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방환경변화에 따른 군무원 인사제도 개선방안 연구 : 법령, 직군·직렬, 보직관리를 중심으로

        이강영 건양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Today the changes to the national defense environment has been characterized by the complex and diverse patterns of threat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military threat due to the increasing ultranational and non-military threat. Ultranational threats such as terror,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cyber attack have become universal and covered vast regions. Newly emerging threats are epidemic diseases, natural disasters, global warming,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other non-military threats. Considering the various patterns of threats to defense in the global community, it's apparent that one nation cannot make proper responses to threats on its own and is in definite need of cooperation and reaction on the scale of global community. South Korea is adjacent to such world powers as China and Japan geopolitically speaking and is under the constant military threat from North Korea including missile development. Today it faces a bigger demand for quality improvement in national defense than ever. Currently under development, National Defense Reform 2020 includes such major policy tasks as enacting the gradual increase of the quorum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setting a goal of expanding civilian workforce in the military organization, and activating the operation of civilian personnel to guarantee the military's combat force after a reduction of regular troops. Effective utilization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as core personnel is promoted as one of the major tasks of national defense reform. Thus it seems meaningful to suggest directions in the development of the sector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in this critical time.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were included in the military organization at the same time it's established. Going through the civil servants period(1948~1950), period of the system of attachment to the military(1951~1979), and period of the system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1980~present), they have continuously grown and developed. Working in the area of administration, education, technology, and research at the Joint Chiefs of Staff, each force, and national regiments, they have also made contributions to the effective operation of national defense affairs. However, South Korea is the only nation in the world that distinguishes common civil servants and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in the Ministry of Defense, which has served as an obstacle to the enforcement of the National Defense Civil Servants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personnel system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at the time of their enlarged roles claiming more and more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changes to the national defense environment for the sake of the settlement of the National Defense Civil Servants System. It also aimed at providing suggestions to improve the concerned statues, job families and series, and position management within the national defense organization. After the Introduction, Chapter 2 reviewed the roles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according to the changes to the national defense environment. The interests among the nations form a structure of collaboration and competition. With the constant conventional military threat, the ultranational and non-military threats have expanded, which means a greater demand for national defense reform than ever. The military of the future should move toward high-tech information and science centered around information and technology. National defense policies should be executed by the leading roles of civilians to reform the national defense system in the way that secures low cost, high effectiveness, and economy. In order to pursue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also need to join those efforts by improving the personnel system. A survey was taken to collect diverse opinions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the personnel system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The results show that most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preferred the enforcement of the National Defense Civil Servants System and wanted a system for them to work for all the agencies and units of the Ministry of Defense. According to their opinions, the urgent tasks to be improved include revising the concerned laws, improving the personnel exchanges, regulating the criteria of cordial reception and treatment among the individuals of different status, and adjusting the job series. Chapter 3 examined the categories of civil servants and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ystem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and the operation of civil workforce by foreign militaries. The distinctions and concepts of civil servants and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were understood along with the changing process of the personnel system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and the size and personnel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defense manpower of advanced nations such as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In those advanced nations, civil workforce accounts for 30% of the soldiers on service or higher, supervises most of the administrative works in national defense by separating combat-related works from administrative works, and is treated equally with civil servants in other government agencies in terms of recruitment, promotion, and position. Thus their morale is very high and they enjoy an overall favorable working environment. South Korea needs to benchmark the cases of those advanced nations in the operation of civil workforce for gradual development. Chapter 4 made a diagnosis of the current personnel system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and identified problems with the enforcement of the National Defense Civil Servants System. Diagnostication happened in the statues regarding the national defense organization, job families and series, and position management. As for the statues regarding the national defense organization,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prohibits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from being deployed to the Ministry of Defens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and Office of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for their auxiliary and assisting agencies. That means the job scope and utilization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is fundamentally limited by the act, which is the essential reason behind the lower evaluation and deterioration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in the public office community. It's time to revise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to allow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to work for the headquarters of Defense Ministry,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and Office of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to create a condition for them to work as civilian manpower for national defense. The Military Organization Act puts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in the category of supplementary organization in the military system, which means that they're subject to the personnel management of soldiers on service and that the poor organization and manpower structure pushes the manpower management to the limits. Thus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remain in assisting the military instead of taking a leading role in the defense work, which is clearly ineffective in the utilization of civilian manpower.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mprovement. The general principles about the organization and quorum of defense personnel and the job instructions of quorum management prescribe that the quorum of soldiers is decided by the Minister of Defense getting an approval from the President. However, that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is decided as the Minister of Defense gathers suggestions from Chairman of Joint Chiefs of Staff, Chief of General Staff of each military, and commanders of Defense Ministry and discusses with the Minister of Strategy and Finance. Thus the quorum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can vary and be adjusted anytime according to the national budget policies. And there is no agent to represent them when their status is damaged. There should be a revision to get a presidential approval for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just like soldiers. In terms of job families and series, civil servants have 12 job families and 54 job series, and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have 23 job families and 79 job series. The greater segmentation puts restricts on the personnel management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The administrative job series are vast among the fields, which implies for difficulties with personnel exchanges and calls for readjustment. The series of functional jobs should be combined and integrated according to similarities. There are many small job series consisting of 30 or less in each force, and they cause disturbances with personnel works including recruitment, promotion, position, and education. Therefore, similar job series must be combined and integrated, unnecessary ones should be eliminated, and new series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need of work features. And in terms of position management,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receive positions according to the treatment criteria table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As a result, their positions are one or two grades lower than civil servants. Personnel exchanges take place only within each force with no room for broad personnel exchanges. Also, as the civil servants at the Department of Personnel Planning and Management of Defense Ministry take care of the affairs about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there is no growth for them. In addition, there is no condition for them to openly discuss and reflect their individual difficulties with positions. Thus plenty of elements have been identified to improve the position management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The fundamental problems can be solved by revising the concerned laws and collecting opinions from a wide range of individuals. And Chapter 5 suggested improvement ideas in the area of statues regarding the defense organization, job families and series, and position management mentioned in the previous chapter that made a diagnosis of the personnel system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even though there were many more areas to be improved for the enforcement of the National Defense Civil Servants System. The statues regarding the defense organization including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should be revised to allow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to work for the auxiliary and assisting agencies of the headquarters of Defense Ministry,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and Office of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The Military Organization Act should be also revised to have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graduate from their old assisting organization, have their status reflected, and newly establish the significance and jobs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so that they can play pivotal roles in the military part of the national army. And the general principles of the defense organization and quorum should be revised to set the quorum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the same as soldiers and to require for a presidential approval to secure their status. As for the job families and series, common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should be reduced to 2 job families and 20 job series from 15 job families and 61 job series, and functional ones to 2 job families and 9 job series from 8 job families and 18 job series. In details, the administration and information job family of common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should be included in the administration job family, the outside funded job series should be eliminated, the librarians and production job series should be included in the administration job series, the managing property job series should be newly founded. The similar job series should be integrated in the technology job family, the arms, ammunition, vehicle, and aviation job family should become job series, and the public health and exam analysis job family should become privileged government positions. For functional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the computation, publishing, and administrative assistance job series of the administration job family should be included in the administrative assistance series, and the computation typing and miscellaneous business job series should be eliminated. And in terms of position management, the treatment criteria table in the position management criteria should be got rid of and reflect the status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in the formation. Since the table does position management one or two grades lower than civil servants in the Defense Ministry, it's been an obstacle to the enforcement of National Defense Civil Servants System. It's also needed for the Defense Ministry to make and run the guidelines for circulating position management realistic. Specific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and reflected as to the period of circulating position, the titles of candidates, exchanges within the same life zone, and selection of exceptions for circulating positions so that the housing issues can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and viable guidelines will come out. A new department devoted to the affairs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should be created in the Defense Ministry to vitalize the affairs and further to build the general conditions to expand the utilization of civilian workforce for national defense. A personnel exchange program should be created in the intranet by the units of each class(the units within each promotion zone) in order for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to have a place to exchange their opinions and discuss matters, give flexibility to personnel, and contribute to their higher morale and the organizational growth. The statues regarding the defense organization should be revised along with the classification of job families and series and position management in order for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to perform their roles best as the core civil players and civil servants in national defense. When those measures are followed by improvements in recruitment, education, and promotion, the morale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will rise further,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will be maximized, and thus invaluable contributions will be made to the growth of national defense affairs. 오늘날 국방환경 변화의 특징을 보면 전통적인 군사적 위협 외에 초국가적 · 비군사적 위협이 증대되면서 위협양상이 복잡하고 다양해졌다. 테러, 대량살상무기 확산, 사이버공격 등 초국가적 위협이 보편화되고 광역화되고 있으며 전염성 질병, 자연재해, 지구 온난화, 환경오염 등 비군사적 위협도 새로운 위협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국제사회의 다양한 안보위협 양상을 고려해 볼 때 자국의 노력만으로는 대처가 불가능함으로써 국제사회의 협력과 대응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현실이다. 우리나라의 지정학적인 위치로 보면 중국과 일본 등 강대국이 주변에 인접해 있고 북한의 미사일 개발 등 변함없는 군사적 위협이 상존하고 있으므로써 그 어느때 보다 국방의 질적 개선이 요구되는 시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추진되고 있는 국방개혁 2020에 군무원 정원을 연차적으로 증원해 나가는 것을 법률로 규정하고 군조직에 민간인력의 확대를 주요 목표로 설정하고 상비전력의 축소에 따른 군 전투력을 보장하기 위하여 민간인력 운영 활성화를 주요정책과제로 제시하고 있는데 핵심요원으로 군무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국방개혁의 주요과제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기에 군무원분야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 아닌가 생각한다. 현재 군무원은 창군과 동시에 군의 구성원으로 발족되어 문관기(1948년 ~ 1950년), 군속제도기(1951년 ~ 1979년), 군무원제도기(1980년 ~ 현재)의 과정을 거치면서 성장 발전하여 왔으며 합동참모본부, 각군, 국직부대 등에서 행정, 교육, 기술, 연구분야에서 근무하면서 국방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기여해 오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만이 국방부내에 일반직공무원과 군무원이 따로 존재함으로써 국방공무원제 시행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국방환경의 변화에 따라 군무원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군무원 인사제도를 개선하여 어떻게 하면 국방공무원제를 정착시킬 수 있을까 하는 데 그 의의를 두었으며 세부적으로 국방조직 관련 법령, 직군 · 직렬분류, 보직관리 분야에 대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국방환경변화에 따른 군무원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세계각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협력과 경쟁구도가 형성되고 있고 전통적인 군사위협이 상존하고 있는 가운데 초국가적 · 비군사적 위협이 확산되어 그 어느때 보다도 국방개혁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미래군은 정보 · 기술 중심의 첨단 정보과학군으로 전환하여 발전되어가야 하고 저비용 · 고효율의 경제적인 국방관리체계로의 혁신을 위해서는문민중심의 국방정책이 집행되어야 하는데 군무원 역시 전문성과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해 인사제도를 개선하여 이에 동참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군무원인사제도 개선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필요한 설문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군무원들은 국방공무원제 시행을 선호하고 있고 국방부 전기관 및 부대에서 근무 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과제로 관련법규의 개정, 인사교류 개선, 신분간 예우 및 대우기준 조정, 직렬 조정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공무원과 군무원의 분류 및 군무원제도의 변천과정을 알아보고 외국군의 민간인력 운용실태를 살펴보았다. 공무원과 군무원의 구분과 개념을 이해하고 군무원인사제도의 변천과정과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의 국방인력의 규모와 인사관리 등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선진국의 경우 민간인력이 현역군인의 30%이상을 점하고 있고 군 전투관련업무와 국방행정업무를 분리하여 국방행정업무 대부분을 민간인력이 관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부서의 주요책임자로서 채용, 승진, 보직면에서 타 정부부처 공무원과 동일한 대우를 받고 있기 때문에 사기가 매우 높고 전반적인 근무환경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선진외국의 민간인력 운용실태를 벤치마킹하여 단계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제4장에서는 현재의 군무원 인사제도를 진단하여 국방공무원제를 시행하는데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알아보았고 국방조직 관련법령, 직군 · 직렬분류, 보직관리면에서 진단하였다. 먼저 국방조직 관련법령에서 보면 정부조직법에 군무원은 국방부와 방위사업청, 병무청의 보조 및 보좌기관에 보직될 수 없도록 되어 있으므로써 군무원의 직무범위와 활용이 정부조직법에 의해 기본적으로 제한되어 공직사회에서 높게 평가되지 못하고 낙후되는 근본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국방민간인력으로 근무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군무원도 국방부 본부, 방위사업청, 병무청에 보직할 수 있는 정부조직법의 개정이 필요한 시기가 도래되었다. 국군조직법에는 군무원은 군편제의 보충조직으로 되어 있어서 현역의 인사관리에 종속되어 이뤄지고 있으며 조직 및 인력구조가 취약하여 인력관리의 한계점이 초래되고 있다. 따라서 국방업무의 주도적인 역할 수행보다는 군의 보조역할에 머무르게 되어 민간인력 활용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어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국방조직 및 정원에 관한 통칙과 조직 및 정원관리 업무훈령에서도 군인의 정원은 국방부장관이 대통령의 승인을 얻어 정하지만 군무원의 정원은 국방부장관이 합참의장, 각군 참모총장, 국방부 직할부대장의 건의를 받아 기획재정부장관과 협의를 거쳐 정하도록 함으로써 국가예산 운용방침에 따라 군무원 정원은 언제든지 변할 수 있고 조정이 가능함으로써 신분상의 불이익이 있어도 대변할 수 없어 군인의 정원과 같이 대통령의 승인을 얻어 정하도록 개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직군 · 직렬 분류면에서 보면 공무원은 12개 직군 54개 직렬이고 군무원은 23개 직군 79개 직렬로서 공무원보다 세분화되어 인사관리에 제한이 되고 행정직렬은 업무분야가 광범위하여 인사교류시 어려움이 내재되어 재조정이 필요하다. 일반군무원 직렬중 기능적인 업무수행 직렬이 있어 기능적 직무의 유사성으로 통 · 폐합이 요구되며 30명 미만의 소수직렬이 각 군별로 다수 있으므로써 채용, 승진, 보직, 교육 등 인사업무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유사직렬의 통 · 폐합, 불필요한 직렬의 폐지, 업무특성상 신설이 요구되는 직렬의 신설 등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보직관리면에서 보면 군무원 대우기준표에 의한 보직을 부여함으로써 일반공무원 보다 1~2직급 하향 운용되고 있고 인사교류도 각군별로 실시함으로써 폭넓은 인사교류가 되질 못하고 있다. 또한 국방부 인사기획관리과에서 일반공무원이 군무원업무를 담당함으로서 군무원차원의 발전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군무원 각 개인이 보직관련 애로사항을 공개적으로 토의하고 반영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져 있지 않으므로써 군무원의 보직관리에 많은 개선소요가 도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점은 법규를 개정하고 폭넓은 의견수렴을 통해서 개선의 돌파구를 찾아야 할 것이다. 제5장에서는 군무원 인사제도 진단에서 언급되었듯이 국방공무원제 시행에 필요한 분야가 더 있겠지만 본 논문에서는 국방조직 관련법령, 직군 · 직렬분류, 보직관리 분야에 한정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방조직 관련법령에서 보면 정부조직법에 군무원도 국방부본부, 병무청, 방위사업청 보조 및 보좌기관에 근무할 수 있도록 소요를 도출하였다. 국군조직법에서 군무원의 보조조직을 탈피하고 군무원의 신분을 반영하고 군무원의 의의와 직무를 신설하여 명시함으로써 국군의 일원으로서 군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국방조직 및 정원에 관한 통칙에서는 군무원의 정원을 군인과 동일하게 책정과 배정을 함에 있어 대통령의 승인은 얻어 정하도록 하여 군무원의 위상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직군 · 직렬 분류면에서 보면 일반군무원은 15개 직군 61개 직렬에서 2개 직군 20개 직렬로, 기능군무원은 8개 직군 18개 직렬에서 2개 직군 9개 직렬로 축소조정 하였는데 세부적으로 보면 일반군무원의 행정 및 정보직군을 행정직군으로 통합하고 외자직렬를 삭제하였고 사서와 생산직렬은 행정직렬에 통합하고 관재직렬을 신설하였다. 기술직군은 유사직렬을 통합하고 병기, 탄약, 차량, 항공직군 등은 직렬화 하였으며 보건이나 시험분석 직군은 별정직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능군무원은 행정직군의 전산, 발간, 행정보조 직렬을 행정지원직렬로 통합하고 전신타자, 잡무직렬은 폐지하여 단순화하였다. 보직관리면에서 보면 보직관리기준에 명시되어 있는 대우기준표를 없애고 편제상에 군무원의 직위를 반영하여 운영해야 할 것이다. 대우기준표에 의한 보직관리는 국방부 일반공무원 보다 1~2단계 하향 운용되고 있는 현싯점에서 국방공무원제 시행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순환보직관리지침도 국방부차원에서 지침을 현실화하여 운용해야 할 것이다. 순환보직기간, 대상직위, 생활권내 교류, 순환보직 예외자 선정 등 구체적인 사항을 검토하여 반영하되 주거문제를 동시에 고려하여 실현가능한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군무원업무에 대한 전담부서를 국방부에 신설하여 업무를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국방민간인력 활용을 확대하기 위한 제반여건이 조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각급제대별 (승진권 단위부대별)로 인트라넷에 인사교류코너를 설치 운영하여 군무원 상호간에 의견교환 및 토의를 실시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여 인사의 유연성을 살리고 군무원의 사기앙양과 조직의 발전에 기여토록 해야 할 것이다. 국방환경의 변화에 따라 군무원이 국방민간 인력의 핵심요원으로 국방공무원의 역할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 적어도 국방조직관련 법령의 개정, 직군 · 직렬 분류의 개선, 보직관리개선이 선행되어야 하며 채용, 교육, 승진 등의 개선이 뒤를 잇는다면 군무원으로서 사기진작은 물론 조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국방업무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 신뢰성기반 비용관리(RAM-C)의 운영유지단계 영향성과 그 활용방안 연구 : (에이전트기반 모델링(ABM)활용)

        조한준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79

        우리나라 국방예산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국방부는 무기체계의 획득과 운용에 있어 구분된 예산구조와 관리조직에 따른 비효율성을 보완하고 국방 과학기술의 적용을 위해 총수명주기관리 채택과 그 첫 시행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방부의 후속군수지원 강화정책으로서 무기체계의 가동률을 보장하면서 수명주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신뢰성기반 비용관리(RAM-C) 제도를 미국으로부터 도입하여 적용하려는 시작에 있다. 신뢰성기반 비용관리는 현재의 무기체계 획득 간 적용된 RAM 업무를 비용 측면을 고려하여 RAM 목표값을 충족하면서 경제적인 비용적 대안을 적용하는 것이다. 무기체계 획득에 있어 전투수행 능력 극대화와 군수지원소요가 주요 목적인 현재의 RAM 업무에 경제성 측면을 강조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뢰성기반 비용관리의 운영유지단계의 효과성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효과성 확인을 위해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ABM)을 활용하여 정량화된 효과성의 수준을 찾고자 하였으며, 운영유지단계의 활용방안은 현재 한국군의 무기체계 획득제도와 국방부에서 시행하려는 정책방향에 대한 관련기관의 학술논문, 연구자료 및 세미나 자료, 그리고 신뢰성기반 비용관리를 적용하여 개발한 무기체계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신뢰성기반 비용관리의 효과성은 신뢰도(R)가 5배 차이시 37%, 정비도(M)는 4.5배 차이시 4.7%의 비용 절감효과를 ABM모델링 통해 정량적으로 확인했다. 또한, 운영유지단계의 활용을 위해서는 신뢰성기반 비용관리의 성과관리와 야전운용제원의 수집과 활용이 핵심임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증가하는 국방예산의 효율적인 집행을 위해 첫 시행의 신뢰성기반 비용관리 제도의 운영유지단계 비용점감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였으며, 신뢰성기반 비용관리제도를 적용한 무기체계를 운영유지하며 그 성과를 활용하기 위한 방향에 대해 제시한 것이라 하겠다. 주요어 : 신뢰성기반 비용관리,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총수명주기관리, 통합체계지원(IPS) Amid the continued increase in the defense budget, the acquisition of weapons systems is changing from the existing performance-oriented acquisition to maintaining the utilization rate during the total life cycle and reducing life cycle costs. Institutional development is underwa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vailability and cost by compromising reliability and maintenance by utilizing RAM-C as a method for the change. For the operation maintenance stage, which accounts for about 60% of the life cycle cost, it is necessary to acquire an inorganic system considering its effectiveness from the design stage. This study used ABM (Agent-based Modeling) to study the cost-saving effect of the operation maintenance stage according to changes in reliability and maintenance of the development stage, and suggested a development plan as the first system.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business standards and detailed procedures for acquiring weapons systems using the RAM-C system. Key words: RAM, RAM-C, ABM, TLCSM, IPS

      • 현존전력 성능 극대화 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연구 : 방위사업청(전력화지원관리팀) 역할을 중심으로

        이혁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기존의 성능개량 절차로는 무기체계가 전력화된 이후 발생하는 성능개량 소요가 사소하더라도 짧게는 3년 내지 길게는 5년이나 소요될 수밖에 없었다. 방위사업청은 무기체계의 개선 필요사항을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해 현존전력 성능 극대화 사업을 신설하여 2020년 9월부터 시행 중이다. 또한, 현존전력 성능 극대화 사업은 2006년 방위사업청 개청 이후 분리된 무기체계 획득과 운영유지 업무의 연계 측면에서 국방부의 총수명주기 관점의 관리 정책에도 부합하는 제도이다. 아직 제도가 시행된 지 몇 년 지나지 않았고, 무기체계 개선 필요사항을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는 획득제도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기법인 SWOT 분석 방법을 적용해 현존전력 성능 극대화 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전담사업팀으로 지정된 전력화지원관리팀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한바, SWOT 분석으로 도출된 다수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요인 중 전력화지원관리팀의 역할을 중심으로 현존전력 성능 극대화 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에 대해 현존전력 성능 극대화 사업을 수행한 유경험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시행하여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현존전력 성능 극대화 사업에 대해 SWOT 분석 방법을 최초로 적용하여 연구하였고, 각 사업본부 하부에 있는 2개 전담사업팀을 1개로 통합하여 정책 기능이 있는 방위사업정책국으로 이관, 사업의 신속한 계약 추진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위탁기관 활용 등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현존전력 성능 극대화 사업이 무기체계 신속 획득제도뿐만 아니라 획득과 운영유지 업무 연계 제도로 정착될 수 있도록 본 연구를 바탕으로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기를 바란다. In the existing performance improvement process, even if the performance improvement required after the weapon system is deployed is insignificant, it can only take 3 to 5 years at the shortest.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has newly established a project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existing forces in order to promptly promote the need for improvement of the weapon system, and has been implementing it since September 2020. In addition, the project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existing power is a system that meets the management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otal life cycle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 terms of linking the acquisition and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separate weapons systems since the opening of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in 2006. It has only been about two years since the system was implemented,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needed to establish an acquisition system that can quickly respond to the needs of weapon system improvement, but research on this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WOT analysis method, which is a technique for establishing management strategies, was applied to study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existing power performance maximization project. In particular, since the role of the force integration support management team designated as a dedicated project team is very important, an efficient promotion plan for the project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power centered on the role of the force integration support management team among the many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derived from the SWOT analysis presented. In addition, objectivity was secured by conducting interviews with those who had experience in maximizing the performance of existing power. In this study, the SWOT analysis method was applied for the first time to the existing power performance maximization project, and the two dedicated project teams under each business headquarters were integrated into one, transferred to the Defense Acquisition Policy Bureau with policy functions, and contracted quickly for the project. It is meaningful that practically applicable implementation plans, such as active utilization of entrusted institutions, were presented for promo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more research will be conducted based on this study so that the project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existing forces can be established not only as a weapon system rapid acquisition system but also as a system linking acquisition and operation maintenance.

      • 육군항공 예비군 교육훈련 강화방안 연구

        김정태 건양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한 나라에 있어 전쟁을 준비하고, 수행하는 주체는 군대이며, 이러한 군대는 상비군과 예비군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오늘날 세계 각국은 급속도로 변화하는 안보환경에 따라 나라별로 국방개혁, 군비감축, 저비용·고효율의 군대 육성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개혁과 혁신의 핵심은 방대한 상비전력을 기술집약형으로 바꾸고, 유사시에 대비한 예비전력을 어떻게 평시부터 유지하고 관리하는가 하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한국은 지리적·안보적 환경여건상 직접 또는 간접적인 분쟁에 쉽게 노출되어 있으며, 짧은 종심과 육·해·공 어느 분야든 가상적국과 접촉될 수 있는, 복잡하고 어려운 군사적 환경에 놓여 있다. 이러한 면을 고려해 볼 때 무엇보다도 신속한 동원능력, 효율적인 예비전력의 강화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는 평시 저비용 고효율이라는 경제적인 군 육성과 ‘작지만 강한 군대’를 이루는 국방목표와도 부합되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 더욱 중요시 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동원전력에 대한 역할과 함께 이러한 전력이 즉시 전력화될 수 있도록, 동원의 미래에 대한 준비와 이에 따른 교육훈련 체제가 발전되어 져야 할 것이라는 점은 자명한 사실이다. 국방개혁 2020에 따르면 예비군을 상비군의 대체전력으로 정예화하고, 예비군 훈련에 대한 국민의 편의를 최대한 제공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즉, 현재 운용중인 300여만 명의 예비군은 자원관리에 많은 재원과 노력이 소요되고 필요한 물자·장비도 부족한 실정이어서 유사시 즉각적인 전투력 발휘가 제한됨에 따라 예비군을 명실상부한 상비군의 대체전력으로 육성하면서도 국민의 편익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서는 그 규모를 꼭 필요한 실소요 수준으로 감축하는 동시에 예비군 관리 및 훈련 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의 예비군은 1968년 1.21 사태가 결정적인 원인이 되어 1968년 4월 1일 예비군이 창설되어 관리 및 훈련 등의 예비군 제도가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수많은 대간첩작전 참가와 후방지역 방위의 핵심역할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의 예비군 교육훈련은 향토예비군설치법과 병역법을 근거로 하여 국방부로부터 예하부대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체계 하에서 훈련대상, 과목, 시간별 훈련방법과 방침 등을 제시하여 많은 발전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최근의 안보환경과 군사력의 변화추세를 고려해 볼 때, 예비군 역할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합한 교육훈련의 변화도 전시 동원에 대비한 임무수행으로의 변화가 더욱 필요시 되고 있다. 예비군의 훈련은 임무와 기능에 맞추어 전시 동원태세에 중점을 둔 동원예비군과 향방작전수행에 초점을 둔 향방예비군으로 구분하여 훈련방법 및 과제 등에 변화를 주어 훈련을 추진하고 있으나 보완해야 할 분야가 적지 않다. 본 논문의 목적은 국방환경 변화에 따라 한국군의 예비군 중에서도 특히 육군항공의 예비군을 어떻게 유지하고, 관리할 것인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예비전력 강화 방안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국방예산 등 한국군이 처해있는 현실 등을 감안할 때 핵심 중의 하나가 바로 교육훈련의 강화라 생각하였다. 논문에서는 한국을 둘러싼 국방환경을 먼저 살펴본 후에 육군항공 예비군 교육훈련의 현주소와 개선의 필요성 그리고 장차 발전시켜야 할 부분에 대해 모색하고, 그것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국방환경 변화와 그것에 따른 예비군 교육훈련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을 둘러싼 국방환경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는 대내·외의 안보환경을 평가해 보면 알 수 있다. 한국에 있어 주적이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북한은 여전히 막강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고, 최근에는 핵과 미사일로 긴장을 증대하는 등 도발의 야욕을 버리지 못하고 있으며, 미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러시아 등 4대 강국도 동북아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위하여 군비경쟁을 늦추지 않고 있음을 직시해야 할 것이며,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한 전쟁수행방식의 변화에도 크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군에서 현재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방개혁 2020’과 맞물려 미래 군 구조 개선과 사회변화 및 국민의 요구도 국방환경의 주요 변수가 될 것이다. 특히 미래 군 구조에 대한 전망은 국방기본정책서, KIDA, 기타 연구문 등에서 비슷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선진 국방능력을 구비하기 위한 소수정예 상비군을 지향하면서 예비전력을 상황별로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한 동원제도 확립, 상비군 축소에 따른 예비군 자원획득과 교육체계 개선, 예비군의 주 전력화 및 동원사령부 등 조직체계 개선, 무기, 장비의 현대화, 예비군부대의 평시 관리체계의 행정관서로의 이양 등에 대해서도 많은 전문가들이 개선해야 될 것임을 역설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을 살펴 볼 때 장차 군의 전력증강은 상비전력과 동원전력이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추진되어야 할 것이며, 국방예산 편성시 예비전력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그 중에서도 교육훈련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전력증강이 이루어지는 것이 현실적이고,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제3장에서는 육군항공 예비군 교육훈련의 실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변화하는 국방환경에 적극 부응하기 위해 예비전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당위성은 이미 충분한 공감을 얻고 있다. 특히 현역 병력이 현 69만 여명에서 50만 명으로 줄어들면서 예비군도 감축이 불가피한 시점에서 전력의 공백을 메우면서 지금보다도 더 강한 전투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오직 예비군의 교육훈련을 강화하고 병과 특성에 맞도록 보다 실질적으로 개선하여 유사시 즉각 전투력을 발휘토록 하는데 그 해답이 있을 것이다. 제4장에서는 예비전력 강화방안을 육군항공 예비군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지는 교육훈련 개선방안은 먼저 교육훈련과 관련된 법규와 규정에 대한 문제점과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예비군 교육훈련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예비군 교육훈련관리 및 지원체계, 안보교육의 강화를 중심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 제시하였다. 법규와 규정, 지침을 포함한 교육훈련제도 측면에서 검토 및 발전이 되어야 할 부분은 부대유형 및 임무 그리고 병과·신분·특기를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훈련체계 및 훈련방법, 훈련소집제도의 불합리성, 사전 동원 및 병력동원소집전환의 법적 문제, 민간 항공종사자 활용방안 강구의 필요성, 국민들의 예비군 교육에 대한 무관심, 교육훈련 분야에 낮은 투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는 동원 및 예비군 분야의 우수자원 회피 및 질적 저하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 해이해지고 있는 국민들의 안보의식을 고려할 때 예비군 안보교육 강화는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고, 지속 강화시켜 나가야 할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안보교육 강화 방안을 우수교관 청강제도와 교관 중간평가 활성화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훈련관리 및 지원체계 발전을 위해 선진외국처럼 예비군 훈련센터를 설치하여 보다 실질적인 교육훈련으로 전투력 유지가 가능토록 해야 하며 훈련내용도 과학화장비를 적용한 실전적인 훈련, CBT를 적용한 훈련, Cyber 시스템을 적용한 재택훈련(在宅訓練), 핵심과제위주 소집훈련 등 질적으로 향상되고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예비군 스스로 훈련에 적극 참여하게 할 수 있는 훈련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훈련지원면에서도 예비군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예비군 입장에서 전면적인 검토가 요구되며, 특히 훈련장 여건이나, 현실적인 보상 문제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항공작전사령부에 동원과를 신설하여 육군항공 예비군 교육훈련 뿐만 아니라 동원업무 및 예비전력 분야에서도 실질적인 향상을 추구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예비전력의 강화는 변화하는 국방환경을 고려해 볼 때 한국군에 있어서 가장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비전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논의한 본 논문은 한국군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논의에 불을 지피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비록 예비전력의 강화에 대한 총체적이고 포괄적인 접근은 다소 미흡한 것이 본 논문의 한계로 여겨지나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는 향후 변화하는 국방환경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부응하기 위해 즉응 전투태세를 갖춘 정예 예비군으로 거듭나기 위 한 노력으로 발전할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In the country, the milita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paring for a war and executing. That is generally classified standing army and the reserve force. In these days, due to rapid change of security environment, each country made best efforts to improve the military of defense transformation and reduction of armaments, low cost-high efficiency. The core of these revolution and reform changes huge standing army into intensive technical forces. It explains that how reserve army military strength for emergency situation is managed and maintained in a regular time period Especially due to geographic, security environment conditions, ROK(Republic of Korea) is easily exposed to a dispute directly or indirectly. Because of short-depth, it is fallen into confusing and hard military situation. It can be engaged with an imaginary enemy in every army, navy, and air forces. To consider of these exterior circumstances, they need to have a rapid mobilization ability and fortify efficient reserve army military strength. It is a very important task at this point, because of matching the purpose of national defence which is supporting economical military with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It also correspond with the goal of Korean national defense program called 'small but mighty troops'. Therefore, educational training system for the future of mobilization should be developed for war potentials to turn into a military strength immediately. According to national defense program, Army Vision 2020, the reserve force will be turned to picked troops substituting for standing army. It announced that they will give the citizen every convenience. Due to lack of supplies, equipments, finances, and efforts for resource management of 3millions of reserve force, It displays that instant combat power can be limited in an emergency. For this reason ROK should improve the reserve force as alternative military strength of standing army and give the citizen every convenience. This structure reveals reserve force management and training system must be extensively changed to reduce demanding level. Korean reserve force is established in 4. 1. 1968, resulted from the '1.21 Accident' in 1968, and it has been known for the most important organization of reserve force management and training system until these days. All the group of members of army reserve have been joined counter infiltration operations and executed as main role of rear area defense guard. The educational training system of current reserve force is based on homeland reserve forces law and the military service law. It has changed the method and principle of trainee and subject, schedule provided by The Department of Defense and its subunits. Especially, considering of security environment and the speed of changing military forces, the importance of role of reserve army becomes significant fact of national military forces. Also, to make a different action for wartime mobilization, the educational training system should be changed as the role of reserve force becomes more weighted. The reserve duty training is classified with mobilizing reserve forces- focusing on mobilization readiness in a war time period- and homeland reserve defense forces- focusing on homeland defense operation. In the both side of divisions, Korean military organization has been trying improve military training and subject, but it is not qualified yet.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how to monitor and keep army aviation reserve among reserve force of ROK, according to changing national defence environment. There are a lot of proposals of intensifying reserve army military strength as considering of reality of ROK situation for national defence budget etc. Improving educational training, however, is the most essential proposal in ROK environment situation. In this essay, at first, it displays national defence environment in ROK. After all, it searches a part of development, improvement, and the present state of army aviation reserve education..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five sections. After the introduction, it has discussed needs of changing an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and changing of national defense situation. national defense system surrounding korea has been changing differently as time goes by. It can figure out from evaluating security condition in and out country. North Korea, the most major threatening enemy of ROK, still has mighty military powers. Recently nuclear and missile of North Korea brings enlarged tensions to ROK. ROK needs to realize that the most powerful four countries in the world- U.S.A, China, Japan, and Russia- are also on arms race to have influence on Northeastern Asia area.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f warfighting styles as new scientific technology is invented and innovated. Also, social issues, needs of the people, and future force structure reorganization with 'Army Vision 2020' program will be a main variable in national defense environment. Especially, the respect of force structure reorganization is described similarly by national defense of basic policy plan, KIDA, and other researches. Many experts emphasize that ROK needs to reorganize military structures, modernized weapons and equipments, and management of reserve forces transferring to an administrative organ. It aims selected and limited standing army to have advanced national power. As a result, reserve forces can be used for alternative power in any cases. Considering about above reasons, improvement of future military forces should drive forward with standing army and reserve forces. Thinking of defense army military strength and financial issues of national defense, it is the most realistic and reasonable to improve educational training among methods of strengthening reserve forces. In part three, it has discussed the reality of educational training for army aviation reserve. It already has been sufficiently sympathized with the fact that it has to strengthen army reserve forces in keeping with military defense environment. Especially, at this point, a soldier on service needs to diminish from 69million to 50million and has to reduce the member of reserve forces, not only to fill in a gap of national defense, but also to exhibit further strong combat power. It is necessary to improve army reserve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and to fix military branches to fit reserve forces in a right character. In part four, it has focused on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to increase the strength of army aviation reserve. In this essay, it reveals problems and opportunities of improvement of laws and rules related to educational training, which systematically supports reserve force at first. It exposes that reserve duty training management, support system, and national security education need to be improved. Considering of educational training system including laws, rules, and guidances, there are a few subjects to be proofed and improved; 1. Type of training and training system without considering of type of unit and mission, branch, rank, speciality 2. Irrationality of reserve training call up system 3. Legal problems of pre-action mobilization and military personnel mobilization convocation transition 4. Needs of practical use for civil airman 5. Distraction of the education of reserve forces from people in general 6. Lack of investment for educational training According to the reasons above all, lack of mobilization and qualified reserve forces are appeared. In these days, strengthening army reserve security education must activate considering loose of civilian thoughts on security. It is important to keep improving security education, which can be seen through attending a premier drill instructor courses system and activation midterm evaluation for them. Also, Army reserve training center should be built like other foreign developed countries have for development of training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It will help keeping a maintenance of combat power. The following four systems lead to higher quality, driving interest, and improvement of training method letting army reserve participate in training themselves; 1. Scientific equipment adopted to realistic training. 2. CBT training 3. cyber system adopting home-training 4. Mobilization training based on main subject In a training support sector, considerable review is required to give a better condition to reserve forces. Especially, effort is needed to develop and study a training area condition, a realistic repayment issues and so forth. Also, a mobilization department needs to be built at Army Aviation Operation Command thus not only for army aviation reserve training program, but also mobilization tasks and reserve army military strength. Meanwhile, it should be improved substantially. Improvement of reserve forces is a realistic and reasonable proposal for Korean army according to change in a national defense circumstance. This essay discusses and argues about improvement on reserve army military strength. On the other word, it significantly vitalizes the argument even more about where korean army should be heading to. It is restricted to concern on the whole of reserve army military strength. However, it will drive forward reserve forces to specialized forces whom always prepare for war. It is no doubt that continuable interest and research will response spontaneous for variety of national defense circumstances.

      • 재고관리의 동적 최적화 적용 연구

        남광식 국방대학교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63

        군에서 재고관리 실패는 전투준비태세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어 재고 대상품목의 선정부터 재고 보유량 결정 저장위치 선정의 문제들은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본 논문은 군 재고관리 정책 수립에 활용을 위해 군 재고관리의 문제점을 식별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한 연구이다. 군 재고관리의 문제점 식별을 위해 군 재고관리의 이슈사항을 살펴보았다. 최근 육군에서는 재고 증가로 인한 저장 공간 부족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대해 육군은 재고관리 시스템을 재점검하고 재고관리 정책 최적화를 정책적 과제로 선정하였다. 육군의 재고관리 정책 최적화 추진 방향은 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정량적인 산출근거를 확보하고 시간 변화를 반영한 최적 재고관리 정책 산출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를 통해 육군의 재고관리 정책 최적화 추진방향에 적합한 방안으로 시뮬레이션 기반의 동적 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다이나믹스 시뮬레이션에서 동적 최적화 모형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군 재고관리 문제에 이를 적용하여 제안한 방법론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다이나믹스 시뮬레이션에서 최적화 모델링 방법으로 Python 환경에서 PySD를 활용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방법을 활용한 동적 최적화 모형 구축방안은 전체 시간 흐름에서 단일 최적값을 산출하는 '정적 최적화 모형', 시간 변화에 따라 시점별 최적값을 산출하는 ‘동적 최적화 모형’, 동적 최적화 모형을 보완하여 현재 시점까지 수집된 부분정보로 미래 변화를 예측하며 시점별 최적값을 산출하는 '동적 의사결정 모형' 순으로 단계적으로 제시한다. 아래는 시스템 다이나믹스 시뮬레이션 모형에서의 동적 최적화 구현 과정과 이를 군 재고관리 모형에 적용한 결과에 대한 요약이다. 첫째, Python 환경에서 PySD라이브러리(Library)를 활용하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정적 최적화 구축방안을 소개하고 군 도태 예정 장비의 수리부속 최적 구매중단시점 산정 연구에 적용한 과정과 최적 정책 산출 효과를 제시하였다. 도태 예정 장비의 수리부속 최적 구매중단시점 산정 연구는 장비 도태 시점에 수리부속 재고의 과부족 문제가 발생하는 군 재고관리의 문제점 해소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리부속별 평균고장발생간격(MTBF : Mean Time Between)과 리드타임 특성에 따른 장비 가동율과 비용을 산출하고 최소 비용으로 목표 가동율을 만족하는 최적 구매중단시점을 결정하는 정적 최적화 모형을 구축하였다. 결과 분석을 통해 PySD를 활용한 최적화 모형 구축방안으로 산출된 최적값 해석 및 검증과 연구 목적별 최적화 모형 구축과 수리부속별 최적 구매중단시점 산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PySD를 활용한 정적 최적화 모델링 방법을 확장하여 군 재고관리 시스템과 유사한 고정주문량 재고관리 모형을 대상으로 동적 최적화 모형을 구축하였다. 고정주문량 재고관리 모형에서 최적화는 재고비용을 최소화하는 최적 재주문점 산출을 목적으로 한다. 동적 최적화의 성능은 정적 최적화로 산출한 최적 정책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하였다. 비교 결과 동적 최적화로 산출된 최적 정책은 시간 흐름에 따라 수요 변동에 대응하며 변화하였다. 이는 정적 최적화보다 더 현실적이며 비용도 적게 산출되었다. 이를 통해 군 재고관리 문제에 동적 최적화의 적용 가능성과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현재 시점까지 수집된 수요 변동 추세 등의 부분 정보로 미래 수요를 예측하는 현실과 달리 동적 최적화 모형은 현재 시점에서 미래 수요의 평균 변동성 변동 추세 등의 완전 정보를 활용하는 점을 보완하여 패턴인식을 활용한 동적 의사결정 모형을 구축하였다. 동적 의사결정 모형은 과거 경험 정보를 활용하여 대안을 선택하는 활동이 모형에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동적 최적화 모형과 차이가 있다. 패턴인식을 활용한 동적 의사결정 모형 구축은 패턴인식으로 수요 예측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동적 최적화로 최적 정책을 산출하는 과정을 따랐다. 동적 최적화 모형과 동적 의사결정 모형의 최적화 성능을 비교한 결과 동적 의사결정, 모형의 정책 변화가 더 역동적이고 최적화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패턴인식 기법을 활용한 동적 의사결정 모형 구축 방안의 적절성과 군 재 고관리 문제에서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군 재고관리 정책의 최적화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제시한 새 로운 최적화 모델링 방법론이 시스템 다이나믹스 시뮬레이션에서의 최적화 연구 범위의 확장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무기체계 획득 관련 패키지시설사업 발전 방안

        김증혜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무기체계 획득 관련 패키지시설사업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로 현 재는 패키지시설사업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각종 보 고자료, 연구자료, 사례 등 문헌을 통해 패키지시설사업이 비효율적으로 관리 되는 요인을 여러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관련 주요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패키지시설사업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주장비 사업 전력화에 영향을 미치는 일정관리 측면이다. 둘째는 분산된 업무체계로 인해 발생된 구조적 문제인 조직관리 측면이다. 마지막은 사업관리 미흡에 따른 이불용 예산 과다 발생 등 방위력개선사업 집행부진의 주원인인 예산관리 측면이다. 이와 같은 세 가지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획득방안에 따른 시설사업의 순기, 예산편성, 관계기관의 조직관리 등을 종합 적으로 검토하여 제안하고자 하는 패키지시설사업 관리모델의 주요내용은 다 음과 같다. 첫째, 사업 초반부터 시설 소요결정 검토 및 선행연구를 필히 진행하여 시 설소요의 구체화 여부 및 전력화 시기, 예산편성 등에 대해 충분한 사전 연구 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무기체계 전력화 진행여부 및 시설사업 기 간을 고려하여 시설사업이 먼저 추진될 수 있도록 예산 편성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셋째, 복잡한 사업진행 구조를 고려하여, 관계기관의 신속한 의사결정 을 독려하고 예산 미집행 상황 및 설계변경 등 돌발변수에 적극 대처하기 위 해 관계기관 간 소통 창구를 일원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패키지시설사업 관리모델은 기재부 등 추가적인 관계부처 합의가 필 요한 부분이 있어 현업 적용에 있어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향후에는 패키 지시설사업 참여 관계기관에 대한 조직진단을 바탕으로 한 업무 프로세스 일 원화 조직 신설 등의 추가적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더해 관련 법 령 및 규정 등 제도개선에 대한 연구를 추가한다면 보다 정교하고 현실 적합 한 패키지시설사업 관리모델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군 수리부속의 수요 분리에 따른 재고관리

        김수영 국방대학교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무기체계에 소요되는 군 수리부속의 재고관리는 작전지속능력 유지와 효 율적 예산 운용 측면에서 중요하다. 현재 한국군은 수리부속의 수요데이터를 특성에 따라 구분하지 않고 평균값을 기반으로 통합 관리하고 있다. 통합의 논리는 과거 수요관리를 위한 주된 흐름이었으나, 수요의 고유한 특성을 충분 히 반영하지 못하여 재고 과·부족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수요 특성에 따른 분리와 이에 따른 정책 변화가 필요한지에 대한 민간분야에서의 선행연 구가 부족하며, 군 수리부속 재고관리 방법에도 수요 분리에 관한 심도깊은 논의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품목이 가진 고유한 수요 특성을 활용한 분리의 논리를 군 수리부속 재고관리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과정은 군 수리부속 수요데이터를 고장정비와 예방정비로 분리하고, 이 를 시뮬레이션 모형에 적용하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모형에서는 재고관리 정책이 다루어진다. 군 수리부속 수요데이터가 고장정비와 예방정비 로 구분하여 관리되지 않는 점을 고려하여 비지도 학습 기반의 가우시안 혼합 모델 군집화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리하였다. 군 수리부속 재고관리 모형 구 축에는 시간 흐름에 따른 동태적인 변화의 수치적 분석에 용이한 시스템 다이 내믹스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군 뿐만 아니라 민간 분야에서의 수리부속 관리, 기타 수요관리 등에도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요어 : 수리부속, 수요 분리, 시스템 다이내믹스, 수요 특성, 예방정비, 고장정비 가우시안 혼합모델 군집화

      • 군사 훈련시설에 대한 민군 갈등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육군 소총사격장 사례를 중심으로

        최민식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군은 전투력을 유지하기 위해 훈련장을 운영하는 것이 필수 불가결한 공공재이지만 운영에 따른 지역규제로 지역주민들은 재산상 손실이나 소음·분진· 환경오염·안전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면서 민군갈등의 요인이 되고 있다. 훈련장 중에서 소규모의 소총사격장은 육군 훈련장 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또한 면적 면에서도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총사격장은 대규모의 대형훈련장에 비해 민원의 강도는 약하지만 숫자면에서는 월등히 많은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육군에서는 잦은 민원이 발생하는 소총사격장보다 민원 강도가 큰 대형 훈련장 위주로만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대형 훈련장이 주민집단의 시위규모가 크고 언론이나 정치권에서 집중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소총사격장은 언론이나 사회로부터 이목을 끌지 못하고 있지만 작고 다양한 유형의 민원이 발생하는 만큼 육군이 갈등관리에 들어가는 비용이나 피로도는 전체적으로 종합해보면 훨씬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육군에서는 소총사격장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전문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총사격장에 대한 갈등관리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여러 가지 개선방안이나 정책 제언을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군차원에서 갈등관리 제도 몇 가지를 개선 시켜야 한다. 소총사격장 갈등담당자에 대한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지휘관의 갈등관리 전문교육과 현업적용도를 고려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격장 지원대책을 위한 법률 개정을 위한 건의, 소총사격장에 대한 지원예산 반영이다. 둘째, 야전부대에서의 갈등관리 운영개선도 절실히 필요하다. 야전부대에서는 지휘관을 중심으로 하여 부대 가용능력 범위 안에서 갈등관리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셋째, 사격장에 대한 지원 법률도 개선되도록 해야 한다. 정부나 국방부 차원에서 지원법률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현실적으로 법적인 보상대책에 소외되어 있는 소총사격장의 경우에는 다른 보상대책이 만들어져야 한다. 민간비행장에 적용되고 있는 ‘공항소음 방지 및 소음대책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처럼 군 소음시설(비행장, 사격장 등)에도 적용될 수 있는 법안이 만들어져야 한다. 즉, 보상금이 아니더라도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피해지원 대책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The military operates training facilities all over the country to maintain combat readiness. Training facilities should be regarded as the essential public goods. But during the operation, training facilities have caused various problems such as property damage, noise, dus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afety issues for the local residents. So military training facilities have become a factor in the civil-military conflict. Among the training facilities, small-scale rifle ranges account more than half of the number of Army training facilities and occupy the largest area in terms of size. Even if the intensity of complaints from civilians is weaker than that of large-scale training facilities, the number of complaints is much higher to the rifle ranges. However, the Army focuses its conflict management to the large training facilities, where the scale of civilian protests is intense and the attention of media/politics focuses. Although the rifle ranges do not draw much attention from the media or society, the cost and fatigue associated with conflict management to the rifle ranges are much higher in the Army as various types of complaints arise. Therefore, the Army needs to pay attention to rifle ranges and conduct professional research and establish systematic management.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current conflict management at rifle ranges and identified some problems. And I have suggested a number of policy recommendations. First, the Army needs to improve conflict management systems. This includes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rifle range conflict managers,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that cover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lication, recommending legislative revisions to support rifle ranges, and reflecting support budgets for rifle ranges. Second,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conflict management operations in the field unit level. Commanders in the field unit must establish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within the capabilities of the unit. Third, the laws related to shooting ranges need to be improved. The government or the Ministry of Defense needs to review supporting laws. For rifle ranges, which are currently excluded from legal compensation plans, an alternative compensation plans should be created. A legislation, similar to the Airport Noise Prevention and Noise Reduction Law applied to private airports, can be enacted to support noise training facilities of the military, such as airfields and shooting ranges, and provide substantial support to the local residents, even if it is not monetary compensation.

      • 動員卽時 戰鬪力發揮 保障을 위한 韓國의 兵力動員制度에 관한 硏究

        박종삼 건양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재 우리나라의 동원환경은 군사력 개선의 중점이 상비전력 위주의 증강에 치중되어 있어서 예비전력의 개선이나 발전은 소외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국방비에 편성되는 예비전력의 투자규모를 보더라도 충분히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국방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방개혁 2020추진에 따라 동원훈련기간 연장 등 정책 사안들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 증대되어 가고 있으며, 일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부문까지도 해명해야 할 입장에 놓여 있는바, 국민에 대한 충분한 홍보와 설득이 한층 더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라 하겠다. 더구나, 국가를 위해 국민을 상대로 이루어지는 병력동원도 마찬가지로 국민의 여론을 고려하고, 그 이해를 요구하여 타당성을 입증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부응하기 위한 병력동원제도의 구현이 필요하다 하겠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의 병력동원제도와 관련된 문제점을 분석하여, 장차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미래 병력동원제도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서 과거의 군 경험과 무관한 행정구역단위의 동원지정제도를 현역시 복무했던 부대에 동원지정제도로 개선하여, 선·후배 유대관계를 통한 전투력발휘 Synergy 효과는 물론 작전계획 및 지형숙지로 동원즉시 임무수행이 가능하도록 병역의무를 동일한 부대에서 이행함으로써 최상의 전투력이 발휘되도록 동원지정 및 자원관리, 동원병력 수송·호송, 동원예비군 훈련 등에 관련된 분야로 한정하여 제반 문제점을 분석하여 한국의 미래 병력동원제도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상비군 수준에 버금가는 최정예 예비군의 동원지정 및 관리이다. 국방개혁 기본에 관한 법률 제 4장 제 27조에는 ‘국가는 예비군조직을 정비하고 훈련체계를 개선하며, 무기·장비 및 전투 예비물자를 현대화하여 상비전력을 대체할 수 있는 정예화 된 예비전력으로 발전시킨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또한 제 3장 국방운영체제의 선진화 제 13조와 14조에는 ‘우수한 군 인력의 확보와 전문성을 향상시킨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즉, 정예화 된 예비전력으로 발전시키고 우수한 군 인력을 확보하여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국방개혁시 인력운용에 관한 주요정책 중 하나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예자원인 현역시 복무했던 부대의 동원자원을 지정 및 관리를 위해서 소집부대의 근접지역(해 시·군·구) 동원자원을 우선적으로 동원지정하고, 부족자원은 1·3군 예하부대의 경우 수도권지역에서, 2작사 예하부대의 경우 해 시·도지역으로 단계화하여 확산 지정함으로써 동원속도를 보장해야 한다. 이와 같이 동원지정 지역을 확산할 경우 1·3군의 상비사단은 수도권에서 현역복무부대 자원으로 100% 충원이 가능하지만, 향토사단은 해 시·도내에서 충원이 제한되므로 부족자원은 주특기를 고려하여 타부대 자원으로 동원지정해야 한다. 또한 배정지역 조정, 유사특기 확대 및 개선, 통제특기 확산범위 조정 등으로 연차이내 적소특기 지정률을 향상시키며, 병력동원소집통지서 재발송 및 M+8·30일까지 동원지정된 손실보충자원 평시교부, 병무청의 병력동원집행 지원, 병력동원관련 국민의식의 제고 등으로 동원응소율 향상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둘째, 전시 동원병력 수송·호송체계 발전이다. 동원자원의 빈번한 이동으로 현 거주지 중심의 동원소집은 실현성이 의문시 될 뿐만 아니라 병무청과 군부대 간 수송체계 이원화로 인해 비효율성이 지적된다. 이러한 병력수송 문제는 자원 소재지와 소집부대간 직접 수송체계로 인한 집단수송 소요가 과다하다는 점으로부터 비롯된다. 동원계획상 전쟁초기 2일간, 1주일간 엄청난 인원이 수송되어야 하며, 또한 개별동원 인원이 전시 동원병력의 절반을 넘어 동원집행간 통제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병력동원의 집행문제는 국방부 및 병무청의 주도적 역할 속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 성과여부는 전쟁의 승패와 직결되므로, 동원의 효율적 집행을 위해서는 보완이 요구된다. 향후 군 구조 개편에 따라 동원예비군의 소요는 감소하고 동원병력의 동원지정 지역은 확산됨에 따라 전시 동원병력이 소집부대로 이동 제한이 예상된다. 따라서 타도 동원지정 자원의 집단수송·호송대책 보완 및 개별동원 지정 원거리 거주자원의 수송계획 발전 방향 정립이 관건으로 지정된 일시에 배정지역 단위의 최초집결지에 도착한 동원병력을 소집부대로 집단 수송하는 방안을, 수도권 및 해 시·도 지역별로 통합 집결지를 선정하여 동일시기·지역의 인접 소집부대를 이동축선별 집단수송하고, 집단수송이 어려운 원거리 동원지정자가 개별 입소하는 ‘동원터미널 제도’를 전국적인 민·관·군 수송수단 활용방안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또한 병무청 책임 하에 군이 행정응원하는 이원화체계를, 동원병력 소집은 병무청이 담당하고 동원병력의 수송·호송은 군이 전담하는 체계로 일원화하여야 한다. 셋째, 실전적 동원예비군 훈련으로 임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훈련여건을 보장하여야 한다. 동원훈련 대상자 선정 및 시간적용은 복무구분과 편성임무가 불일치하여 동원훈련, 동미참훈련, 향방기본훈련, 향방작계훈련, 소집점검 등 훈련체계가 복잡하고, 동원훈련 불참자는 재입영 동원훈련 및 동원불참자 훈련, 5·6년차 예비군은 소집점검, M+7일까지 동원지정된 손실보충 예비군은 동미참훈련을 실시하는 등 동원지정 예비군 82만 명 중에서 36만 명(43.8%)은 동원훈련을 미실시 함에 따라 전·평시 편성임무에 부합된 훈련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원거리 거주자는 훈련입소가 제한되고 훈련보상은 미약한 실정이다. 예비군의 복무와 훈련을 연계하여 동원훈련과 향방훈련으로 단순화하고, 동원예비군은 전원이 군부대에 입영하여 동원훈련을 실시함으로써 전시 임무수행능력 배양과 훈련부과의 형평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훈련과제와 방법적인 측면에서도 표준 동원훈련장보다는 훈련부대의 증편지 및 작계지역에서 핵심과제 위주의 실습식훈련이 되도록 부대훈련과 통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특히 현역시 복무했던 부대에 동원지정된 예비군은 직책수행능력이 우수하고, 조기 부대동화로 동원즉시 전투력 발휘가 가능하다. 또한 훈련부대가 동원훈련에 전념할 수 있도록 원거리 거주자의 입소시간 조정과 동원훈련 보상을 실비수준으로 현실화하여야 한다. 향후 병력동원제도의 연구방향은 동원은 민·관·군의 통합된 계획과 집행에 의해 이루어 져야 그 신속성과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기 때문에 행정관서 등 타 기관과 연계성을 가지고 개선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통일이후의 병력동원제도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Currently, priority of our country is leaning towards the armed forces, isolating innovation of the reserved units. This is fully expected by the investment scale that are put into the reserved units. Also, followed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ce's "reformation National Defence 2020", extending the serving days of reserved forces training is increasing the citizen's interest and because of the fact that citizens are sensitive to this matter, Ministry is in a situation to advertize and to explain all the details about extending the service days. Furthermore, for our country and citizens, we need to think counter points to another with reasonable reasons to be mutually accepted. Therefore, this essa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recalling the reserved forces to enhance the power of our units, considering the actuality and practicality for the future. To exert maximized combat skills, we have analyzed the problem and presented the novel method, that is by innovating administrative procedures to mobilized designated zone, which will exert synergistic combat skills from assembly of relative fellow senior and younger men and also, bring units in acquainted zones to accomplish mission immediately. First is to manage reserved units to perform in same level as armed forces. Fourth chapter article clause27, in "basic national defences's innovative Law" states that "Nation needs to maintain and improve the formation of reserved units, and modernize the weapons, equipments, and reserved supplies to develop elite units."and also, on article 3 clause13 and clause14 of national defence operating system, states that "Collect the elite units and improve their specialties.". From these statements, we could notice the important policy, improving and developing the elite units with their specialties. Thus, to manage the reserved elite unit, put summoned unit's designated zone in priority, and after for lacking environments, in case of FROKA and TROKA reserved forces mobilizing in capital zones, in case of SROKA reserved forces spreading the mobilizing zone to city and districts guaranteing the mobilization rate. Like this, by spreading the mobilization zone, frontier division FROKA and TROCA have 100 percent fulfilled environments for armed forces, but for rare service, because of limited environments of city and districts, need to volunteer to other forces considering the specialty. Also, due to settling the allocation zone, enlargement and development of similar specialties, and settling the spreading zone of limited specialty, improves specialty's designated rate in that instant, re-forwarding mobilized army's summoning mail connotation interpret. Secondly, mobilized armed force's conveyance needs to improve. Because of frequent movement in a mobilized environment, the mobilization of current residence is doubtful in reality and not only this, the duality of the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MMA) and the Army Transport Command inefficiency is becoming highlighted. The problem of military personnel transportation arise as resource location and summoned army base is overexpanded due to collective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mobilization planning, in the first week to the start of the war, a huge amount of personnels will need to be transported and because individual transportation mobilization is over the size of the wartime mobilization of personnels, the transportations will hugely be limited. Thus military mobilization personnel transportation will need to be dealt with the MND and MMA's actions and the results of their action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victory or defeat to the war, thus for efficient mobilization to take place, severe complementary measures will need to take place. According to the military structure reformation, the reserve force mobilization are planned to be decreased in numbers whereas the personnel mobilization areas to cover are likely in increase in size, thus during wartime, the mobilization of personnels to the related army base are to be very limited. Therefore measures for mass transportation of personnels and individual mobilization for far distance reserve forces will need to be established. In other words, once the reserve forces have assembled at the initial assembling point, the method of mass transportation of mobilized reserved troops into City and Town areas and to the related bases will need to be developed, and for those individual reserve forces who are in far distances, because they have difficulty to reach the mass transportation assembling point on time, a policy of "mobilization terminal" will need to be established using nationwide civilian, government and military transportation methods. Also a separate responsibility structure will need to take place in which the MMA will need to take charge of calling up of mobilization forces and the Armed Forces taking charge of transportation of these mobilized reserve units. Thirdly, with real practical experience of mobilization reserve training, the operation meeting capability will be improved with guarantee to training conditions. The candidates and time period for the mobilization training do not follow their military service categories and duties, thus reserve mobilization training, train mobilization absentee, native place direction basic training, train native place direction battle plan, very complex processes of training calling up procedures, non-participants to the reserve mobilization training and non-participants training, checking of reserve force of 5~6 years, and those reserve forces to be put into action until M+7 days are training in non-participants training. Thus from the total of reserve forces of 820,000 people, about 43.8% which adds upto 360,000 are not participating in the reserve forces training programs thus at the current moment, the training situation for the reserve forces during war time are very inefficient. Also far distance reserve force habitants are very limited in reaching the training compounds. Therefore the duties of reserve forces will need to be related to the training methods, and by simplifying the mobilization training and train native place direction, the reserve forces will n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rve force training. Also by entering into the army base and following the training programs set up by the department of the Army base, it will improve operation accomplishment capability. Also in training methods, it would be very efficient that rather than following the standard mobilization reserve training, it should follow key subject practical experience training by integrating the training method with the current military forces. Especially, if the reserve forces are trained at their previous army base, the operation capability accomplishment of the reserve forces are likely to increase and this will increase combat competitively as soon as they are put into action during war. Additionally, for the training army base to concentrate on the reserve forces training, far distance reserve forces will need to be compensated for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in current standard. The future of military mobilization policies will need to be developed in relation to other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departments. Also mobilization of reserve forces can increase its swiftness and effectiveness by integrating the civilian, governmental and military departments. Additionally, the mobilization of military reserve forces policy after the unification in this Peninsula will need to be developed through active researches.

      • 漢字漢文敎育의 必要性과 敎育方法改善方案 硏究 : 學校敎育·平生敎育·國防公務員敎育을 中心으로

        신현숙 建陽大學校 國防管理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우리나라는 지정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강대국인 일본과 중국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완충적 역할을 다하기 위하여서는 정치, 외교, 안보, 경제, 문화, 과학 등 모든 분야에서 일본과 중국 간에 우호 친선관계를 견고히 하고 상호협력을 하여야만 한다. 한․일․중 삼국은 모두 한자문화권에 속하고 있어 상호간에 의사소통을 신속히 할 수 있는 기초적인 한자교육을 초등학교부터 시작하여야만 되고 중․고등학교․대학교에서도 한자교육을 강화시켜야만 된다고 본다. 현재 우리나라 육법전서에 기재되어 있는 헌법, 민법, 형법 등 육법을 비롯하여 거의 대부분 법률들의 법조문이 한자로 기재되어 있으며 특히 한자 대 한글의 비율이 약 70% 대 30%의 분포로 구성되어 기재되어 있으므로 법학교육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의 한자교육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에 있다. 특히 중․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대학에 입학한 신입학생들은 법조문을 거의 읽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재학생들도 제대로 읽지 못하고 있어 안타까운 마음 금할 길이 없으며 대학교육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한자는 표의문자이기 때문에 한자를 모르고서는 법조단어 및 법조문의 참 뜻을 제대로 파악할 수가 없다. 또한 공무원 시험이나 군무원 시험에서 헌법, 민법 등 법률을 공부해야하는 학교 현장에서 어휘를 이해하지 못해 힘들어하는 학생들을 많이 보아왔다. 또한 고문헌을 연구해야하는 학생들 또한 한문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제1장에서는 본 논문작성의 배경과 한자교육의 목적을 간단히 언급하고 제2장에서는 한자교육의 이론적 고찰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학교. 평생. 국방공무원 교육에 관련하여 한자한문교육의 문제점과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초․중․고등학교에서의 문제점으로는 지도시간의 확보문제, 교재, 교수학습 자료개발, 학생들의 학습과다, 교사의 전문성, 한글 전용에 따른 한자 사용의 어려움 등을 다루었고 대학은 전공과목 용어 인식의 문제점과 취업과 관련해서 평생교육과 국방공무원에 관련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여러 단계에서 시행되는 한자한문교육의 실태와 현실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제 5장에서는 단계별 한자한문 교육제도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초등학교의 경우 초등학교 때부터 체계화된 한자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의 한자교육 연수와 전문화된 특기적성교육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중․고등학교의 경우 초등학교 때 체계적으로 익힌 한자를 기반으로 좀 더 심도 있는 공부가 이루어질 것이라 여겨진다. 수능공부를 하는데 필수요건이 될 만큼 한자를 체계적으로 공부한다면 모든 교육의 질과 수준이란 관점에서 대학교육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대학의 경우 졸업 후 취업과 관련이 되기 때문에 더욱 더 심각하게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고등교육의 장이라고 하는 대학교육에 있어서 한자병용의 필요성은 절실하다고 하겠다. 대학생들의 창의적인 두뇌발달, 어휘력 발휘에 있어서도 한자병용은 꼭 필요하다. 상상력을 요구하는 한자를 터득하지 못하면 다른 것과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어휘력을 발휘할 수 없고, 어휘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기가 연구한 내용을 가지고 좋은 논문을 쓰고자 할 때 하나의 장애물로 작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대학교육에 이어 평생교육측면과 특히 국방공무원측면에서 국방공무원의 효율적인 업무수행과 자질향상, 사병들의 정훈교육에 있어서 한자한문교육의 중요성과 문제점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해보았다. 제6장은 결론부분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현 실태에서 한자한문교육의 필요성과 더불어 많은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논의되었다. 결과적으로 초등학교부터 한자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이끌려 한자교육의 연계성이 부족했던 관계로 최고의 교육기관인 대학에서 연구 활동이 제대로 진전되지 못하고 있으며 평생교육 직업교육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때부터 체계적인 한자한문교육을 실시하는 것과 더불어 국방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군법령의 70%를 차지하는 한자를 육∙해∙공군 사관학교, 각 대학의 군사학과, 국방공무원학과, 부사관학과, 보병학교, 각 훈련소 일반 사병에서부터 장교임용∙승진시험에 이르기까지 한자를 정규화된 교육과정으로 채택할 것과 그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현재 국방일보에 기재되고 있는 한자로는 턱없이 부족함을 인식하고 우리군의 자질향상과 업무효율, 바른품성을 위하여 한자교육이 정례화 되기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