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시험 미용사면허에 따른 미용학개론 수업현황과 개선방안

        박진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미용관련 교육과정에서는 ‘미용학개론’ 수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려는 일환으로 무시험 미용사면허 발부에 관한 지정 교과목의 타당성에 따른 교과목 이수규정과 산업현장 직업군에 따른 미용사 직무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이 연구는 교수자 중심의 수업운영 현황에서 나타나는 수업계획서 및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과제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 학습자의 인식조사를 통해 보완하였다. 문헌연구의 도구는 4년제 17개 대학이 제시하는 ‘미용학개론’ 수업계획서를 준거틀로 제시하였다. 강의교재를 근거로 교수자가 직접 작성한 수업계획서의 교육내용과 중간고사 평가지를 통해 교육목표 달성을 분석한 후 공동강의 표준교재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공동강의 표준교재는 내적 구성요소를 모형화하여 표준 수업계획서 제시와 작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재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업계획서의 실태와 학습자 인식(2항목)을 조사하기 위해 17개 대학의 수업계획서 17부를 수합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설정한 수업계획서 구성요소 준거틀에 따라 각 대학이 제시하는 수업계획서 양식과 교수자가 직접 작성한 수업계획서 구성요소별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계획서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량, 빈도분석, 교차분석의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미용학개론’ 수업계획서에 대한 분석과 교재 모형개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7개 대학 ‘미용학개론’ 수업계획서 구성요소는 정혜령(2007)이 고안한 10개의 상위영역과 36개의 하위영역인 준거의 틀에 의해 구성영역인 기본정보, 교육활동, 수업 규정을 중심으로 상위 8영역과 하위 24영역으로 표준 수업계획서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육활동영역에서 교수자가 직접 작성한 명시적 학습목표를 토대로 학습내용을 선택하고 학습방법을 제시하는 평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교육목표의 취지와 이해를 구분하지 못하여 학습자 위주의 명확한 수업계획을 드러내지 못하였으며 교수자의 교과 내 지식수준에 따른 체계성 부족의 문제를 야기하였다. 대체로 교수요목은 대부분의 대학에서 주교재로 지정된 <미용학개론>의 개괄적인 단원명을 제시하였다. 중간고사 평가지의 문항은 미용의 개요, 미용 기초이론, 모발학 등 3개의 단원이 주로 서답형, 논술형으로 제시되었다. 선정된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제시하는 교육방법은 수업방법, 주체, 활용기자재를 항목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세부적 분석결과는 기본적으로 일관성과 무관하게 대학별로 다르게 운영하고 있었다. 넷째, 미용사(일반)의 입문서인 ‘미용학개론’의 내용은 모발관련 교과인 실기과목의 선수과목으로 제시된다. 이는 모발생리, 형태, 미세구조, 성질 등의 개념과 원리가 접목되는 샴푸 및 린스, 두개피관리, 헤어세팅 및 디자인, 헤어컷, 헤어펌, 헤어컬러링(이하 모발관련 교과)에 대한 개론서의 전문적인 형식을 갖춤으로써 내용 비중상 대체 교과목명의 필요성을 규명하였다. 다섯째, 「공중위생관리법」 이・미용관련 교과목 이수규정에 따른 ‘한국미용학회’ 의견 서(2011년 5월 3일) 제출에서 이수교과별로 제시된 교과와는 달리 ‘미용학개론’ 교과목명과 내용규정은 어디에도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미용학개론’에 대체할 수 있는 공동강의 표준교재(안)는 《모발 미용학의 이해》를 중심으로 내적 구성요소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미용사 및 미용교사 양성을 위한 교과목이라는 특수성이 내용 구성에 적절히 반영된 공동강의 표준교제의 내용을 토대로 표준 수업계획서가 작성되었다. In the recent beauty-related curriculum, the rules of course completion by the validity of specified subjects on cosmetology license and the jobs of beauty artists by occupational groups in industry are being discussed as part of looking at ways to improve the ‘Introduction to Cosmetology’ co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yllabus and teaching issues from the status of professor-centered teaching, and develop improvement challenges and implications. To achieve this, it was made up for through a survey of learners' percep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For the scale of literature review, the ‘Introduction to Cosmetology’ syllabus offered by 17 4-year colleges was come up with as a framework. Based on the course materials, the standard textbook for joint lecture was come up with after an analysis of education goal attainment through the educational contents of syllabus and the evaluation sheets of midterm exam directly written by professor. The offered standard textbook for joint lecture came up with information for the suggestion and writing of standard syllabus through the modelling of internal components. In addition to this, 17 copies of the syllabus in 17 colleges were gathered to survey the status of syllabus at colleges and learners' perception(2 items). It analyzed the syllabus form offered by each college and the syllabus contents directly written by professors depending on the framework of syllabus components established through the precedent study. And it developed a questionnaire and verified its reliability to survey learners' perception of the syllabus. For the analysis of data,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17.0 statistics package program. The analysis of the ‘Introduction to Cosmetology’ syllabus and the result of textbook model develop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s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syllabus in 17 colleges offered framework for analyzing the standard syllabus to 8 hyper-scopes and 24 sub-scopes on the basic information, educational activities and course rules of component elements by framework of 10 hyper-scopes and 36 sub-scopes designed by Jeong Hye-ryung(2007). Second, it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valuation that selects the learning content and suggests the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explicit learning objectives directly written by professors in the scope of educational activities. As a result, it didn't show clear teaching plans by failing to separate the object of educational goals from the understanding of them and brought about a dearth of system depending on the level of professors' knowledge in the curriculum. Generally, the teaching curriculum suggested the general unit name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specified as main textbooks in most colleges. The questions of evaluation sheet for midterm exam were mainly come up with as the constructed response and the essay-typed response in 3 units such as the summary of beauty, the fundamental theory of beauty, and trichology. The educational method, which suggests the selected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itemizes the teaching method, the subject, and materials for use. But the detailed analysis showed that it was being differently operated regardless of fundamental consistency by college. Third, the contents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a manual of beauty artists(ordinary people), are suggested as an initiative subject of hair-related curriculum, practice subject. In other words, it determined the need for alternative subject name on the importance of content by having the professional forms of introductory textbooks on shampoo and rinse, scalp hair treatment, hair setting and design, hair cut, hair perm, and hair coloring(the rest is a hair-related curriculum) that combine the concept of hair physiology, shape, microstructure, and character with the principle. Fourth, the subject names and content rules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were come up with nowhere, unlike subjects suggested by taken subject in submitting a written opinion(May 3, 2011)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pending on the completion rules of beauty-related subjects by the 「Public Health Control Act」. Consequently, standard textbooks(plans) for joint lecture, which can alternate the ‘Introduction to Cosmetology’ suggested the models of internal componen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air Cosmetology》. Fifth, based on the contents of standard textbooks for joint lecture that properly reflect the specialty of a subject to train beauty artists and beauty teachers in the structure of contents, the standard syllabus was written out.

      • 미용관련 학제에 따른 교육과정 및 관련변인 비교 연구

        유현숙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curriculum in education has provided the key to determine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education based on this curriculum ensures the autonomy and diversity of education, but also it lays a foundation in which teachers can show off their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Thus, teachers in practice should fully understand the functions and roles of such a curriculum, as well a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primarily aims at the current status of whole Beauty-related departments and variables in comparison, and subsequently, suggests how to seek for the distinctive and proper level in current Beauty-related departments, on the basis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current status. The main issues in this study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below; Firstly, analyzing two-year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for the current distribution status in each province of Korea, secondly, analyzing the propor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Major subjects, and credit rate in two-year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Thirdly, the current curriculum of Beauty-related departments, finally, analyzing the variables of Beauty-related departments through questionnaire with them from 1stofMarchto25th. The method of analysis is based on SPSS version 12.0 and through this method,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and t-test are implemented in relation to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e out below; Firstly, the regional comparison for current Beauty-related departments shows that Daejeon and Busan only have two-year College for Beauty, and Seoul has relatively low proportion of two-year College for Beauty(30%). On the other hand, with four-year institutions for Beauty, the highest proportion is occupied by GwangJu(44.4%), while Inchon, Daegu, Ulsan, and Jeju have the lowest proportion(0%).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each province, Kyŏngsang-do (20%) places at the top in two-year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whilst 2% of all of them for Beauty in Inchon and Busan are based on two-year system. Meanwhile, with four-year one, the highest proportion(18.5%) is taken by both Chungcheong-do and Cholla-do , but none of four-year university for Beauty was established in Incheon, Ulsan, Daegu and Jeju. Secondly,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educational system with Beauty, 15.2% of all subjects are general subjects in comparison with major ones, and four-year University more concern about general subjects than two-year College, indicating 20.3% in the former and 10.1% in the latter ones.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major subjects is evaluated to 84.8%, and two-year College(89.9%) have higher figure than four-year University(79.7%). It means that two-year College shows more focus on major subjects than four-year University, and vice versa on general subjects. More specifically, for the comparis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major subjects, all institutes for Beauty shows major theory consists 23.7% of all major subjects, and among this, two-year College has 21.3% and four-year University has 26.1%, which means that four-year University outweighs two-year one in major theory. Total major subjects in practice represents 76.3%, and two-year College(78.7%) show higher proportion than four-year one(73.9%) in this case. In addition, 29.6% of all major subjects in practice shows ‘Skin Care’, and slightly higher position is occupied by two-year College(29.6%) than four-year University(29.5%). Average proportion in ‘Hair Beauty’ is 24.5%, and two-year College(26.9%) have higher position than four-year one(22.1%). Additionally, for ‘Make-up’ in major subjects in practice, two-year College(23.7%) have also higher figure than four-year University(22.7%), while the average proportion of ‘Make-up’ subject in practice represents 23.4%. Finally, other major subjects in practice have 22.7% in average, and four-year University (25.5%) is higher than two-year College in this case(19.8%). Thirdly, in regard to the proportion for demand of major subjects in theory, statisticall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eauty consultation and management’, Introduction in Beauty’, and ‘Beauty business’. According to each major subject, two-year and four-year institutes have different priority for the demand of major subjects in theory. However, Anatomy Physiology, Disinfection and infectious disease studies, Public health sciences, and Beauty & nutrition are considered important in both institutes. On the other hand, for the comparison with each major subject in practice, students in two-year College relatively highly demand for Hair-Cut, Up-style, Dyeing and bleaching, Hair and scalp care, Hair permanent, Shampoo and dry, Makeup, Beauty illustration, Special makeup, Art makeup, Body Painting, Field work, Graduation Exhibition, Coordination and Care Meridian compared with those in four-year University. Both two institutes consider Graduation exhibition, Body Painting and Reflexology as important major subjects in Practice, even if each institutes has different priority in the whole demand for practice. Fourthly,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 for the comparison of Beauty-related variables between two-year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interesting point in two-year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Kyŏnggi-do. In addition, with the socio-economical background, The parents of students in two-year College have higher standard for the level of education and higher income than those of students in four-year University. As well as this, with Social psychological background, parents of students in four-year University have not only further expectation but also support children more than those of students in two-year College. And, for the previous background of current students in two-year and four-year institutes, those who have graduated from general high school, and who have experienced Beauty program and higher score 미용관련학과 학제에 따른 교육과정 및 관련변인 비교 연구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교육과정 중심 교육은 학교 교육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확보하며,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교육과정의 기능과 역할을 학교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이해하고,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미용관련학과 학제별 교육과정에 관한 전반적인 현황 및 교육과정과 관련된 관련변인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현재 미용관련학과 학제별 교육과정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수준에 맞는 차별화된 학제별 교육과정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관련학과의 지역별 개설 현황을 분석하고 학제별로 비교한다. 둘째, 미용관련학과 학제별 교양과목과 전공과목의 학점비율, 전공이론과목과 전공실습과목의 학점비율, 전공실습과목의 전공별 학점비율을 비교한다. 셋째, 전공이론과목과 전공실습과목에 대한 필요도를 학제별로 비교한다. 넷째, 미용관련학과 교육과정 관련변인을 개인배경변인, 학교배경변인, 학교인식배경변인, 학교생활변인으로 분류하고 학제별로 비교한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석방법으로 SPSS version 12.0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및 t 검정 등을 적용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관련학과 지역별 현황 비교 분석은 전체 2년제 대학에 대한 미용관련학과 2년제 대학의 경우 대전 지역과 부산 지역이 100%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서울 지역이 30%로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전체 4년제 대학에 대한 미용관련학과 4년제 대학의 경우 광주 지역이 44.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인천 지역, 대구 지역, 울산 지역, 제주 지역이 0%로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미용관련학과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의 지역별 개설현황은 2년제 대학의 경우 경상 지역이 20%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인천 지역, 제주 지역이 2%로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났다. 미용관련학과 4년제 대학은 충정 지역, 전라 지역이 18.5%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인천 지역, 대구 지역, 울산 지역, 제주 지역이 0%로 미용관련학과 4년제 대학의 개설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관련학과 학제별 교육과정 비교 연구에서 학제별 교양과목과 전공과목의 학점 비율은 전체 미용관련학과 교양과목의 학점 비율은 15.2%로 나타났으며, 이 중 2년제 대학이 10.1%, 4년제 대학이 20.3%로 4년제 대학이 교양과목 학점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과목 학점의 비율은 84.8%로 나타났으며, 이 중 2년제 대학이 89.9%, 4년제 대학이 79.7%로 2년제 대학이 전공과목 학점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제별 교양과목의 비율은 4년제 대학이 높은 반면 전공과목의 비율은 2년제 대학이 높게 편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제별 전공이론과목과 전공실습과목의 학점 비율에서 전체 미용관련학과 전공이론과목의 학점 비율은 23.7%로 나타났으며, 이 중 2년제 대학이 21.3%, 4년제 대학이 26.1%로 4년제 대학이 전공이론과목 학점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미용관련학과 전공실습과목 학점의 비율은 76.3%로 나타났으며, 이 중 2년제 대학이 78.7%, 4년제 대학이 73.9%로 2년제 대학이 전공실습과목 학점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제별 전공실습과목의 학점 비율은 전체 미용관련학과 피부미용 학점의 평균 비율은 29.6%로 나타났으며, 이 중 2년제 대학이 29.6%, 4년제 대학이 29.5%로 2년제 대학이 피부미용 학점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헤어미용 학점의 평균 비율은 24.5%로 나타났으며, 이 중 2년제 대학이 26.9%, 4년제 대학이 22.1%로 2년제 대학이 헤어미용 학점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메이크업 학점의 평균 비율은 23.4%로 이 중 2년제 대학이 23.7%, 4년제 대학이 23.0%로 2년제 대학이 메이크업 학점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기타 학점의 평균 비율은 22.7%로 이 중 2년제 대학이 19.8%, 4년제 대학이 25.5%로 4년제 대학이 기타 학점 학점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미용관련학과 학제별 전공과목 필요도에서 학제별 전공이론과목 필요도 비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교과목 중 피부과학, 모발과학, 색채학, 공중보건학, 미용상담및경영, 미용학개론, 미용경영학, 화장품학은 2년제 대학 재학생이 4년제 대학 재학생보다 요구도가 높은 과목으로 나타났다. 학제에 따라 전공이론과목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순위는 달랐으나 두 집단 모두 해부생리학, 소독법및전염병학, 공중보건학, 미용영양학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제별 전공실습과목 필요도 비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교과목 중 헤어커트, 업스타일, 염색및탈색, 모발및두피관리, 헤어퍼머넌트, 샴푸및드라이, 메이크업, 뷰티일러스트레이션, 특수분장, 아트메이크업, 바디페인팅, 현장실습, 졸업작품전, 코디네이션, 미용경락은 2년제 대학 재학생이 4년제 대학 재학생보다 요구도가 높은 과목으로 나타났

      •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의료관광관련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이세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urriculum of domestic medical tourism departments an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edical tourism curriculum for training students with practical business skills based on industry needs. The current curriculum of medical tourism departments in 2 year and 4 year course universities in Korea were compared. A survey of 235 people in medical tourism was also conducted. The contents of the survey consist of 10 question ab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 5 question about awareness of a certificate for the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s, 24 question about subjects importance of academic subjects of based on industry needs. 33 questions about the need of academic subjects based on industry need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that analyses major subjects in medical tourism department of a 2 year and 4 year university shows that In the 2 year course medical tourism departments, medical-related area have relatively been highest, followed by tourism, language, others, and medical tourism. On the other hand, in the 4 year course departments, medical-related area relatively been highest, followed by others, medical tourism, languages and tourism. Major subjects of medical tourism departments vary according to the name of the departments and large number of subjects are mixed form different academic area. Second, ‘medical field practice’ was the most common course, followed ‘medical marketing’, 'medical term', 'medical related laws and institutions', 'hospital coordinator', and 'healthcare support management'. The result shows that the medical subjects that learn general medical knowledge for treatment of both international patients and domestic patients are primary. Third, the awareness and the need of a certificate for international medical tour coordinators was relatively low among industry practitioners. Fourth, the result shows that medical tourism industry express high importance on ‘global service manner(4.14±0.86)’, and then communication and medical consultation(4.10±0.80), ‘field practice(4.06±0.85)’, ‘real life english(3.96±0.86)’, ‘hospital coordinator(3.91±0.86)’, ‘chinese practice of medical tourism(3.87±0.87)’, and ‘medical related laws and institutions(3.80±0.87)’ When compared with the ranking of opening major subjects in medical tourism departments, the departments put more importance on subjects related qualification while medical tourism industry practitioners express biggest weight o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language skills related to practical ability. Fifth, the result shows that medical tourism industry express high necessity in ‘language and express 4.05±0.79' and then a ‘customer service practice(3.97±0.77)’, ‘medical english(3.83±0.83)’, ‘imagemaking(3.83±0.86)’, ‘international medical cultural conventions(3.81±0.76)’, ‘chinese(3.78±0.84)’, ‘professional ethics(3.77±0.78)’ being followed. Given most of the foreign patients visiting medical centers have difficulty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 this examine that the development of medical subjects that provid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background of foreign patients is needed. Sixth,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a certificate for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s, there wa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language-related subjects, such as English, Chinese, communication and medical consultation, hospital coordinator skills, japanese, global service manner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dical field practice. Seventh, the result shows that for the need of subjects awareness of a certificate there was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anguage and expression' and 'imagemaking' if this certification awareness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ublic health (p=.001), and local field trip (p=.004)' Hence, following points are suggested. First, there is a limit in obtaining detailed information a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t weight of major in universities and the subjects vary. Second, it'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because the survey was limited to some area. Third, as there are not may previous studies on academic curriculum for medical tourism, the data and contents were not enough. Fourth, additional research needs to be done in areas of medical tour agencies, insurance companies, and the travel agencies as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medical tourism industry partitioners in Seoul, the cities surrounding the capital, and chung-cheong province. Fifth, the importance of co-op subjects should be stressed through practical cooperation between college and industry. Hence, this study aims to propose some suggestions for a better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needs and demands of the industry. We expects the study will contribute positively to improve the curriculum for raising the employment rate of university. 본 연구는 의료관광관련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현장실무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의료관광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2년제 및 4년제 의료관광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의료관광분야 산업체 종사자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일반적 특성에 관한 10문항,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자격증 인식에 관한 5문항, 산업체가 요구하는 교과목 중요도에 관한 24문항, 산업체가 요구하는 교과목 필요도에 관한 3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년제 및 4년제 대학 의료관광관련학과의 전공 교과목을 분석한 결과 2년제 대학의 경우는 의료영역과목, 관광영역과목, 언어영역과목, 기타영역과목, 의료영역과목 순으로 나타난 반면 4년제 대학의 경우는 의료영역과목, 기타영역과목, 의료관광영역과목, 언어영역과목, 관광영역과목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관광관련학과의 전공교과목은 소속된 학부와 학과 명칭에 따라 교과목의 명칭과 내용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학문이 융합된 형태의 교과목이 비교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료관광관련학과 전공교과목 개설순위를 분석한 결과 1순위 ‘현장실습’, 2순위 ‘의료마케팅’, ‘의학용어’, 3순위 ‘의료관계법규 및 제도’, ‘병원코디네이터’, ‘보건의료서비스지원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의료관광학과라는 특성에 맞게 실제로 국제환자 및 일반 환자 진료를 위해 필요한 의학 전반에 관한 지식을 익힐 수 있는 의료영역 교과목이 주요한 교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산업체 종사자의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자격증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산업체에서의 자격증 인지도와 필요성이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산업체가 요구하는 교과목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글로벌서비스매너(4.14±0.86)’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은 ‘커뮤니케이션과 의료상담(4.10±0.80)’, ‘현장실습(4.06±0.85)’, ‘생활영어(3.96±0.86)’, ‘병원코디네이터(3.91±0.86)’, ‘의료관광실무중국어(3.87±0.87)’, ‘의료관계법규 및 제도(3.80±0.87)’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료관광관련학과 전공교과목 개설 순위와 비교하였을 때 의료관광관련학과에서는 전공분야에 대한 자격과 관련된 교과목의 비중이 높은 반면, 산업체 종사자는 실무능력과 밀접한 의사소통능력 및 언어능력과 관련된 교과목에 비중을 많이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산업체가 요구하는 교과목 필요도를 분석한 결과 ‘언어와 표현’이 4.05±0.7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은 ‘고객서비스실무(3.97±0.77)’, ‘메디칼임상영어(3.83±0.83)’, ‘이미지메이킹(3.83±0.86)’, ‘국제의료문화이해(3.81±0.76)’, ‘중국어(3.78±0.84)’, ‘직업윤리(3.77±0.78)’ 순으로 나타났다. 교과목 중요도와 마찬가지로 의료기관을 방문한 대부분의 외국인 환자들이 의료진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미흡하며 환자의 문화적 배경과 특성을 고려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교과목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자격증 인식에 따른 교과목 중요도에서는 자격증을 인지하는 경우 ‘생활영어’, ‘의료관광실무중국어’, ‘커뮤니케이션과 의료상담’, ‘병원코디네이터’, ‘의료관광실무일본어’, ‘글로벌서비스매너’에서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0), ‘현장실습(p=.006)’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곱째, 자격증 인지여부에 대한 교과목 필요도 과목을 분석한 결과, 자격증을 인지하는 경우 ‘언어와표현’, ‘이미지메이킹’에서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0), ‘공중보건학(p=.001)’, ‘국내현장답사(p=.004)’,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관광관련학과 개설강좌의 영역별 적정 비율에서 대학의 전공비중도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교과목의 명칭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어 세부적인 내용을 도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둘째, 조사 대상이 일부 지역으로 한정되어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의료관광과 관련된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어서 고찰의 자료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넷째, 서울, 수도권, 충청권 소재의 병원 및 의료기관 종사자들만을 조사하였는데, 의료기관 외에 의료관광과 관련된 에이전시, 보험회사, 여행사 등의 종사자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다섯째, ‘현장실습’ 교과목의 요구가 많이 제시된 만큼 대학과 산업체가 실질적 협력을 통한 임상 및 현장실습 관련 교과목의 비중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의 요구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산업체 수요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편에 관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학에서 추진하고 있는 취업률 향상과 국내의료관광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양성 교육과정 개편에 본 연구의 결과가 긍정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의 제공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박찬영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교사 중심의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변해가고 있는 요즘, 비디오 피드백은 학습자들이 동작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스스로 행동교정에 대한 학습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피부미용 실습교육 중 클렌징 테크닉을 배우는 과정에서 비디오 피드백을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학생들의 피부미용 실습교육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설계는 양적연구로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2014년 3월부터 6월까지 주1회 150분 피부미용 전공수업을 수강하는 충남소재 H대학교의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군 16명, 대조군 16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절차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대조군은 강의와 시범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교육방법을 제공받았고, 실험군은 전통적인 교육방법과 함께 비디오 피드백을 적용한 교육방법을 제공받았다. 실험 중간 주차에 실험군과 대조군의 학업성취도 중간평가를 실시하고, 실험이 종료된 후에 실험군 대조군 사후조사를 시행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측정도구는 이석재 등(2003)이 개발하고 조윤정(2011)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고, 학업성취도 평가도구는 정가애 등(2013)이 개발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학습만족도 검사 도구는 최정은(2013)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평가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의 계수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피드백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사후검사 검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t=7.363, p=.016), 각 집단별 검증결과도 실험군(t=-8.005, p=.000)이 대조군(t=1.074, p=.038)보다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으므로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높을 것이다.’의 제 1가설에 대해서 입증되었다. 둘째, 학업성취도 중간평가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t=1.766, p=.090), 최종평가에서는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학업성취도 점수가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높아(t=6.325, p=.047),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학업성취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의 제 2가설에 대해서 입증되었다. 셋째, 학습만족도에서 실험군 4.27±0.43점, 대조군 4.18±0.56점으로 전반적으로 두 그룹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t=.491, p=.168),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학습만족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의 제 3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의 활용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임이 입증되었으나, 학습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학습만족도는 비디오 피드백을 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 모두 높은 점수의 결과를 보여 연구대상이 1학년 1학기 처음 피부미용 전공수업인 것을 감안한다면 비디오 피드백을 적용한 피부미용 실습교육 또한 학습자들에게 흥미 있는 교육방법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부미용 실습교육에서 비디오 피드백의 제공은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학업성취도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비디오 피드백은 동료평가와 더불어 피부미용 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교과목에 적용하여 연구가 진행되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의 이중매개효과

        유미옥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첫째, 긍정적 양육태도는 대학교 졸업 집단이 대학원과 중·고등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그리고 자녀의 행복감은 대학원 졸업집단이 중·고등학교와 대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매개변인인 희망은 대학원 졸업자가 대학교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고, 종교가 기독교인 응답자가 종교가 무교인 응답자보다 높았다. 성장 마인드셋은 대학원 졸업자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다. 둘째, 긍정적 양육태도, 성장 마인드셋, 희망 및 자녀의 행복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가 있었다. 셋째, 통제변수와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가 통제변수인 연령 및 교육보다 영향력이 높았다. 넷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성장 마인드셋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이 이중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경유하여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충남도 S시에 거주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므로 조사대상 지역의 한계가 있다. 전국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표집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양육태도 척도는 하위영역이 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두 통합적으로 긍정적 양육태도로 전환하여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하위유형 각각에 대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는 매개변인으로 긍정심리학적 변인인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이외도 그릿(grit) 등 많은 긍정심리학적 변인이 발표되고 있어 후속연구에서 이러한 변인들을 활용하여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 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S시에 거주하는 29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의 이중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자료는 SPSS PC+ Win. 21.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평균비교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은 Sobel’s test를 이용하였다. 또한 SPSS macro PROCESS 모델 4를 활용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직렬 이중매개효과 검증은 bootstrap을 이용하였으며, 검증 시 부트스트랩 샘플 수는 5000개로 지정하고, 신뢰구간은 95%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양육태도는 대학교 졸업 집단이 대학원과 중·고등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그리고 자녀의 행복감은 대학원 졸업집단이 중·고등학교와 대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매개변인인 희망은 대학원 졸업자가 대학교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고, 종교가 기독교인 응답자가 종교가 무교인 응답자보다 높았다. 성장 마인드셋은 대학원 졸업자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다. 둘째, 긍정적 양육태도, 성장 마인드셋, 희망 및 자녀의 행복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가 있었다. 셋째, 통제변수와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가 통제변수인 연령 및 교육보다 영향력이 높았다. 넷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성장 마인드셋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이 이중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경유하여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충남도 S시에 거주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므로 조사대상 지역의 한계가 있다. 전국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표집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양육태도 척도는 하위영역이 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두 통합적으로 긍정적 양육태도로 전환하여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하위유형 각각에 대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는 매개변인으로 긍정심리학적 변인인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이외도 그릿(grit) 등 많은 긍정심리학적 변인이 발표되고 있어 후속연구에서 이러한 변인들을 활용하여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 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hope and growth mindse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s happiness on 290 mothers living in S city of Chungcheongnam-do.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May 2017, and the data were analysed by SPSS PC + Win. 21.0 for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bel's test was used for mediating effect. In addition, the SPSS macro PROCESS model 4 was used to analyze the dual mediation effect. The dual mediator effect was verified using bootstrap. The number of bootstrap samples was set to 5000, and the confidence interval was set to 95%.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positive parenting attitude was higher in university graduate group than in graduate school and middle and high school graduation group. And the happiness of children was higher in graduate school graduates th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graduates. The hope of mediating variable was higher in graduate school graduates than college and middle and high school graduates, and respondents of Christian were higher than non-religious students. The growth mindset was higher among graduate graduates than high school graduate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growth mindset, hope and happiness of children. Especially, the growth mindset and hope were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Thir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more influential than control variables, such as age and educa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ffects of control variables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 's happiness. Fourth,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the child 's happiness through hope. Fifth,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children 's happiness through growth mindse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s happiness. Sixth,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children 's happiness through hopes and growth mindset as a result of analyzing du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s happines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others living in S city of Chungcheongnam - do, so there are limitations on the survey area.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by sampling the mothers nationwide. Second,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consists of affectionative, rejective, autonomous, and controlled attitudes in sub - domains, but in this study, all of them were converted into positive parenting attitude. Subsequent studies suggest that the double mediated effect is analyzed for each subtype.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hope and growth mindset as mediators. In addition, many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grit have been reported, an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 and the child 's happiness by using these variables in the follow - up study.

      • 初等敎師가 知覺하는 葛藤 水準과 對處 形態에 關한 硏究

        조충호 韓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9663

        敎育의 질은 敎師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말이 있다. 이는 敎育의 질과 成敗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서 무엇보다도 敎師가 중요함을 의미한다. 學校는 여러 사람들이 모여 하나의 集團을 형성한 組織 사회이다. 어떤 組織이든 葛藤은 必然的으로 존재하기 마련이며 學校 組織內에서 敎師들은 여러 가지 形態의 葛藤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필요 이상의 높은 葛藤들은 敎師들의 의욕과 사기를 저하시키고 그것은 바로 敎育에 직결되어 상대적으로 敎育의 效果를 감소시키게 된다. 더구나 요즈음의 敎育 現實은 敎育 改革 및 I.M.F의 영향으로 사회의 경제적 변화와 함께 學校 敎育 現場에서 敎師들이 知覺하는 葛藤은 더욱 심각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硏究는 初等敎師들이 敎育 現場에서 知覺하고 있는 葛藤의 水準을 알아보고 葛藤의 對處 形態는 어떠한지를 탐색함으로써 敎育 現場의 葛藤 對處 방안에 실증적인 기초 資料를 제공하여 學校의 敎育 目標를 效果的으로 달성하도록 돕는데 그 目的이 있다. 文獻 硏究에서는 學校 組織의 特性과 敎員 組織의 特性, 葛藤 理論 및 組織 葛藤, 葛藤 水準, 葛藤의 對處 形態에 대해 살펴보고, 본 硏究와 관련된 先行 硏究 論文을 고찰하였다. 본 硏究에 사용된 道具는 葛藤 水準 측정 設問紙(A)와 葛藤의 對處 形態에 관한 設問紙(B)이다. 본 硏究 結果의 分析은 設問紙(A)의 결과를 활용하여 葛藤 要因別 知覺 水準 全體的 傾向과 應答者의 背景 變因(性別, 學歷別, 年齡別, 經歷別, 職級別, 地域別)別 傾向 分析을 하고 각 集團別로 知覺하는 葛藤 水準의 差異를 알아보기 위하여 t檢證과 F檢證을 하였다. 設問紙(B)의 결과를 활용하여 葛藤 要因別 對處 形態의 全體的 傾向과 背景 變因別 對處 形態 傾向을 分析하고 集團別 葛藤 知覺 水準의 對處 形態를 알아보기 위해 x^(2) 檢證을 하였다. 본 硏究의 結果는 첫째, 葛藤 要因別 知覺 水準에 있어 全體的인 傾向은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각각의 葛藤 要因別로 살펴보면 '바람직한 물리적 작업 조건'이 다른 요인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학생과의 관계', '물질적 유인가', '사적·비물질적 우대 조건', '敎師의 업무 부담 우선 순위 기준', '의사 결정 반영', '동료 敎師와의 관계', '행정가와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初等敎師의 背景 變因別 葛藤 要因에 관한 知覺 水準은 性別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물리적 작업 조건'에서 의미 있는 差異를 보여 男敎師들 보다 女敎師들이 葛藤을 더 많이 知覺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學歷別에 있어서는 '물질적 유인가'에서 의미 있는 差異를 보였으며 敎育大學 졸업 학력을 가진 敎師들이 葛藤을 가장 많이 知覺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年齡別, 經歷別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물리적 작업 조건', '물질적 유인가', '사적·비물질적 우대 조건'에서 의미 있는 차를 보였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더 심한 葛藤을 知覺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바람직한 물리적 작업 조건'과 '물질적 유인가'에서 2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敎師들이 葛藤을 적게 知覺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적·비물질적 우대 조건'에서는 6-10년 사이의 경력을 가진 敎師들이 葛藤을 가장 많이 知覺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職級別과 地域別에 있어서는 葛藤을 知覺하는 정도의 差異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葛藤 對處 形態에 있어 葛藤 要因別 對處 形態의 全體的 傾向은 타협, 협력, 적응, 경쟁, 회피 순으로 葛藤의 對處 形態에 있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은 타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각 要因別로 살펴보면 '바람직한 물리적 작업 조건', '물질적 유인가', '敎師의 업무 부담 우선 순위', '의사 결정 반영'에 있어서는 협력의 形態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사적·비물질적 우대 조건', '학생과의 관계', '행정가와의 관계', '동료 敎師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타협의 形態를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 葛藤 要因別 對處 形態의 全體的인 傾向은 타협과 협력의 形態를 주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背景 變因別 對處 形態 分析에서 性別로는 男敎師들이나 女敎師들 모두 타협의 形態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學歷別에 있어서는 초급대학 이하의 학력을 가진 敎師들은 협력의 形態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敎育大學과 일반대학, 大學院 이상의 학력을 가진 敎師들은 모두 타협의 形態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年齡別에 있어서는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의 敎師들 모두가 타협의 形態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經歷別에 있어서는 5년 이하, 6-10년, 11-20년, 2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敎師들 모두 타협의 形態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職級別로는 일반 敎師들과 部長 敎師들 모두 타협의 形態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地域別로는 시내 지역과 읍·면 지역에 위치한 學校에 근무하는 敎師들은 타협의 形態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리지역 이하에 위치한 學校에 근무하는 敎師들은 적응의 形態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葛藤 知覺 水準別 對處 形態는 '上'集團은 적응, '中'集團은 협력, '下'集團은 타협의 形態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中'集團이 가장 많이 사용한 협력의 形態는 組織內 構成員間의 상호 협동적인 문제 해결의 方法으로 葛藤에 對處하는 形態로써, 敎育 現場에서의 적당한 葛藤은 組織의 目標 達成에 效果的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본 硏究에서 얻어진 結論은 敎育 改革으로 인하여 敎師들의 葛藤이 우려한 것처럼 심각해지지는 않았으며, 初等敎師들의 葛藤은 대부분 敎育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물자 공급이나 학생들을 敎育함에 있어 소신을 갖고 지도 할 수 있는 敎師들의 재량권 확보 및 안정된 근무 여건 등에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敎育이 지향하는 소기의 目的 達成을 위해서는 敎育에 필요한 財政的 지원의 확보와 敎師의 學生 지도에 관한 재량권 부여 및 처우 개선이 敎育의 效果를 極大化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硏究를 토대로 앞으로의 硏究에서는 學校 組織의 目標인 敎育의 效果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敎師들의 葛藤을 최소화시키거나 해소할 수 있는 方法에 관한 논의 몇 도구의 개발이 必要하고, 硏究 대상의 背景 변인을 고려하여 보다 폭 넓은 硏究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three problems; what level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perceiving conflict in their schools, how they manage the perceived conflicts, and wha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conflict level and the conflict managing style. The perceived conflict level ranges from slight to profound by five stages. And the conflict managing styles are as follows; competition, adaptation, bargaining, cooperation, and avoidance. As this level and styles are what 'perceived', not 'really existed', so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s adopted. The following results can be reported from this study. 1. Teachers perceive their conflict most profoundly in 'physical work condition' than any other categories. 2. The perceived conflict level differs among teachers by sex, age, and occupational career. But that differences are not so serious. 3. The most frequently revealed managing style which teachers choose when they confront conflicts is 'bargaining'; the least is 'avoidance'. 4. The frequency of the conflict managing style differs among teachers by educational career and their working region. But that differences are not so serious. 5. The conflict managing style varies with the conflict perception level. The 'upper' group which reports their conflict level as profound shows the 'adaptation' managing style most frequently. The 'middle' group relates the 'cooperation' style, and the 'lower' group relates the 'bargaining' style. These results can be generalized or stipulated by accumulative studies on this topic. And school administrators need to know that in what point teachers feel discomfort and how they deal with it. This knowledge is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to excellent educ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effectiveness.

      • 私立幼稚園의 運營 方向과 運營 實態에 關한 硏究 : 忠南 地域을 對象으로

        장화순 韓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운영정책의 올바른 적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유치원의 실무에서 전체 취원아의 2/3를 담당하고 있는 사립유치원의 운영실태를 정확히 파악한 연구나 보고서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원 운영에 대한 영역 및 기준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충남지역 사립유치원의 운영방향과 운영실태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유치원 운영의 방향을 유아, 교사, 교수 · 학습방법 및 평가, 부모, 원내행사 및 홍보와 운영에 대한 정보의 입수의 측면을 알아본 결과 그 의견은 매우 다양하였지만, 각 인식이 상당히 현실적이라는데 그 공통성을 찾을 수 있다. 유아의 측면에서 보면 사회성을 중요시하고 교사의 채용기준 또한 좋은 인성을 바탕으로, 주제를 설정하고 계획하는 능력을 지닌 아동중심의 교육관을 가진 신규 교사를 선호하였다. 유치원 교수 · 학습방법 및 평가를 보면, 영역별 활동자료의 효과적인 활용과 유아에 대한 관찰 기록을 중요시하였으며, 원내장학은 교수학습지도면을 우선시하였다. 다음, 부모의 측면에서 보면 부모의 유치원 방문횟수와 부모교육 내용이 유치원마다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원내행사 및 홍보의 측면을 보면 유치원의 행사가 유아와 원의 성장에 도움이 되며, 재원생 및 졸업생 학부모의 신뢰 및 평판이 유치원의 홍보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원 운영에 대한 정보의 입수방법은, 각종 세미나 및 연수, 원장의 대인 관계망 등 사적이고 실제적인 부분을 들었으며, 대학원 진학도 소수의 응답이 있어 학문적인 분야에도 관심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사립유치원의 운영의 실태는 어떠한가는 인적 자원 운영, 물리적 자원운영, 재정적 자원 운영, 교육과정운영, 행정운영으로 영역을 설정하여 조사하였다. 인적자원 운영실태를 살펴보면, 교사관리, 부모 및 가정과의 연계, 지역사회와의 연계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교사관리는 교사의 자질함양을 위한 지원은 잘 되고 있지만 교사의 직무만족도면에서는 부족하였다. 부모 및 가정과의 연계는 부모교육 및 참여의 이상적인 면에서 부모와의 유대관계는 잘 형성하고 있으나 기관의 정책결정과 부모자원 프로그램에 참여는 부족하였다. 지역사회와의 연계는 유치원에서 지역사회의 자원은 잘 활용하고 있으나,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는 이에 미치지 못하였다. 물적 자원 운영실태는 유사시를 대비한 보험가입은 되어 있으나, 실내 · 외 시설설비는 원마다 차이가 있었다. 재정적 자원 운영실태는 수업료가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립유치원의 재정은 인건비가 지출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재투자나 학교운영비의 지출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인건비는 같은 학력의 타 직종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운영실태는 유치원의 교육철학에 대한 교사 오리엔테이션, 새로운 교육방법에 대한 수용 및 현장에의 적용, 교육계획의 평가, 개별관찰기록은 잘되고 있으나 원내장학은 그에 미치지 못하였다. 행정운영 실태를 살펴보면, 교무분담 및 조직체계의 구성이나 사무처리의 전산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유치원도 상당수 있었으며, 교육행정당국에 대한 만족도는 대부분이 부정적이었다. 또한 행정업무를 전담하는 직원에 대한 필요성은 느끼고 있으나 전담직원이 있는 유치원은 소수에 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사립유치원의 특수성에 입각하여 운영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한 현대적 발상과 현대적 기법에 대한 연구가 좀더 강구되어야 한다. 둘째, 사립유치원의 교육과정 정상화와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현재 거론되고 있는 유아교육의 공교육화가 시급히 이루어져야한다. This study is to the examine the directors' values and realities of management in kindergarten for this purpose, I took up two problems. One is about the directors' values of childiren's development, teacher, parent education, teaching method, and material resources. And another is about the realities of management in kindergarten : faculty & organization, financial & material resources, and curriculum.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 selected 90 subjects directors of kindergartens in Chungchongnamdo, and I used a questionnaire. The data obtained, was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1. The directors thought that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is the most important in early childhood. And they prefer non-experienced teacher. But they thought that faculty was very important factor in kindergarten management. And they also thought that parent education in kindergarten is good for parenting children, and they wanted to the higher level of academic course. 2. The faculties' income in kindergarten was very low, so their satisfaction about the job was low, too And also the condition of the financial & material resources was poor. And a director of a kindergarten have the low satisfaction about the servic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n the bases of the above results, I suggest as follows; we need the financial and the organizational support of a government, the compulsory education of a private kindergarten and a professional's the effective encouragement of learning.

      • 샴푸와 트리트먼트 교육을 위한 강의계획서 및 교재의 실증적 분석과 제안

        양은애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ssues from the current status of course management based on the syllabus as part of finding the improvement challenges of teaching on a shampoo subject established by 2-year and 4-year beauty colleges in Korea, and inquire into the alternative plans. To achieve this, learners' satisfaction was mainly surveyed through a literature analysis to make up for lecture textbooks depending on the component elements and the status of educational activities directly written out by professors as the current syllabus of colleges in 2012. And it came up with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internal component elements of standard shampoo textbooks for joint lecture to suggest and write out the standard syllabus based on this. The data of literature review have included 1) the syllabus of beauty colleges in 2012, 2) curriculum, subject explanation, textbook, 3) curriculum and syllabus, journal articles, 4) evaluation sheet, standard shampoo textbook for joint lecture. To survey learners' satisfaction, the 「opinionnaire of syllabus」 was developed, and its reliability was verified. A survey was carried out on 291 students in 6 4-year colleges established a shampoo curriculum and shampoo-related curriculum to analyze data finally. For the analysis of data,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calcul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post hoc comparison were conducted by using the SPSS 17.0 statistics package program. The analytic scope of analyze the management status of syllabus was to analyze the scope of educational activities - educational goal,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method, educational evaluation, evaluation sheet(midterm exam), lecture and combination textbook.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rrent syllabus management status by each scope showed that 6 common states were put together. The lecture goal,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fixing the lecture contents, did not classify the term interpretation of subject summary and goal. The integrated classification of cognition, psycho-motor and affective scope was suggested for the learning type primarily written by professors. Although a shampoo curriculum was a practical subject, the importance of cognitive scope was largely suggested for the lecture contents as concrete activities of lecture goal. The presentation lecture based on the main textbook and the practical training/practical skill lecture as group guidance were mainly carried out in the lecture method, but the systematized and in-depth textbooks were not suggested. In the lecture evaluation method, the lecture was mainly evaluated through indispensable evaluation elements, and there was no much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college. Especially, the behavior goal in the lecture goal and content was evaluated through the evaluation sheet, but it needed the connection. The learner-oriented curriculum or the structure of knowledge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specialization of textbook terms and the standardization of internal component elements by compiling all textbooks related to shampoo based on the curriculum and subject explanation to suggest the standard textbook for joint lecture. In conclusion, the shampoo subject was being managed under a dearth of real connection with the beauty treatment field, and the syllabus form of each college needed professors' systematization and concretion of writing skill. The management state depending on the improvement of lecture subjects was comparatively analyzed to improve these problems. And the information, which can write out the standard syllabus, was mainly provided through the content base of standard textbook by the study of the standard textbook for joint lecture and the standard syllabus form as concrete byproducts for improvement. 이 연구는 우리나라 미용관련 2년제‧4년제 대학에 개설된 샴푸교과목을 대상으로 수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려는 일환으로 강의계획서를 중심으로 강의운영현황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분석하고 대안을 탐구한 것이다. 이는 2012년 현재 활용하고 있는 대학의 강의계획서로서 교수자가 직접 작성한 구성요소와 교육활동 실태에 따른 강의교재를 문헌분석의 중심으로 하고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조사연구하여 보완하였다. 또한 공동강의 표준샴푸교재의 내적 구성요소의 범위와 내용을 제안하여 이를 토대로 표준 강의계획서를 제시하고 작성하였다. 문헌연구 자료는 1) 미용관련대학의 2012년 강의계획서, 2) 교육과정, 교과목해설, 교재, 3) 교육과정 및 강의계획서, 학술지 또는 학회지논문, 4) 평가지, 공동강의 표준샴푸교재 등이었다. 조사연구는 학습자의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강의계획서에 대한 의견 조사지」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4년제 샴푸교과와 샴푸관련교과에 개설된 6개교의 학생 29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7.0의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고 t-test 및 일원분산분석의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사후비교를 실시하였다. 강의계획서 운영실태 분석영역은 교육활동영역인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평가지(중간고사), 강의 및 연계교재 분석 등으로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의계획서 운영 현황을 각 영역별로 비교분석한 결과 여섯 가지 공통적인 실태가 종합되었다. 강의내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강의목표는 교과목개요와 목표에 대한 용어해석이 구분되지 않았으며 교수자 위주로 작성된 학습유형은 인지‧심리운동 ‧정의적 영역구분을 통합적으로 제시하였다. 강의내용은 강의목표의 구체적 활동으로서 샴푸교과가 실기과목임에도 인지적영역의 비중이 높게 제시되었다. 강의방법에서도 주교재를 중심으로 프리젠테이션 강의와 집단지도로서 실습/실기강의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체계화된 깊이 있는 교재는 제시되지 않았다. 강의평가방법에서도 필수평가요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각 대학에 따라 별반 차이가 없었다. 특히 평가지를 통해 강의목표 및 내용에서의 행동목표화를 평가하고자 했으나 연계성측면에서 미흡하였다. 교육과정 및 교과목해설을 토대로 샴푸관련 모든 교재를 취합하여 공동강의 표준교재를 제시함으로써 교재 용어의 전문화와 내적 구성요소의 표준화를 통해 학습자 위주 교과 또는 지식의 구조를 설정하였다. 결론적으로 샴푸교과목은 미용현장과의 실제적 연계성이 부족한 상태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각 대학 강의계획서 양식에 따른 교수자들의 작성기술의 체계성과 구체성이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강의교과목 개선에 따른 운영실태를 비교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결과물로서 공동강의 표준교재, 표준 강의계획서양식 등의 연구에 의해 표준교재의 내용기반을 중심으로 표준 강의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두개피관리사 직무분석 : 4년제 대학 미용관련 학과 중심으로

        장지혜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두개피 질환 환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두개피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인식이 증가되었고 이러한 추세는 미용관련 대학에서 두개피관련 교과목의 개설을 확산시켰지만 두개피관리사에 대한 구체적인 직무분석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그에 대한 교육과정 및 내용이 체계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데이컴기법을 통해 두개피관리사의 직무모형을 제시하여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내용을 정립하고 두개피관리 직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두개피관리사의 직무모형을 연구하기 위하여 두개피관련 분야에서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내용전문가 10인을 설정하여 데이컴기법을 활용했으며, 교육요구도 수준을 파악하고자 데이컴 리서치 차트를 작성하여 두개피관련 분야 실무 전문가 집단 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미용관련 대학의 교과과정 중 두개피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9개교의 강의계획서를 수합하고 강의계획서에 기재된 주교재 7종을 분석하여 두개피관련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교육현황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v. 17.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두개피관리사의 직무는 22개의 직무 영역과 166개의 작업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다시 지식 영역, 기술 영역, 능력 영역으로 나누어 작업자 중심의 직무모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직무모형을 바탕으로 교육요구도 수준을 분석한 결과 기술영역의 중요도, 난이도, 빈도가 높은 점수를 보였고 이에 반해 지식 영역과 능력 영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두개피관련 교과의 교육현황을 분석한 결과 체계적인 교과의 정립이 요구되어짐을 시사했으며, 이와 관련된 강의계획서 및 교재에 대한 연구 결과, 기술영역에 대한 비중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 기술역역의 중요함을 의미하는 동시에 지식영역과 능력영역의 균형적인 교수-학습이 요구되어짐을 시사했다. 본 연구는 체계적 정립이 요구되어지는 두개피관리사의 직무를 분석하여 두개피관련 분야에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시행된 두개피관련 교과의 분석을 통해 두개피관련 교과가 미용학과의 타 영역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학문으로서 초석을 다져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As increasing the number of patients experiencing the scalp disease recently, the social interest and recognition about the scalp treatment is getting increased and this trend makes scalp related subject opened at the beauty related universities. However it is not clear what the scalp care experts do on site and also the curriculum about that is not systematic proper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jobs of scalp experts through DACUM, to develop and correct the course of scalp related curriculum and then to provide basic date about the duty of scalp treatment. To study job model of scalp care experts, 10 experts with 5-year experiences in the scalp related field was selected for DACUM and 25 experienced scalp care experts was surveyed with DACUM research chart to identify education demanding levels. In addition 9 syllabus and 7 teaching materials about the scalp related subject was collected and analyzed to realize the present condition of curriculum and to know what is demanded. The document research was conducted from Jan. 2012 to Dec. 2012 and SPSS. v. 17.0 was used for analyzing the data.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jobs of scalp care experts include 22 dutied and 166 tasks. This makes knowledge, skill, and competence came out as the worker focused job analysis. Also the analyzed education demanding level about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shows that skill area has high points compared with knowledge and competence. After analyzing the curriculum, syllabus and teaching materials, it tells that the present condition of scalp related course is to need proper set-up and the balanced teaching-learning is demanded because the skill area appeared relatively high.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 to scalp related field where is demanded systematic establishment. Also it hopes to help to lay the cornerstone of the scalp related subject wit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s a cofigurativ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