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윤이상의「플루트 독주를 위한 연습곡」분석연구

        이진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윤이상은 한국 생활기에서 형성되었던 세계관을 일관되게 실천하며 한국음악의 전통을 새롭게 발견하고 발전시킴으로써 한국 음악의 세계화를 추구한 음악가이다. 그래서 윤이상의 음악을 특징짓는 ‘주요음기법’은 한국음악의 선율적 특징인 선적(線的)진행을 그 원형으로 하여 중심음과 이를 둘러싼 음들 간의 자유로운 결합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그는 어린 시절에 경험했던 ‘대금’이나 ‘단소’혹은 ‘피리’의 음색과 주법들을 플루트의 특성을 살린 다양한 현대적 주법으로 작곡하여 ‘서구음악의 수단을 통한 한국적 음악의 표현’과 ‘서양 현대음악기법을 통한 동 아시아적 이미지의 표현’을 시도하고 있다. 윤이상의 「플루트 독주를 위한 연습곡」의 분석 연구를 통해 한국의 전통 음악어법을 서양의 현대 작곡기법과 잘 융화시켜 독자적인 작곡양식을 구축한 그의 음악사상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분석한 결과 몇 가지의 특징을 발견하였다. 1. 전체적인 구조는 ‘이원적 대칭구조’로 음과 양 두 근본 원리적 성격과 이어진다. 5개의 연습곡에 플루트족에 속하는 악기인 플루트ㆍ알토 플루트ㆍ피콜로ㆍ베이스플루트가 모두 등장하는데 곡마다 서로 다른 악기로 배치되어있다. 이때 나타나는 음색에 의한 대칭적 구조와 빠르기의 변화 등을 통해 대칭ㆍ대립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2. 윤이상 선율의 핵심인 ‘주요음기법’을 사용하여 단일음들로 이루어진 중심음의 생성원칙에 의거한 수평적 구조로서 선적(線的)진행을 구사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전통적 미적 감각의 표현인 농현법을 이용하여 그의 독특한 트릴, 글리산도, 비브라토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장식법을 사용하였다. 3. 리듬ㆍ다이내믹ㆍ음색의 변화에 있어 급격하고 많은 변화를 보이며 음악적 다양성을 표현하고 있다. 4. 서양의 악기를 사용하여 한국 전통악기의 특징과 연주기법을 현대적 감각에 부합시켜 표현하기위해 고난이의 현대주법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이상과 같이 한국 음악의 연주기법과 서양악기의 결합이라는 윤이상의 음악적 요구를 위해 고난도의 플루트 테크닉을 결합시킨 전통적인 ‘연주회용연습곡’인 「플루트 독주를 위한 연습곡」은 두 음악 문화권을 독자적인 작곡양식을 구축하여 융화시킨 작품으로 동양과 서양을 잇는 음악적 가교(架橋)를 보여주는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윤이상은 시대의 모든 지식인들이 겪었던 고민과 갈등이 극도로 표면에 드러난 인생을 살아온 한 인간으로써 그에 대한 평가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되었고, 작곡가로써 한국 전통음악의 위상을 세계적인 위치로 올려놓았다는 점에서 그의 작품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본 논문을 통해 「플루트 독주를 위한 연습곡」을 연주하는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더욱 많은 연주와 연구를 통해 널리 보급될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Isang Yun (1917-1995) has been acknowledged a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20th century. He blended East Asian tradition and Western tradition well via music and demonstrated the international values composing typical Korean music essentially. Isang Yun tried to actualize ‘expression of Korean music by means of western music’, ‘technique of Korean music and combination of western musical instruments’ and ‘expression of East Asian image via western modern music technique’ at 「Etude for Flute solo」. Flute holds a central position in western wind instrument because it plays lyrical and gorgeous techniques freely. Isang Yun studied technique of Dae-Keum which appears frequently in Korean music with gorgeous technique of Flute and expressed similar timbre (tone) as it of Dae-Keum to try to show his own musical ideal. Isang Yun tried to express the ‘si-kim-sa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the various methods such as ‘main-tone technique’ which is his own creative composing method and adding decorative-tone on main-tone method. He used high level modern techniques frequently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via western musical instruments and the use of these modern techniques showed the varicolored characteristics of Flute. Isang Yun is a human being with a life which had been appearing conflicts and agonies suffered all contemporary intellectuals above the surface. As time goes on, the judgment of Isang Yun has changed an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the works of Isang Yun actively because he elevated the 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o worldwide status as a composer.

      • 서울 西村의 歷史文化景觀에 관한 硏究

        이진향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서촌은 서울 도심에 위치하여 인왕산을 배경으로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역사와 문화적 자원이 풍부한 한국의 대표적인 역사문화경관 지역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시대의 변천과 함께 변화를 거듭해온 현재 서촌의 모습을 볼 때 서촌이 지녔던 자연경관의 아름다움과 서촌만이 간직한 장소성은 경제성에 힘입은 개발의 논리에 밀려 점차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촌 경관의 가치를 인식하고 경관의 보전과 보호를 위하여 원형경관, 경관변천의 원인과 과정 그리고 보전과 복원 가능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촌의 경관은 산맥과 물길을 골격으로 하는 자연경관과 사상적 배경을 지닌 귀족문화 그리고 중인들의 위항문화가 어우러진 우수한 역사문화경관이다. 현재까지 진경문화를 바탕으로 한 경관텍스트인 시, 유산기와 같은 문학작품과 진경산수화의 회화작품이 많이 남아있다. 따라서 자연경관이 보전되어 있으며 학문과 사상을 바탕으로 진경문화가 꽃 피웠던 조선 후기의 경관을 원형경관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서촌의 경관은 경복궁의 인근에 위치하여 정치적·사회적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일제 강점기의 주체 세력의 변화, 해방과 전쟁, 이후에 진행된 근대화와 산업화로 인하여 서촌인구는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그 결과 과거 궁지에는 일본 관련 건물이나 공공건물이 들어왔고 무계획적으로 주거지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서촌의 자연경관은 훼손되었고 그 역사성을 잃어 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서촌의 경관은 산맥과 물길을 골격으로 자연경관이 보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강희언의 <인왕산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현재의 경관과 비교 분석하여 청풍계 인근의 백운동계곡과 선희궁 위 능선인 세심대 지역의 녹지가 상당히 보전되어 있는 것을 도출하였다. 현재도 개발로 인한 지형의 훼손이 계속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세심대 지역과 백운동 계곡은 보전을 위한 보호구역 설정이 요구된다. 넷째, 서촌의 물길은 청계천의 발원지인 백운동천과 옥류동천이 합류되어 흐르는 의미 있는 곳으로 복원의 필요성이 꾸준하게 제기되어 왔다. 물길의 복원은 생태적으로 지형, 지세를 고려하고 풍토에 적합한 개발이 되어야 할 것이다.‘인왕산 아래 백운동천 물이 동남으로 흘러 자수궁 다리를 거쳐 금청교로 흐른다.’는 한경지략의 기록에서도 볼 수 있듯이 물의 연속적 성질을 살리기 위하여 서촌의 물은 청계천으로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촌물길의 복원에 있어 역사성과 연계된 복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백운동천은 선원 김상용의 청풍계 원림에 있던 조심당, 함벽당, 척금당 등 삼당을 함께 복원해야 하며 옥류동천의 복원은 청휘각과 송석원이 계류와 함께 복원계획이 세워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서촌은 인물과 관련된 경관이 우수한 명소가 많다. 본 연구는 겸재 정선의 장동팔경을 중심으로 인왕산 인근의 명소로서 필운대, 수성동, 청휘각과 송석원, 세심대, 청풍계 등 5곳을 선정하였다. 서촌 명소의 위치는 대부분 일정 고도 이상의 경관이 우수한 지역에 위치하며, 물과 관련이 있으며, 인물과 관련된 풍부한 인문환경요소를 지니고 있다. 명소의 현황을 분류하면 이미 주거지화 되어 있어 명확한 위치를 알 수 없는 곳(청휘각과 송석원, 청풍계),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으나 훼손의 정도가 심한 곳(필운대, 수성동), 아직 훼손이 되지 않았으나 훼손 가능성이 있는 곳(세심대, 청풍계 인근의 백운동 계곡)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명소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망경관이 우수하였던 필운대와 세심대는 조망권 확보가, 청휘각과 송석원 지역과 청풍계 지역은 계류와 연계된 복원계획이, 지형과 녹지의 보전 상태가 좋은 세심대와 백운동 계곡의 녹지는 보호를 위하여 보호지역지정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필운대는 조망권 확보 및 주변 암반 보호를 위한 문화재 복원을, 수성동은 현재 복원 중인 공원화 사업을 중심으로 복원지역의 확대를, 청휘각과 송석원 청풍계 지역은 인물과 연계된 역사성을 포함한 물길의 복원을, 세심대와 백운동 녹지지역은 보전을 위한 보호구역설정이 요구된다. 서촌의 경관보전계획은 서울 성곽을 위시한 서울의 세계문화유산 추진과 문화재로서 명승적 가치를 제고시키는데 이바지할 것이라 사료된다. Studies on historic cultural landscape have been undertaken in terms of landscape value, interpretation, rehabilitation and use from various perspectives though, it just attempted to characterize its historical meaning as critical or suggested a developmental plan that lacked a sense of reality in many cases.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however repeats its creation and extinction as time passes by, it is thu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landscape prototype, landscape transition, landscape current state, and preservation possibility. The prototypal landscape of Seo-Chon is located near to Gyeongbok Palace, the royal palace of Chosun Dynasty in front of natural landscape background framed with mountain chain and waterway of Seo-Chon, which reflects the thought and culture that had supported Chosun society and political philosophy of capital transfer into Hanyang in the early stage, so that it contains a long history of the dynasty. However, the landscape has been transformed seriously due to the impact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s the process of Japanese colonization, independence, and Korean war. In particular, there existed famous places near Inwang Mountain and Baekak Mountain that were recorded in literature and painted on drawing, but the scenaries were severely destroyed and its names were just left out, for which the exact location is not confirmed, so that people in today's world even often do not remember its name and place at all. In this study, the author attempted to examine the prototypal landscape of Seo-Chon at first by considering the region's cultural landscape as important landscape element in order to view the prototypal landscape of Seo-Chon. In addition, the author surveyed the transition process of Seo-Chon landscape and its physical and socio-cultural causes that led to such transition process, and tried to activate its placeness of region by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preservation and rehabilitation while comparing and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transition process as well as its exact location of Seo-Chon famous spots relating to main individuals and figur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n order to achieve such research objectives, it is analyzed and compared landscape text such as poetry, literary work like Yusangi, painting, and scenary in terms of current state. The study reveals the following research implications such as belows. First, it is confirmed the fact that mountain chains and waterways are most important elements in the landscape of Seo-Chon. In this study, the author analyzed Inwangsando painting work by Gang Heui-Eon which illustrated the mountain chain and waterway clearly in order to compare the current state and prototypal landscape of Seo-Chon. As a result, the author presumed that by confirming the fact that Dowhadongcheon mentioned in Inwangsando by Gang Heui-Eon was located in current Daegyeong Villa near Cheongun Middle School and assuming that the painter drew Inwang Mountain in this region and the frontal village was Baekundong village and the left bottom village was a village to Cheongpoonggye Valley and left upper village was a Korean traditional style house Seonheui Palace and the pine tree was drawn in a decent manner. In addition, the residential area was expanded and landscape transformation was significant, but the mountain ridge seen in the picture maintained a relatively clear prototype shape based upon the current state comparison.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green area of Baekundong valley and Sesimdae region were found to remain preserved well. Thus it is thought that the two regions are needed to be kept as clear protection districts for preservation by considering the current state of Seo-Chon under development. Second, it is considered that Cheongyecheon rehabilitation as well as Cheongyecheon upper stream rehabilitation are needed. Its significance is enormous since the Seo-Chon waterway is known as the original source of Cheongyecheon from Baekundong valley. Stream is the most critical element in that it is characterized as a flow. 'The water of Baekundong under Inwang Mountain flows to southeast and into Geuncheong Bridge through Jasugung Bridge' also emphasizes the continuity of river stream in this region according to the record writted by Hangyeongjuryak. From a sustainable development perspective, the circulation of water is to be maintained as the stream flow of Seo-Chon connected to Cheonggyecheon. What is to be considered in the rehabilitation of Seo-Chon waterway is to combine the history of this region when it comes to the rehabilitation of waterway. For example, Baekundongcheon is a mooring stream of Cheongpoonggye which is another category of Seonwon Kim Sang-Yong, and Okryudongcheon is a mooring stream of the region located by Song Suk-Won of Okindong. In this study, the author viewed that the regions are expected to be a lively place with numerous historic stories together with nature, history, and culture in case where the places are combined with historical figures and individuals when it comes to the rehabilitation of stream. Third, Dae(臺) and Nujeong(樓亭) are not to be disregarded among the elements that represent the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in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 Dae(臺) and Nujeong(樓亭) function to shed light on surrounding landscape that expresses well the concept of 'heo'. In Seo-Chon, there were Pilundae and Sesimdae where people in the past could view the Seoul inner city while located within central area, and this region was a famous viewing and playing space where they enjoyed the nature in the Chosun period. In particular, Pilundae region was already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y, whereas Sesimdae region was still remained the ridge and green space connected to Inwang Mountain. Dae(臺) and Nujeong(樓亭) are pivotal places that create infinate stories with its regional stories even without any other facilitie

      • 강요가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이진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Self-determination, an important human rights, means the making decisions for one's own life. However, the mental illness often result in serious social maladjustment due to their chronic and cyclical prognoses and most persons with mental illness tend not to accept the need for treatment because they can't recognize the existence of illness. The paternalism group is socially accepted with its view that limits autonomy of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on a need basis for symptomatic recovery through optimal treatment. On the contrary, there are many who claim that limiting autonomy even for optimal treatment would lower the quality of life and eventually affect negatively on the recovery of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Thus, there has been a long battle in the mental health field between paternalism(the view in which patients' autonomy can be limited for optimal treatment of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with neurological and cognitive symptoms) and right-driven view(the view that autonomy should be guaranteed in all people and should be respected in any case). The battle led to the debate over the results of forced treatment and previous studies also showed opposing asp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results. Nonetheless,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results of forced treatment without considering how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also feel about coercion and forced treatment. Since different treatment results can be brought about from actual objective and external environments due to the uniqueness of each individual patient so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erceived coercion by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ercion treatment and recovery. Based on the debate between paternalism and right-driven view, this study was done i) to examine how coercions would affect perceived coercion in the process of treatment, ii) to determine how coercion would affect recovery, and iii)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ercion on the effects of forced treatment on recovery. This study is conducted interviews with 391 persons with mental illness who were either hospitalized or resided in the community. Coercion was divided into family and experts, depending on coercer and was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coercion, depending on types of coercion. And recovery was divided into four sub factors including the purpose of life-related recovery, coping with disease-related recovery, hope/optimism related recovery, and the perceived support system. The controlled variables included the level of education, type of residence, presence of spouse, severity of symptoms, and diagnosis. The analyses used were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Based on the type of residence, community group is higher positive coercion by family and experts and perceived coercion than hospital group. In the case of the diagnosis, mood disorder group is higher coping with disease-related recovery than schizophrenia group. 2.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the coercion by family and experts, perceived coercion and the recovery. The higher positive coercion by family and experts is, the higher four sub factors of recovery is. And the higher negative coercion by family and experts is, the higher perceived coercion is. 3. In a model that controlled all demographic factors, severity of symptoms and the type of residence, positive and negative coercion by family, and negative coercion by expert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coercion. 4. The effects of positive coercion on recovery were analyzed by controlling demographic and disability factors of the person with mental illness. When the severity of symptoms and the level of education were controlled, positive coercion by family and experts affected significantly on the purpose of life-related recovery. When controlled he severity of symptoms, coercion by family and experts affect coping with disease-related recovery. The effects of positive coercion on hope/optimism related recovery were analyzed by controlling the severity of symptoms,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presence of spouse; positive coercions by family and experts affect significantly on hope/optimism related recovery. In the case of the perceived support system, the severity of symptoms and the level of education were controlled, and positive coercion by family and experts affect significantly on the perceived support system. 5. The effects of negative coercion on the recovery of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were analyzed by controlling the demographic and disability factors. Negative coercion do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all four sub factors of recovery. 6. Whe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coerc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four-step procedures by Baron and Kenny, no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ercion was seen with any types of coercion and recovery including the purpose of life-related recovery, cope with disease-related recovery, hope/optimism related recovery, and the perceived support system.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conclud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1. When autonomy needs to be limited for unavoidable the mental illness, it is necessary to use positive coercion such as persuasion or appeasement rather than negative coercion such as violence or threats. 2. The priority should be controlling mental symptoms in which monitoring of these symptoms is needed on continually by strengthening clinical treatments including drug therapy and individual counselling. 3. Family education needs to be systematized further and a program for treating persons with mental illness considering their human rights is needed. Furthermore, services and policy support are needed for families of the mental illness to reduce their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s. 4. It should be strengthen human rights education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

      • 지역사회정신보건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이진향 경상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based on the premise that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m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habilitation and social integration of the mentally ill,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volvement in those programs and their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ocia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ly ill. Involvement in the programs is measured by subjects' level of participation in cognitive functions improvement program, social skills training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Program environment is assessed by program atmosphere, and social relations with other members and with therapists in the programs. Respondents for the survey are 112 people with mentally ill who are enrolled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and who participate in rehabilitation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essions for each program is three times or less per week. Of the three programs, the participation in occup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is the highest. Second, based on socio-demographic and disorder characteristics, economic level has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life satisfaction and mental symptom appears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socia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Third, even though involvement in the three above-mentioned programs on the social adjustment doesn't show the significant effects, only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s has a relatively significant effect; the more participation in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is, the higher social adjustment has. Using multiful regression, program involvement affects significantly on the life satisfaction by 39.7% of explanatory power. The most powerful influenced factor on life satisfaction is the participation in cognitive functions improvement programs. Forth, using multiple regression, programs'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significantly on social adjustment by 45.1% of explanatory power. The most powerful influenced factors on social adjustment are program atmosphere and relation with therapists. Also, programs'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significantly on life satisfaction by 51.5% of explanatory power. The most powerful influenced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are program atmosphere, relation among members and relation with the therapists.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theoretical, clinical, and policy-making implications. In theoretical terms, first of all,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factors such as human relationship and atmosphere experienced by investigating both the involvement level in programs and the program environments. Second, this study, different from other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s the programs in more details in terms of cognitive and social functions. The result shows that cognitive functions improvement program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s, and social functions improvement programs on improvement in social functions. This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ose programs should be more specific to various damaged functions of the mentally ill so that their different goals of rehabilitation will be set and achieved effectively. There are also some implications in terms of clinical aspects. Firs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a way that their purposes and goals can be reflected effectively for different damaged functions of the mentally ill. Second, program atmosphere that can assure productive interpersonal relations should be more effective than mere participation in many programs in that improved atmosphere can facilitate social adjustment and resocialization. This requires that programs should be fine-tuned to make the mentally ill experienced various human relations among others. There are implications for policy-making. First, greater financial and legal support should be secur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mentally ill to earn a realistic income. To do this, such considerations as mandatory employment quota system, disability allowances, and so on should be given for the mentally ill.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CQI(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should be considered for general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mentally ill.

      • 대학생의 스마트폰 의존, VDT 증후군 자각증상과 수면의 질

        이진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의존, VDT 증후군 자각증상과 수면의 질을 확인하고 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일개 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2일부터 8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스마트폰 의존은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에서 개발한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를 사용하였고, VDT 증후군 자각증상은 문재동, 이민철과 김병우(1991)가 개발하고 김소원(2005)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면의 질은 Buysee 등(1989)이 개발하고 Sohn 등(2012)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Scheffe test를 이용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스마트폰 의존은 평균 35.56±7.06점으로 의존 고위험군 48.92±3.04점, 의존 잠재적 위험군 41.37±1.11점, 의존 일반군 32.50±5.44점이었고 VDT 증후군 자각증상은 평균 1.33±0.86점으로 하부영역 중‘전신증상’이 1.06±0.71점으로 가장 높았고, ‘근골격증상’이 0.83±0.65점으로 가장 낮았으며 수면의 질은 5.84±2.84점이었다. 2. 대상자의 스마트폰 의존에 따른 VDT 증후군 자각증상과 수면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VDT 증후군 자각증상(F=41.20, p<.001)과 하부영역인 전신증상(F=41.44, p<.001), 심리증상(F=34.23, p<.001), 안증상(F=19.80, p<.001), 근골격증상(F=22.88,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수면의 질(F=8.13, p<.001)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대상자의 수면의 질 정도에 따른 VDT 증후군 자각증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군 1.67±0.84점으로 수면의 질이 좋은 군 0.99±0.74점에 비해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5.54, p<.001).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의존, VDT 증후군 자각증상과 수면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의존은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F=21.60, p<.001), 취침 직전 스마트폰 사용시간(F=6.05, p=.003), 월별 평균 스마트폰 사용요금(F=2.97, p=.034)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VDT 증후군 자각증상은 성별(t=4.13, p<.001),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F=8.77, p<.001), 취침 직전 스마트폰 사용시간(F=5.62, p=.004), 수면의 질은 성별(t=2.01, p=.046),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F=3.33, p=.038), 취침 직전 스마트폰 사용시간(F=5.20, p=.006)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의존이 높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VDT 증후군 자각증상을 감소시키고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로봇교육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이진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요 약 로봇교육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이 진 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실과교육 전공 (지도교수 남 현 욱)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집중 과잉행동 장애를 가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로봇 교육활동이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임상 전문가, 학생, 교사의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ADHD 아동의 치료가 특수교육 외에 로봇 교육활동을 통해서도 문제행동을 개선하고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검증 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DHD아동으로 판정되었거나 담임교사가 추천한 4-6학년 학생 8명을 학부모의 동의를 얻어 선정하였다. 토요 방과 후 로봇 교실을 조직하여 주 1회 10차시를 지도하였으며 로봇교육활동의 효과를 살펴보고 다각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임상전문가에 의한 주의산만도 측정, 교사에 의한 ADHD 평정척도(CTRS-R), 아동의 주의집중력 검사 도구(ADS)를 활용하여 자료를 얻었으며, 그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전문가에 의한 행동관찰 측정 결과는 ADHD 아동의 주의산만 행동이 지도회수가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주의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의 주의력결핍 평정척도(CTRS-R) 검사를 로봇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조사한 결과, 교실에서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아동의 주의력 장애 진단시스템(ADS)을 통하여 보다 객관적으로 아동의 주의 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로봇 교육활동은 ADHD 학생들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로봇 교육활동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제시한 것이다. ABSTRACT The Effect of the Robot Education on the Behavioral Problems and Attention of ADHD Children Lee Jin Hyang Major in Practical Art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Nam, Hyun-w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arge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elementary students using operational design in robots. The stud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in students with ADHD using a robot building program. The effects were judged by clinical professionals, students an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valuate the potential for this program to improve concentration in ADHD students. The students in this study of ADHD were selected by homeroom teachers and doctors after careful consideration. The student's grades ranged from grade four to six. Each student's parents also consented to the study. The study was performed over ten Saturday after-school periods. The study utilized various observers to measure the results of the student. This included clinical professionals, homeroom teachers, and the students themselv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se observat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rough the observation of clinical professionals, the program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ttentiveness. Second,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and post analysis of the revised Conners Teacher Rating Scale (CTRS-R) measured the improvement of the ADHD student's attentiveness in the classroom. Third, the results from the ADHD Diagnostic System (ADS) showed that concentration had improved in ADHD students. This study presents that this robot program has been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in ADHD students. The robot program has proven that it has a variety of educational benefits present. * 본 논문은 2015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MEMS 기반 광섬유 Fabry-Perot 간섭계형 전류센서

        이진향 경북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present an optical current sensor for using at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 Fabricated sensor consists both silicon substrate and optical fiber which transducer including FFPI (Fiber optic Fabry-Perot interferometer) and metal coating. The metals used are Au , Al and Pt. Each metal measured sensitivity of sensor that approve AC/DC electric current to 0 ㎃ ∼ 40 ㎃ in metal coated sensor and is changed by Joule's heat. The sensitivity of sensor, AC current, an Au appeared about 15.92 degree/㎃ , an Al appeared about 18.87 degree/㎃ and a Pt appeared about 19.66 degree/㎃. DC current, an Au appeared about 20.58 degree/㎃ , an Al appeared about 21.89 degree/㎃ and a Pt appeared about 23.22 degree/㎃. Experiment result of current sensor measured according to size of specific resistance. DC current of sensitivity appeared with AC current of sensitivity. The temperature dependency of sensor is measured about 2.41 degree/℃. And resonance frequency of senor could not find.

      • 수업반성이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과 반성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진향 한국교원대학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eaching reflection on teachers' teaching behaviors and level of reflec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teaching behaviors such as questioning, behavior management, and feedback were selected and analysed. Levels of reflection were classified into technical level, practical behavior level, and critical reflection level which we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relevant literature review.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3 females)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experimental treatment. All of them had more than ten years' teaching experience.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applied to them for 12 weeks. The methods of reflection on teaching was consisted of four steps: teaching practice and videotaping on their own teaching practice, observations on their own videotaping, in-depth interviews and journals writing. The analysis of teaching behavior changes was performed twice before & after following the procedure of teaching reflection. The observation tools of teaching behavior were employed to measure teaching behaviors such as questioning, behavior management, and feedback. And such teaching behaviors were analysed through videotaping. The analysis of reflection levels were performed with employing transcript of interviewing data and journals writing data, case category, and interpretation of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flection on teaching affected on the changes of teaching behavior such as questioning, behavior management, and feedback. However, the changing trends of teaching behavior depend on the teacher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behavioral elements. That is to say, concerning questioning, all of three teachers(teacher A, teacher B, teacher C) became to employ more various questions and higher order questions than before treatment. Concerning behavior management, teacher A and teacher C showed a weak point in the degree of behavioral control after treatment. However, teacher B showed no changes in behavioral control of young children after treatment. Regarding feedback, teacher A did not show any changes after treatment. However, teacher B and teacher C showed changes on various type of feedback after treatment. Secondly, the reflection on teaching affected on changes on reflection level. The consistent changes were shown on reflection levels by teachers and teaching behavioral elements. That is to say, concerning teaching behaviors such as questioning, behavior management, and feedback, teacher A showed changes on teaching behavior from practical behavior level to critical reflection level. Teacher B showed teaching behavioral changes from technical level to practical behavior level. Teacher C showed teaching behavioral changes from practical behavior level to critical reflection level.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reflection on teaching is a effective way for improving teaching behaviors and level on reflection.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methods for reflection on teaching should be developed by teacher educators and further studies on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reflection and teaching behaviors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이 연구는 수업반성의 과정이 현직 교사의 교수행동과 반성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된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수업반성은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1. 수업반성은 교사의 질문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2. 수업반성은 교사의 행동관리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3. 수업반성은 교사의 피드백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수업반성은 유치원 교사의 반성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1. 수업반성은 질문행동에 대한 반성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2. 수업반성은 행동관리방식에 대한 반성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3. 수업반성은 피드백행동에 대한 반성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공립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학력, 경력, 연령, 근무여건이 비슷한 경력 10년 이상의 교사 3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12주 동안 매주 1회의 수업반성 과정을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수업반성의 과정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수업수행 → VTR녹화를 통한 자기행동관찰 → 면담 → 저널 쓰기 등의 순환단계로 구성하였다. 교수행동 변화의 분석은 수업반성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두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이야기나누기 시간을 녹화?관찰?기록하고 관찰?기록된 내용에서 질문, 행동관리 방식, 피드백 등의 교수행동을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도구에 의해 평정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반성수준 변화에 대한 분석은 면담자료 및 저널 쓰기 자료에 대한 전사, 사례의 분류, 해석의 타당화 등의 세 단계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업반성은 교수행동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교사에 따라 그리고 교수행동 요소 별로 변화의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첫째, 수업반성 후 연구대상 교사 모두 질문행동에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 교사의 질문행동은 수업반성 전에 비해 높은 수준의 질문빈도가 증가하고, 질문행동의 다양성도 증가하였으며, B 교사는 수업반성 전에 비해 다양한 질문형식을 사용하였으며, C 교사는 수업반성 전에 비해 질문형식의 다양성이 더욱 증가하고, 높은 수준의 질문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수업반성은 유아에 대한 교사의 행동관리방식을 변화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연구대상에 따라 그 변화는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A 교사는 수업반성 전보다 수업반성 후에 유아의 행동을 통제적으로 관리하는 경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독 통제의 강도가 높은 비난, 경고, 위협의 통제적 행동관리방식에 있어서는 더 증가시킨 경향을 보였다. 한편, B 교사는 수업반성 전과 수업반성 후에 행동관리방식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는데 즉, 통제의 강도가 낮은 행동관리방식에서부터 높은 강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하는 경향을 유지하였다. 특히, 수업반성 전에 통제의 강도가 높은 행동관리방식을 많이 사용했으며, 이러한 경향은 수업반성 후에도 여전히 나타났다. 그리고 C 교사는 수업반성 전에 통제의 강도가 낮은 행동관리방식을 사용하는 경향이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수업반성 후에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즉, C 교사는 통제의 강도가 약한 언어적 통제를 주로 사용하는 경향을 보이는 점에서 변화가 없었다. 셋째, 수업반성은 피드백 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연구대상에 따라 동일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A 교사는 수업반성 후 설명방식의 사용이 증가하였으며, 피드백 행동이 단순한 긍정에 집중되는 획일적이며, 고정적인 방식이 점차로 나타났다. B 교사는 수업반성 후에 설명방식이 줄어들고, 단서제공이나 부정, 정답제시 등의 사용이 증가함으로써 피드백 방식을 보다 다양하게 사용하였다. C 교사는 수업반성 후 긍정방식, 설명방식, 단서제공 등 피드백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업반성은 교수행동에 대한 반성수준의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별, 교수행동요소 별로 반성수준에서 일관성 있는 변화를 보였다. 첫째, 수업반성 후 질문행동에 대해 모든 연구대상 교사가 초기에 비해 상위수준의 반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교사는 상황에 대한 주관적 지각에 근거하여 자신의 질문행동을 해석하는 실천적 행위수준에서 자신의 질문행동에 대한 대안적 선택 대신 필연적으로 그것을 할 수밖에 없는 지를 논의하는 비판적 반성수준으로 변화하였다. B 교사는 자신의 질문행동에 대해 교육과정원리나 지식을 기술적으로 적용하는 기술적 수준에서 자신의 질문행동에 대한 합리적 근거로서 실제에 대한 관찰결과를 사용하는 실천적 행위수준으로 변화하였다. C 교사는 질문행동에 대한 개인적 편견에 근거하여 결과를 해석하는 실천적 행위수준에서 자신의 행위에 대해 이론적 근거를 가지고 비교와 비판을 하는 비판적 반성수준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반성 후 행동관리방식에 대해 연구대상 교사 모두 초기에 비해 상위수준의 반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교사는 행동에 대한 대안적 선택 대신 자신이 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논의하는 실천적 행위수준에서 합리적 근거를 사용하여 교사자신의 행위에 대한 필연성을 논의하는 비판적 반성수준으로 변화하였다. B 교사는 자신의 행동관리방식에 대해 단순하게 인식하는 기술적 수준에서 실제에 대한 관찰결과를 사용하여 합리적으로 인식하는 실천적 행위수준으로 변화하였다. C 교사는 자신이 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논의하는 실천적 행위 수준에서 자신의 행동관리방식에 대해 분명한 합리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비판적 반성수준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반성 후 피드백 방식에 대해 연구대상 교사 모두 초기에 비해 상위수준의 반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교사는 자신의 피드백 행동에 대해 실제 경험에 기초한 합리적 근거를 가지는 실천적 행위수준에서 도덕적?윤리적 기준을 가지고 개방된 태도로 실천행위에 임하게 되는 비판적 반성수준으로 변화하였다. B 교사는 피드백 방식에 대해 교육학적 원리를 무조건적으로 적용하는 기술적 수준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피드백 방식과 그것을 왜 하고 있는지를 논의하는 실천적 행위수준으로 변화하였다. C 교사는 실제에 대한 관찰결과를 이용하여 합리적 근거를 제시하는 실천적 행위수준에서 자신이 하고 있는 피드백 행동의 필연성을 논의하고, 비교와 비판을 하며, 피드백 행동에 대해 개방적이며, 융통적인 태도가 나타나는 비판적 반성수준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수업반성의 과정은 교사가 자신의 교수행동에 대해 보다 높은 수준으로 반성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교수행동의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교사가 진정한 전문적 실천자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