(Kowa×8, Nikon×8)과 카메라(Nikon Coolpix p500)를 사용하였으며, 조사 구역을 나눠 개체 수는 중복되지 않게 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10시부터 12시까지 3차례에 걸쳐 총 17종 1492마리의 개체수를 조사하였으며, 수조류들의 행동 유형을 알아보았다. 연구 기간 동안 가장 많이 관찰된 수조류는 민물가마우지 Phalacrocorax carbo (26.87%)와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23.66%)가 대표적이었다. 조사가 진행된 시간 내 수조류들은 주로 휴식(resting)과 헤엄치는(swimming) 행동 유형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월동 수조류의 월동지로서 중랑천의 중요성을 유추할 수 있었고, 따라서 중랑천의 관리가 더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using of waterbirds from Yongbigyo(37˚32’40”N 127˚01’53”E) to Seongdonggyo(37˚33’08”N 127˚02’38”E) in Jungrangcheon, Seongdong-dong, Seongdong-gu, Seou. It was conducted from November 4 to November 10, 2020. We divided our study area to prevent double counting of the populations of waterbirds, and we used binoculars(Kowa×8, Nikon×8) and camera(Nikon Coolpix p500). During the study period, we conducted the study total 3 times, from 10 a.m. to 12 p.m. We monitored the number of waterbirds and we also observed their behavior patterns. As a result to this, there were 17 species and 1492 individuals in Jungrangchun. The most observed species were Phalacrocorax carbo (26.87%) and Anas platyrhynchos (23.66%). During the time of the investigation, the type of behavior that waterbirds mainly showed was resting and swimming.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nfer the importance of Jungrangchun as wintering place for wintering waterbirds. Therefore, we belived that the care for Jungrangchun will be more necessary.

      • 반려견의 먹이 섭취 환경에 따른 반응 차이

        이수인(Su-in Lee),김민재(Min-jae Kim),이동화(Dong-hwa Lee),홍지우(Ji-woo Hong),김로원(Ro-won Kim),김민주(Min-joo Kim),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22 Animalia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반려견의 먹이 섭취 환경에 따른 반응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견종으로는 Toy poodle (2016년생, 중성화O, 남) 1마리, Golden Retriever (2012년생, 중성화X, 여/2018년생, 중성화O, 여) 2마리 총 3마리이다. 실험에 사용한 먹이(훈련용 트릿)는 총 30개이다. 실내 장소로는 동물행동과학연구실과 연구원 본인의 집, 실외 장소로는 제 2과학관 앞과 아파트 단지 내 공원에서 실험이 진행되었다. 기록 측정은 반려견이 먹이를 인식했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내부에 있는 먹이 10개를 다 먹을 때까지의 행동을 영상으로 기록하였다. 견 종 1마리당 2가지 환경 조건에서 관찰해 6번의 영상이 기록되었고, 그 영상들을 분석하여 견종마다 코를 핥는 횟수, 먹이를 먹는 데 걸린 시간, 먹이에 집중하지 않은 시간 등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세 마리 모두 내부보다 외부에서의 먹이 섭취 시간이 길었으며, 먹이 섭취 시 초당 코를 핥는 횟수도 외부에서 더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환경의 변화가 반려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그들의 입장을 이해해 보기 위한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in response according to the food intake environment of dogs was investigated. The dog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one Toy poodle (born in 2016, neutralized O, male) and two Golden Retriever (born in 2012, neutralized X, female/2018), neutralized O, female. The total number of food (training treatments) used in the experiment was 10.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front of the Animal Behavior Science Laboratory and the researchers own house as indoor places, and in front of the 2nd Science Museum as outdoor places and in the park in the apartment complex. The record measurement was based on the time when the dog recognized the food, and the behavior until eating all 10 internal prey was recorded as an image. Six images were recorded by observing under two environmental conditions per dog, and the images were analyzed to summarize the number of times each dog licks its nose, the time it took to eat, and the time it did not focus on feeding. As a result, all three dogs had a longer time to eat outside than inside, and the number of times they licked their noses per second increased from outs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data to find out how environmental changes affect dogs and to understand their positions.

      • 생태경관보전지역인 삼육대 불암산 조류 종 관찰을 통한 제명호의 생태적 가치 연구

        임경택(Kyungtaek Lim),신채율(Chaeyul Shin),최리아(Lia Choi),한다현(Dahyun Han),정훈 반려동물연구학회 2022 Animalia Vol.4 No.1

        본 연구는 생태·경관보전 지역인 삼육대 불암산의 조류 종 관찰을 통해 2017년 관찰 결과와 비교하여 제명호의 생태적 가치에 대해 연구하였다. 6월 25일부터 9월 26일까지 총 20번의 현장조사를 진행하였고, 제명호~삼육대 후문 까지를 세부 조사 지역으로 정하였다. 조사지역에서 하루 2시간 이내로 쌍안경과 카메라를 이용하여 직접 관찰, 또는 소리를 이용해 동정 후 기록하였다. 그 결과 2017년의 제명호 인근 조류 종 관찰 자료는 약 35 종이 관찰되었으나 이번에는 29종으로 감소하였으며, 관찰된 보호종 또한 10종에서 8종으로 감소하였다. 감소의 원인으로는 늘어난 강수량과 물이 충분히 고이지 않는 웅덩이로 꼽고 있으며 본 연구결과는 생태·경관보전 지역인 불암산 제명호 부근의 조류 서식지 훼손 및 훼손 가능성을 판별하여 서식지의 보강 및 앞으로의 관리에 대한 개선방안을 고찰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and study the ecological values of Jemyung Lake compared to the observation results in 2017 through the observation of bird species of Buram Mountain in Sahmyook University, a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ELCA). For achieving the aim of this study, a total of 20 field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from June 25,2022 to September 26, 2022, and the area from Jemyung Lake to the back gate of Sahmyook University was set up for a detailed investigation area. Within 2 hours a day in the detailed investigation area, we directly recorded observation with binoculars and camera or sorted by the sound of bird spec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that about 35 bird species investigation data near Jemyung Lake were observed in 2017, but this time, the number of bird species decreased to 29, and the observed legal protected species also decreased from 10 to 8. The reason for the decrease is that increased precipitation and puddles that does not form enough water.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o be an important data for improvement plan consideration about habitats reinforcement and care for future through discrimination of bird habitats damage and the possibility of damage near Jemyung Lake in Buram Mountain, a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ELCA)

      • 노즈워크용 장난감을 대하는 단두종과 장두종의 행동차이 연구

        권소연(So Yeon Kwon),김정은(Jeong Eun Kim),박은수(Eun Soo Park),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20 Animalia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노즈워크용 장난감을 대하는 단두종과 장두종의 행동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견종으로는 Boston Terrier(2016년생, 중성화X, 암컷) 1마리, Pug(2019년생, 중성화O, 남) 1마리, Golden Retriever(2012년생, 중성화X, 암컷 / 2018년생, 중성화O, 암컷) 2마리 총 4마리이다. 실험에 사용한 노즈워크용 장난감은 빨간색(R) 1개, 파란색(B) 1개, 노란색(Y) 1개 총 3개이다. 동물행동과학연구실과 연구원 본인의 집에서 실험이 진행되었다. 장난감을 주어서 시작할 때부터 내부에 있는 사료(힐스 사이언스 다이어트 스몰 포 라이트) 50g을 다 먹을 때까지의 행동을 영상으로 기록하였다. 견종 1마리당 3개의 장난감을 주어서 12번의 영상이 기록되었고, 그 영상들을 분석하여 견종마다 장난감을 코로 터치하는 횟수, 앞발로 터치하는 횟수, 사람을 보는 횟수,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횟수, 특이한 행동 등을 정리하였다. 정리 결과 앞발로 터치하는 횟수는 장두종보다 단두종이 비교적 많았으며, 견종의 성격차이에 따라 행동차이가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short-nosed dogs and long-nosed dogs in dealing with toys for nosework. There are a total of four dogs used in the experiment: one Boston Terrier (born in 2016, neutralization X, female), one Pug (born 2019, neutralization O, male), and four Golden Retriever (born in 2012, neutralization X, female / born in 2018, neutralization O, female). There are three toys for nosework used in the experiment: one red (R), one blue (B), and one yellow (Y).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the animal behavioral science lab and the researcher"s own home. From the start of the toy, we recorded their behavior from the time they ate 50 grams of the inside feed (Hills Science Diet Small For Light). Each dog was given three toys, and 12 videos were recorded, and each dog was analyzed to summarize the number of times the toy was touched with its nose, the number of touching with its front feet, the number of people watching, asking for help, and so on. As a result of the organization, the number of touchings with the front foot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head, and behavioral differences were shown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breed.

      • 집비둘기(Columba livia )가 인간이 주는 먹이에 얼마나 친숙한가에 대한 실험

        김동원(Dong won Kim),서하은(Ha eun Seo),이지윤(Ji yun Lee),조현우(Hyun woo Jo),한얼(Eol Han),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20 Animalia Vol.2 No.1

        본 실험은 2020년 11월 6일부터 11월 13일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공원, 네 곳에서 집비둘기(Columba livia )를 대상으로 비둘기가 인간이 주는 먹이에 안전함과 친숙함을 느끼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행하였다. 우리는 집비둘기가 먹이에 접근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군집을 이루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먹이 선호도와 연관이 있을 것이라 여겨 이 실험에서 두 가지 요소를 확인했다. 실험 결과 비둘기는 인간이 직접 먹이를 주었을 때 접근 시간이 더 짧았고 개체가 군집을 이루는 속도도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four parks in Seoul from November 6 to November 13, 2020 to find out if pigeons(Columna livia) feel safe and familiar with human feeding.We believe that the time it takes a pigeon to reach its prey and the time it takes to get there may be related to food preference, so we can identify two factors in this experimen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pigeons had shorter access times when fed directly by humans, and the speed of clustering was also found to be faster.

      • 중랑천에 서식하는 수조류와 하천에 설치된 모래톱, 거석수제의 필요성

        우혁진(Hyeokjin Woo),박서현(Seohyeon Park),손혜령(Haeryeong Son),오승주(Seungju Oh),이시윤(Siyoon Lee),정훈 반려동물연구학회 2022 Animalia Vol.4 No.1

        본 연구는 중랑천에 서식하는 수조류의 개체수를 파악하고 자연적으로 생기거나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모래톱과 거석수제가 중랑천에 서식하고 있는 수조류에게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노원교(37°40’44”N, 127°03’02”E)부터 상계교(37°39’43”N, 127°03’04”E)까지, 상계교(37°39’42”N, 127°03’03”)부터 녹천교(37°38’45”N, 127°03’18”E)까지 하나의 조사 구역을 두 구역으로 나눈 뒤 총 3차례에 걸쳐, 구역 내에 서식하는 수조류와 관찰 당시 수조류의 위치, 행동 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부분의 수조류가 모래톱과 거석수제에서 먹이 활동을 하거나 숙면을 취하고 있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수조류에게 있어 하천의 모래톱과 거석수제는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opulation of water birds living in Jungnangcheon Stream and to find out how naturally formed or artificially created sandbars and giant stones help water birds living in Jungnangcheon Stream. A total of three survey areas were investigated, divided into two areas, from Nowon Bridge (37°4044N, 127°0302E) to Sanggye Bridge (37°3943N, 127°0304E) to Nokcheon Bridge (37°3845N, 127°0318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ost water birds were feeding or sleeping well on sandbars and megaliths. Therefore, sandbars and megaliths of rivers are considered essential for water birds.

      • 삼육대학교 후문부터 제2과학관까지 서식하는 거미의 종과 개체 수 조사

        기세환(Se Hwan Ki),조현우(Hyun Woo Cho),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20 Animalia Vol.2 No.1

        본 연구는 삼육대학교 제2과학관(37°38"36.6"N 127°06"27.3"E)에서부터 삼육대학교 후문(37°38"37.1"N 127°06"30.8"E)까지 약 3402.85m²의 면적을 2020년 10월 21일부터 2020년 10월 31일까지 조사 장소에 서식하는 거미들의 종과 개체 수, 서식 환경 등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타래풀거미(Agelenaᅠdifficilis ), 무당거미(Nephilaᅠclavata ), 별늑대거미(Pardosaᅠastrigera ), 말꼬마거미 (Parasteatodaᅠtepidariorum )는 도심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종으로써 조사 장소가 초목의 조성이 잘 되어있어 조사 면적에 비해 개체수가 많이 발견되었다. 총 4종 97마리가 발견되었다. 개체는 발견하지 못 하였지만 한국깔때기거미(Paracoelotes spinivulva) 의 거미줄이 발견되었다. This study covers an area of approximately 3402.85m² from the rear gate of Samyuk University (37°38"37.1"N 127°06"30.8"E) to the Second Science Museum (37°38"36.6"N 127°06"27.3"E) from October 21, 2020 to October 31, 2020, it was conducted to identify species, populations, and habitat environment of spiders living in the survey site. Agelenaᅠdifficilis, Nephilaᅠclavata, Pardosaᅠastrigera, Parasteatodaᅠtepidariorum are common in urban areas, but the number of spiders was found to be large compared to the area of the survey due to the well-developed vegetation site. A total of 97 species of four were found. No spiders were found, but Paracoelotes spinivulva ’s webs were discovered.

      • 일반 사료와 동결건조 사료의 기호성 차이 분석

        강유민(Yu Min Kang),정다민(Da Min Jeong),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21 Animalia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동결건조 사료와 일반 사료에 대한 개의 기호성을 섭취 행동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대상은 총 개 4마리로, 대형견(Golden Retriever) 2마리와 소형견(Shih Tzu) 2마리로 구성하였다. 실험은 스트레스에 의한 변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험견의 생활공간에서 진행되었다. 또한, 허기에 의한 변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험 시간은 아침 사료 급여 후로 선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동결건조 사료와 일반 사료는 각각 세 종류씩 선정하였으며, 섭취 시간, 산만함의 정도, 섭취 후 행동, 잔여 사료량, 그릇 탐색 횟수 등을 척도로 삼아 기호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균적으로 네 마리의 개 모두 동결건조 사료에 대한 기호성이 일반 사료보다 높았으며, 특히 섭취 시간에 대한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In this study, dog preferences for freeze-dried feed and general feed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intake behavior.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consisted of a total of 4 dogs, 2 large dogs (Golden Retriever) and 2 small dogs (Shih Tzu).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living space of the experimental dog to minimize variables caused by stress. In add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variables due to hunger, the experimental time was selected after the morning feed benefit. Three types of freeze-dried feed and general feed used in the experiment were selected, and differences in preference were analyzed using intake time, degree of distraction, behavior after intake, residual feed amount, and number of vessel searches as measures. As a result, on average, all four dogs had a higher preference for freeze-dried feed than general feed, and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intake time was notice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