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Optical Flow에서 추출한 Motion Vector를 이용한 물체의 방향 및 크기 계산 하드웨어 시뮬레이션

        박찬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자동차의 전자기기가 진화하고 있다. 자율주행뿐만 아니라 운전 보조 시스템도 도입되었다. 이에 따라, 운전자에게 충돌 위험을 알려주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운전자에게 빠르게 위험을 알리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고있다. 기존의 충돌위험 감지 보다 더 빠른 물체 감지를 위하려 했고, 그렇기 때문에 하드웨어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물체의 Motion-Vector를 빠르게 계산하는 여러 방식이 있지만, 기존의 방식은 반복되는 연산을 줄이는 형태이거나 머신 러닝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Lucas-Kanade알고리즘을 사용하여 Motion-Vector를 구하였다. 여러가지 Motion-Vector계산도 있지만 하드웨어로는 Lucas-Kanade Method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자체적으로 개발한 물체 감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물체를 빠르게 감지하도록 하였다. Currently, lots of driving assist devices are being developed. Electronic devices are developed for autonomous driving, navigation, and collision avoidance. This paper deals with collision avoidance through efficient danger detection of objects moving towards the car. This paper proposes a hardware algorithm for danger detection. The proposed algorithm is simulated and the results are used to estimate the real running time in a parallel hardware being built for this algorithm. Lucas-Kanade method is used for calculating motion vector. This algorithm is chosen because, it repeats simple calculation and is good for hardware parallelization. Also,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for detecting object size using the hardware algorithm. It is shown that this algorithm is very efficient in hardware due to parallel operations.

      • 오염원 관리방안에 따른 전라북도 섬진강 수계의 수질개선에 관한 연구

        박찬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country has conducted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System to manage and improve a water quality of a river, and has tried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 water quality will be contaminated by the economic growth, so policy and study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to keep in step with the economic growth. This study formed a scenario to improve a water quality by expecting and analyzing a water quality of Jeollabuk-do Seomjingang water system, so calculated a result. Jeollabuk-do Seomjingang water system in 2020 expected on the basis of 2012 is similar to a system in 2012, but rises slightly, and pollution of water quality increases by joining of each branch river. Therefore, contribution ratio was calculated by balancing 58 model input materials, and 3 plac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o calculate a hot degree by pollutant input materials by branch rivers. A result of an analysis showed that the cause is sewage disposal plant, and domestic, livestock, and land point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This study expected and compared a water quality of Jeollabuk-do Seomjingang water system in 2020 according to a solution of hot degree causes, by forming a scenario.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a water quality is improved at 15.32% of the maximum BOD, 7.17% of T-N, and 62.86% of T-P according to domestic and livestock cut amount by reinforcing discharge water of sewage disposal plant and improving pollutant management plans. It was analyzed that supplementing various cut plans such as establishment of efficient cut plans, plans to decrease pollution loading amount, plans to increase sewage disposal efficiently, pollutant decrease through an expansion of sewage disposal area, and energy recovery from animal dung of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System, and developing a study on more efficient improvement plans of water quality by considering natural increase and economic development are efficient in an improvement in a water quality.

      • 만노스 결합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가시아메바와 세균과의 상호작용 연구

        박찬영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시에메바는 Escherichia coli K1, Legionella pneumophila등 다양한 세균 병원체의 저장소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클론 혈청과 A. culbertsoni 만노스 결합 단백질에 대한 단클론 항체가 세균과의 연관, 침입 및 생존과 같은 상호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지 여부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아메바는 E. coli O157:H7과 약 100% 이상의 높은 연관성을 보였지만 E. coli DH5α의 비병원성 균주는 병원성 E. coli O157:H7보다 5배 더 낮았다. 반면 K. pneumoniae, S. aureus, S. agalactiae, B. subtilis와 아메바의 연관성은 각각 약 92%, 60%, 80%, 65%였다. 만노스 결합 단백질에 대한 다클론 혈청은 비병원성 E. coli DH5α는 혈청 처리되지 않은 E. coli DH5α에 비해 10% 감소하였고, S. agalactiae는 14% 정도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는 위의 세균과의 무생물 연관성을 약 35%에서 50%까지 억제했다. 반면, 만노스 결합 단백질에 대한 단클론 항체는 세균에 의한 무생물 억제를 감소시켰지만 그 억제 효과는 다클론 혈청만큼 높지 않았다. 세균이 아메바와 결합한 후에는 아메바를 삼킴(ingestion)또는 침입(invasion)할 수 있었다. S. aureus와 B. subtilis는 E. coli O157:H7보다 높지 않았지만 세균의 18%가 아메바를 침입했다. 다클론 혈청을 아메바와 함께 사전 배양했을 때, E. coli O157:H7, K. pneumoniae 및 S. agalactiae에서 각각 약 30%, 28% 및 38%의 세균억제를 했다. 반면, S. aureus와 B. subtilis는 다클론 혈청에 의해 각각 12%와 10% 억제되었다. 단클론 항체의 억제 효과는 다클론 혈청만큼 높지 않았으나, E. coli O157:H7 침입은 항체처리하지 않은 E. coli O157:H7에 비해 약 43% 억제되었다. 침입한 세균은 아메바 세포질 내에서 생존하기 위해 1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생존 세균은 침입 결과에비해 감소했으며 생존한 E. coli O157:H7의 감소율은 침입 세균에비해 약 21% 감소하였다. 그러나 다른 세균인 K. pneumoniae, S. agalactiae, S. aureus, B. subtilis는 침입 시 생존율 감소가 적었다. 반면, 다클론 항체와 단클론 항체는 유사한 감소 패턴을 보였다. 따라서 만노스 결합 단백질은 A. culbertsoni 영양형과 세균간의 상호작용 매개체 중 하나였다. 본 연구는 MBP과 같은 lectin을 통한 아메바와 세균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 될 것이다. 또한 포식세포 세균에 대한 A. culbertsoni의 특성으로 인해 만노스 결합 단백질은 혼선과 병태생리학의 이해를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주요어 : 만노스 결합 단백질, 세균, 가시아메바 Acanthamoeba acts as a reservoir for a variety of bacterial pathogens including Escherichia coli K1, Legionella pneumophila, etc.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whether a polyclonal serum and a monoclonal antibody to A. culbertsoni mannose-binding protein (MBP) could inhibit its interactions such as bacterial association, invasion and survival. In our findings, the amoeba was highly associated with E. coli O157:H7 by about 100%, but a non-pathogenic strain of E. coli DH5α was associated five-times lower than the pathogenic E. coli O157:H7. On the other hand, the association of K. pneumoniae, S. aureus, S. agalaciae, B. subtilis with the amoeba was about 92%, 60%, 80%, 65% respectively. The polyclonal serum to MBP inhibited amoebial association with the bacteria above by about 35% to 50% except for non-pathogenic E. coli DH5α which had a 10% decrease as compared with untreated E. coli DH5α, S. agalactiae 14% decrease. On the other hand, monoclonal antibody to MBP also decreased the amoebial inhibition with bacteria, but its inhibitory effect was not as high as the polyclonal serum. After bacteria associate with the amoeba, they can be ingested or invaded into the amoeba. S. aureus and B. subtilis were not higher than E. coli O157:H7 but 18% of the bacteria invaded the amoeba. When the polyclonal serum was preincubated with the amoeba, it inhibited the bacterial invasion of about 30%, 28%, 38% in E. coli O157:H7, K. pneumoniae, S. agalactiae. On the other hand, S. aureus and B. subtilis were inhibited by 12% and 10% by the polyclonal serum, respectively.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monoclonal antibody was not as high as the polyclonal serum, but E. coli O157:H7 invasion was inhibited by about 43% as compared with untreated E. coli O157:H7. The invaded bacteria were subsequently incubated for one hour for survival within amoeba cytoplasm. Surviving bacteria were decreased as compared with invasion results and the decrease percentage of survived E. coli O157:H7 was about 21% as compared with invaded bacteria. However the other bacteria, K. pneumoniae, S. agalactiae, S. aureus and B. subtilis, showed less decrease than the invaded bacteria. On the other hand, the polyclonal and monoclonal antibody showed similar decreasing patterns. Therefore, MBP was one of the mediators for interaction between A. culbertsoni trophozoites and bacteria.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interactions between the amoeba and bacteria via lectins, e.g., MBP. Furthermore, with characteristics of A. culbertsoni to phagocytose bacteria, MBP could be one of the very important factors for cross-talk and the understanding of pathophysiology. Keywords : Mannose-Binding Protein, Bacteria, Acanthamoeba

      • 군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위탁교육제도에 대한 연구 : 육군을 중심으로

        박찬영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군(軍) 전문인력 양성에 초점을 두고 시행중인 위탁교육제도를 고찰해 봄으로써 그 양성체계를 파악하는 한편 문제점을 진단해 봄으로써 현행 군 위탁교육제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실행하기 위해서 선행연구와 관련자료인 귀국보고서를 참조하였다.주지하듯이 직업군인은 엄격한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군사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실무경험을 통하여 능력을 개발하고 있다. 직업군인은 전문직이 갖는 전문적 지식 및 교육, 책임감과 소명의식, 자율성, 윤리의식 등의 특수성들을 충족하며 전문가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직업군인은 다방면의 능력을 지닌 전문직업인으로 보아야 한다.그러나 21C 군에서는 첨단 과학화됨에 따라 기술 집약적 지식 정보가 절실한 일반적인 의미의 군사 전문가에서 보다 전문화된 특정 분야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갖춘 군 전문 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인사, 조직관리, 물류지원 등 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를 망라하는 군사업무 및 전장양상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그 추세가 정보화, 과학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이렇게 볼 때 21세기 군 전문 인력이 구체적으로 갖추어야 할 것들은 ① 전장 환경의 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 ② 현대사회의 전문화에 대한 요구의 대응 ③ 국방정책의 합리성, ④ 육군정책의 강력한 실현 등으로 요약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정황에 대응하여 최근 군 위탁교육은 보다 전문화되고 있으며 해외로까지 그 외연을 넓히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추세와 수요를 반영한 것이며 위 사항들은 군위탁교육을 통해 지향하고 있는 목표이기도 하다.육군 정책을 주도하고 전문지식 및 특수자격이 요구되는 군 전문 인력은 전문 인력 위탁교육, 실무경험, 그리고 직무교육을 통해서 양성된다. 이 중에서 전문인력 위탁교육은 전문인력 양성에 있어 그 기간이 길고, 정규 학교교육을 통하여 학문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전문 인력으로서의 외국어 능력과 사고전환 그리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교육과정이다. 그리고 전문인력 위탁교육 결과에 따라 군 전문인력의 질이 좌우되고 그 결과는 국방정책의 수준을 결정하게 된다.위탁교육생은 미래의 군사 환경 변화와 사회의 발전에 대응하기 위해서 군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인력 위탁교육이 필요하며, 군 생활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학업 이외의 다른 분야에 대해서는 새로운 경험과 사고전환을 할 수 있는 점을 가장 큰 효과로 보았다. 또한 군 전문 인력에게는 학문지식, 군사지식 그리고 외국어 능력이 필요하며, 정책부서나 특수직위에서 업무를 훌륭히 수행할 것으로 보았다. 국외 위탁 교육생에게 어려운 점을 분석한 결과 학업분야에 있어서는 사전 위탁교육 준비기간을 충분히 갖지 못하여 학업적응이 어려운 점, 생활에 있어서는 언어문제, 주택문제와 경제문제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문헌연구와 귀국보고서를 통한 전문인력 위탁교육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첫째, 위탁교육제도의 교육목표를 학문지식 또는 전문지식의 습득과 학위취득뿐만 아니라 교육의 보편적 가치, 전문 인력의 역할, 전문성 개발목표 등평생학습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정립해야 한다.둘째, 전문 인력의 모집과 선발 측면에서는 전문 인력 모집에 유능한 인재들이 많이 응시될 수 있도록 하고, 전문 인력의 양성이 조기에 달성될 수 있도록 하며,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능력을 충분히 평가할 수 있는 선발방법 도입이 필요하다.셋째, 전문 인력 위탁교육의 준비 단계에서는 전문인력의 능력을 충분히 발전시킬 수 있도록 교육기관, 전공학과 등을 육본 차원에서 관리하며, 위탁교육 사전 준비 기간을 충분하게 부여하여야 한다.넷째, 전문 인력 위탁교육생의 관리 및 지원 측면에서는 위탁교육생이 안정적으로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 확립이 필요하고, 군 관련 논문이 작성될 수 있도록 자료제공 등 실질적인 도움을 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commissioned education system by the current situation, focusing on the training of the military specialists. For the operation of the purpose, have referenced the previous studies and homecoming reports.We've already known Professional soliders have been learning the military knowledge, technique developing the capability with hands-on-the-background. Also they hold quality of specialist with satisfying characteristics of special knowledge and education, responsibility, calling awareness, self-control nature, ethics awareness. Thus we must understand the professional soliders are the professional man.We need ,however, the military specialists who has the qualities with more professional parts than the ones with general military knowledge in necessity of the more technology-integrated knowledge as the 21st century military is getting high-tech. And now, the trend of the military affairs and the style of the battle field, which include all the personnel errands, management of the organizations, administration of physical distribution, etc. become more information-oriented and technology-oriented phenomena with the change of the time.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we could summarize what the 21st century military specialists should have are ① the active responses to the change of the battle field environment, ② the responses to the requirement of professionalism in the modern society, ③ the rationality of the military policy, ④ the strong execution of the military policy, etc. As the answer of this current situation, the reason that the recent military entrusted training becomes more specialized and expanded toward abroad is reflected the current trend and requirement, and the summaries above are the goals of the training as wellThe each military force is responsible for training the military specialists who lead the military policy with the specific qualifications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pecial parts and these specialists are trained through the entrusted training programs of professional trainers, the hands-on-background program and the job training. 'The special degree course', which is the one of the military training programs and the training systems, is the very important training course which takes long term to complete and those who take this course can learn the knowledge as well as technology through the regular curriculum and improve the foreign language skills and have the change to convert the original ideas and various experiences.The entrusted trainees reported that they would need to take the entrusted training program in order to respond the change of the military environment in the future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and realize that this kind of program is necessary for their military service. They also thought that the best benefits of this program are having various experiences and converting their original ideas beside of the learning part. In addition, they reported that the military specialists need the foreign language skills, the military knowledge as well as the studies and they could execute their affairs in the policy department or the special position through this program.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from the entrusted trainees in abroad, they had trouble in communication, housing and economic problems and being accustomed to studying in abroad because they had not had the preparation period for the program before.Based on the findings in problems with commissioned education system for military specialists, this study propose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s as follows:First, educational objectives of commissioned education should be able to fully include not only mastering scientific and special knowledges and obtaining a degree but also universial values of education.Second, the recruting system should be made to encrouge more competent talants to apply for it and the selecting system should made be able to evaluate applicant's abilities to the full.Third, at the stage of preparing for commissiond education for military specialists, the head quarters of the army need to coordinate the needs of trainees on the army and university programs in order to develop specialists' abilities to the full. In addition, trainees should be allowed to have enough time to prepare for reciving education.Lastly, in order for trainees to concentrate themselves on learning, the military should set up a system to support them and also should provide pratical assistance in order for them to write theses regarding the military.

      • 농문화교육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와 원적학급 교사의 인식 비교

        박찬영 대구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South Korea is a singular cultural society, however, today the social paradigm has been changed to multicultur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general class teachers' recognitions toward deaf 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general class teachers were teaching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were studying at the special class. 400 special class teachers and 400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ith recognition to deaf cultural education and bicultural education were divided into sign language and native language, importance of educational support to deaf students and multicultural students,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deaf students and bilingual speakers, and awarenes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is study consists of the recognition of biculturalism of deaf people and non-deaf bilingual people i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recognition of biculturalism of deaf people and non-deaf bilingual people i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awareness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 found that the special class teachers were more highly aware of the education about biculturalism of deaf people than the education about biculturalism of non-deaf bilingual people. In contras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more highly aware of the education about biculturalism of non-deaf bilingual people than the education about biculturalism of deaf people. Howeve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awareness education about biculturalism of non-deaf bilingual people, the importance of native language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support to non-deaf bilingual students.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lso recognized the adequacy of biculturalism of deaf people, the necessity of sign language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support to deaf students.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sign language as the language that the deaf students used to communicate, but they did not regard that the deaf students were using two languages and in part of two cultures. Additionally,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positive to the use of sign language for the deaf students, bu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negative to the use of native language rather than Korean for the non-deaf bilingual students. In sum, for the development of deaf education in Korea, it is necessary to alter perception about deaf culture, from deafness as a disability to culture. Additionally, more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promote this perceptional change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a bilingual-bicultural approach. 이 연구는 농문화교육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와 원적학급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두 집단 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여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농문화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농문화교육은 농교육, 농문화, 모국어(수화), 교육적지원 요인으로 구성되어있고, 다문화교육은 다문화교육, 다문화, 모국어, 교육적지원 요인으로 구성되어 총 80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이 설문지는 농학생이 재학 중인 통합교육 환경의 초, 중,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421명과 원적학급 교사 421명에게 우편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각각 400부(95.0%)를 회수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결과는 첫째, 특수학급 교사는 다문화교육보다 농문화교육에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농문화와 관련한 내용에서 교사들은 청각장애학생들의 문화에 관한 내용들이 일반교육과정에 다문화교육과 같이 포함되어져야 한다고 인식하며, 청각장애인들에게 이들의 문화를 가르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그리고 청각장애학생의 지도를 위하여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화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이중문화․이중언어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한다. 반면 다문화교육 전반에 있어서 농문화교육 보다 다소 낮게 인식하고 있으나 농문화교육과 다문화교육을 유사한 것으로 인식하고 이들의 문화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한다. 둘째, 원적학급 교사는 농문화교육보다 다문화교육에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청각장애학생과 다문화가정 학생 모두 학교에서 교육을 실시하지만 다문화가정의 학생은 다른 모국어를 사용하는 다른 문화라는 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청각장애학생은 한국어를 사용하는 동일 문화의 집단이나 장애인으로써 수화의 사용을 수용하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셋째, 농문화교육은 특수학급 교사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다문화교육은 원적학급 교사가 긍정적으로 인식하나 특수학급 교사는 다문화교육 요인에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모국어교육의 필요성, 다문화 교육적 서비스 지원의 필요성에 긍정적이고, 원적학급 교사는 농문화 형성의 타당성과 수화수업의 타당성, 수화교육 지원의 필요성에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많은 청각장애학생들은 일반학교 교육과정 하에 통합되어 있고 구화중심의 교육을 강요받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청각장애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이중문화․이중언어 접근이론에 따라 농문화를 장애인 문화에서 벗어나 하나의 문화로 인식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며 다양한 후속 연구를 통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 방사선영상체학 알고리즘을 이용한 혈종의 질감 특성과 혈종 증대에 대한 후향적 분석

        박찬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발성 뇌출혈에서 기존에 알려진 혈종의 증대를 예측하는 인자들 이외에 방사선영상체학을 통해 분석한 혈종의 질감 특성과 혈종 증대의 연관성을 평가한 연구이다. 증상 발생 12시간 이내 급성기 자발성 뇌출혈 환자들을 대상으로 224명의 CT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기존에 알려진 혈종 증대 위험을 시사하는 영상적 소견을 확인하였으며, 혈종에 대한 방사선영상체학을 도입, 혈종의 형태특징과 1차 통계특징, 2차 질감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추적 검사에서의 혈종의 증대 여부와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알려진 혈종 증대 위험을 시사하는 영상적 소견들 이외에 혈종의 크기와 평균 하운스필드단위, 명암도 동시발생 행렬 분석에서 얻어진 대조도, 에너지, inverse difference 수치와, 명암도 연결 길이 행렬 분석의 Run length non-uniformity 등 방사선영상체학을 통해 얻어진 질감 특성들 중 일부가 혈종 증대 여부와 유의미한 연관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사선영상체학으로 획득 가능한 영상 질감 특성들이 혈종 증대의 위험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향후 정량적인 컴퓨터 분석과 기계학습을 통해 혈종 증대의 위험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ematoma growth and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f the hematoma using radiomics. This study included 224 patients with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who underwent CT within 12 hours from onset. Radiomics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hematoma were extract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imaging findings suggesting the risk of hematoma growth, some of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btained through radiomics analysis, such as hematoma size, average houndsfield units, contrast, energy, inverse difference levels, and run length non-uniformity in contrast matrix analysis, were related with hematoma growth. The image texture characteristics by radiomics analysis can help predict the risk of hematoma growth, and it would be possible to predict the risk of hematoma growth through quantitative computer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in the future.

      • 종적자료의 발생률 산출방법론 비교 고찰

        박찬영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It is very important to calculate the frequency of diseases in disease monitoring and investigating its cause. In particular, in order to determine the incidence rate according to time, the incidence dens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cidence rate) is used, which is calculated with the number of events divided by the total observation time. The indices for an incidence rate are clearly defined, but every researcher may use a different missing value processing range in the longitudinal data depending on how many follow-up failures occurred. Thus the number of events (especially, disease occurrence) may vary. In this regard,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incidence rate in a number of ways using the actual longitudinal data by comparing and discussing the resulting differenc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mmunity-based cohort (Ansan and Anseong) and Korea Health Panel data. The community-based cohort (Ansan and Anseong) is a prospective cohort data based on the follow-ups conducted at a 2-year interval from 2001 to 2012. The Korea Health Panel data was based on follow-ups conducted every year from 2008 to 2012. Incidence rates were reviewed by separating the numerator and denominator in the calculation formula. The numerator was defined as three ways (A, B, C) with regard to diabetes and hypertension, and the denominator was defined as three estimation methods (①, ②, ③) for the observation time to calculate the incidence rate. When calculating and comparing the incidence rate in various ways, the incidence rates were found to differ depending on how to the events were defined differently. In addition, the differences in the observation time differed according to how long the failed follow up period was prior to the defined event. Incidence rates may vary depending on how the event definition and the observation time, but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incidence rate in nine ways (numerator: 3 kinds, denominator 3 kinds) using two kinds of longitudinal data and compared the incidence rates. The causes of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rate were explained in detail. Therefore, for a study that aim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rates, it was suggested to describe clearly and in detail on the data processing and to record the version of concerned data to ensure that the same results can be obtained at reproduc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o be provided as the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causes that may have effect on diseases, to be utilized for the prevention and early treatment of diseases and to be utilized for basic data for health policy development.

      • 서울의 외국인 밀집지역 유형화와 도시·건축 환경에 관한 연구

        박찬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Against the backdrop of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ers residing in South Korea recently witnessed, various issues related to immigrant communities have been observed across the South Korean society. On such grounds, this study aims to delve into the fundamental cause of these issues. Current policies for foreigners in South Korea lacks the flexibility to embrace the diversity of immigrant communities. Also, since studies related to policies for foreigners in South Korea are not only outdated, but also since the data used in the studies are heavily weighted towards residential purposes of foreign nationals only, these studies and policies fail to take into account the diverse residential types and nationalities of foreigners. Policies and studies regarding immigrants that have been created in the past seem to have disregarded the diverse circumstances and characteristics of immigrants and immigrant communities, but instead focused only on specific situations or characteristics. This lack of diversity proved to be inappropriate for accommodating the constantly changing and multiplying immigrant communities. The foremost goal for the future regarding immigrant communities in South Korea is to identify elements found commonly across all immigrant communities to formulate policies and conduct studies that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an inclusive culture. To address the issues found in current policies for immigrants in South Korea,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distinct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ies from which the immigrants have come; compares and analyzes such characteristics; categorizes the areas densely populated with foreign nationals in Korea into different types; and seeks methods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by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t aspects of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for each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practically applied to designing new policies and follow-up studies on immigrant communities in South Korea to ultimately help immigrant communities successfully assimilate into Korean society and to truly accomplish social integration among Korean nationals and immigrants. The study first categorizes immigrant communities in South Korea into different types based on social capit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communities, which are regarded a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communities. Next, the study examines the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of each typ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for each type of immigrant community. The brief summary of each chapter is outlined below. Chapter two focuses on community theory and national culture theory. Based on these theories, elements related to social capital and elements that serve as the basis of value judgments for immigrant communities apart from the social norm are examined. Next, studies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immigrant communities and the existing categorization of these communities are studied. The above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become the backbone of this study in drawing up the variables that are regarded as characteristics unique to immigrant communities. In chapter three, the overall process of categorizing multiple immigrant communities is designed and variables for the study are extracted. Firstly, the areas heavily populated with immigrants to be studied are selected. Based on the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mentioned in the previous chapter, variables for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ve countries from which the immigrants have come and variables for distinguish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circumstances and status in South Korea are identifi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communities by the native country of the immigrants. In chapter four, cluster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derived from the previous chapter. The collected data is standardized and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number of clusters. Then,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s conducted to categorize the immigrant communities that show similar characteristics into four clusters. Lastly, ANOVA (Analysis of variance) test is conducted to validate the variables. Chapter five delves deeper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lements of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our types of immigrant communities. Firstly, the four types of immigrant communities are analyz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Next, elements of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of each type are analyzed to identify how the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community affect the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for each type. Last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elements are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categorize immigrant communitie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of each type, and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elem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deepen our understandings of immigrant communities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critical resources for developing policies for immigrants currently residing in South Korea as well as for presenting a new paradigm for studies and policies for foreign nationals in the future. It is highly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moting true social integration by helping the immigrants settle and assimilate successfully into Korean society. Successful assimilation of foreign nationals into Korean society will precipitate multiple positive effects including enhancement of the city’s image and re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Moreover, the assimilation of immigrants into the culture will elevate the national image as a country that embraces cultural diversity and fosters inclusion on a global level. 본 연구는 국내 체류 외국인의 급증과 이주민 공동체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이슈가 대두되면서 무엇이 문제인가 의문을 제기하면서 시작하였다. 현재 국내 외국인 정책은 이주민 공동체의 다양성을 받아드리기에 부족하고 관련 연구는 과거 외국인 밀집지역의 일부 외국인 체류 기준에 따른 결과물로 현재 외국인의 국적과 체류유형의 다양함을 분석하지 못해 현재 이주민 공동체와 외국인 밀집지역 상황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는 이주민 공동체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가 이주민의 상황을 이해하고 특성을 고려한 정책과 연구가 아니라 현재 이슈와 상황에 대한 것만 고려하여 상황이 조금만 변하여도 기존의 정책이 작동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나는 등 빠르게 증가하고 다양화되어가는 이주민 공동체를 수용하기는 적합하지 않았다. 상황이 변하여도 변하지 않는 이주민 공동체의 특성을 조사하여 그에 맞는 정책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주민 공동체의 안정적 정착과 성공적 사회통합을 위해 국가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고유의 특성을 실증 조사하고 국가간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외국인 밀집지역의 유형을 도출하고 유형별 도시·건축적 영향과 사회통합을 위한 방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유형별 외국인 밀집지역에 적합한 연구가 진행되고 새로운 정책이 수립되어 다양한 이주민 공동체의 안정적 정착과 국내사회로의 동화를 이룰 것을 기대한다. 본 연구는 국내 상황이 변하여도 국가별 이주민 공동체의 근본 속성인 사회자본과 문화 특성이 반영된 외국인 밀집지역 유형을 도출하고 도시건축의 특성을 조사하여 이주민 공동체의 특성과의 연관성을 고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첫째, 공동체 이론과 국가 문화이론에 대해 검토하였다. 공동체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사회자본 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국가의 사회적 규범과는 다른 어떠한 행동을 위한 가치판단의 근거가 되는 국가 문화이론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밀집지역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기존의 유형화 연구를 검토하였다. 3가지 선행연구를 검토하면서 이주민 공동체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변수를 도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3장은 외국인 밀집지역의 유형을 도출하기 연구 설계와 변수 측정을 하였다. 우선 연구대상 지역과 대상 국가를 선정하고 선행연구와 이론을 근거로 출신국 특성을 분석하는 변수와 체류국 거주지의 현황을 분석할 수 있는 출신국 변수와 체류국 변수를 선정하고 국가별 이주민 공동체 특성을 실증 조사하였다. 4장은 측정한 국가별 이주민 공동체 데이터를 기반을 두어 군집분석을 하였다. 군집분석을 하기 위해 실증 조사된 다양한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비계층군집분석을 통해 군집의 수를 정하고 계층적군집분석을 통해 유사한 특성을 보인 4가지 군집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ANOVA 검증을 통해서 변수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5장은 도출된 외국인 밀집지역 유형 4가지의 이주민 공동체 특성과 도시건축 환경 특성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우선 도출된 4가지 유형이 어떠한 요소들에 의해 유형화되었는지 유형별 이주민 공동체 특성을 조사하여 유형별 특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주민 공동체의 특성이 외국인 밀집지역의 도시건축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유형별 도시건축 환경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두 특성간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적 분석을 통해 외국인 밀집지역의 유형을 도출하고, 유형별 도시건축 환경의 특성을 확인하고 두 특성간 연관성을 확인한 첫 도시·건축 연구라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물을 통해 이주민 공동체에 대한 이해와 유형별 외국인 밀집지역의 도시건축 환경과 그에 따른 현재 정책 수립과 보완에 대한 주요한 시사점을 가지며 새로운 패러다임의 이주민 관련 정책과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외국인 밀집지역의 유형에 적합한 정책이 수립되고 보완되어 이주민의 안정적인 정착과 국내 주류사회와 동화를 이루어 한국과 성공적인 통합이 되길 기대한다. 이를 통해 지역 경제에는 도시 이미지 개선과 도시 활성화 등 긍정적 영향을 주어 다양성도 인정하는 성공한 다문화 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