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XR 플래그십 프로젝트 소방분야 시나리오 크리에이터 개발

        이은섭(Eunsub Lee),윤형준(Hyungjoon Yo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화재 발생 시, 화재 진압 및 대응 업무를 담당하는 소방대원과 소방안전관리자 와 실제 화재상황에 처한 국민 모두에게 있어 신속한 의사결정이 매우 중요하다. 그 중 화재 예방 및 화재 발생 시 중간단계의 업무를 수행해야하는 소방안전관리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이론 학습과 동일한 화재 및 화재관련 장비의 장애 상황에 대한 반복 훈련으로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의사 결정력 및 화재 대응 능력의 향상에는 한계가 있다. 화재에 의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초기 대응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는 소방안전관리자를 대상으로하는 훈련을 통하여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향상된 대응 능력을 기반으로 소방안전관리자의 능동적이고 재빠른 대처를 통해 피해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화재에는 다양한 돌발 상황이 시시각각 발생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가변적인 시나리오의 도출이 필요하다. 시나리오 작성 시 적용이 가능한 영화나 드라마를 위한 저작도구들과 단순한 형태의 UCC(User Created Contents) 저작도구들이 있으나, 이들을 분석한 결과 소방화재 시나리오 저작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소방안전관리자의 화재대응 훈련 프로그램에 적용할 시나리오의 저작에 적합하고, 훈련 시나리오를 저작하는 사용자가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크리에이터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시나리오 크리에이터는 크게 synopsis 입력부, event 입력부와 object/등장인물(NPC-Non Player Character)/배경/화재정보 등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개별 객체정보 입력부로 구성되어 있다. 시나리오에 적용될 synopsis, event, 개별 객체정보를 제시되는 템플릿에 따라 입력만 하면 하나의 시나리오로 구성된다. 특히 등장인물(NPC-Non Player Character) 데이터, 개별객체 정보 데이터, Event데이터는 다른 시나리오에서도 재사용될 수 있도록 개별 요소 단위로 저장, 관리가 가능하다. 본 소방 시나리오 크리에이터를 활용하면 보다 빠르고 쉽게 소방안전관리자의 소방훈련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훈련 프로그램 저작에 활용 가능하다.

      • 제천스포츠센터 화재의 소방시설 문제점 분석에 관한 연구

        박준현(Jun-Hyun Park),송재금(Jae-Keum So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는 충청북도 제천시 하소동 9층짜리 스포츠센터의 필로티 주차장 천장에서 2017년 12월 21일 15시 53분경 최초 신고로 충북소방본부에 보고되었다. 이 화재사고로 무고한 제천 시민의 희생이 사망 29명, 부상 40명 등 총 69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화재로 기록되었다. 이는 건축적 측면과 소방적 측면, 공공소방대의 소화활동 측면 이 3박자가 총체적 부실의 결과로 나타난 인명피해 현황이다. 3박자 중 소방적 측면의 문제점 및 대책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소방시설은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구조설비, 소화용수설비, 소화활동설비로 구분되어진다. 최초 건축물 허가 시인 2010.08.09. 기준의 소방관련법령에 따른 소방시설로는 소화설비로 소화기구, 옥내소화전, 스프링클러, 주차장용 이산화탄소 호스릴소화설비, 경보설비로는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방송설비, 시각경보설비, 가스누설경보기, 피난구조설비로는 피난기구, 유도등, 비상조명등, 소화용수 설비는 대상이 아니며, 소화활동설비로는 연결송수관설비가 설치되었다. 최초 화재 발생은 당국의 발표와는 달리 더 빠른 시간에 발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용자의 녹취록이나 관계인의 진술에 따르면 2017년 12월 21일 15시 25분경에 1차 화재 목격과 2017년 12월 21일 15시 29분경 천장 내에서 불규칙한 발광현상이 건축물 맞은편 CCTV에 고스란히 남아있다. 이는 실재 화재가 발생한 시간이 당국이 발표한 시간보다 30여분 빠른 시간에 발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30여분동안 화재는 천장 속에서 진행되었다. 이는 천장 내에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자동화재탐지설비는 설치하지 않으며, 화재를 자동으로 소화할 수 있는 자동식 소화설비는 천장속의 높이와 가연물 등에 따라 설치를 제외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아무리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와 화재를 자동으로 소화하는 자동식 소화설비가 잘 설치되어 있더라도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유지관리가 부실하면 그 설비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위험성과 가혹도에 따른 소방시설의 설계와 유지관리의 효율성에 주관하여 제도적 개선과 소방시설의 신뢰성 향상, 소방시설의 유지관리 허점들을 집어 다시는 화마로 인한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FDS를 통한 건물 외부 조건에 따른 화재확산에 관한 연구

        노재현(Jae Hyeon Noh),남유현(Yu Hyun Nam),여용주(Yong Ju Yeo)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2010년 이후 매년 다중이용시설의 건물에서 25,000건 이상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 다중이용시설의 건물 특성상 건물의 높이는 크지 않지만, 건물끼리 가까이 붙어있고 화재 발생 시 옆 건물로 화재가 전파되어 진행되어 화재 피해가 더욱 커지고 소화 및 구조⋅구급활동에 지장을 주고 있다. 특히 구조 활동에 있어서 지상으로 대피하지 못하는 경우 소방헬기를 이용하여 옥상에서 구조 활동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소방헬기의 프로펠러 속도로 인한 바람이 화재진화에 어려움을 주고 있어 FDS를 통해 화재에 영향을 어떻게 받는지 확인하고, 소방헬기 구조 시 화재에 영향을 적게 주면서 활동할 수 있게 제시하고자 한다. FDS 모델링의 건물 표본은 지하 1층 지상 5층으로 총 6층 건물이며 1층의 구조는 필로티 구조로 설정하였으며, 건물 외벽에 단열재로 드라이비트를 설치하였고, 화재는 1층 필로티 주차장에서 시작되어 드라이비트를 타고 외벽으로 확산하는 시나리오로 진행하였다. FDS를 비교하기 위해 소방헬기가 없는 시나리오와 있는 시나리오 두 개의 시나리오를 진행하였으며, 외부 마감재료의 물성치는 Insulation과 Foam을 주었으며 확산 모델링으로 진행하였다. 소방헬기에서의 나오는 바람의 속도는 소방헬기 높이에 따라 하류속도의 영향이 달라서 관련 논문에 따라 지상에서 30m 위에서 25.7m/s의 바람이 나오도록 설정하였다. 계산 결과 소방헬기가 없는 모델링의 화재 확산은 외벽 드라이비트를 타고 확산하는데 반에 소방헬기가 도착해서 하류속도가 있는 상황에서는 다른 층으로 확산하지는 않았지만 화재층에서 횡으로 빠르게 전파되는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소방헬기가 떠난 후 화염 확산 면적이 더 커질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방대가 도착하여 화재진화를 실시할 때 소방헬기의 영향을 받아 화재층의 열축적이 더 많이 되어서 화재 진화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국내에는 본 연구와 관련된 자료가 없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 능력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시나리오 개발

        박창현(Chang Hyun Park),최유정(Yoo Jeong Choi),최수길(Su Gil Choi),김시국(Si Kuk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다수의 대형화재에서 소방안전관리의 실패로 인한 인명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소방청 및 한국소방안전원에서 2022년 5월에 자위소방대 표준운영 매뉴얼을 배포하여 현장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위소방대의 업무는 119 소방대가 도착하기 전까지 비상연락, 지휘통제, 초기소화, 응급구조, 방호안전, 피난유도를 통해 연소확대를 방지하고,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화재 시 골드타임을 결정하는 매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즉,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발생 사실을 인지하고, 신속하게 화재상황을 재실자에게 전파하고, 119 신고 후 자체진압의 가능성을 판단하여 초기소화 및 피난유도를 진행한다. 또한, 화재 시 피난과정 등에서 발생된 부상자에 대한 응급구조와 더불어 내부 고립자의 피난 도모, 소방시설에 대한 작동여부 등을 판단하여 미작동 시설에 대한 조치를 통해 화재확산을 방지하는 방호안전 그리고 실시간 화재현장 상황에 대한 119 상황전파 등 화재 발생 골든타임인 7~8분 이내에 일련의 모든 과정을 수행하는 소방안전관리자겸 소방관이다. 이러한 자위소방대를 구성 및 운영하며 건물 내 재실자들의 안전을 책임지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 능력이 자위소방대의 업무 능력과 직결된다. 이러한 소방안전관리자가 화재와 같은 위험 상황에서 패닉에 빠지지 않고 체계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교육과 훈련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시 소방안전관리자의 자위소방대 지휘통제 및 상황판단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한 시나리오는 복합건축물, 노유자시설에서의 화재발생 시나리오를 설계하였으며, 시나리오는 건물의 구조 및 재실자 특성을 반영하여 실제 현장감을 부여하였다. 이를 통해 소방안전관리자의 화재 상황에서의 빠른 판단과 대처 능력이 향상되어 재실자의 안전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소방 안전관리자 훈련용 시나리오 크리에이터 개발

        고정훈(JungHoon Ko),윤형준(Hyungjoon Yo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과거 수년간의 화재에 대한 분석 자료에 의하면 매년 4만 건 이상 화재와 1,500명 이상의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고, 4차 산업혁명의 IT기술들은 화재예측과 선제적 대응, 화재상황 초기대응 및 화재진압 등 화재대응 체계 고도화에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2017년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2018년 밀양 세종병원 화재 등 대형 화재사고들의 경우, 피해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건축재료 및 건축구조 문제, 소방설비 문제 등과 함께 현장 소방안전관리자의 초동 대응 미흡이 거론되고 있다. 화재는 소방대원들의 빠른 진압이 중요하나, 소방대원들이 도착하기 전의 골든타임에 현장 소방안전관리자의 신속한 초동대응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장 소방안전관리자의 초동대응은 화재인지와 대피 안내, 119 신고, 옥내 소방시설을 이용한 소화 등 기본적인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현장 소방안전관리자들 대부분이 소방 전문가가 아니고 화재대응 경험도 없어서 실제 화재 시 초동대응이 안 되고 대형 피해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현장 소방안전관리자가 위치한 시설물의 형태와 화재 상황 등에 따른 화재 시나리오를 사전에 설정하고, 해당 화재 시나리오에 따라 메타버스 기술로 화재 발생 환경을 구축하여 현장 소방안전관리자를 훈련하는 플랫폼이 필요하다. 다만 시설물의 종류와 위치 그리고 화재상황이 다양한 옵션으로 존재하고 해당 옵션들의 조합으로 도출되는 시나리오의 양이 많아서 수작업으로 관리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방안전관리자의 화재 초동대응 훈련에 필요한 수 많은 조건의 시나리오를 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시나리오 크리에이터를 개발하고자 한다. 시나리오 크리에이터는 건물, 소방장비, 수신기, 화재상황 등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는 모듈과 이를 기반으로 상황별 옵션을 선택하는 모듈, 그리고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시현하는 모듈 등 3개 모듈로 구성된다. 2021년에는 대상 시설 1종에 한하여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고, 2022년에는 시나리오 크리에이터를 개발하여, 현장 소방안전관리자의 소방훈련을 위한 시나리오를 쉽게 생성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것이다.

      • KCI등재

        '화재예방법규'의 규제완화가 화재발생에 미치는 영향 : 영국 사례분석

        이재열 한국화재소방학회 200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15 No.2

        OECD는 규제개혁을 '보다 나은 규제'와 '규제폐지'로 구분하고, 환경 및 안전 분야의 규제는 지속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반면에, 1990년대에 진행된 한국소방의 규제개혁은 일방적인 규제의 완화 또는 폐지라는 방향으로 간행되는 매우 기이한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영국 소방예방법규의 경우, 1971년 화재예방법의 제정이후 대형화재의 발생에 대응하여 지속적으로 예방법규를 강화해 오고 있으며, 1991년 건축령에서는 주택을 포함하여 모든 건물에 대하여 각층에 최소 한 개의 연기경보기를 설치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 연구는 영국에서의 소방예방법규의 강화가 소방안전을 제고 시켰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것은 한국소방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소방의 경우 화재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서 '안전, 보건, 환경과 관련된 규제의 질을 개선한다'는 규제개혁위원회의 규제개혁 기본방향이 철저히 준수되어야 하며, 비록 규제개혁의 전체적 전략이 모든 규제를 감소시키는 것일지라도 안전에 관한 규정은 오히려 증가 시킬 수 있다는 기본방향의 유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The OECD defines regulatory reform as both better regulation and deregulation, and emphasizes that governments must continue to regulate in areas such as environmental quality and safety. In contrast, Korean regulatory reform in fire services in the 1990s shows quite a strange trend, having been carried out only to the direction of softening and abolishing regulation. In the UK, fire pre-vention legislation has been strengthen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Fire Precautions Act 1971, and the Building Regulations 1991, which apply to all new buildings indluding a private house, repuire that there should be at least one smoke alarm on each floor.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tightening of fire prevention legislation in the UK has promoted fire safety, which is very instructive for Korean fire services. In order for Korean fire services to protect citizens' lives and property from fires, on of basic directions of regulatory reform, to improve the quality of regulations relating to safety, health and the environment, should be observed strictly. Moreover, the flexibility of the basic direction of regulatory reform should be ensured so that the regulations concerning safety could be even increased under the overall reform strategy of reducing all regulations.

      • 소방활동 지원을 위한 전자명판 시스템 적용 연구

        김황진(Hwang-Jin Kim),백영수(Young-Soo Baek),한동훈(Dong-Hun Ha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소방대상물 중 건축물은 복잡 다양한 구조로 발전하였으며 대형화⋅초고층화 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대형 건축물은 화재 등 재난 발생 시 인명피해의 우려가 높기 때문에 소방시설법시행령 상 건축물의 층수와 높이 연면적 등에 따라 특급,1,2,3급 건축물로 구분하고 있다. 특급, 1급, 중점대상 건축물의 경우 연1회 이상 관할 소방서에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건축물의 정보를 수집하는 등 예방점검 활동을 실시하고 있으며 취득한 정보는 소방활동지원시스템(AVL 단말기)에 업데이트 되어 현장 출동 시 활용하고 있으나 관할지역에 소방대상물이 밀집되어 있는 경우 현행화에 어려움이 있다. 화재 출동 시 상황실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무전으로 수신하고, 소방차에 설치 된 AVL단말기를 검색하여 건물개요, 동별면적, 연락처 등 제한적인 텍스트 정보를 파악하는 실정이며, 현장 도착한 선착대는 방재실 점령 및 소방안전관리자에게 건축물 주요 정보를 취득하고 있으나 이 또한 안전관리자의 역량에 따라 취득정보의 편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중요건축물의 화재 대응 시 효율적인 현장정보 파악을 위한 시스템 구축을 위해 현재 한전KDN에서 건축물 안전관리를 위해 활용중인 전자명판시스템을 활용한 소방활동 정보수집의 효과성을 분석 후 운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자명판시스템은 IoT와 무선통신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 단말기 정도 크기의 장치로 소방활동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업로드한 후 건축물 주 출입구에 설치하면 화재 발생 시 현장에 도착한 소방대원이 휴대폰을 터치하여 근거리 무선통신(NFC) 방식으로 간단하게 소방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건축물 소방안전관리자가 직접 건축물의 정보를 입력하여 관리하고 관할 소방서에서는 전용 서버를 통해 건축물 정보를 취합 후 필요시 현장에서 직접 확인함으로서 예방 활동에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명판에 업로드 되는 자료는 단순 텍스트 문서가 아닌 3D 도면 등 시각화된 자료로서 현장 활동에 필요한 주요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소방대원들의 현장 이해도를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현재 나주지역 중점관리대상 주요건축물 5개소에 현장 적용 후 효율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건축물 용도별 전자명판시스템 수록 정보 리스트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방대상물에 대한 정확하고 효율적인 정보 취득으로 화재예방 및 현장대응 시 효율성을 향상 시키고자 한다.

      • 가상훈련 소방관 팀 훈련 시나리오 작성 체계

        김동현(Donghyun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화재진압 및 구조 훈련을 위해 제한된 물리적인 공간에 다양한 화재 상황을 재현하고 훈련 결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실증기반의 가상현실 훈련시스템은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소방대상물의 화재진압 및 구조환경을 체험하여 훈련할 수 있는 SOP 기반의 표준 훈련시나리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소방훈련을 위한 표준 시나리오 작성 체계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화재진압 관련 활용데이터의 정의 및 콘텐츠 활용 지원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소방대상물별 화재진압관련 기본환경 활용데이터는 소방대상물 환경, 화재상황, 소방력(인력 및 장비), 소방전술 4종으로 정의하고 활동환경데이터는 화재진압환경, 구조대피활동환경, 화재확산환경, 현장진압기술 환경 4종으로 정의한다. 콘텐츠 활용 지원 데이터는 각 세부 환경 활용데이터에 대한 목록화, Code DB를 구축하여 분석 자원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과거 화재사례 조사보고서 분석을 통한 각 소방대상물별 화재확산에 다른 주요 이벤트를 정의하고 소방훈련 난이도 등급을 설정하여 시나리오에 반영한다.

      • 통신장치가 부착된 소방현장지휘관용 및 화재조사관용 호흡보호구의 설계 및 개발 연구

        노호성(Ho Seung Ro),김정환(Junghwan Kim),오세호(Seho Oh),민세홍(Sehong Mi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화재현장에서 소방관을 지휘하는 소방현장지휘관은 빠른 화재진압을 위하여 진압 소방대원과의 의사전달이 중요하다. 소방현장 지휘관의 경우 기존의 호흡보호구를 착용하고 화재현장에 투입된 소방관들의 지휘를 위하여 무전기를 사용하나 호흡구에 의한 음성전달이 명확치 않고 화재현장의 소음으로 지휘가 명확치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화재 초기 골든타임을 놓친 사례도 있다. 화재조사관의 경우 화재진압이 끝난 후 직후 바로 투입되어 조사하나 화재와 소화수로 인한 붕괴 및 낙하물에 의한 부상뿐만 아니라 잔류 유독가스가 남아 있어 흡입위험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이에 착안하여 화재현장에서 유독 가스등의 원인으로 호흡보호구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지휘관 및 현장 조사관 상호간의 의사 전달을 하기위한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조의 호흡보호구를 개발하였다. 소방현장지휘관용 및 화재조사관의 역할에 알맞도록 소방현장지휘관용은 전면형 호흡보호구를, 화재조사관용은 반면형 호흡보호구를 개발하였다. 전면형은 마스크 양쪽으로 유독가스를 막아주는 정화통이 장착되고, 전면에는 통신모듈이 장착되며, 골전도 이어폰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며, 반면형은 마스크에 눈을 보호하는 고글이 부착되며, 마스크 양쪽으로 유독가스를 막아주는 정화통이 장착되고, 전면에는 통신모듈이 장착되며, 골전도 이어폰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하였다. 전면형 및 반명형 호흡구 설계, 정화통 충전량 결정, 통신장치의 결합부위 설계, 안면부 김서림 방지 등을 설계 및 실시하였으며 실제 소방관들을 대상으로 실사용 평가 및 자체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 랙크식 물류창고의 화재모델 구축에 관한 기초연구

        김윤성(Yun Seong Kim),최윤주(Yun Ju Choi),허예림(Ye rim Huh),권영진(Yung Jin Kw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최근 물류창고 화재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면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물류창고를 대상으로 화재안전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2020년 쿠팡 물류창고 화재 이후 창고의 화재성상을 고려하지 않고 사양위주로 설계된 건축물의 한계가 나타나 정부에서는 20만m2 이상인 물류창고에서만 수행되었던 성능위주 화재안전설계를 3만m2 이상으로 확대하는 법안을 최근에 통과시켰다. 이는 대량의 물품을 수용해야하는 물류창고의 건축적 특성상 향후 대부분의 물류창고를 대상으로 성능위주 설계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 성능위주설계란, 특정소방대상물에 소방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그 건축물의 용도, 위치, 구조, 수용인원, 가연물의 종류 및 양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방식이다. 국내에서는 ‘소방시설 등의 성능위주설계 방법 및 기준’에 의거하여 성능위주설계 시 가장 위험하다고 예상되는 3개 이상의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그에 적합한 설계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때 물류창고 시설과 같이 건축물의 용도에 따른 특수한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시나리오 1번 따라 시나리오를 작성해야 하는데, 이때 건물사용자 특성, 사용자의 수와 장소, 실 크기, 가구와 실내 내용물, 연소 가능한 물질들과 그 특성 및 발화원, 환기조건 및 최초 발화물과 발화물의 위치를 명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시나리오를 작성하도록 관리하고 있으나 랙크식 물류창고와 같이 수용품을 수직으로 상승 적재해놓는 경우는 일반 건축물에 비해 가연물 (수용품)의 특성, 적재 방식, 높이 및 노출표면적 등에 따른 화재확산 경로가 상이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존에 연구되었던 물류창고 내부 수용품의 열방출률과 더불어 내부 저장 방식 및 형태에 따른 화재확산 성상을 예측하여 화재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화재안전설계를 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류창고의 화재안전설계의 기초적 자료로서 화재성상 예측식 및 화재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랙크의 형태에 따른 화재 확산 경로를 예측하여 랙크식 창고 화재 시 초기 화재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