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U 방위조달지침의 개관

        박성완 광운대학교 방위사업연구소 2019 선진국방연구 Vol.2 No.3

        This study aims at brief introduction of EU Defence Directive which was declared in 2009.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both security circumstances of Europe and the progress of the single market firstly. In this context, the present research shows developing process of military and security coalition of European countries in chronicle order with the background of political and economic integration. Secondly, given that this Directive plays a role under the framework of TFEU and the EU single market, the study explores areas ruled by this Directive and ones that ruled outside the Directive by EDA, OCCAR, LoI separately. Thirdly, this article reviews legal structure of the Directive and its main features such as flexibility, security of supply and security of inform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2009년 제정된 EU 방위조달지침을 간략히 소개하고 본 지침이 국내 입법에 주는 시사점과 성과 및 한계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EU의 안보환경과 단일시장 논의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역사적 배경으로 EU 국가들의 경제적 정치적 통합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며, 특히 군사 안보 문제와 관련한 역사적 발전과정을 시간 순서에 따라 살핀다. 다음으로 본 지침의 경우 유럽의 안보 방위와 관련하여 유럽 기능조약 및 EU 단일시장의 틀에서 진행되고 있는바, 본 지침이 적용되는 영역과 EDA, OCCAR 및 LoI와 같이 위 기능조약 및 지침 영역 외에서 이루어지는 방위사업 영역이 따로 존재하므로 이에 대하여 간단히 살폈다. 그리고 본론으로 방위조달지침의 법적 구조를 먼저 살핀 후 탄력성, 공급보안, 정보보안 등 일반공공조달사업과 달리 방위사업계약에서 요구되는 특성들이 지침 내용에 어떠한 내용으로 반영되었으며 계약성립절차 및 계약조건 등에서 어떤 방식으로 구체화 될 수 있는지 살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재 본 지침이 국내 입법에 주는 시사점을 살핀 후 결론에 갈음하여 성과 및 한계를 검토하였다.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효율적인 성과기반 군수지원 관리방안 연구: 한국군 사례

        윤정현,권태욱,최경환 광운대학교 방위사업연구소 2022 선진국방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fficient management plan for a performance-based military support project as a weapon system using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such as the launch of the Army TIGER Combat Group.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performance-based military support project plans to expand various ranges and stages. Thus, more detailed management measures that combine value analysis and learning effects are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preparing for the expansion of performance-based military support projects, a plan to use companie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ilitary is proposed preemptively. Second, the performance-based military support application project using ABC analysis and portfolio technology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for military service improvement is presented separately. Third, a plan to expand the quantity of maintenance equipment acquired is proposed to improve the agility of exhibition maintenance support. This is expected to stabilize supply to companies and reduce the cost and total cost of ownership for the military. Fourth, by adding qualitative indicators based on quantitative indicators, a system that enables South Korea to actively participate in maintaining equipment operations and relying only on companies. Rather than the vague expectation that performance-based military resources will effectively utilize civilian capabilities and reduce budgets, the military must develop management strategies to maintain its immediate dispatch attitude in wartime to restore resilience and achieve its core goal. 본 연구는 육군 아미타이거 전투단 출범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무기체계가 점차 증대함에 따른 성과기반 군수지원 사업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한다. 국방부의 정책에 따라 앞으로 성과기반 군수지원 사업은 다양한 범위와 단계를 확대할 방침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세밀한 관리방안 제안은 실무적 측면에서 의의가 있으며, 가치분석, 학습효과 등을 결합한 분석접근은 학술적 측면에서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분석결과, 첫째, 성과기반 군수지원 사업 확대를 대비하여 선제적으로 군의 주도하에 업체를 활용한 계획을 제시했다. 둘째, ABC 분석과 포트폴리오 테크닉을 이용한 성과기반 군수지원 적용사업과 군직 정비 적용 범위를 구분하여 제시했다. 셋째, 전시 정비지원 민첩성 향상을 위해 정비대충장비 획득 수량 확대 방안을 제시했다. 이는 업체에 안정적인 공급과 원가절감 그리고 군에게는 총소유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넷째, 정량적인 지표 위주에서 정성적인 지표를 추가하여 업체에게만 의존하는 형태가 아니라 군에서도 장비운영유지에도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제도를 제안했다. 성과기반 군수지원이 민간의 능력을 적절히 활용하고 예산 절감에도 효과적일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보다는 군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고, 전시에 즉각 출동태세를 유지할 수 있는 관리방안을 마련해야만 어떤 위기에서도 탄력성을 회복하여 군수의 핵심목표인 전투력 발휘를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내 방산 거점권역 실태 분석을 통한 발전방안 연구: 경상남도 및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장상국,최기일 광운대학교 방위사업연구소 2022 선진국방연구 Vol.5 No.3

        This study aims to derive a customized development plan for the defense base area centered on the Gyeongsangnam-do and Changwon special cities, which are representative bases in the domestic defense industry. The areas account for more than 40% of the defense sale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based on domestic defense companies. Their status and importance increased as they were selected as the first defense innovation cluster pilot project in Korea by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For the research method, management performance (sales, R&D investment, number of employees, exports) and difficulties factors were analyzed by targeting 490 defense companies located in Gyeongnam from 2018 to 2021. Based on the results, considerable strengths and opportunity factors were derived in the fields of industry composition, defense supply chain, parts localization, workforce training, and cooperation networks, and the creation of a favorable management environment for defense SMEs was suggested. In the future, to facilitate the localization of defense materials and parts through the defense innovation cluster project, and to establish an effective mid- to long-term defense industry promotion strategy, an accurat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competitiveness of defense companies in the Gyeongnam region is required. 본 연구는 국내 방위산업에 있어 대표적인 거점인 경상남도 및 창원특례시 지역 중심으로 방산 거점 권역에 대한 맞춤형 발전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는 국내 방산업체 기준으로 방산 매출액과 종사자 수의 약 40% 이상을 점유하고, 방위사업청에서 국내 최초로 시행하는 방산 혁신클러스터 시범사업에 선정되어 그 위상과 중요성이 증가하였다. 연구 방법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경남지역에 위치하는 방산업체 490개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실적(매출액, R&D 투자액, 종사자 수, 수출액 등)과 애로사항 등을 실태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업종 구성, 방산 공급망, 부품국산화, 인력양성, 협력 네트워크 등의 분야에서 상당한 강점 요인을 도출하고,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방산 중소기업 기술개발 및 사업역량 강화, 우수 방산 중소기업 발굴 및 육성, 방산 중소기업의 우호적인 경영 환경 조성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는 중장기 방위산업육성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방산 혁신클러스터 사업을 통한 방산 소재 및 부품국산화 추진에 따른 경남지역의 방산업체 실태조사ㆍ분석 및 경쟁력 강화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소셜 네트워크상의 국방 드론 텍스트 마이닝 키워드 이슈 분석

        황욱선 광운대학교 방위사업연구소 2022 선진국방연구 Vol.5 No.2

        Research on weapon systems has been conducted, and defense dron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few analyses that identify the needs of the general public have been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ssues of interest in social networks regarding defense drones and extract keywords for activation. In this study, big data analysis tools such as Textom, Ucinet6, and NetDraw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keyword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showed that public information regarding social networks expressed keywords in defense drones, such as Defense Daily, News, Enterprise, Defense Science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Hydrogen Battery, Army, Air Force, Urban Transportation, Fire, Regional, Enterprise, and Research.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media publicity in developing cooperative technologies by companies, universities, the National Defense Research Institute, urban transportation, and firefighting, using army and air force drones, and developing future hydrogen batteries. In addition, issues of interest were observed for contents, such as applications in the United States, Israel, North Korea, Iran, and Afghanistan, and fostering university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present a case for the actual military use of defense drones and train the department of defense drones at universities. 국방 드론의 무기체계와 개발에 대한 연구는 존재하지만,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니즈를 파악하는 분석은 거의 존재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방 드론에 관한 소셜 네트워크상의 관심이슈를 분석하여, 활성화를 위한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를 위하여, 텍스톰(Textom), 유씨넷(Ucinet6), 넷스로우(NetDraw) 등의 빅데이터 분석도구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주요 단어 빈도분석, 중심성분석, CONCOR 분석에서는 소셜 네트워크의 대중들이 국방 드론에 대하여 국방일보, 뉴스, 기업, 국방과학연구소, 대학교, 수소전지, 육군과 공군, 도심 교통, 소방, 지역, 기업 및 연구소 등에 대한 주요단어에 관심을 표출하였다. 기업과 대학교 그리고 국방과학연구소의 협력기술 개발, 도심 교통, 소방 활용, 육군과 공군 드론 활용, 미래 수소전지 개발 등에 대한 대중매체 홍보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미국, 이스라엘, 북한, 이란, 아프간 등에서 국방 드론 활용, 대학교 교육 육성 내용 등에 대한 관심 이슈가 나타났다. 국방 드론의 실제적 군사 활용에 대한 사례발표, 대학교의 국방 드론 관련 인재양성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빅데이터를 통해 알아본 ‘방위비 분담금’에 관한 인식: 트위터를 중심으로

        김성곤 광운대학교 방위사업연구소 2020 선진국방연구 Vol.3 No.1

        To study, Twitter, the social media, was selected and analyzed by applying word cloud, social network and LDA techniques as keywor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key words based on frequency were "THADD", "resident in Korea," "rise," "burdened," and "negotiation," while the main key words considering word relationship and centrality were "THADD," "opposite," "cost," "deployment" and "aligned alliance." In addition, LDA technology has shown that 'THADD base construction costs', 'the withdrawal of U.S. troops from South Korea', 'Recommendation of unpaid leave of Korean workers' and 'the government's efforts to reopen negotiations' have become an issue in the current negotiation process related to 'defense cost sharing'.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key words that the public recognizes “defense-sharing expenses,” and furthermore, the government should pursue strategic negotiation policies in consideration of the key words and topics recognized by the people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negotiation results. 본 연구는 방위비 분담금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한⋅ 미 동맹의 발전방안과 방위비 분담금 협상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인 트위터를 선정하고 ‘방위비 분담금’을 키워드로 구름단어, 소셜 네트워크, LDA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빈도수에 따른 주요 핵심어는 ‘사드’, ‘주한’, ‘인상’, ‘부담’, ‘협상’ 등이었으며, 단어관계와 연결 중심성을 고려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결과 주요 핵심어는 ‘사드’, ‘반대’, ‘비용’, ‘배치’, ‘동맹’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LDA 기법을 적용한 결과, 현재 ‘방위비 분담금’과 관련된 협상과정에서 이슈화 되고 있는 ‘사드 기지 공사비’, ‘주한미군 철수’, ‘주한미군 內 한국인 근로자의 무급휴직’, ‘정부의 협상재개를 위한 노력의 내용’ 등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중들이 ‘방위비 분담금’을 인식하는 주요 단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정부는 성공적인 협상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국민들이 인식하는 주요 단어와 주제를 고려하여 전략적인 협상정책을 추진하여야 하겠다.

      • 전력지원체계 연구개발 사업관리 시스템 구축방안

        심승배,홍수민,윤웅직 광운대학교 방위사업연구소 2018 선진국방연구 Vol.1 No.1

        The force support system can be defined as various elements such as equipment, parts, facilities, and software except for the weapon system, and it occupies most of the military products based on the number of items. The armed forces have developed military technology in the field of force support systems or has introduced commercial products and technologies from the private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operational concept of information system to support the project management of force support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otal life cyc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major points. First, there are complex constraints in the R&D(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of force support system, and transparency and efficiency during project management are also requi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an information system that supports the force support system in a effective way. Second, it is necessary to reengineer the business process before building the information system related to the force support system. Third, it is necessary to form consensus within the milit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through the improvement of business process and information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e policy alternatives to the project management informatization propos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transparency of the project management. 전력지원체계는 무기체계 외의 장비, 부품, 시설, 소프트웨어 등의 제반요소로 정의하고 있고, 품목 수를 기준으로 군수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군에 특화된 군용기술과 더불어 민간의 상용기술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업무 영역이다. 군은 전력지원체계 분야에 대하여 군용기술을 연구개발 하거나 민간의 상용제품과 기술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 군차원에서 전력지원체계의 사업관리를 총수명주기 관점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의 운영개념을 정립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전력지원체계 사업은 군별로 복잡한 제약사항이 존재하며 투명성과 업무 효율성도 필요하기 때문에, 전군 차원에서 전력지원체계 사업관리를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두 번째로 전력지원체계 관련 정보시스템 구축 전에 업무 절차를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전력지원체계 업무 프로세스 개선과 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한 효율성 제고에 대한 군 내 공감대 형성이 필수적이며, 공감대 형성 이후에 관런 제도를 정비하고 전력지원체계 업무를 지원하는 조직과 인력에 대한 전문역량을 구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력지원체계 사업관리 정보화에 대한 정책적 대안은 전력지원체계 사업관리업무의 효율성과 두명성을 개선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진성 리더십과 직무소진: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김성근,김정식 광운대학교 방위사업연구소 2023 선진국방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긍정경영학 맥락에서 스트레스가 높은 직무환경에서 근무하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직무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대안적 리더십 중의 하나인 진성 리더십의 영향에 초점을 두었으며 진성 리더십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의 작동기제를 설명하기 위하여 긍정심리학의 주요한 변수 중의 하나인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방위력개선사업을 수행하는 방위사업청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팀장의 진성 리더십은 팀원들의 긍정심리자본에 정적인 영향을 주며, 팀원들의 긍정심리자본은 이들의 직무소진과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가 발견되었다. 특히, 진성 리더십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팀원들의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들이 모두 부분매개 효과를 역할을 보였으며 낙관성 매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군 조직 내에서 진성 리더십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과 조직 내 긍정심리자본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국방 AI 개발 활성화를 위한 군 R&D Open Source Platform 구축 필요성

        이상근,장상국 광운대학교 방위사업연구소 2022 선진국방연구 Vol.5 No.3

        Nations with advanced military capabilities are now focusing on developing AI algorithms for weapon system intellectualization development to retain their dominance. However, such endeavors are expensive in terms of time, effort, and resources,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it using open source to expand sharing and cooperation with industry–academic–govern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collaboration. This study is aimed at elaborating the need for adoption of it and suggesting future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open source SW in military despite the negative impact of security vulnerabilities when applied to the military weapon system. For thi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 to investigate the benefit (intercommunity and cooperation) and harm (military sovereignty and technology vulnerability) of this open source platform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with defense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establishing an appropriate platform can help secure military sovereignty and prevent technology subordination, increase the efficiency of AI R&D, ensure collaboration and connectivity between weapons systems, and strengthen software security. 군사 선진국은 AI 기반의 무기체계 지능화를 위해 국방 AI Algorithm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무기체계에 AI를 접목하기 위한 Algorithm 개발은 많은 시간과 노력, 예산이 소요되므로 산⋅학⋅연과 공유⋅협업을 확대하기 위한 Open Source를 활용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Open Source SW의 군 무기체계에 적용 시 보안 취약점의 부정적 영향에도 군 활용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활용⋅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및 국방 분야의 오픈 소스 플랫폼(Open Source Platform) 활용에 관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Open Source의 개방형 공유와 협업의 긍정적 측면과 기술 종속화와 보안 취약점 노출의 부정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우리 군의 군사주권 확보 및 기술 종속화 방지, AI 연구개발의 효율성 증대, 무기체계간 협업과 연결성 보장, SW의 보안성 강화를 위해 Open Source Platform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Open Source Platform의 역할과 운용 및 Source Code 관리 차원에서 정책적 발전 방향과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군 단체급식 서비스 품질이 급식 만족도 및 무형전투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병사의 행태적 무형전투력을 중심으로

        이상호 광운대학교 방위사업연구소 2020 선진국방연구 Vol.3 No.3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quality of the military's feeding system on meal service satisfaction and intangible combat power. This research will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military’s meal policy and budget. This study identified the four factors (food quality, hygiene, environment, and operation) related to service quality in the military's feeding system. Soldiers'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meal service was 3.21 regarding quality, 3.54 regarding hygiene, 3.35 regarding environment and 3.70 regarding operation of meal servic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the lowe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meal service, quality of meals and the satisfaction with meal service was .820 for quality, .758 for hygiene, .758 for environment, and .724 for meal service. It has been found that hygiene, environment, and operation-related aspects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improvement of meal satisfaction in addition to food quality. The correlation index between the quality of meal service and intangible combat power was found to be .233 in quality, .281 in hygiene, .240 in environment, and .308 in operation of meal service. Although the correlation index between the quality of meal service and intangible combat power was moderate, it had significant effects. Therefore, the future quality control of the group meal service needs to be managed with a balanced sense of hygiene, environment, and operation as well as quality of meals. To improve behavioral intangible combat power,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correlation index in terms of operation, hygiene, and environment is higher than the quality of meals. 본 연구는 군 단체급식 서비스 품질이 급식 만족도 및 무형전투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군 급식정책과 예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군 단체급식 서비스 품질 요인은 급식 질, 위생, 환경, 운영 등 4개 요인으로 식별되었다. 장병들의 급식 서비스 품질 만족도는 급식 질 3.21점, 급식 위생 3.54점, 급식 환경 3.35점, 급식 운영 3.70점으로 확인되었다. 급식 질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급식 서비스 품질과 급식 만족도의 상관관계 지수는 급식 질 .820, 급식 위생 .758, 급식 환경 .758, 급식 운영 .724로 나타났다. 급식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급식 질 뿐만 아니라 위생과 환경, 운영 면에도 관심이 요구되었다. 급식 서비스 품질과 무형전투력과의 상관관계 지수는 급식 질 .233, 급식 위생 .281, 급식 환경 .240, 급식 운영 .308로 확인되었다. 상관관계 지수가 높지는 않으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군 단체급식 서비스 품질 관리는 급식 질 뿐만 아니라 위생, 환경, 운영 면에 균형된 감각을 가지고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행태적 무형전투력 향상을 위해서는 급식 질보다 운영과 위생, 환경 면에서 상관관계 지수가 높다는 것을 유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 첨단기술과 연계한 기술기반 소요기획체계 발전방안

        이종화,심상렬 광운대학교 방위사업연구소 2020 선진국방연구 Vol.3 No.1

        While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MND) is pushing for the defense reform that appli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various countermeasure tools were required, including technological obsolescence in areas where the existing system of planning required long-term acquisition. To this end, we will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based planning process', which is a technology-driven force planning, in order to anticipate development trends of key core technologies and to meet future military demand capability in a timely manner through appropriate allocation of resource and leading development do. In order to apply the technology-based development process, the level of military capability to be secured in the future and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should be identified first, and procedures should be prepared to identify the optimal key joint power needs suitable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three armed forces, and to link them to the deployment in a short period of time. First, it identified ‘8 core technologies for future national defense’ that can lead future national defense for the development of high-tech. The next step was to identify the ‘10 key military capabilities’ such as high-power, ultra-precision, stealth and other ‘10 key military capabilities’ by applying the ‘8 core technologies for future defense’ and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future core technologies within the long-term period and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them as military capabilities to identify the ‘18 core weapons systems’ that can be realised as weapons systems. The following should be preceded by an institutional framework to enable the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based required planning system’ to rapidly apply superior technology elements by replacing the existing ‘concept-based demand planning system’. First, a ‘military pilot use system’ that can prove the military practicality of high-tech should be introduced to ensure the military’s test-bed role for proving the superior technology and performance of products by the private sector. Second, ‘Development of Technology Leading Rapid Acquisition System’ is required so that superior products with proven performance can be directly linked to power generation by applying simplified procedures. Third, the application of ‘small sandbox’ that allows application of technology-based demand planning should be considered for a limited time in order to be applied as soon as possible,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immediate application under the revision of regulations, etc.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its wireless password policy by specifying the criteria for application of wireless codes to address regulatory problems under military security. What should be done in parallel with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to expand and strengthen future challeng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To this end, an environment that tolerates the failure of challenging R&D projects should be created, and a co-prosperity arena should be created where economic growth and military strength will be strengthened through the creation of an ecosystem in the field of defense, in addition to economic growth in the defense sector. 국방부 주도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국방혁신을 추진 중이나 무기체계 획득시 기존의 소요기획체계는 획득에 장기간이 소요되어 기술발전 속도가 빠른 분야는 기술적 진부화가 발생하는 등 제반 대책강구가 요구되었다. 이를 위해 주요 핵심기술의 발전추세를 예측하고, 적절한 재원배분 및 선도적 개발을 통해 미래의 군 요구능력을 적기에 충족시킬 수 있도록 기술주도형 전력증강 방식인 ‘기술기반 소요기획’ 프로세스의 적용을 검토하여야 한다. 기술기반 소요기획 프로세스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① 첨단 과학기술의 개발과 ② 미래에 확보되어야 할 군사능력의 수준이 식별되어야 하며 ③ 3군 균형발전에 적합한 최적의 핵심 합동전력 소요를 식별하고, 단기간 내 전력화로 연계시키는 절차 마련이 필요하다. 먼저 첨단기술 개발을 위해 미래 국방을 선도할 수 있는 ‘미래 국방 8대 핵심기술’을 식별하였다. 다음 단계로 ‘미래 국방 8대 핵심기술’의 적용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군사능력으로 고위력, 초정밀, 스텔스 등 ‘10대 군사능력’을 식별하였으며, 마지막 단계로 중ㆍ장기 기간 내 미래 핵심기술의 적용과 군사능력의 구현가능성을 검토하여 무기체계로 실체화할 수 있는 ‘18개 핵심전력’을 식별하였다. 다음은 기존의 ‘개념기반 소요기획체계’를 대체하여 우수한 기술요소를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기반 소요기획체계’ 적용이 가능하도록 제도적 기반조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첫째, 첨단기술의 군사적 실용성을 입증할 수 있는 ‘군 시범운용제도’가 도입되어 군이 민간의 우수한 기술과 제품의 성능입증을 위한 Test-bed 역할이 보장되어야 한다. 둘째, 성능이 입증된 우수 제품은 간소화된 절차를 적용하여 바로 전력화로 연계될 수 있도록 ‘기술선도형 신속획득제도의 발전’이 요구된다. 셋째, 법규 개정 등에 따른 즉각 적용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하루라도 빨리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기술기반 소요기획 적용이 가능한 ‘소요 샌드박스’ 적용을 검토하여야 한다. 넷째, 군사보안에 따른 규제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무선암호 적용기준을 구체화하는 등 무선암호정책을 개선하여야 한다. 제도적 보완과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은 미래 도전기술 개발사업을 확대 및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전적 연구개발 사업의 실패를 용인하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고, 국방분야에서 민군이 협업하는 생태계 조성으로 경제성장과 함께 군사력도 강화되는 상생의 장이 조성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