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라이프 스타일과 스포츠 선택에 관한 연구경향 분석

        박수정(Soo-Jung Park),윤채빈(Chae-Bean Yoon)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9 스포츠과학논문집 Vol.21 No.-

        본 연구는 현대사회 속에서 나타나는 라이프스타일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포츠 선택은 어떠한가에 대해 최근 3년간 연구경향의 연구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나의 활동 속에서 동시에 여러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목적적 여가활동에의 참여 확산 현상은 여가활동을 즐길 만한 공간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와 맞물려 자기계발과 즐거움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여가활동의 하나로 스포츠를 선택하고 있으며, 그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포츠 선택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한 연구는 적었으며, 스포츠 종목 또한 여가스포츠종목에 치우쳐 있어 다양성이 적었다. 둘째, 개인의 가치관을 반영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연구는 심도있고 구체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나 발표된 연구는 양적인 자료수집 및 분석에 그치고 있어 이에 다양한 각도에서의 연구에 대한 시도가 요구된다. 셋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포츠 선택에 대한 좀 더 다학제적이고 세분화된 소비자 특성에 따른 연구모델이 제시되어야 한다. Recently, Many people great deal of effort to increase of their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And people are changed their own lifestyle trend. This kind of changes are rapidly develops according as welling-being and sports culture are spreaded. Therefor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lifestyle and sport selection tendency until a recent 3 years. To conduct an investigation, KSI (2008. 8, keyword : lifestyle) was sele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spite of diversity of sports selection, the research was a few and sport items were limited. Second, A study of lifestyle is more an in-depth study and definitely because that is deal with a people's sense of values. But most of analyzed results were made researches in quantitatively. Third, According to consumer's segments, a more specific model of lifestyle and sport selection were suggested.

      •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역할갈등

        홍지현(Hong, Ji Hyun)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2 스포츠과학논문집 Vol.24 No.-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활동하고 있는 스포츠강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겪는 역할갈등에 대해 알아보고 그들이 생각하는 해결방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스포츠강사 3인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에서 활용되는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진행과정을 녹음 한 뒤, 그 내용을 전사하여 주제별로 유목화 하였다. 그 결과 문서화된 ‘근무지침’과 실제 학교현장의 차이에서 겪는 갈등으로 단독수업권의 부재, 지도 대상 및 주당 수업시수, 근무 외 수당, 복무에 관한 규정의 문제들과 같은 역할갈등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 교사’와 ‘계약직 스포츠강사’간의 갈등 부분에서는 교내?외 행사, 수업 진행 부분의 문제에서 갈등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스포츠강사들은 스포츠강사 제도의 개선과 스포츠강사에 대한 연수와 홍보를 강화하는 것이 이러한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라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포츠강사들이 어떠한 역할갈등을 겪고 있는지에 관하여 간접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차후에 스포츠강사를 희망하는 사람들이 처음 교육현장에 근무할 때 역할 갈등을 최소화 하여 빠르게 적응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하며 나아가 개정된 스포츠강사 지원계획이 발행되어 스포츠강사들의 처우개선이 실행 될 수 있도록 사회 전반의 환경적?제도적인 측면에서 스포츠강사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 하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role conflict experienced by sports instructo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 at the scene of education and what solutions they have in min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the subject of 3 sports instructors working at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phenomenological approach used in qualitative research, with its process tape-recorded, and then it was itemized by the subject by transcribing the content. As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role conflict occurs from absence of autonomous rights on class, the object for their guidance, class hours per week, allowances for overtime and stipulations on service, all of which are the conflict caused by difference between a documented ‘‘guide to service’ and actual school site. Conflict between ‘fulltime teacher’ and ‘contract sports instructor’ was found to be caused by events inside and outside school and progress of classes. The survey showed that sports instructors consider it a key to settling such conflict to improve the institution of sports instructor and strengthen training and publicity for them. The researcher hopes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indirect experience of what conflict sports instructors are going through and that it will contribute to minimizing the role conflict and thus orienting the future sports instructors fast to service at their first educational site. Furthermore, it is also needed to publish a revised support plan for spots instructors as well as research on them in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viewpoints of the whole society in order to execute improvements on treating sports instructors.

      •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배구수업이 스포츠맨십과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김재화(Kim Jaehwa)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4 스포츠과학논문집 Vol.26 No.-

        본 연구는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배구수업이 학습자의 스포츠맨십, 집단응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하는 D고등학교 2학년 8개 학급 총 240명으로 하였으며, 스포츠교육모형 집단 4학급 116명, 전통적수업 집단 4학급 124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수업의 내용으로는 배구를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에서 스포츠맨십 검사지는 Vallerand 등(1996)이 개발한 MSOS(Multidimensional Sportspersonship Orientation Scale)의 문항을 성창훈(2003)이 번안ㆍ제작한 것을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집단응집력 검사지는 Widmeyer, Brawley & Carron(1985)이 개발한 집단 환경 질문지(GEQ)를 이한규(1995)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계발한 것을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예비조사 결과 Cronbach α계수 값이 .70 이상로 나타나 검사지의 신뢰도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절차는 일반계 남자 고등학교 2학년 두 집단 학습자(240명)를 대상으로 스포츠맨십과 집단응집력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8주간 16차시의 배구수업을 실시한 뒤 스포츠교육모형 집단과 전통적수업집단의 스포츠맨십과 집단응집력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교육유형에 따른 시기별 스포츠맨십과 집단응집력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포츠맨십 측면에서, 스포츠교육모형 배구수업은 전통적 배구수업보다 동료배려, 상대존중 요인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집단응집력 측면에서, 스포츠교육모형 배구수업은 전통적 배구수업보다 집단차원 과제응집력, 개인차원 과제응집력 요인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요컨대, 스포츠교육모형 수업은 구성원간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동료를 배려하고 상대를 존중하는 태도, 상호협조적인 집단풍토와 개인의 과제지향적인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체육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운동에 몰입하고 최선을 다하는 과정에서 스포츠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지도 방안의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Sport Education Model affects Sportspersonship and Group Cohesiveness of Volleyball Cla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40 students of eight second-year classes in D high school located in Incheon, which are grouped into two: sport education model group and traditional class group; each group consists of 116 students in four classes and 124 students in four classes. As for the method of this study, MSOS(Multidimensional Sportspersonship Orientation Scale) created by Vallerand(1996) and adapted by Seong Changhoon(2003) was used modified and supplemented as a sportspersonship test. For group cohesiveness test, group environment questionnaire(GEQ) created by Widmeyer, Brawley & Carron(1985) and developed by Lee Hangyu(1995) through the analysi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result of the pilot test revealed that Cronbach Alpha Coefficient was over 0.70, which means the credibility of the test is very favorable. As for the research process, the pretests on sportspersonship and group cohesiveness of two groups of general men"s high school second-year 240 students were performed and the posttests on sportspersonship and group cohesiveness of sport education model group and traditional class group were performed after sixteen-period classes during eight weeks. Data were processed by the SPSS(ver. 21.0) program in order to find out if there is a difference in change of periodic sportspersonship and group cohesiveness according to educational types. The following results came out through two-way ANOVA. First, in terms of sportspersonship, sport education model volleyball class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volleyball class in raising a colleague consideration factor and a respecting others factor. Second, in terms of group cohesiveness, sport education model volleyball class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volleyball class in raising a group level task cohesiveness factor and an individual level task cohesiveness factor. In short, it is suggested that sports education model clas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ttitude of respecting others and considering colleagues, and on the mutual cooperative group atmosphere and personal task-oriented inclination by offering the interaction and communicative opportunities. In addition, the study on various teaching methods for fostering sport personality in the process of students" immersing and exerting in the exercise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is required.

      • 대학생의 댄스스포츠에 대한 인식

        조미혜(Cho Mihye),김민정(Kim Minjung)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6 스포츠과학논문집 Vol.18 No.-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댄스스포츠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하여 성별과 전공 · 비전공별로 댄스스포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부정적 인식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I대학교 학생과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S여자 대학교 여학생 총 273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전문가들의 3회에 걸친 작업을 통하여 개발한 “댄스스포츠 인식조사지”를 수정 보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문항의 평균, 표준편차, 빈도수 등을 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댄스스포츠의 효과에 대한 결과에서는 체력단련 효과에서 여학생과 남학생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댄스스포츠의 효과에 대한 문항은 다이어트, 친목도모, 체력단련, 스트레스 해소로 이루어져 있다. 댄스스포츠의 효과에 대한 여자와 남자의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댄스스포츠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이 기존의 부정적이고 접하기 어려웠던 특수성에서 벗어나 대중적인 스포츠로 효과를 인정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댄스스포츠의 커플댄스 인식에 대한 결과에서는 여학생과 남학생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성과의 자연스러운 스킨십의 기회가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양성평등 교육과 성 역할정체감 교육을 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성별에 따른 댄스스포츠 참여의 부정적 동인에 대한 결과 에서는 여학생과 남학생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우리나라의 대학생들은 댄스스포츠에 대한 활용과 발전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전공 · 비전공에 따른 댄스스포츠 인식조사결과 전공 · 비전공자 모두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앞으로 우리나라의 댄스스포츠의 활성화에 대해 바람직하게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university students' positive perception and negative perception for dance sports according to their sex and major by taking a poll from them for their perception of dance sports. Total 273 subjects are collected from students at I university in Incheon and S women's university in Seoul. As for questionnaires, "Questionnaires for Dance Sports" developed from three researches by experts were modified for the use of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frequencies are calculated for each question.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effects of dance sport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improving physical strength. Questions for dance sports' effects are composed of diet, improving relationships, improving physical strength, and relieving stress.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ave generally good opinions about dance sports' effects, which means dance sports are getting more accepted as dance sports become more popular than they used to be. Second, for perception of dance sports according to respondents' sex,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Dance sports can be a medium for sex equality and sexuality education in Korea where there are not much natural contacts between opposite sexes. Third, for negative causes of participating in dance sports according to respondents' sex,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ve positive opinions of dance sports' applications and potential. According to perception for dance sports based on respondents' major, despit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major, they have positive views on the future of dance sports in Korea.

      •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축구수업이 학생들의 심동적 · 인지적 ·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조미혜(Mihye cho),손상영(Sangyoung Son)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4 스포츠과학논문집 Vol.1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교육모형과 전통적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두 집단 간에 나타나는 심동적 · 인지적 · 정의적 영역에서 학습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스포츠교육모형 적용한 축구수업의 교육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B남자 중학교 3학년 6개 학급의 학생으로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 3학급 117명과 전통적 수업모형을 적용한 비교집단 3학급 117명으로 분류하여, 총 2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심동적영역의 기초 기능검사는 드리블1, 슈팅1, 드리블2, 슈팅2에 대한 측정을 하였고, 인지적 영역의 측정은 체육 교사용 지도서(강신복 등, 2004)를 참고하여 축구의 역사 및 기술, 규칙에 대한 25문항을 제작하여 지필고사로 측정하였으며, 정의적 영역의 태도검사는 김도수(1996)의 게임에 대한 태도 검사지, 김상진(2002)의 정의적 영역의 태도 검사지에 사용된 설문지를 토대로 수정 · 보완 작성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근거로 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심동적 영역에서는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집단이 축구의 드리블, 슈팅에서 기능이 더 향상되었다. 둘째, 인지적 영역에서는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집단의 인지적 능력에 더 향상되었다. 셋째, 정의적 영역에서는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집단이 축구 수업을 통하여 기본적인 태도, 심리적인 특성, 사회적인 특성이 더 향상되었다. This study conducted to show how the sports education model influences on the soccer unit, in physical education courses, was chosen for this study and applied to the sports education model that had been thought effects on psychomotor,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when compared whit the traditional physical education model.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e a degree of changes on psychomotor,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by the Sports education model and comparative group taught by the traditional education model. 117 boys' students from six classes of 9th grade attending B middle School in Inchon were chosen for the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117 boys' students from three classes applied to the sports education model) and a comparative group (117 boys' students from three classes applied to the traditional physical education model). The evaluation tools for the fieldof psychomotor are dribble 1, shootingl, dribble2, shooting2. The evaluation for cognitive domain was conducted by paper based test refers to the manual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 25 questions consist of history, skill and rule of soccer. The evaluation tool of affective domain for the attitudes used in this study revised and complemented by analyzing the questionnaires of 'Attitudes for the Games Evaluation Tool' designed by Kim, Do-soo (1996) and 'the Affective Domain Evaluation Tool'designed by Kim, Sang-jin (2002).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eld of psychomotor domain group, applied to the sports education model made progress in their skill of dribble and shooting for soccer. Second, In the field of cognitive domain group, applied to the sports education model made progress in their ability of cognition. Third, The group applied to the sports education model made progress in basic attitude, psychological and social traits in the field of affection.

      • 대학생의 스포츠 동아리 활동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

        안효성(Hyo-Sung An)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4 스포츠과학논문집 Vol.26 No.-

        대학생의 스포츠 동아리 활동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을 2014년 현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제로 사용된 연구대상의 응답자료 227부를 자료처리에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크리닝 과정을 거쳐 SPSS v.18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를 통해 Cronbach‘α 값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 ver.4를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으로는 Scheffe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참여집단에 따른 결과로는 스포츠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는 집단과 일반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는 집단이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집단보다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 점수에서 모두 높은 결과를 보였다. 참여 종류에 따른 결과로는 학교 내 공식 동아리 집단과 학교 외 비공식 동아리 집단이 사이버 동아리 집단보다 학교생활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대학유대감과 대학생활안정감에서 높은 모습을 보였다. 스트레스 대처에서는 문제중심적 대처 요인만 통계적으로 높은 모습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에서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 요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모두 (+)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reveal the effects of Sports Club Activity on school Satisfaction and stress in college students. Therefore, I conducted a survey of current college students in In-cheon and. I divided the students into three groups: students who have joined sports clubs, students who have joined general clubs, and students who have not been involved in any clubs at all. The total number of survey participants was 247. During the data gathering phase, 20 of the most unreliable participants were excluded. Therefore, in this study, I use 227 reliable sources of data.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ves and managing stress, I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data processing, I analyzed data by using of SPSS v.18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fter the data coding and the data cleaning process. I did a frequency analysis to find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analyze the reliability, I used Cronbach Alpha. To verify the validity, I di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y using of AMOS ver.4. Also, I used Anova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 and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ves and the ways of coping with stresses. For the posteriori tests, I used Scheffe. To search the correlation ship between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ves and the ways of coping with stresses, I did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ves and their ability to manage stress levels due to their participation in groups. Students who are involved in the general and sports club activities reporte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ves and managing stress than students who were not. Then, students who were involved in official school clubs or off campus clubs felt a stronger bond with their schools and more stability in their school lives than students who were involved in online clubs. The former also reported high level of one particular kind of ability to manage stress, namely, problem-focused coping factor. Clearly, participating in sports club activi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ves and managing stresses. Second, there wer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ves or in stress management were resulted from the rate of participation. That is, the degree, period,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clubs of any kind did not affect students’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ves and managing stress. Thir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 there is a positive and strong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ves and coping with stress. Moreover, participation in clubs has a very positive effect on bo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need to encourage colle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in order that they better cope with their stress. To encourage them to do so, we sh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sports activity programs. Also, we need to shed new light on the value and the role of sports in improving levels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ves. In addition, much more research remains to be done about the various ways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sports at school.

      • 학교 스포츠클럽활동 참여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과 학교생활만족도

        김기천(Kim, Ki-chun)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4 스포츠과학논문집 Vol.26 No.-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회성발달의 차이와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연구함으로써 학교스포츠클럽 교육사업의 정착과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에 3곳의 초등학교 4, 5, 6학년 3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연구자가 직접 학교에 찾아가 설문방법과 설문의 취지를 충분히 설명한 후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지 중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회성이 떨어지는 설문지 62개를 제외한 315개의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SPSS 22.0을 활용하여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유무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차이는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났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유무에 따른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는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났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을 참여정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회성발달 차이는 참여기간에서는 책임성, 참여빈도에서는 책임성과 근면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났다. 한편 참여강도는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을 참여정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참여기간에서는 학교행사, 참여빈도에서는 교사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참여강도는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is research aimed at suggesting basic material for the establishment of school sports club educational business and vitalization of school sports by research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fference in their sociality development according to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long with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315 students of 4th, 5th, 6th graders from 3 elementary schools in Y-si, Gyeonggi-do. The survey was conducted after explaining the method and purpose of research enough by visiting the school directly. The researcher conducted t-test and one-way ANOVA on the material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by utilizing SPSS 22.0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ity development along with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all factors.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long with whether or not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display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all factors. Third, in respect of participation perio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ity development along with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degree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responsibility and diligence regarding responsibility and participation frequency. On the other hand, participation intensity showed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all factors. Fourth, in respect of participation perio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long with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degree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school event, regarding participation period, while in teacher satisfaction regarding participation frequency, however, participation intensity showed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all factors.

      • 스포츠 교육모형을 적용한 씨름수업이 학습자의 체육수업 태도,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박정미(Jung-Mi, Park)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3 스포츠과학논문집 Vol.25 No.-

        본 연구는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체육수업(씨름)이 학습자의 체육수업 태도, 심리적 측면, 사회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하는 S초등학교 4학년 6개 학급(한 학급 23∼26명) 총 150명으로 하였으며, 스포츠교육모형 적용집단 3학급 75명, 전통적 수업모형 적용집단 3학급 75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수업의 내용으로는 씨름을 선정하였다. 8주간 15차시(주2회)로 한 집단은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하고 다른 집단은 전통적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 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두 집단 간 체육수업 태도, 심리적 측면, 사회적 측면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 검정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학습자의 체육수업 태도 검사에서 체육수업에 대한 관심도, 중요도 요인 모두 스포츠교육모형 적용집단이 전통적 수업모형 적용집단 보다 평균이 높다. 집단 간 남?녀학생의 변화에서도 스포츠교육모형 적용집단 남?녀학생의 평균이 높았다. 둘째, 학습자의 심리적 측면 검사에서 만족감, 자발성, 자신감 요인은 스포츠교육모형 적용집단이 전통적 수업모형 적용집단 보다 평균이 높고 소외감 요인은 평균이 낮았다. 집단 간 남?녀학생의 변화에서도 스포츠교육모형 적용집단 남?녀학생의 만족감, 자발성, 자신감 요인은 평균이 높고, 소외감 요인은 평균이 낮았다. 셋째, 학습자의 사회적 측면 검사에서 협동성, 준법성, 이타성 요인은 스포츠교육모형 적용집단이 전통적 수업모형 적용집단 보다 평균이 높고 공격성 요인은 평균이 낮았다. 집단 간 남?녀학생의 변화에서도 스포츠교육모형 적용집단 남?녀학생의 협동성, 준법성, 이타성 요인은 평균이 높고, 공격성 요인은 평균이 낮았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씨름수업에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집단이 체육수업 태도, 심리적 측면, 사회적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역할수행을 통해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체육수업 태도, 자발성, 자신감이 향상되고 소외감은 감소되었으며, 또한 경기 위주로 수업이 이루어지면서 학습자에게 경기가 가지고 있는 흥미와 즐거움을 알게 해주어 만족을 느낀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how sport education model effets students" attitud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psychological aspects , and social aspects. The subjects were 150 students from 4th graders (6 classes and each class has 23 to 26 students) at S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applied 75 students from 3 classes to sport education model coverage group , applied 75students from another 3 classes to traditional teaching model group. The content of lesson was Ssireum. For checking students"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 psychological aspects , and social aspects, revised survey questions from Gangil ( 2001 ), Inami ( 2003 ), jeongsunseop ( 2007 ), doi nine ( 2008 ) were used. The survey questions were validated by Cronbach"s test with Cronbach’s a .70. Ssireum class was progressed twice a week for 8 weeks. The result of each group follows students" attitude towards physical education , psychological aspects , and social aspects. First, at learner"s class attitude of physical education test, sport education model coverage group had higher average than traditional teaching model group in terms of interst and importance. The change of between male students group and female students group,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that were from applied sport education model coverage group had also higher average. Second, at learner"s psychological aspect test, sport education model coverage group had higher satisfaction, spontaneity and confidence than traditional teaching model group. However a sense of alienation was lower than traditional teaching model group. The change of between male students group and female students group,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that were from applied sport education model coverage group had also higher average of satisfaction, spontaneity and confidence but a sense of alienation was lower. Thirdly, at learner"s social aspect test, sport education model coverage group average score was higher in terms of a spirit of cooperation, a low-abiding, and altruism than traditional teaching model group. However, an offensive spirit was lower. The change of between male students group and female students group,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that were from applied sport education model coverage group had also higher average of a spirit of cooperation, a low-abiding, and altruism but an offensive spirit was lower. In conclusion, sport education model coverage group got a higher score in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Psychological aspects and Social aspects. Through various role performance, the students took an active part at Ssireum class thus their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spontaneity, and self-confidence are increased but a sense of alienation is decreased. Furthermore, when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a game at Ssireum class, they had interest and felt happiness about the game so they got satisfaction. Also while many games progressed as a team, the students realized the importance of rules and value of their team. Also understood their team members’ value and consideration for their team members i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blaming team members, arguing each other fell-off also aggression is decreased.

      • 대도시 중학생의 여가제약과 스포츠 활동 참가 및 여가만족의 관계

        진규태(Kyu-Tae Jin),김우성(Woo-Sung Kim)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8 스포츠과학논문집 Vol.20 No.-

        본 연구는 대도시 중학생의 여가제약과 스포츠활동 참가 및 여가만족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중학생들의 효율적이고 올바른 스포츠활동 참가의 기회를 제공하여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 5개 교육청에서 3개 교육청을 선정하여 각 지역별로 2개교씩 6개 학교에서 재학중인 남녀중학생 5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 기법은 t-test와 중다회귀분석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과 방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도시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가유무에 따라 여가제약과 여가만족에는 차이가 있다. 즉, 스포츠활동 비참가집단의 학생들이 참가집단의 학생들보다 여가제약이 높으며, 스포츠활동 참가집단의 학생들이 비참가집단의 학생들 보다 여가만족이 높다. 둘째, 대도시 중학생의 여가제약은 스포츠 활동 참가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내재적 제약요인과 대인적 제약요인이 적을수록 스포츠 활동의 참가빈도와 참가강도가 높아지며, 구조적 제약요인이 적을수록 스포츠 활동의 참가기간이 길어진다. 셋째, 대도시 중학생의 여가제약은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내재적 제약요인이 적을수록 대도시 중학생의 여가만족이 높아진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to activat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by giving an opportunity of participating in proper sports activity to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close examination of leisure constraint and leisure satisfaction by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In this study, male and female students of six middle schools which were located in Incheon City were set as population, and then total 527 samples were collected by cluster random sampling.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based on the leisure constraint scale as developed by Crawford et al.(l991) and adapted and us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as well as the leisure satisfaction scale as developed by Beard and Ragheb(1980) and adapted and used by Lee Jong-gil(l992) as tool for data collection, and then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Statistical techniques us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included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aforesaid methodology and results of data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there is difference in leisure constraint and leisure satisfaction by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That is,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y showed more leisure constraint than those who participate a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y showed more leisure satisfaction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Second, there is influence of leisure constraint upon the degree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That is, the less are immanent and personal constraint factors, the more is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Also, the less is structural constraint factor, the more is the time of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Third, there is influ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leisure constraint upon the leisure satisfaction That is, the less is immanent constraint factor, the more is leisure satisfaction.

      • 중등교사의 스포츠여가 참여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 분석

        이준희(Lee Jun Hee)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1 스포츠과학논문집 Vol.23 No.-

        본 연구는 중등 교사들의 스포츠여가 활동 참여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의 차이를 규명하여 일선 학교 교사들의 스포츠여가 참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학교 내 건전한 스포츠여가 문화 정착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2011년도 현재 인천광역시 10개 학교의 중·고등학교 교사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편의 표집 방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표집된 41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PASW Statistic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빈도분석을, 스포츠여가 참여 유, 무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는 t-test를, 스포츠여가 참여 정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는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여가 활동 참여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해 직무스트레스는 낮고 직무만족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여가 활동 참여 기간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여가 참여 빈도는 학생들과의 활동 요소를 제외하고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과의 활동 요소에서 주당 2~7회 참가하는 교사가 주당 1회 참가하는 교사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스포츠여가 참여 강도는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여가 참여 기간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스포츠 여가 참여 빈도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여가 참여 강도는 직무만족에 전문성 신장 요인을 제외하고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신장 요인에서는 1회 운동참여가 1시간~1시간 30분인 교사가 다른 참여자에 비해 전문성 신장 요인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of importance about second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on in sport leisure activities and to help establish a culture of sport leisure in schools by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in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ir participation in sport leisure activities. To achieve this purpose I randomly chose 10 secondary schools in Inchon, appointed the teachers as a population, and sampled 413 subjects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I used two questionnaires. One, used in the study of Kim, Young Li, was used for asking teacher's job stress and Cronbach's, reliability coefficient, came to be .53-.84. The other, used in study of Choi, Seong Gon, was used for asking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ronbach's, reliability coefficient, came to be .68-.76. To analyze data I used frequency analysis to know the variable of sociology of population, t-test to know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participate in sport leisure activities, and One-way ANOVA to know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sport leisure activities. I got conclusions as following through these above study methods and processes. First, job stres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sport leisure activities is lower than others who did not and job satisfaction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sport leisure activities is higher than others who did not. Second, the participation period of sport leisure activities as well as duration time didn't have any effect on job stress. Also, job stress wasn't affected by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sport leisure activities except activities with students. The data showed that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ctivities with their students 2~7 times a week got lower stress that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ctivities with their students once a week. Lastly, the participation period of sport leisure activities didn't have any effect on job satisfaction. Also job satisfaction wasn't affected by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sport leisure activities. The duration time of activity didn't have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except the factors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factors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teachers wh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for I hour or one and a half hours got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others. In conclusion, the participation in sport leisure activities increased job satisfaction and reduced job stress. On the other hand, the participation perio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duration time didn't have an important effect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I suggest participation in sport leisure activities as an alternative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reduce job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