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금관가야 유물의 조형적특성을 응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장유리 加耶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요약> 현대사회는 다양한 디자인들이 개발되며 사람들의 브랜드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그 복제품도 무수히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인의 정서가 담긴 우리 고유의 아름다운 전통을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독창정인 새로운 장신구시대를 열어 나가야한다. 본 연구는 가야시대를 널리 알리기 위해 금관가야 유물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하여 장신구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금관가야에 대한 역사적 고찰, 유물의 종류와 특성에 대하여 조사해보았다. 조사한 자료를 통해 유물을 종류별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유물의 도안화와 재구성을 통해 그 의미와 함께 우리 전통적 아름다움이 있는 장신구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장신구를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미적인면으로 돋보일 수 있는 형태가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 다각도로 분석하여 아이디어 전개를 진행하였다. 금관가야유물의 조형적 특성을 이용하여 개발한 디자인의 우수함을 현시대의 사람들이 느낄 수 있도록 하는것에 그 중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유물의 형태와 우리 전통 문양을 현대 감각에 부합될 수 있도록 미적인 면과 실용적인 면을 고려하여 디자인해 나가는 방법으로 작품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제작 과정을 통해 가야사람들의 문화에 대한 전통적 가치의 의미를 확인하고 문화 계승을 목적으로 장신구를 새롭게 디자인하고 제작해 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의의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금관가야의 역사와 유물들을 살펴봄으로써 금관가야유물의 아름다움의 계승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것은 조상들의 미적감각과 생활과 지혜와 여유를 각박한 현대 사회에 재현하고자 함에 있다. 따라서 단순한 장신구가 아닌 금관가야를 알리려는 기능을 살려 현대 사회에 실용적으로 쓰일 수 있도록 디자인을 고려하게 되었고 형태학적인 만족을 느낄 수 있는 적절한 디자인으로 전통문화를 소재로 충분히 아름다움이 표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변화하는 현대적 감각에 맞추어 다른 사람과는 다른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개성 있는 장신구 디자인을 제시할 수 있었다.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면서 미적으로도 뒤떨어지지 않은 우리 금관가야를 다시 한 번 일깨워 재인식하고 앞으로도 많은 개발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보고자 하였으며 금관가야에 대한 끊임없는 노력과 활발한 연구의 무한한 발전을 기대해본다. <Abstract> A variety of designs are developed in modern society, and the preference for famous brands gets higher, and their duplicates are pouring down. So we should open the era of new, creative and original accessories by using beautiful tradition of our own contained Korean feeling. This researcher intended to develope accessory design to publish the age of Kaya by appl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Geumgwankaya. The survey of historical consideration on Geumgwankaya, and the species and characteristic of the relics was done for its theoretical background. Then sorted , compared and analyzed in species. And tried to make accessaries holding our traditional beauty and the meaning of the relics by reconstructing and making design of them. This researcher went on unfolding the ideas , after catching what shape could look better in aspect of beauty and analyzing it in the point of varied angle. The prgress was made with pointing up the fact that contemporaries can feel the superiority of the developed design us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the relics of Geumgwankaya. Presented the work design with the method considered practical and aesthetic aspect being able to fit the form of the relics and our traditional patterns to modern sense. In the process, the meaning and conclusion was drew as follows, after the meaning and traditional value of Kayan culture was verified, and after the accessories were newly designed and made. The possibility of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he beauty of them was verified by observing the history and the relic of Geumgwankaya. And also intended to revive the aesthetic sense, life, wisdom and of ancestors in the tough modern society. Thus the researcher became to think the design in mind, not as only accessories, which can practically be used in modern society with giving vividness of faculty to blow open Geumgwankaya, and came to know it is possible enough to express beauty with traditional culture by proper design to give morphological satisfaction. It was available to present picturesque accessary design fitting to modern sense with tradition and today and being able to give expression different from others'. This researcher tried to make a momentum which gives us a new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ur Geumgwankaya having diverse meaning but not being behind in beauty again, and to look forward to continuous effort on Geumgwankaya and endless development of active studies.

      •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

        신명수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for an alternative that can improv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nger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For the measurement of the personality level, the scale for the use with the university students that had been developed by Kim, Seon-joo(2017) based on the core value virtue in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had been used. Regard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the tool that had been developed by Waner(2007), which had been adapted by PSI Consulting in Korea, which, then had been revised by Chung, Tae-yeong(2011) had been used. Regarding the anger control, from the scale(STAXI-K) that had been developed by Chun, Gyeong-goo et al.(1997) as the Korean version based on the condition-characteristic anger expression scale that had been developed by Spielberger, Krasner, and Solomon(1988), the 8 questions that pertain to the anger-control had been used. Regarding the analysis of the data, by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he t-test and the ANOVA,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that is based on the mediation model of Baron and Kenny (1986) had been carried out. If I were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ly, the averages of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was 3.98 points and 3.81 points, respectively, based on the full score of 5 points. And the average of the anger control was 3.02 points based on the full score of 4 point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sonality level,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and the anger control of the university student,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most of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were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on the level of p<0.001. Thirdly, the personality level of the university student had given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p<0.001). Or, in other words,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personality level(β=.623),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got. And the explanatory power(adjR2) was 38.6%.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s of the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level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communication(β=.124), thoughtfulness(β=.290), cooperation(β=.138) and responsibility(β=.349),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go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5.8%. Fif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ity level on the anger control,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personality level(β=.527), the higher the anger control go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7.5%. It appeared that, among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level, the higher the honest(β=.176), communication(β=.222), and responsibility(β=.195), the higher the anger control got. Six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anger control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 ship capability,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anger adjustment (β=.415),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go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6.9%. Seventh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ire personality level of the university student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the anger control was confirmed. And, in a Sobel-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Eigh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nger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it appeared that, among the sub-factors, the communication and the responsibility had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s. And, in a Sobel-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If I were to propose a few th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y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rsonality level of the university student, by generally considering the contents, including the identity,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sympathizing and solidarity capabilities, the community awareness, etc., the development of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must be pushed ahead. Second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anger control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an anger control program that integrally carries out the self-awareness regarding an anger situation, the cognitive bias, the misinterpretation self-awareness, the execution and practise of a positive alternative, etc. on the level of the university must be invigorated. Also, there is a need to aggressively push ahead with the conversation skills, the sympathization training, the emotional expression, the listening closely, the argument training, etc. through a social skills promotion program. Lastly, regarding this research, it has the meaning with regard to the point that,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nger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rsonality level had been developed and a basic material with regard to the preparation of a practical intervention plan for the control of the anger emotion had been provided.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인성수준의 측정은 김선주(2017)가 인성교육 진흥법의 핵심가치덕목에 근거하여 개발한 대학생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인관계능력은 Waner(2007)가 개발하고 국내의 PSI컨설팅이 번안한 도구를 정태영(2011)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분노조절은 Spielberger, Krasner와 Solomon(1988)가 개발한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에 기초하여 전겸구 외(1997)가 한국판으로 개발한 척도(STAXI-K) 중 분노조절(anger-control)에 해당하는 8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과 ANOVA, 상관관계 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모델에 근거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의 평균은 5점 만점기준으로 각각 3.98점과 3.81점이었으며, 분노조절의 평균은 4점 만점기준으로 3.02점이었다. 둘째,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 분노조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대부분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인성수준은 대인관계능력(p<.001)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즉 인성수준이 높을수록(β=.623) 대인관계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adjR2)은 38.6%이었다. 또, 인성수준의 하위요인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소통(β=.124), 배려(β=.290), 협동(β=.138) 그리고 책임(β=.349)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5.8%이었다. 넷째, 인성수준이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성수준이 높을수록(β=.527) 분노조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7.5%이었다. 인성수준의 하위요인 중에는 정직(β=.176), 소통(β=.222), 책임(β=.195)이 높을수록 분노조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분노조절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분노조절이 높을수록(β=.415) 대인관계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6.9%이었다. 여섯째, 대학생의 인성수준 전체와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Sobel-test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일곱째, 인성수준 하위요인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중 소통과 책임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bel-test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인성수준 향상을 위해 정체성, 의사소통능력, 공감·연대능력, 공동체의식 등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 둘째, 대학생의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해 대학차원에서 분노상황에 대한 자각, 인지적 편향과 오해석 자각, 긍정적 대안의 실행과 연습 등을 통합적으로 실시하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한다. 또한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대화기술과 공감훈련, 감정표현, 경청하기, 주장훈련 등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인성수준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분노감정 조절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직업평가 기준, 간호사 자질에 대한 연구

        박영미 가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is a descriptive study in order to search standards of job evaluation by each grade and qualification of nurse targeting nursing students from first grade to fourth grade and to use the data as basic data for a formation of a right occupational view and for vacational guidance by tracing change of job evaluation by each grade. 44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nursing students from first grade to fourth grade in K university located in Gimhae city, Gyeongnam and G university in Busan metro city.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5th, 2017 to September 30th, 2017.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through real numbers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OVA, t-test and Scheffe' test was carried out for the study using SPSS WIN/PC 21.0.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of selecting nursing major which is one of general characteristics by grade was found. Frist,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selected nursing major because of job security and second grade students answered because they were interested in nursing. Parents were ranked as the first persons who influenced on selection of nursing major in all grades. Second, it was shown that qualification certification for job which is one of the job related characteristics by grade has been prepared by all students. The students in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have prepared to achieve language certifications such as TOEIC and students in fourth grade have prepared for BLS(Basic Life Support). It showed that working area where students wanted to work the most was Busan, followed by Seoul. University hospitals were ranked the highest as hospitals where students wanted to work the most. First reason of selecting a hospital was wages. General wards for adults were ranked as the first wards where students wanted to work. Parents were ranked as the first persons who influenced on determination of hospitals. Third, for the reasons to choose a job, it showed that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were more concerned with a good atmosphere at work and good relationship between co-workers. Otherwise, third grade students considered flexible working hours and fourth grade students considered a good atmosphere at work and good relationship between co-workers. Fourth, nursing technique wa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of nurse by all grade students. Fifth, in the differences of professional standard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by grade, it was shown that first grade students had significant difference(F=3.688, p=.008) in major satisfaction. In case of being answered 'satisfied', they had higher occupational standards than others. In the differences of professional standards according to job related characteristics by grade, it was shown that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had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working area, where Seoul was ranked as the first place to work. It showed that first grade students preferred to work in Busan and fourth grade students preferred to work in Gyeongsangnam-do. Sixth, in the differences of qualification of nurs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related characteristic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irst grade students in religion(p<.05). Qualification of nurse who had religion was higher than those who had no religion. For major satisfaction,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had significant differences(p<.05).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who have been satisfied with their major had higher qualification of nurse. With the results, it was shown that nursing students had different job evaluation standards by each grade and it is possible to know what important qualification of nurse is. Therefore, occupational guide and counseling considering personality of a student, working environment, wages and working area for a right job selection are needed and nursing students must establish identity of nursing and must be self directed learners of nursing. When guiding students in school life and job placem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hanging job evaluation standards. When educating nursing students, not only nursing technique and special knowledge education but also education of communication must be strengthened and a communication program is needed. When educating practical nursing, moral education or counseling with a changing view of occupation must be strengthened. Standards of job evaluation and social recognition of nursing qualification have been changed, which may influence on nursing students. Therefore, it needs more studies and it is proposed to continue the successive studie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1, 2, 3, 4학년을 대상으로 학년별 직업평가 기준과 간호사 자질을 알아보고, 학년별 변화과정을 파악하여 올바른 직업관 형성과 취업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경상남도 김해 지역에 소재한 K 대학교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G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1, 2, 3, 4학년 학생 44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7년 9월 5일부터 9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PC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ANOVA, t-test,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별 일반적 특성에서 간호학 선택 동기는 1, 3, 4학년은 직업의 안정성 때문으로, 2학년은 적성에 맞아서 가 가장 높게 응답하였다. 간호학 선택에 영향을 준 사람은 전 학년 모두 부모님이 가장 많았다. 둘째, 학년별 취업관련 특성에서 취업을 위해 준비하는 자격증에 1, 2, 3학년은 취업을 위해 토익 등 외국자격증을, 4학년은 BLS(Basic Life Support)자격증을 준비하였다. 취업을 원하는 근무지역은 부산, 서울, 순이였다. 취업을 원하는 의료기관은 대학병원을 선호 하였다. 취업을 원하는 의료기관 선택이유는 급여가 가장 많았다. 취업을 원하는 병동은 성인일반병동이 가장 많았고 취업 결정에 영향을 준 사람은 부모님이 가장 많았다. 셋째, 학년별 직업평가 기준은 1, 2학년은 직장분위기와 인간관계가 좋은 직업을, 3학년은 융통성 있는 근무시간을, 4학년은 직장분위기와 인간관계가 좋은 직업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년별 간호사 자질은 1, 2, 3, 4학년 모두 '간호기술'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학년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업기준 차이에서 전공만족도는 1학년(F=3.688, p=.008)에서 유의한 차이가 났다. ‘만족한다’ 의 경우 상대적으로 직업기준이 높았다. 학년별 취업관련 특성에 따른 직업기준 차이에서 취업을 원하는 근무지역에는 2, 3학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p<.05). 2, 3학년 모두 서울을 선호 하였다. 1학년은 부산을 4학년은 경상남도를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년별 일반적 특성과 취업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사 자질 차이는 1학년에서 종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유교가 무교에 비해 간호사 자질이 높았다. 전공만족도에서는 1, 2, 3학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p<.05). 1, 2, 3학년 모두 전공만족도가 높은 것이 간호사 자질도 높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은 학년별에 따라 직업평가 기준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간호사 자질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직업평가 기준과 관련된 기준으로 간호대학생의 개인적 성향, 직장분위기, 임금수준, 근무지역 등을 고려한 취업지도와 진로상담이 필요하고 간호대학생의 간호학에 대한 정체성과 자기주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생활 상담과 진로지도 시 변화된 직업평가 기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간호교육에서 간호기술과 전문지식도 중요하지만 의사소통도 중요하게 생각하므로 의사소통을 강화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간호 실무 교육에서는 변화된 직업관에 맞는 상담이나, 정신교육이 더 강화 되어야 한다. 간호에 대한 직업평가 기준과 간호사 자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변화하고 있고 이것은 학생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 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며 계속 이루어지길 제언한다.

      • 성인학습자의수업참여도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영향

        김묘진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수업참여도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 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3개의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만 30세 이상의 성인학습자이고, 설문 조사는 대상자들이 다니고 있는 부산지역 대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포한 후 취합한 것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총 311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 자료 18부를 제외한 293부가 최 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수업참여도 평균은 3.79점으로 나타났고, 사회적지지의 평균은 4.11점, 대학생활적응의 평균은 3.9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수업참여도,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업참여도의 하위요인인 수업준비하기와 대학 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사회체험(p>.05)을 제외한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가 p<.05, p<.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 다. 셋째, 수업참여도 전체(p<.001)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참여도 하위요인 중 수업활동하기 (p<.01), 의사표현하기(p<.001), 수업확장하기(p<.01), 수업열정 (p<.001)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업준비하기는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넷째, 사회적지지 전체(p<.001)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 하위요인 중 친구지지(p<.01), 특 별한 사람 지지(p<.001)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반면, 가족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참여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성인학습자들의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역량 향상과 더불어 대학의 학습주인공이 될 수 있도록 학습동기부여과 성인학습자 융합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그 리고 성인학습자 스스로도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자신의 대학 생활을 기록해보는 슬기로운 성인학습자 되기 대학생활 기록 프로 젝트를 통해 자기반성적 학습을 유도하고, 성인학습자들을 대학생활 의 새로운 도전기에 적극 참여하고자 하는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를 높일 필요가 있다. 성인학습자가 여유와 쉼을 얻고, 스스로 마인드 컨트롤 할 수 있는 내면의 힘을 가지게 해주는 성인학습자를 위한 마인드셋 교육과 일반학생, 선배, 후배 협동수업으로 멘토링 프로그 램을 운용하여 성인학습자에게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서로 공유하 고 멘토링을 함께 한 사람들과 함께 성장하고 발전함으로써 여러 학생들과도 소통하며 대인관계를 증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야 한다. 또한 학생지원센터에서는 성인학습자를 위한 맞춤형 프로 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성인학습자의 마음 건강 챙김은 물론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해야 할 것이다.

      • 대학생의 인간관계적 요인과 보상적 요인이 자원봉사활동의 참여동기와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안유진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 and volunteering reward on the motives and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As for a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00 students attending 1-4 year diploma course in Kimhae si, 287 of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analysis used the survey and do tha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 The result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 what students regard as important was relationship with fellow volunteers. And about reward of volunteering, monetary compensation was found to be more prefer than non-monetary compensation. And the motives and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were 3.09 points on a five-point scale on average. Second, found that there was no strong correlation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otives &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Especially, sex and religion were irrelevant, grade and major were relevant. Third, regarding corre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 reward of volunteering, motives and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found that there was a strong overall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s. Fourth, the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 and volunteering reward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otives of volunteer activities. Fifth, the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However, volunteering reward factors did not.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can be mad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volunteers in other departments other than the social welfare students to encourage and sustain the volunteer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otivation and continuity of volunteering activities of students in port logistics department were lower than those of social welfare students. Therefore, university should actively and realistically support volunteering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increase their willingness to continue. Second, Measures are needed to encourage older students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and encourage their continued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lder students are less willing to continue their volunteer activities, so older students need to be socially interested and support the school / government so that they can continue their volunteer activities. Third, Significant changes are needed in the voluntary agency. Providing education about volunteer activities has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the volunteer motivation and sustain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from the traditional volunteer organizations that demand voluntary sacrifice and service of volunteers so as to provide realistic management of volunteer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인간관계적 요인과 보상적 요인이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지속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에 소재하고 있는 가야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회복지학과 학생 154명과 사회복지학과와 학생 수가 비슷한 항만물류학과 학생 146명 등 총 300명에게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거나 판독이 불가능한 응답을 한 17명을 제외한 283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2018년 4월 2일부터 4월 30일까지 연구에 대한 사전 설명과 동의하에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신뢰도검사, 빈도분석, 기술분석, 독립t-test, 상관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인간관계적 요인, 보상적요인, 참여동기, 지속의지의 정도를 알아본 결과 인간관계적 요인은 동료봉사자와의 관계를 중요시 여겼으며 보상적요인은 금전적 보상의 관심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와 지속의지는 5점 만점에 3.09점으로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자원봉사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지속의지의 차이는 성별, 종교는 유의미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과 학과는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간관계적 요인, 보상적요인, 참여동기, 지속의지 간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인간관계적 요인과 보상적 요인은 참여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인간관계적 요인은 지속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적 요인은 지속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참여활성화와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사회복지학과 이외의 다른 학과 학생들의 봉사활동 참여 독려 및 지속의지 고취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항만 물류학과 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지속의지는 사회복지학과 학생들 보다 낮았으므로 대학은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지원을 통해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와 함께 지속의지를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둘째, 고학년 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독려 및 지속의지 고취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고학년 학생일수록 지속의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고학년 학생도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사회적으로 관심과 함께 학교/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학점제를 강화하고 전공과 연계된 봉사프로그램을 제도화하여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봉사활동 기관의 의미 있는 변화가 필요하다.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교육제공은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지속의지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밝힌 바 있다. 따라서 봉사자의 맹목적인 희생과 봉사만 요구하는 전통적인 봉사활동기관의 모습에서 탈피하여 자원봉사자를 고려한 교육, 분위기 조성 등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현실적인 관리가 제공될 수 있도록 봉사활동기관의 변화가 필요하겠다.

      •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죽음불안, 삶의 의미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중심으로

        김해연 가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죽음불안, 삶의 의미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K도와 B시에 있는 65세 이상 노인 241명을 임의 표출하였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2018년 2월 1일부터 3월 25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주관적 건강상태, 죽음불안, 삶의 의미, 신체화 증상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와 ANOVA로 분석 후 Scheffé 사후검정,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Multiple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자는 평균 연령이 73.83±7.29세이며 여자가 63.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교육정도에서는 무학이 가장 많았고 종교는 불교가 높았다. 동거형태에서는 배우자와 함께가 가장 높았고 소득에서는 50만원 미만이 높았으며 생활 만족은 보통이다가 높았다. 대화상대에서는 있는 노인이 가장 많았으며 죽음에 대한 교육 경험이 없는 노인이 높게 나타났고 현재 신체질환 수에서는 1-2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신체화 증상은 총점 26점 만점에 평균 7.20±4.47점, 주관적 건강상태는 5점 만점에 평균 3.15±.82점, 죽음불안은 4점 만점에 평균 2.42±.53점, 삶의 의미는 총점 140점 만점에 평균 94.12±17.14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화 증상의 정도는 성별(t=-2.65, p=.008), 연령(F=15.34, p<.001), 최종학력(F=12.51, p<.001), 동거가족(F=10.88, p<.001), 소득(F=15.79, p<.001), 생활만족(F=9.52, p<.001), 대화상대(t=-2.06, p=.041), 현재 신체질환 수(F=13.15,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주관적 건강상태는 죽음불안(r=-.16, p=.011), 신체화 증상(r=-.4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 삶의 의미(r=.40, p<.001)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 죽음불안은 삶의 의미(r=-.25,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 신체화 증상(r=.32,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 삶의 의미는 신체화 증상(r=-.4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사회 노인의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β=-.28, p<.001), 삶의 의미(β=-.25, p<.001), 학력(β=-.18, p=.002), 죽음불안(β=.18, p=.001), 순으로 신체화 증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인은 36.5%의 설명력을 보였다(F=35.45, p<.001). 따라서 지역사회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삶의 의미가 낮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죽음불안이 높을수록, 신체화 증상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신체화 증상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This descriptive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investigate how subjective health status, death anxiety and life meaning of the elderly living in local commnity might influence somatization. 241 participants who were 65 years of age or older and living in K city and B city were sampled at random. The study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February 1 to March 25, 2018. The used study methods were subjective health status, death anxiety, life meaning and somatization. Using SPSS WIN 21.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ge of the elderly was 73.83±7.29 and 63.1% of them were women. In educational background, uneducated participants were most common. In religion, Buddhism was most common. Participants who were living with their spouse had large proportion statistically and monthly income below 500,000 wons were answered most and in living satisfaction, most common participants answered common. Most common participants had the parties to talk with. Most common participants had no experience of death education and had one or two physical diseases. Second, the average point from a 26-point-scale for somatization was 7.20±4.47. The average point from a 5-point-scale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3.15±.82.. The average point from a 4-point-scale for death anxiety was 2.42±.53 and the average point from a 140-point-scale for life meaning was 94.12±17.14. Third, examining somatization in accorda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t=-2.65, p=.008), age(F=15.34, p<.001), educational background(F=12.51, p<.001), family living together(F=10.88, p<.001), income(F=15.79, p<.001), living satisfaction(F=9.52, p<.001), parties to talk with(t2.059, p=.041) and present physical disease(F=13.145, p<.001). Fourth,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ubjective health status had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death anxiety(r=-.16, p=.011) and somatization(r=-.46, p<.001)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meaning(r=.40, p<.001). Death anxiety had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meaning(r=-.25, p<.001)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somatization(r=.32, p<.001). Life meaning had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omatization(r=-.47, p<.001). Fifth, it showed tha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omatization of the elderly in local community were subjective health status(β=-.28, p<.001), life meaning(β=-.25, p<.001), educational background(β=-.18, p=.002) and death anxiety(β=.18, p<.001), which accounted for 36.5%(F=35.45, p<.001). In conclusion, the result was obtained that somatization of the elderly was shown high when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not good, meaning of life was thought to be useless, educational level was low and death anxiety was high. Therefore, a program which can reduce somatiz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utilized.

      • 대학생의 학교진로지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은진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an actual directionality fo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career support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 In order to measure the school career support, the scale that had been developed by Kwak, Min-ho(2012) had been used. For the scale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scale regarding which Lee, Eun-gyeong(2001) had validated the shortened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t had been developed by Betz and Voyten(1997) had been used. Fo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the scale that Im, Eun-mi and Lee, Myeong-sook(2003) added the 2 questions on the invigoration of the use of the Internet that is related to the career path and the opening and the management of a department that is related to the school career to the scale that had been developed by Kim, Bong-hwan(1997) had been used. For the analyses of the data,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22.0,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t-test, the ANOVA,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that is based on the mediation model of Baron and Kenny(1986) had been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ly, the average of the school career support of the university student was 3.13 points.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3.62 point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3.41 point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chool career suppor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most of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were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on the level of p<0.001. Thirdly, the school career support(p<0.001) had given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r, in other words,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school career support,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β=.466) got. It appear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chool career support, the better the emotional support(β=.306) had taken place, the bett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taken place.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school career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entire school career support(p<0.001) had given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r, in other words, it appeared that, the more there had been the school career support(β=.442),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 y got.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s of the sub-factors of the school career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appeared that the information support(p<.05) and the emotional support(p<.05) had th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r, in other words,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more the information support(β=.223) and emotional support(β=.254),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got. Fif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entir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t appeared that the entir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p<.001)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β=.631),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got. Also, it appear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job information(p<0.01) and the future plan(p<0.001) had the influence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states that, the higher the job information(β=.282) and the future plan(β=.347),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got. Six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career support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 it appeared that there had been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r, in other words, it had been revealed that, the more the school career support(β=.282) and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β=.529),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got.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school career support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appeared tha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p<.001) had completely mediated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suppor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a result, within the difficulty of the employment rea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for the entry into the job world, in order to be able to continue the aggress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diversification of the job experience program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mployment and business startup information system are needed. Especially, in order to be able to experience the actual job world, the invigoration, too, of a program that is linked to the community will be needed. Also, in order for th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been preparing for the career path to be able to receive the emotional support, the career guidance utilizing the guiding professor system, the mentoring with a senior, the provision of a career counseling program, etc. must be pushed ahead aggress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교진로지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대학생의 활발한 진로준비행동을 위한 실질적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학교진로지원을 측정하기 위해 곽민호(2012)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는 Betz와 Voyten(1997)이 개발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단축형을 이은경(2001)이 타당화 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진로준비행동 척도는 김봉환(1997)이 개발한 척도를 임은미와 이명숙(2003)이 진로와 관련된 인터넷 사용 활성화와 학교 진로관련 부서개설 운영 등 2개 문항을 추가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검정과 ANOVA, 상관관계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모델에 근거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학교진로지원의 평균은 3.13점이었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3.62점, 진로준비행동은 3.41점이었다. 둘째, 대학생의 학교진로지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대부분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교진로지원(p<.001)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즉, 학교진로지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β=.466)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진로지원의 하위요인 중에는 정서적지원(β=.306)이 잘 이루어질수록 진로준비행동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진로지원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교진로지원 전체(p<.001)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즉, 학교진로지원(β=.442)이 많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진로지원 하위요인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보적지원(p<.05)과 정서적지원(p<.05)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보적지원(β=.223)과 정서적지원(β=.254)이 많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체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체(p<.001)는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β=.631)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에는 직업정보(p<.01)와 미래계획(p<.001)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업정보(β=.282)와 미래계획(β=.347)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을 말한다. 여섯째, 대학생의 학교진로지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진로지원(β=.282)이 많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β=.529)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학교진로지원 하위요인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서적지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p<.001)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취업 현실의 어려움 속에서 직업 세계로의 입문을 위해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직업체험 프로그램의 다양화, 취·창업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특히, 실제 직업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의 연계프로그램 활성화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진로준비를 하고 있는 대학생들이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지도교수제를 활용한 진로지도, 선배와의 멘토링, 진로상담프로그램 제공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 간호사의 수면장애, 조직 내 지지, 건강증진행위가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장진숙 가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간호사의 수면장애, 조직 내 지지, 건강증진행위가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P시와 G시에 소재한 200병상 이상 300병원 미만의 병원에서 근무중인 간호사 256명을 임의 표출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7년 9월 4일부터 2017년 9월 11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수면, 조직 내 지지, 건강증진행위, 전문직 삶의 질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와 ANOVA, Scheffé의 사후검정,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면장애의 평균은 2.60±0.42점(4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조직 내 지지 평균은 3.71±0.55점(5점 만점),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은 2.17±0.37점(4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삶의 질 중에서 공감만족은 평균 31.36±5.90점(50점 만점), 공감피로는 26.20±5.52점(50점 만점), 소진은 평균 28.90±4.00점(50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측면인 공감만족 상위 집단은 3.5%만 해당되며 중위 집단이 91.8%, 하위 집단이 4.7%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측면인 소진은 중위 집단이 91.4%, 공감피로는 중위 집단이 76.2%로 나타나 대상자의 전문직 삶의 질 정도는 중간 수준의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공감만족의 차이는 연령(F=4.13, p=.007), 결혼 여부(t=-3.34, p=.001), 근무 부서(F=4.32, p=.014), 총경력(F=3.55, p=.015), 직급(t=2.40, p=.017), 근무 형태(t=2.63, p=.009), 주관적 건강상태(F=7.91, p<.001), 스트레스 강도(F=3.91,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공감피로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소진의 차이는 성별(t=-2.75, p=.006), 결혼 여부(t=3.24, p=.001), 근무 형태(t=-3.30, p=.001), 주관적 건강 상태(F=14.35, p<.001), 스트레스 강도(F=12.50,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만족은 수면장애(r=.227, p<.001), 조직 내 지지(r=.337, p<.001), 건강증진행위(r=.607,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감피로는 수면장애와 조직 내 지지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건강증진행위(r=.202, p<.001)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소진은 수면장애(r=-.321, p<.001), 조직 내 지지(r=-.321, p<.001), 건강증진행위(r=-.519,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공감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건강증진행위(β=.603, p=<.001), 근무 부서(β=-.124, p=.033)순이며, 설명력은 43.1%이었다. 공감피로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건강증진행위(β=.202, p=.001)이며, 설명력은 3.7%이었다.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조직 내 지지(β=-.113, p=.045), 수면장애(β=-.129, p<.040), 성별(β=-.131, p=.024), 건강증진행위(β=-.423, p<.001)이며, 설명력은 32.2%이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개념의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을 조절 할 수 있는 각종 프로그램 개발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후 전문직 삶의 질의 집단 분류에 따른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재우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study focused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design to examine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caring efficacy, social support and clinical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clinical competency, thu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teaching program to improve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nursing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among 3rd and 4th grade of 257 nursing college student,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from four universities located in cities B and G.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uring 5th March to 10th June 2020 and analysed with the SPSS/WIN 23.0 statistical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used to obtain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Caring 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clinical competency. The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Caring 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clinical competency with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differences tested with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calculated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nursing students' empathy, emotional Intelligence, Caring 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clinical competency. Finall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f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mean sco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5.19±0.77, the mean score of Caring efficacy was 4.24±0.63, Social Support mean score was 4.13±0.57 and the mean score was 3.77±0.51 regarding clinical competency of the nursing students. 2) The results of differences in the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 nursing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in clinic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cademic achievement (F=3.96, p=.020), religion (F=3.48, p=.032), major satisfaction (F=9.76, p=.032).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satisfaction (F=6.73, p =.001). 3)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r=.46 p<.001), also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caring efficacy including clinical performance (r=.52 p<.001). In addi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bility and social support (r=.52 p<.00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ing 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r=.46 p<.001).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r=.47 p<.001), with social support and caring efficacy (r=.53 p<.001). In other words, the higher level the emotional intelligence, caring efficacy, and social support lead higher level of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4)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was under the influence of caring efficacy (β=.27, p<.001), social support (β=.26, p<.001), and emotional intelligence (β=.19, p<.001), religion (β=.12, p= .013) and major satisfaction (β=.12, p= .015). Whereas, in the domain of clinical competency with nursing students combined explanatory power recording was 39.3%(F=34.09, p<.001). In other words, the high level of caring efficacy,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higher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religious and the degree of clinical satisfaction. This increased demands of the above results, there is a need to consider selected variables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he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the effective clinical practice training programs need to be develop and implement to improve the clinical competency of the nursing students. However, the Inter institutional relationships to be establish betwee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hospitals to improve practical experiences and achieve clinical competency. also, this study suggests to expand the research subjects and conduct regional level Key Wards: Nursing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Caring Efficacy, Social Support, Clinical Competency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변수 간의 관련성과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임상수행능력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 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 3월 5일부터 2020년 6월 10일까지이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자는 B시와 G시에 소재한 4개 대학교의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과 3, 4학년 257명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임상수행능력 정도는 최소값, 최대값,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차이는 t-test와 ANOVA,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고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로 분석하였다.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임상수행능력간의 관계는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감성지능은 평균이 5.19±0.77점 이었고, 돌봄효능감은 평균이 4.24±0.63점 이었다. 사회적 지지는 평균이 4.13±0.57점 이었으며, 임상수행능력은 평균이 3.77±0.51점 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수행능력의 차이는 학업성적(F=3.96, p=.020), 종교(F=3.48, p=.032), 전공만족도(F=9.76, p=.032), 임상만족도(F=6.7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임상수행능력과 감성지능(r=.46,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임상수행능력과 돌봄효능감(r=.52, p<.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임상수행능력과 사회적 지지(r=.52,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돌봄효능감과 감성지능(r=.46,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회적 지지와 감성지능(r=.47, p<.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적 지지와 돌봄효능감(r=.53,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돌봄 효능감(β=.27, p<.001), 사회적 지지(β=.26, p<.001), 감성지능(β=.19, p<.001), 종교(β=.12, p=.013), 전공만족도(β=.12, p=.015)이었다. 이들 변수의 전체 설명력은 39.3%이었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이 높았으며,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돌봄효능감, 사회적 지지, 감성지능, 종교, 전공만족도임을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 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연구 결과의 변수를 고려해야 할 것을 제기하며, 효과적인 임상 실습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병원의 교육 기관 또는 실무 분야 간의 밀접한 관계를 통해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연구대상자와 지역범위를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 경동맥내중막두께의 영향 인자 분석

        안난희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07

        경동맥내중막두께의 영향 인자 분석 안난희 (지도교수: 김현진, Ph.D.) 방사선학(초음파)전공,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본 연구는 2022년 5월부터 2023년 2월까지 부산 지역 일개 의료 기관을 내원한 환자들 중 경동맥 초음파 검사와 혈액검사를 모두 시행한 23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목적은 경동맥 초음파를 통해 경동맥내중막두께와 혈류속도를 측정하고 대 상자들의 BMI 및 대사증후군 영향 인자들을 분석하여 경동맥내중 막두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경동맥내중막두 께와 BMI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p=0.004로 나타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밖에 연령(p=0.009), 공복혈당(p=0.026), 음주 (p=0.006) 등이 경동맥내중막두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경동맥내중막두께의 증가는 심뇌혈관질환으로 이벤트의 증가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경동맥내중막두께를 증가시키는 요인들을 배제 시키려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며 또한 다양한 예측 방법의 연구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한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하다. Key words: 경동맥내중막두께, BMI, 연령, 공복혈당, 음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