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황윤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95

        현대 사회는 고도의 산업 사회화와 지식화, 정보화와 다양화를 향하여 발전하는 사회이다. 우리 나라의 교육이 이에 대응한 고급 인력 양성과 새로운 첨단 과학 기술 분야에서의 경쟁 추세에서 낙후되지 않고 선도적 위치를 유지해 나가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인력양성과 교육을 직접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질이 사회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고등교육의 육성에 있어서 특수대학원의 일종으로서의 교육대학원은 실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을 설치한 6개 교육 대학원을 중심으로 설립의 기준이 되는 목적을 조사 비교하였으며, 교육 대학원의 기능과 역사적인 발달과정을 알아보고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의 교과과정에 있어서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조사를 토대로 각 교육대학원별 학사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설정 교과목을 분석하여 건설교육의 일반적 흐름과 과정의 특성, 그리고 교과목과 학점의 비교·분석 및 중등 공업계 전문교과과정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 교과과정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보다 미래지향적인가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의 목적 및 성격규정에 대한 별도의 법적 조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대학원 교육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므로 이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이 시급하다. 둘째, 교과과목 편제가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전문성을 강조하기 보다는 복잡해 보였으며, 많은 교과목을 편제하고서도 학기당 학점을 초과해서 이수 할 수 없는 법규 때문에 획일적이고 폐쇄적인 운영상의 문제점이라 지적할 수 있다. 셋째, 교육대학원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교과교육학 과목의 개발을 위해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건설교사 내지는 건설교육전문가를 양성하는 전문기관으로서 교육현장의 문제점 발견 및 해결방안 제시, 새로운 지도방법 개발, 교사의 기능향상을 위한 방향으로 교과과정이 편성·운영되도록 개방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넷째, 중등공업계의 현장교육 위주의 실제문제 해결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 개설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건설교육의 전공과목에 있어서 실험·실습분야도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편성·운영되도록 노력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본 연구 결과 교육대학원의 특성에 맞는 건설교육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이룩할 수 있듯이 교육대학원별 특성을 최대한 고려한 건설교육 교과과정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Modern society is developing towards a highly advanced industrial and knowledge based society, as well as information society and diversification. In order to keep the competitive leading status of Korean education for high quality human powers and scientific technologies, the quality of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cultivating human forces and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determines the quality of a society. The special purpose of graduate schools doe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se high-class educations. In this aspect, the basis of establishing graduate school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focusing on 6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hich have constructional education curriculums. The function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se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ere surveyed,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se curriculums were studied.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present status of each educational school and its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curriculum subjects were compar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general tendency and curriculum features of constructional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constructional edu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outlined below. Firstly, legal basis was necessary because there is an inefficiency and the purpose, and characters of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ere not supported by legal basis. Secondly, the curriculum was too detailed to focus on any specialty. The legal regulation, which did not permit additional subjects exceeding a fixed number of credit hours for each semester induced a standardized and closed operation. Thirdly, it was necessary to do a variety of research to develop curriculum for pedagogies. As a special organization to cultivate educational experts in construction, there should be open and continuous efforts to make and operate curriculum to discover deficiencies and their solutions, to develop new tutoring methods, and to elevate the functionality of teachers. Fourthly, there was no subject to elevate the problem solving capacity focusing on field education in middle class industrial fields. Therefore, the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had better try to establish and operate to develop experiments and exercises as major subjects of constructional education. As more efficient education was possible via constructional education proper to the features of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curriculums for constructional education, considering the features of each educational school.

      • 예비체육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개정 방안 탐색 : 현직 체육교사의 인식 및 경험을 바탕으로

        조영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체육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교육과정 개정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실제 중등 체육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그리고 현장 경험을 토대로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A 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졸업생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연구 참여자들은 첫째, 교원자격증을 취득한 후 체육교사가 되기 위한 목적으로 체육교육전공을 입학했으며, 수업 계획 및 실천 능력을 가장 중요한 교사 전문성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의 수업 측면에서 임용시험 준비에 도움이 되는 강의를 가장 인상 깊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장 적응 측면으로 실연 수업과 실기 수업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더불어 실제 현장을 간접 체험할 수 있는 실무교육의 필요성도 나타났다. 교육과정 외적인 부분으로는 효과적인 임용 준비를 위해 다양한 스터디 구성을 강조했으며 스터디가 유지될 수 있도록 재정적·환경적·도구적 지원을 강조했다. 연구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한다. 첫째, 수업 전문성을 갖춘 교사양성을 위한 개정방안 모색의 필요가 있다. 둘째, 임용시험에 초점을 맞춘 수업 운영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수업 실연 및 실기지도 능력 함양을 위한 강의가 추가되는 형태의 교육과정 개정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졸업생들의 다양한 의견을 포괄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것이며, 변화하는 교육대학원 학위제에 대한 인식과 그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개정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봉사활동 교수-학습과정의 구안에 관한 연구 : 4,5,6학년 도덕과 교육을 중심으로

        류광주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초등학교에서 봉사 활동의 지도 목표는 봉사 정신과 태도를 기르는 데 있다. 봉사 활동을 실천하는 것도 강조되어야 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봉사의 의미를 알고 실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선 학교에서 봉사 활동 지도는 봉사 활동의 결과만 중시하여 활동 자체만을 강조하고, 봉사 활동 결과를 시간으로 종합생활기록부에 기록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봉사 활동의 필요성이나 의미를 교육하는 사전 단계의 지도와 격려나 칭찬 같은 봉사 활동 등의 평가 단계는 소홀히 다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봉사 활동의 의미와 필요성을 알고, 봉사 활동의 결과에 대해 격려와 칭찬을 받는 봉사활동의 지도과정이 필요하다. 이런 봉사 활동의 지도 과정은 도덕과 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덕과의 지도를 통해 학생들에게 봉사 활동의 의미와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학생에게는 봉사 활동의 결과에 대한 격려와 칭찬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봉사 활동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도덕과 수업에서 학생들이 봉사의 참된 의미를 느끼며 봉사 활동을 실천하기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교수-학습 과정의 구안에 필요한 봉사 활동의 의미와 내용을 살펴보고 봉사 활동의 지도 절차를 거시적 절차와 미시적인 절차로 나누어 고찰하고 있다. 아울러, 봉사 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고, 또한 교육 과정에서 봉사 활동의 위상과 도덕과에서 봉사 활동의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서의 봉사 활동과 관련된 단원을 추출하여 제재별로 분석하였으며, 교수-학습 과정안은 봉사 활동의 지도 단계에 맞추어 봉사 활동의 준비 단계, 실천 단계, 평가 단계로 구안하였다. 도덕과의 봉사 활동 교수-학습 과정안은 첫째, 도덕과의 일반적인 수업 절차와 달리 인지적 영역 → 행동적 영역 → 정의적 영역의 순서로 지도 절차를 구성하였다. 봉사 활동의 준비 단계는 봉사 활동 탐색, 활동 계획 수립, 사전 교육 실시이다. 봉사 활동의 실천 단계는 봉사 활동 안내, 활동 실천, 활동 정리이며, 평가 단계는 봉사 활동의 기록, 반성·토의, 인정·격려로 봉사 활동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였다. 둘째, 봉사 학습의 단계에 따라 수업 시간을 탄력적으로 구성하였다. 준비 단계(인지적 영역)와 평가 단계(정의적 영역)는 초등학교 단위 수업 시간인 40분씩을 배당하고 있으나 실천 단계(행동적 영역)에서는 특별 활동과 재량 활동을 연계하여 실제로 활동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학년별 제재를 봉사 활동 유형별로 구분하여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였다. 즉 봉사 활동이 실시되는 제재는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봉사 활동의 유형과 연관지어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도덕과 수업에서 봉사 활동을 알고(인지적), 실천하고(행동적), 느끼는(정의적) 통합적인 봉사 활동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마련했다는 데 있다. 따라서 준비, 실천, 평가의 3단계로 구안된 도덕과 봉사 활동 교수-학습 과정안은 봉사 활동 유형과 관련시켜 지도할 수 있다. 즉, 단순한 일손 돕기가 봉사 활동의 전부로 생각하는 학생들에게 자신이 실천하는 봉사 활동의 의미를 알고 봉사의 즐거움을 맛보는 소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봉사 활동 교수-학습안 과정안이 도덕과 수업에서 봉사 활동을 지도하는데 많은 보탬이 되리라 믿는다. 그러나 봉사 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제재의 교수-학습 과정안이 학년별로 모두 제시되지 못하고 봉사 활동의 유형에 따라 1개 제재만으로 제한하여 구안하고 있으며, 봉사 활동의 평가에 대한 고찰이 부족한 점도 사실이다. 또한 도덕과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봉사 활동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여 제시하는 것으로 그쳤을 뿐 이것을 실제적 수업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검증하는 절차를 밟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봉사 활동 교수-학습 과정안이 실제로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도덕과 수업과 연계되는 다양한 봉사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등 많은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objective of learning the service activities in an elementary school is to promote the service mind and attitude. It should be rather meaningful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he service than just doing. However nowadays, the instructions of the service activities facing in the schools are just headed to the activity itself, result-oriented, reporting the cumulative records measured the spending time. So to speak, the necessity or meaning of the service activity has been neglecting in evaluating the pre-step such as teaching, encouragement, compliment. Therefore some instruction should be needed to recognize true meaning of the service activity and that could be achieved by the moral education. This study is the purpose of designing a scheme for practical teaching-learning process, concentrating on the significance and appreciating the value while practicing service activities. For this matter, the instructional procedure was considered in a two way - macro and micro processing in this designed scheme of teaching-learning procedure. In addition, the phase of the service activity was deliberated and teaching plan was devised for an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a moral education.. The subject matters for each textbook unit were analysed relating to the service activity, and the scheme of teaching-learning process were designed to preparing, practicing, evaluating the service activity according to the teaching step. First, the scheme of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the service activity was constructed as cognitive domain → practical domain → affective domain , which was unlikely to other procedure in a moral education class. Preparing is the step for searching the activity, establishing the plan, and pre-study. Practicing is for introducing the activity, practicing, and adjusting. Evaluating is made up of making a report, reflection, discussion, acknowledgement, encouraging. Second, the period was constructed with a flexibility as development of the service activity. Preparing (cognitive domain) and Evaluating (affective domain) were allotted into 40 minutes, the same amount of time as a class in a elementary school. Practicing (practical domain) is consisted of flexible time to be engaged in extra curricular activities and discretion activities. Third, the subject matters for each grade were separately designed in this scheme. The accomplishment of this study is preparing for the integrative scheme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the service activity, knowing (cognitively), practicing (practically), feeling (affectively). Hence, this scheme on teaching-learning process in a moral education, based on 3 phase - preparing, practicing, evaluating - could instruct related to diverse types of service activity. It would help students appreciate the true meaning and enjoy participating in the service activity. Consequently, I believe this scheme of teaching-learning process of service activity would be beneficial for teaching the service activity in a moral education. However, the subject concerning the service activity was not presented to all grade, limited to just one subject in a particular service activity. Also, there needs to be researched on the evaluation of the service activity, and. the scheme designed on this thesis was not practically applied to a real class. For that reas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rvice activity programs should be followed in order to practically apply the scheme of teaching-learning process.

      • 효과적인 초등 경제교육을 위한 홈페이지의 설계 및 구현

        최상훈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초등 학생들이 시공간의 제한 없이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실행해가는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갖추고, 보다 개별화된 교육방법으로 다른 학생들과 협력적으로 지식을 생산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새로운 초등 경제교육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웹 기반의 초등경제 홈페이지를 제작하였다. 홈페이지를 이용한 초등 경제교육은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학습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무제한으로 제공되는 정보 속에서 학생 스스로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어 새로운 정보를 창조하는 창의성이 뛰어난 학생을 길러내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초등 경제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여기에 따른 효과적인 초등 경제교육 홈페이지를 설계하고 구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사회과에서 웹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고찰하고 웹기반 교육과 초등 경제교육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초등 경제 단원인 4학년 2학기 3단원인 '가정의 살림살이'와 5학년 2학기 1단원인 '우리 나라의 경제 성장'의 교육과정과 학습 내용을 분석하여 홈페이지 구성 요소를 추출하였다. 셋째, 추출된 경제교육 요소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초등 경제교육이 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홈페이지 설계의 기본 방향은 사회과 교과의 경제 분야와 웹의 특성을 기초로 학생들 간에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지고, 학생들이 다중적이며 복잡한 개념들을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가 제작한 초등 경제 홈페이지는 7개의 주메뉴와 22개의 보조메뉴로 구성되어 있으며, 22개의 보조 메뉴에 다시 여러 개의 단계별 화면을 구성하여 경제 교육의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홈페이지 내용은 교과서에만 한정하지 않고 경제 토론 게시판과 경제 시사 자료실도 만들어 학생들의 참여 폭을 넓히고, 다양한 활동의 경제 학습의 장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가 제작한 초등 경제 홈페이지의 효과 분석을 위하여 홈페이지를 사용한 후 학생과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통해 홈페이지의 사용 난이도, 흥미, 경제 학습에의 도움 정도, 참여도, 학습 목표 달성에 따른 방법의 적절성 등을 질문하였다. 질문에 응답한 학생의 69.2%와 교사의 74.6%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본 연구가 제작한 초등 경제 홈페이지를 활용한 웹기반의 학습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홈페이지를 활용한 경제 교육의 효과를 더욱 제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노력이 추가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첫째, 3학년 학생도 쉽게 익힐 수 있는 시장 경제에 대한 내용이 추가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둘째, 홈페이지 제작의 기술적인 면에서 플래시나 자바를 통한 다양하고 활동적인 화면의 삽입이 필요하다. 셋째, 홈페이지 활용면에서 의사결정 능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꾸준히 추진되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이 토론할 때에 올바른 표현의 의견 제시보다는 주제에서 벗어나는 사담 형식의 토론과 비속어를 많이 이용하고 있어서, 인터넷 예절지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present study makes a homepage for web-based elementary economics education as a new educational way for elementary economics education that promotes self-initiative learning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lan and practice learning by themselves without any time and spatial limitations, and that helps them to produce and use knowledge in cooperation with other students in a more individualized educational method. Web-based elementary economics education encourages students to effectively accomplish the educational goals propose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produces creative students who search for necessary information by themselves in the flood of information offered almost limitlessly, and creative new information.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aims at analyzing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s required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homepage for effective elementary economic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study: 1) consider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Web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b-based education and elementary economics education. 2) derives the components of the homepag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the 'Lesson 3. Household Economics' in the textbook for fourth-grade second semester and 'Lesson 1. Economic Growth of Our Country' in the textbook for fifth-grade second semester, which are the elementary economics sections offered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3) designs and implements the homepage that facilitates efficient elementary economics education based on the derived elements for teaching economics. The basic direction for the homepage design is to compose the economics sections of the social studies subject in a way that promotes dynamic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o help them to easily learn multiple and complicated concep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b. The elementary economics education homepage that the present study designed consists of seven main menus and 22 sub-menus. Under the sub-menus a number of pages were composed stage by stage to facilitate the students' understanding. The contents was not limited to the textbook. A bulletin board for the discussions on economics and the data room for the current issues on this theme resulted in the expanded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and made the hamepage an arena of economics learning with various activitie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lementary economics education that the present study made, a survey was conducted to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who used the homepage about its difficulty, their interest in it, its helpfulness in learning economics, degree of participation, appropriateness of the method in accomplishing the educational goals. 69.2% of the students and 74.6% of the teachers in the survey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homepage, which indicates that the Web-based learning using this elementary economics homepage was effective. However, to elevate the effects of economics education using this homepage, the following efforts should be made additionally. First, the contents on market economy should be added in a way that helps even third-grade students to learn easily. Second, technological aspects of homepage design should be enhanced. Various kinds of active and dynamic pages should be inserted using the Flash or Java technologies. Third,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make better use of the homepag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s that can promote their decision-making cap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should be consistently carried out. Fourth, the students tend to use slangs and to have personal conversations rather than discussions on economics or proper presentation of their views. Therefore, education on the Internet etiquette should be strengthened.

      • 통합적 장애인식 개선프로그램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효선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장애아동과 장애아동과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 통합 이전에 비장애아동에게 통합적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수용태도의 인식적, 행동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도에 소재하며, 장애아동과의 통합교육 경험이 없는 초등학교 3학년 비장애아동 70명을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에 각각 35명씩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프로그램 내용은 태도 변화에 효과적이었던 선행연구들에서 제안된 여러 전략들을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장애에 대한 정보 제공, 장애를 극복한 사람의 이야기(간접 접촉 경험), 만화를 통한 비디오 장애이해 교육, 장애 체험 활동, 그리고 각 활동마다 마련된 집단 토의로 구성하였으며, 전체 8회 40분씩 교육과정 형식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통합적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을 접한 비장애아동들은 접하지 않은 아동들보다 장애아동에 대한 장애수용태도의 인식적 측면 뿐 아니라 장애아동에 대한 학교생활, 개인생활, 취미·오락·기타 생활 등 장애수용태도의 행동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의 결과, 통합적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이 제공된다면 비장애아동들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 태도가 긍정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른 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 통합교육 내에서의 비장애아동과 장애아동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직접 접촉을 통한 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로 보다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offer Integrated Disability-Recognition Program to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before integrated education is implemented. The purpose was to consider if th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their attitudes in accep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do who have no previous experiences of integrated educati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rty five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respectively. Integratively composing various strategies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ies that were effective in attitudinal changes,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consists of the information about disability, stories on the people who have gotten over disabilities (experiences of indirect contacts), education for promoting disability understanding through cartoons, activities for experiencing disabled life, and group discussions prepared for each activity. The curriculum is composed of eight forty-minute sessions. The result could be summarized the integrated disability-recogni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aspect as well as on the behavioral aspect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oward their peers with disabilities. The above result suggests that Integrated Disability-Recognition Program has a potential to improve the attitude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 accepting their peer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follow-up studies be conducted to propose programs for more effective integrated education by developing activity programs through direct contacts that can induc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under the circums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 다문화 시대의 전통미술 지도 방안

        송미자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 사회는 국가의 공존을 위해 높은 상호 의존도가 요구되는 지구촌 시대이며, 다양한 문화들을 동시에 접하며 살아가야 하는 다문화 시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술교육에 있어서 전통 미술의 지도 또한 시대적 흐름에 적절한 교수 방법의 선정과 이에 따른 지도가 필요하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의 전통 미술에 대한 지도는 전통 미술에 관한 내용이나 기법을 답습하여 지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대적 요구에 따른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현대 미술교육의 흐름을 알아보고 현행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여 다문화 시대에 바람직한 전통 미술 지도 방안을 개발,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다문화 시대가 도래하기까지는 여러 시대적인 발생 배경과 특징이 있겠지만 이 중에서도 다원주의적 가치를 추구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인 배경과 다문화 시대를 확산시키고 있는 정보 통신의 발달에 따른 정보화가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문화의 가치가 부각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 시대라는 배경과 정보 기술의 발달 등이 삶의 방식을 바꾸어 놓음으로써 미술교육 또한 새로운 인식, 다원적 접근, 문화 이해 측면의 접근 방식으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표현 중심 미술교육은 21세기의 다양한 문화 시대에 적합하지 않은 교육으로 지양되고 그 대안으로 총체적 미술교육인 DBAE 이론이 부각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으며, 많은 국가들이 DBAE와 더불어 다양한 미술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의 DBAE는 외국의 이론이자 시대에 적합하지 않는 이론이라는 우려와 더불어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결여에 따른 적용의 문제 등으로 비난을 받으면서도 DBAE가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neo DBAE로 수정, 보완됨에 따라 다문화 시대에 활용 가능한 하나의 미술교육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도 전통 미술 지도에 적합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DBAE적인 교수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현행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전통 미술 지도에 대한 언급은 현행 교육과정까지 계속적으로 이어져 왔으나, 국제 이해 교육은 제6차 및 제7차에 와서야 강조하였고 총론에서의 언급에 비해 미술과에서는 구체적인 반영이 되지 않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 대상 학년의 수준, 주제, 내용 등과 미술 교과서의 소재와 관련시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다문화 시대에 적절한 전통 미술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다문화 시대에 바람직한 교수·방법으로 맥락적 입장과 비교학적 관점, 통합적 측면의 교수·학습 방법의 접근으로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통합 교과과정을 제외하고 3·4·5·6학년당 프로그램 1개, 총4개를 개발, 제시하고 있다. 3학년 '내 옷 어때요'는 3학년에게 친밀한 영역이며 복식 양식은 사회·문화의 경험적 산물이므로 다양한 전통 의상의 복식미를 이해하여 현대 의상 디자인에 도입, 표현해 보도록 하였다. 4학년 '상상의 세계'는 민화 및 다른 나라의 상상의 작품을 제시하여 민화의 특성을 이해하게 하고 다른 시대, 다른 나라 사람들의 생각과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5학년 '탑 만들기'에서는 과거, 현대, 다른 나라의 탑을 감상하고 그 시대의 문화 이해와 더불어 현대적 의미의 탑을 표현해 보도록 하였다. 6학년 '내가 만든 탈로 탈놀이 하기'는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의 탈을 비교 감상하고 탈을 제작하여 탈놀이를 하도록 구성하였다. 위와 같은 문화 이해 관련 학습을 통하여 아동들은 우리 나라 전통 미술에 대해 다른 나라와의 차이성을 느끼고 전통 문화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알게 되며, 자칫 가치의 혼란을 겪을 다양한 문화 속에서 문화적 정체성을 갖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조건 우리 문화가 우수하다는 폐쇄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시각적 비판력을 가지고 좀 더 넓은 시각에서 세계 보편성과도 통하는 새로운 문화를 창출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In the midst the historical era of multi-culture and globalization which calls higher inter-dependent for co-existence, it is more than ever necessary to seize on as an opportunity to implement far-reaching educational agenda. Thus a more affirmative teaching model of traditional art classes, which should be considered the trends, is necessary in the public art education. Almost all of the traditional art is indifferent in schools, however, as even it has been emphasized on the teachers developing instructive methods worth applying. Given th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cultures and the trends of art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im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curricular and the art texts to develop more favorable teaching model for traditional arts. Although there are several outstanding backgrounds on the manifestation of multi-cultural era, the remarkable one is the post-modernism which exploit multilateral values and the other is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which have been accelerate the trends of multi-culture and changed the contemporary life style. In this stage, the art education requires the innovative cognition to modify the old-fashioned attitude to unfamiliar cultures. Therefore, the art classes which overwhelmingly centralized in aesthetic expression should be substituted with the DBAE; a comprehensive art education system, and many other countries are devoted to develop more potential instructive programs. As to how to react, we have a choice. While criticizing the incompatibility and the lack of practical program of the DBAE which is a out-of-date imported theories, the DBAE that is now being advanced -- the upgraded version of neo-DBAE and the application of this program as an alternatives of the current art classes -- have long been in preparation. This study also applied the DBAE style instructive method for traditional art. Nor, as the previous curricular considered, is traditional art only currently of interest to the national curricular. Analyzing the current curricular with the art texts for this study, the section of understanding foreign culture has been emphasized in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ar but that is not compiled in the art texts concretely. Here I have developed this instructive program for traditional art fitting to multi-cultural age, which considered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r, the intellectual level of grades, and the art texts and comparatively. This study developed four programs for each grades -- the 3rd to the 6th grades except for the integrated curricular. For example, as the costume reflects the trends of society and culture, "Do you like my fashion?" might be one of the intimate chapter with children in the 3rd grade, and the intention of this chapter is to understand the attractiveness of various traditional costume, thereby expressing modern style by applying it. In the 4th grade, the "Imaginary world", which compiled with folk paintings and foreign imaginary art works, is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folkarts and the different cultures and times. The 5th grade's program "Making pagoda" have been illustrated the pagodas historically and culturally to appreciate and make it in modern style, and the 6th grade's "Playing and making mask" is composed to play and appreciate masks comparatively with foreign masks. With these cultural comprehension programs of art classes, students will hold high esteem our traditional culture and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ours and foreign cultures. Further, children will have their cultural identitie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where individuals of disimilar interests could be confused. I do believe that the open thoughts with aesthetic consciousness will create a new culture.

      • 초등 영재 학생들과 일반 학생들의 사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비교

        김수경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 on private education between gifted and common student's paren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e following problems are formulated. 1. What is the present state of private education perceived by gifted student's parents? 1-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resent state of private education perceived by gifted students' parents according to age, schooling, income and the state of employment of parents?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attitude and purpose of private education perceived by gifted students' parents according to age, schooling, income and the state of employment of parents? 1-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private education perceived by gifted students' parents according to age, schooling, income and the state of employment of parents? 2. What is the present state of private education perceived by common student's parents? 2-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resent state of private education perceived by common students' parents according to age, schooling, income and the state of employment of parents?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attitude and purpose of private education perceived by common students' parents according to age, schooling, income and the state of employment of parents? 2-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private education perceived by common students' parents according to age, schooling, income and the state of employment of parents?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n private education between gifted and common students' parents? 3-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n the present state of private education between gifted and common students' parents? 3-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n the attitude and purpose of private education between gifted and common students' parents? 3-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private education between gifted and common students' parents? Ⅱ. Method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77 gifted student's parents and 218 common student's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and Gyonggido. The questionnaire on the perception on private education was distributed to the parents. And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18 item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Chi-square and t-test.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05. Ⅲ. Conclusion 1.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n the expense of private education between gifted and common student's parents. 2.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n the kinds of private education between gifted and common student's parents. 3.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expense of private education between gifted and common student's parents. 4.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n the motive of private education between gifted and common student's parents. 5.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n the reason of choosing a private education facilities between gifted and common student's parents. 6.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n the purpose of private education between gifted and common student's parents. 7.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private education between gifted and common student's parents. 교육과학기술부의 발표를 보면 2010년까지 전체 초·중·고교생의 5%인 40만 명의 우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차별화 교육 즉 영재 교육을 실시한다고 한다. 이로 인하여 사교육 시장은 해마다 과열되고 있고,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영재 교육 열풍이 번지고 있다. 이에 영재 학생 학부모와 일반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사교육의 실태, 사교육비, 학부모의 사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천광역시 교육청 산하 영재 학교 학부모, 대학 부설 영재 교육 대상 학부모 150명, 경기도 교육청 산하 영재 학교 학부모 120명, 일반 아동의 학부모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영재 학생 학부모 177부, 일반 학생 학부모 218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자료로 분석하였다. 사교육의 실태면에서, 사교육에 드는 비용은 전체적으로는 ‘41만 원-70만 원 이하’가 38.4%로 가장 많았으며, 영재 학생의 경우 ‘41만 원-70만 원 이하’가 38.4%로 가장 많았고, 일반 학생의 경우 ‘21만 원-40만 원 이하’가 가장 많았다. 사교육은 주로 ‘초등학교 입학 전’에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의 가짓수에 대한 결과는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 모두 ‘2가지’를 받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33.4%), 사교육을 받지 않는 아동 중 사교육을 받지 않는 이유로는 ‘경제적 어려움’ 38.5%, ‘학교 공부만으로 충분하다’ 30.8%로 나타났다. 사교육의 종류 중 영어(28.0%)와 학과 학습(27.0%)에 치중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영재 학생은 영어에, 일반 학생은 학과 학습을 많이 받는다고 대답하였다. 하루에 사교육을 받는 시간은 ‘2시간’이 38.1%, ‘3시간’이 27.1%로 주로 2-3시간의 사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시기의 적절성에 대하여 주로 ‘빠르다’고 대답하였으며, 사교육의 가짓수의 적절성에 대하여 ‘사교육이 필요하다’는 대답이 많았다. 사교육비의 적절성에 대하여 ‘많다’ 는 대답이 많았다. 사교육의 동기를 묻는 질문에서 영재 학생의 경우 ‘교육적 현실’ 때문에 51.4%, ‘본인이 배우고 싶어서’ 18.1%로 나왔으며 일반 학생의 경우 ‘학업 성적 향상을 위해’ 37.2%, ‘교육적 현실 때문에’ 28.9% 로 나왔다. 영재 학생이나 일반 학생 모두 교육적 현실로 인한 사교육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의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서 사교육 기관의 선택 이유는 ‘프로그램이 좋아서’ 사교육 기관을 선택한다는 대답이 36.6%로 가장 많았고, 사교육 기관의 ‘인지도’(15.6%), ‘주위 사람의 권유’에 의한 선택이 14.3%로 나왔다. 영재 학생의 경우 ‘프로그램이 좋아서’ 47.5%, ‘인지도’ 14.7%인 반면 일반 학생의 경우 ‘프로그램이 좋아서’ 25.7%, ‘주위 사람의 권유’ 22.9%로 나타나,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간에 사교육 기관을 선택하는 이유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사교육을 받는 목적은 ‘소질, 특기 개발’ 30.0%, ‘부족한 과목 보충’ 29.8%, ‘좋은 학교로의 진학’ 27.5%로 대답하였다. 사교육을 받는 아동들의 태도에 대하여 ‘부담을 느끼나 열심히’한다 49.2%, ‘즐겁게 열심히 공부’한다 29.3%로 나타났다. 사교육의 중요성을 묻는 질문에 대하여는 ‘아동의 사고력 신장’을 위하여 58.9%, ‘창의성 교육’ 14.2%, ‘프로그램의 구성’ 13.2%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간에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교육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대하여 ‘필요하다’ 는 대답이 많았다.

      • XML기반 문제은행시스템(IDB)의 설계 및 구현

        한희섭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XML을 이용하여 통합적인 문제를 생성, 검색 및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XML기반 문제은행 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에 관한 연구이다. 표준화된 문제를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문제의 표준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XML DTD로 설계하였다. 설계된 표준안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수학 교육용 문제를 추출하였으며 XML Data로 저장을 하였다. XML Data로 저장을 함으로써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확한 검색과 다른 시스템과의 공유가 될 수 있다. 또한 교육과정과 학습자 DB 그리고 문제 관리 DB간의 관계형 DB를 이용하여 문제은행을 구축함으로써 학습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맞는 문항을 제공할 수 있다. XML파서와 문제 해석기를 구현하여 표준화된 문제를 온라인으로 학습자에게 제공하였다. 시스템의 활용 결과 온라인 교육에 필요한 평가용 문항을 학습자에게 적절하게 제공하고 웹 상의 비표준화된 문제들을 통합시키는데 매우 효율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본 논문은 아직은 시작단계에 있는 XML의 활용에 대해 교육을 위한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로 문제의 표준화 및 각종 문서의 표준화 과정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문제에 대한 표준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XML Data간의 공유와 검색의 용이성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XML의 본래의 취지나 목적과는 달리 기업에서 구축되고 있는 시스템들은 상업적인 특수성에 따라 공개와 공유를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업화된 시스템의 제한된 사용으로는 교육현장에서 교육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즉, 본 연구는 특정 기업에 의존해서는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에는 한계가 있음을 깨닫게 하며 교육현장에서 보다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서 XML 시스템 구축을 위한 표준안을 마련하고 그에 따라 자료의 공유와 검색의 용이함을 이용하여 효율적 자료활용의 기반이 되길 바란다. This paper is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XML-based Item Bank System. The proposed system can apply the student an effective assessment by creating, searching and providing of educational problems using XML. In order to supply standard problems to student, first, we analyzed the standard types of various problems and designed these types with XML DTD. Second, we extracted math problem in the elementary school by applying these standard types. Third, we constructed the Item Bank System using relational Data Base and XML parser. The result of system applying, proposed system could offer the student the standard problems at on-line environment. Therefore we shown to be applied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tegrated non-standard problems effectively.

      • 신문자료를 활용한 문제해결 학습이 초등 경제교육에 미치는 효과

        임선애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이루어지는 경제교육은 학생들이 급변하는 사회ㆍ경제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실생활에서 당면하는 여러 경제문제를 합리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경제에 대한 깊은 관심과 이해를 바탕으로 건전한 소비생활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적절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구안 활용하였다. 신문은 우리 생활에 필수적인 정보의 근원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교육적인 활용 가치가 크다고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신문자료를 경제교육 단원의 교수ㆍ학습 자료로 활용하여 수업을 전개하면 경제교육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전제하에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그 타당성을 입증하고 효과를 밝혀 보려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 경제교육 단원 내용과 일선 학교 경제교육 학습자료 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둘째, 다양한 사회과 경제교육 학습자료 개발의 필요성과 신문자료를 수집ㆍ분류ㆍ재편집하여 학습자료로 제작ㆍ활용하는 방법을 밝히고, 셋째, 교재로 만든 신문자료를 문제해결학습 구성논리에 따른 경제수업에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범위는 4학년 1학기 '2단원 우리 시ㆍ도의 발전하는 경제'와 4학년 2학기 '3단원 가정의 경제 생활'로 설정하였다. 실험 집단에는 신문자료를 활용한 문제 해결식 경제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비교 집단에는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교사 주도형 설명식 경제교육을 실시하였다. 실험상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먼저 실험 집단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신문자료를 활용한 경제교육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경제교육 단원 학업 성취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문자료를 활용한 경제교육을 실시한 실험 집단의 설문지 분석 결과 학생들이 다양한 경제관련 신문자료를 수집·분류·재편집하여 학습활동에 활용하는 과정 속에서 학습 참여도가 높아지고 경제 문제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학생들은 다양한 경제 관련 신문자료를 활용하여 기본적인 경제지식과 문제해결 능력을 습득할 수 있었고, 신문자료를 학습지로 구성하여 수업을 전개함으로써 현장의 경제교육 자료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였다. 둘째, 경제교육 연구 단원에 대한 학업 성취 수준을 측정한 결과, 실험 집단의 성적이 비교집단보다 9.12점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경제교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유용한 경제교육 교수·학습자료의 개발ㆍ활용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결과는 경제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정보제공이 경제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기여하며, 신문자료를 교재로 재구성하여 전개한 문제 해결식 수업이 교과서 위주의 설명식 경제교육보다 학업 성취도 향상에 위한 효과적인 학습 방법임을 시사한다. Econom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of Primary School, should help students to encounter the rapidly-changing society and economic environment with positive attitude and help them to have a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a reasonable decision-making process of various economic problem in their real lives. In this study, a desirable teaching-learning method was designed and testified for students to live with the attitude of economical consumption, based on their deep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recent economy. Newspapers is being accepted as a necessary information source in our lives and evaluated as a valuable one in the adaptation of education. In this report, under the premise that if newspaper materials are used in the economy class as teaching-learning ones the materials will be very effective, I would like to enlighten the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of newspaper materials in the target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get the goal of this research, th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step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economy education and the adaptation of studying materials on economy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of 4th grade in Primary School. Second one is to enlighte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various studying materials in the class of economy and to change newspapers into studying materials through collection, classification, and re-edition. The third is to use the newspaper materials in terms of problem-solving principle and to testify the effectiveness of them. The area of this study is limited to Chapter 2 "Developing Economy in Our City and Province" in the first semester of 4th grade and Chapter 3 "Economy Life at Home" in the second semester of 4th grad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 have made an emphasis of the problem-solving strategy using newspaper materials in the economy class.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teacher-centered class focusing on the explanation of text book was done in the class. In order to testify the experimental effectiveness, the questionnaire was first used to find out students' perception and response about the economy education using newspaper materials. Then, the contrastive analysis about the learning achievement was mad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one. The results of experimental group are like below. First, the results of experimental group using newspaper materials have shown that in the procedure of the collection, classification, re-edition, and the application of newspapers including economy-related articles to their learning of economy classes students have more often taken part in the classes and increased their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economic problems. In the view of students' responses, they could achieve the basic economic knowledge and problem-solving ability related with their common lives. Teachers have to make newspaper materials into suitable ones for learning,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solve the lack of economy teaching materials. Second, the result of academic achievem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shows that the grade of the one is 9.12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tatistically, there is a prominent difference between them. Therefore, the teachers' interest and endeavor about the various and suitabl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s thought to be needed for the most effective Economy education. These results of experiments'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economy education through the various information about economic problems. Problem-solving class with reconstruction of newspaper materials is thought to be a more effective way than text-oriented class focused on the explanation. In conclusion, it has been proved in the Social Studies of Primary School that making newspaper materials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field of economy into reconstructed and adaptable ones is one of the effective ways to achieve the goal of economy education.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과 학습지도 제약요인

        유희섭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학습지도 제약요인들을 알아보고 이에 관련되는 변인들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의 초등학교 교사들이며, 도시 지역의 대표인 수원시, 인천시지역 112명, 중소도시의 대표인 고양시, 의정부시의 115명, 농촌 지역의 대표인 파주시, 김포시의 116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의표집하여 34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306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주요 통계방법은 빈도 및 기술분석, 신뢰도 검증, 문항 변별도 검증, t-검증, 변량분석 등이었다. 통계 검증의 유의수준은 5%로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학습지도 제약요인은 학습 환경, 학습자인식, 교육과정, 교사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교사의 성별이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이며,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실과 교육과정 면에서 학습지도의 제약을 덜 받고 있었다. 셋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교사의 실과 교과전담 경험이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교육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이며, 실과 교과전담 경험이 있는 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게 가지고 있어 실과 학습지도의 제약을 덜 받고 있었다. 넷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교과지도 경험이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과 학습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이며, 실과 교과지도의 경험이 많을수록 교육과정과 학습환경의 제약을 덜 받고 있었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학습지도 제약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은 실과 지도 경험, 실과 교과전담 경험 및 성별과 교사 인식, 실과 학습에 임하는 학습자 인식, 실과 교육과정 인식, 실과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등이었다. 여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에서는 직전 교육의 활용도, 지도능력 부족, 교과 관심도 저조 등이 학습지도 제약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일곱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에서는 안전사고, 소란스러운 학습 분위기, 실습 후의 뒷정리 소홀 등이 학습지도 제약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여덟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교육에 대한 교육과정 인식에서는 실습 시간 부족, 교과 시간배정 부족, 교육과정 재구성 등이 학습지도 제약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아홉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학습환경 대한 교사 인식에서는 실습시설과 교구 설비, 자원인사의 활용 여건, 실습지 구비, 관리자 인식 부족, 예산 지원 등이 학습지도 제약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실과 학습지도에 대한 후속 연구와 현장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실과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높은 편이나 실과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 수준은 매우 낮으므로 효율적인 실과 학습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현장 실습 중심의 실습실, 실습지, 실습을 위한 교재 교구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겠고, 보다 자신감있고 질 높은 실과 교육을 위해서는 실과 전담교사를 배정하여 학습지도를 해 나가는 제도적인 개선책이 요구된다. 둘째, 흥미있는 실습 중심의 학습 지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실과 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고, 실기 연수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strictive factors of teaching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and to identify its related variable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yeonggi and Incheon. An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uwon and Incheon city(112), Koyang and Uejeongbu city of midsize urban areas(120) and Paju city, Kimpo city of rural areas(116) by using Purposive Sampling. 306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alyzing after data cleaning of 343 sheets. The major statistical technique that was applied to this study was Frequency & Descriptive, Cronbach'α, Item-Discrimination, t-test, ANOVA.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at 0.05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The restrictive factors in teaching elementary practical arts were shown in order of learning environment, learner's recognition, curriculum, teacher's recognition. 2. Among socio-populational variables, teacher's gender was influential factor to the recognition of curriculum, one of 4 restrictive factors in teaching, and female teachers were less restricted than male teachers. 3. Among socio-populational variables, the teacher's experience of teaching practical arts only was influential factor to the recogni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teachers who had experinced teaching Elementary Practical Arts only were less restricted because they have high recognition to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4. Among socio-populational variables, the experience of teaching Elementary Practical Arts is influential factor to the teachers' recognition of curriculum and learning environment , the more they have experience of teaching Elementary Practical Arts the less they are restricted. 5.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restrictive factors wh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 practical arts are the experience of teaching practical arts , how the teachers recognize learner's who join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gender, teacher's recognition of curriculum and the recognition to the learning environment. 6. In teacher's recognition, the affecting factors are using level of knowledge that is acquired in their university days, the deficiency of teaching ability and low interest about practical arts education. 7. In the case of teacher's recognition to the learners joining in practical arts education, noisy learning atmosphere, accident, the negligence of arrangement after practicing were shown as the restrictive factors that are influential to teaching. 8. In the case of school teacher's recognition to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the deficiency of practicing time, the deficiency of class hours, the remaking of curriculum were shown as the restrictive factors that are influential to teaching 9.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to the environment of practical arts learning, manager's deficiency of recognition, principal's disapproval when they go to some places to learn and the need of practicing land were the restrictive factors that are influential to teaching.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at were acquired from this study, I want to give some suggestions to renovate our classroom and to help succeeding studies. 1. Teacher's recognition level about practical arts education is high but the recognition level about learning environment is so low. And then we need to procure classrooms for practicing and land for practicing, materials and textbooks for practicing and we need to change our practical arts education system by allotting the teachers who teach only practical arts. 2. For interesting teaching that concentrates on practicing, there must be systematic support for the teachers to increase interest about practical arts education, to join the practical skill training course, to resolve the deficiency of skill and there must be the development of visual and audio material and teacher's endeav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