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소득 환류세제 및 배당소득 증대세제가 상장기업의 배당정책에 미치는 영향

        이예지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December 2014,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a bill on Dividend Boosting Tax Policy. Dividend boosting tax policy, which is composed of imposing additional tax on the corporate's undistributed profit(referred to as 'Corporate Income Circulating Tax, CICT') and relieving the burden of domestic shareholders who has higher dividend payout ratio by lowering tax rates(referred to as 'Dividend Income Maximizing Tax, DIMT'). In this regard, this study carried out an empirical analysis on whether listed companies increased their year-end dividends for fiscal year 2014 following the above policy. DIMT is designed to reduce domestic shareholders’ burdens of dividend taxes when they meet the requirements of high-dividend listed stocks, and is temporarily applied to year-end cash dividends of fiscal year 2015 for three years. Factors including the pay-out ratio, dividend yield ratio, and increase rate of total dividends are calculated by a simple average method over three fiscal years. This calculation method will affect the year-end dividend policy of fiscal year 2014 for low-dividend listed companies that precariously meet the requirements of high-dividend listed stocks. For this reason, low-dividend listed companies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year-end cash pay-out ratio for fiscal year 2014 to meet the requirements of high-dividend listed stocks to have year-end cash dividends for fiscal year 2015 applicable to the aforementioned policy. The lower the stock ratio of corporate shareholders who are not eligible for tax benefits, the higher the dividends of low-dividend listed companies. CICT are applied for three years from fiscal year 2015. Corporations expected to be subject to CICT are forming negative images that they have built up enormous amounts of retained earnings. In this sense, these companies are expected to proactively respond to the government's policy of dividend increase from fiscal year 2014 by increasing their year-end cash pay-out ratio.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has been observed that low-dividend listed companies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ir year-end cash pay-out ratio for fiscal year 2014. In addition, their year-end cash pay-out ratio for fiscal year 2014 did not increase as the stock ratio of corporate shareholders was low. For this reas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DIMT was not effective enough to change the dividend decision-making of controlling stockholders and the investment decision-making of minority shareholders. In addition, internal factors appears to affect dividend decision-making more than taxation factors. It is likely that low-dividend listed companies did not consider DIMT due to the strict requirements of high-dividend listed stocks. Unexpectedly, it was observed that companies expected to be subject to CICT significantly lowered their year-end cash pay-out ratio for fiscal year 2014. It appears that companies expected to be subject to CICT consider increasing dividends from fiscal year 2015 when CICT are applied in order to reduce actual amounts of CICT. It is judged that they reduced the year-end dividends of fiscal year 2014 to secure financial capacity and raise the tangible effects of dividend boosting. In this regard, CICT and DIMT did not affect the year-end dividend policies of fiscal year 2014 of listed companies. The effectiveness of such a policy can be estimated after the year-end dividends of fiscal year 2015 through 2017 are included. This study contributes to conducting an empirical analysis for the first time on the effects of CICT and DIMT on the dividend policy of listed companies. This study can be distinctive from advanced research in that this study estimated the amount of CICT payment by applying the tax accounts for fiscal year 2014 to the finally confirmed CICT.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did not consider the year-end dividends for fiscal year 2015 when the above policy is applied. 2014년 12월, 기업의 배당확대를 유인하는 기업소득 환류세제 및 배당소득 증대세제가 국회를 통과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상장기업이 동 제도에 영향을 받아 2014 사업연도 결산 배당을 증가시켰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배당소득 증대세제는 고배당상장주식 요건을 충족한 경우 해당 주식을 보유한 내국인주주의 배당소득세부담을 완화시켜주는 제도로, 2015 사업연도 결산 현금배당분부터 3년간 한시적으로 적용된다. 고배당상장주식 요건의 배당성향, 배당수익률, 총배당금액 증가율은 3개 사업연도를 단순평균하여 산정한다. 이 산식방법은 동 요건을 불안정하게 충족하는 저배당상장기업의 2014 사업연도 결산 배당정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 저배당상장기업이 2015 사업연도 결산 현금배당분에 대해 동 제도를 적용받고자 한다면 고배당상장주식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2014 사업연도 결산 현금배당성향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저배당상장기업의 배당확대는 동 제도의 한계투자자인 법인주주 지분율이 낮을수록 클 것이다. 기업소득 환류세제는 2015 사업연도부터 3년간 적용된다. 환류세부담 예상기업은 막대한 사내유보금을 쌓은 대기업이라는 부정적 이미지가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환류세부담 예상기업은 정치적 비용을 줄이고자 배당확대라는 정부정책기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2014 사업연도부터 결산 현금배당성향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분석결과, 저배당상장기업은 2014 사업연도 결산 현금배당성향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배당상장기업의 2014 사업연도 결산 현금배당성향은 법인주주 지분율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그 이유로, 배당소득 증대세제가 대주주의 배당의사결정과 소액주주의 투자의사결정을 변화시킬 만큼 효과적으로 작용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기업의 배당의사결정시 조세요인보다 내부요인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저배당상장기업은 엄격한 고배당상장주식 요건으로 인해 배당소득 증대세제를 고려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환류세부담 예상기업은 예상과 다르게 2014 사업연도 결산 현금배당성향을 유의하게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류세부담 예상기업이 환류세 납부세액을 줄이고자 기업소득 환류세제가 적용되는 2015 사업연도 이후의 배당확대를 고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를 위한 재무여력을 확보하고 배당증대의 가시적 효과를 높이고자 2014 사업연도 결산 배당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업소득 환류세제 및 배당소득 증대세제의 영향력은 상장기업의 2014 사업연도 결산 배당정책에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동 제도의 실효성은 2015 사업연도부터 2017 사업연도까지의 결산 배당을 포함한 후에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소득 환류세제 및 배당소득 증대세제가 상장기업의 배당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처음으로 실증분석 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또한 최종 확정된 기업소득 환류세제의 내용을 2014 사업연도 세무상 수치에 적용하여 환류세 납부세액을 추정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동 제도가 적용되는 2015 사업연도 이후 결산 배당을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가진다.

      • 입원환자에 대한 구강관리 제공 실태

        이예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지역 1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입원환자에 대한 구강관리 실태를 조사하여 입원환자에게 질 높은 구강관리 제공을 위한 지침서를 개발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선행논문에서 사용한 설문문항에 근거하여 우리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였고, 추가적으로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예비조사를 시행 한 후 최종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39.2%가 입원환자에게 구강관리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대상자가 근무하는 대부분의 병원(병동)에는 입원환자 구강관리에 대한 프로토콜이 존재 하지 않았다. 대상자들은 입원환자에게 구강관리 시 구강세정제(28.0%)와 거즈(26.7%)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구강세정제로는 클로르헥시딘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58.5%). 그리고 대상자의 근무병동 유형별 구강관리 제공의 차이를 분석할 결과 ‘중환자실(75.8%)’에서 근무하는 대상자가 ‘일반병동(22.6%)’에서 보다 더 많이 입원환자에게 구강관리를 시행하고 있었으며(p<.001) 대상자가 근무하는 대부분의 병동에는 입원환자 구강관리프로토콜이 존재하지 않았다(85.4%). 입원환자 구강관리에 대한 교육경험은 대상자의 34.8%가 있었으며 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대부분이 병원 내 교육을 통해 교육을 받았다. 교육내용은 구강위생에 대한 개념(37.9%)이 가장 많았고 교육만족도는 ‘보통이다.(49.1%)’가 많았다. 구강관리에 대한 교육필요도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그렇다.(71.7%)’라고 하였지만 추후 구강관리에 대한 교육 참여의사를 물었을 때는 51.6%가 ‘그렇다.’라고 응답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구강질환 및 구강관리에 대한 지식수준은 총 10점 만점에서 평균 8.43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입원환자에게 구강관리를 제공하는 데에 가장 큰 방해요인으로 ‘시간부족(51.8%)’이 많았고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충분한 인력(39.7%)’이 많았다. 또한 대부분의 대상자는 입원환자를 위한 구강관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82.9%) 대상자의 60.6%가 입원환자를 위한 구강관리 프로토콜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구강관리의 책임이 간호사에게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60.8%가 ‘그렇다.’라고 하였으며 현재 입원환자에게 적절한 구강관리를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보통이다.(41.4%)’가 많았다. 입원환자의 구강관리를 전담해야 할 사람이 누구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일반병동에서 근무하는 대상자는 ‘환자본인(40.5%)’이, 중환자실은 ‘치과위생사(52.2%)’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입원환자 구강관리 인력으로 치과위생사가 투입되는 것에 대해 대상자들의 인식이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입원환자에게 전문가구강관리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진다면 환자들은 구강에서 발생하는 병원성 세균들로 인해 생길 수 있는 감염성 질환을 예방 할 수 있을 것이며 이것이 환자의 회복과 생명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중환자실과 일반병실에 입실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근거기반 구강관리 프로토콜 및 체계가 개발되어야 하며, 새로운 인력 배치 및 방안을 위한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education experience, knowledge and practices of oral health care for hospitalized patients, who are in the general ward and intensive care unit(ICU).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of nurses was conducted in a hospital with 158 participants.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to summarize the data and was analyzed with independent t tests, One-way ANOVA, and X2 tests. Results were repor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α=.05 or less. Results: Based on the data analysis of the 158 respondents, 39.2% performed oral care for hospitalized patients and in the majority of hospitals was did not have oral care protocols(85.4%). Oral care practices varied between the general ward and the ICU, with the ICU providing more oral care(p<.001). Only 38.4% have had an education experience to hospitalized patients, also they experienced via program by hospital(56.4%). The participants’ knowledge of oral disease and equipment used in oral care indicated a high score of 8.43 out of 10 on average. Oral care was perceived as a very important for hospitalized patients by over 80% of respondent, but oral care protocol needs showed a low percentage(60.6%). In response to “Who do you think should be oral care for patients?” responded a higher ‘Dental hygienist(38.6%)’ than ‘Nurse(26.1)’. When asked, “What is the barrier factors to provide oral care?” 51.8% responded ‘lack of time’, in responded to the statement “What is the important factors to provide oral care” highly responded ‘sufficient staff’. Conclusion: A evidence – based oral care system are introduced to provide a systematic and constantly oral care for hospitalized patients, who was general ward and intensive care unit, and needed a system to activity and arrangement of professional such as dental hygienist.

      • 1880년대 天津海關을 통해 본 朝淸 관계

        이예지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ianjin Customs(天津海關) is an institution which was in charge of modern trade and negotiation between Qing and Chosun after it was established on Mar. 23, 1861 as Qing open the Tianjin port as a result of the second Opium War. Since the 1880s, the relationship between Tianjin Customs and Chosun became closer because the Qing government began to assign trade and diplomacy which had been subject to Libu(禮部) to Li Hung-Chang(李鴻章) in the 1880s. Then the head of Tianjin Customs which belonged to Li Hung-Chang began to be in charge of practical negotiation with Chosun. So Zhou Fu(周馥) also involved in writing the draft of the trade pact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September 1882. With signing the trade pact, the Chosun’s consular residing in Tianjin(駐津大員) and the head of Tianjin Customs began to negotiate through modern official documents as the two countries started the treaty system. But on the other hand, Chosun was maintaining its traditional tributary system with Qing through Libu. You Gil-Jun(兪吉濬) named the situation maintaining both systems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the dual system(兩截體制). He used the term to express Chosun’s situation that it could not move to modern system. But the transitional status named as the dual system reflected the situation of the country as it is, and Chosun was in the course of moving from the tributary system to the treaty system. So this article tried to reveal historical meaning of the dual system by examining more specifically the dual relationship between Chosun and Qing. The contents is the history of Tianjin Customs, signing of trade pact, sending delegates residing in Qing, appointment of foreigners,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Hojo(護照) and loan. Through reviewing those contents, we can understand that at some aspects, Qing helped Chosun adapt to modern trade, not just forcing disadvantages to Chosun. For example, Qing provided loans to Chosun without collateral or interest, and it also used to volunteer financially supporting Chosun when there was necessity, which means loan, a modern financial deal between countries, used to operate between premodern relationships between Chosun and Qing. As for issuing Hojo, Chosun used to violate the issuance process of Hojo in early stage of opening the Tianjin port and was pointed out by the head of Tianjin Customs by travelling in Qing only with certification of Chosun. The case shows that Chosun’s officials were not accustomed to the new administrative system in the short-term. In this situation, Qing helped Chosun to understand and accept modern administrative system by actively advising in practical level. Of course, the fact that Chosun’s delegates stayed in Tianjin unable to reside in Beijing and the consular in Tianjin received the same treatment as the head of Tianjin Customs not Libu shows that Chosun’s officials were discriminated contrary to delegates from other countries. But Chosun could adapt to modern paradigm and mitigate the shock from opening the country by maintaining the dual system of the tributary and the treaty system. 天津海關은 제2차 아편전쟁의 결과로 天津을 개항하면서 1861년 3월 23일 설립된 이후 청과 조선 사이의 근대적인 통상ㆍ교섭 사무를 담당한 기관이다. 1880년대 이후 천진해관과 조선은 긴말한 관계를 맺게 되는데 그 이유는 1880년대 청 정부가 전통적으로 禮部의 소관이었던 조선관계 중 통상과 외교 업무를 이홍장에게 위임하면서 이홍장 산하에 있던 天津海關道가 조선과의 실질적인 교섭문제를 담당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천진해관도 周馥은 1882년 9월 무역장정의 초안 작성에도 관여하게 되었다. 장정의 체결로 청과 조선은 근대적인 통상관계를 맺게 되면서 조선에서 파견된 駐津大員과 천진해관도는 근대적인 공문서를 통해 다양한 교섭문제로 교류하게 되었다. 그런데 한편으로 조선은 청의 예부를 통해 전통적인 사대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조선과 청 사이의 이중적인 체제를 유길준은 兩截體制라고 명명한 바 있다. 그는 이 용어를 근대적인 체제로 전환하지 못한 조선의 상황을 나타낼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양절체제로 불리는 이러한 과도기적인 상황이야말로 당시의 실상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고, 조선이 전근대적인 사대교린체제로부터 근대적인 조약체제로 전환해 가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조선과 청의 이중적인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양절체제가 갖는 시대적인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검토한 내용은 천진해관의 연혁, 통상장정 체결, 상주사절의 파견, 외국인 고빙, 出洋學生, 護照, 借款 등이다. 이들 내용을 통해서, 청이 조선에 불이익을 일방적으로 강요한 것이 아니라, 전근대적인 사대관계와 근대적인 통상관계를 동시에 운용하면서, 조선이 근대적인 통상업무 등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준 측면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차관의 경우에, 담보물이나 이자 없이 지원한 경우가 있는가 하면, 청 쪽에서 자발적으로 조선이 필요한 자금을 변통해 주는 등, 국가 간의 근대적인 금전거래인 차관이 전근대적인 조청 관계 속에서 운영되기도 하였다. 호조 발급에 있어서도, 개항 초기 호조의 발급 절차를 어기고 조선의 증빙문서만을 가지고 청국 내지를 여행하여 해관도의 지적을 받고 있었던 점은 개항한지 얼마 되지 않은 조선의 관인들이 단시간에 호조라는 새로운 행정체제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이 실무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조언하면서 조선이 근대적인 행정체계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던 측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조선의 상주사절이 북경에 주재하지 못하고 천진에 머물렀던 점, 주진대원이 예부와 동격이 아니라 천진해관도와 동격이었던 점 등, 다른 국가의 사절과 비교하여 차별받은 것 역시 사실이다. 그러나 전근대적인 사대관계와 근대적인 조약관계를 양립시킴으로써 조선은 근대적인 질서에 적응하고 개항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었다.

      • 공동주택 단지 내 육아 커뮤니티 공간의 개방성에 대한 주체별 인식 연구

        이예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동주택은 지역사회의 공간적, 사회적 단절을 야기하는 주거유형으로서 지속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2021년 기준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초저출산 시대가 도래하면서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다양한 정책들이 모색되고, 육아하는 가정이 체감할 수 있도록 육아 커뮤니티 공간이 공동주택에 도입이 되고 있다. 최근 육아 커뮤니티 공간 중에서도 공동육아나눔터의 설치 및 운영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육아 커뮤니티 공간은 개방성을 갖추어 지역사회의 교류공간으로서 작용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공동육아나눔터가 설치된 인천의 공동주택 단지 11개를 대상으로 육아 커뮤니티 공간의 개방성에 대하여 운영측면에서의 개방성 뿐 아니라 도시공간 측면의 개방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단지 내 육아 커뮤니티 공간의 계획, 운영 그리고 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체별 인식 차이를 확인하여 육아 네트워크를 통한 지역 커뮤니티를 제고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지역 주민들이 공동주택 단지 내의 육아커뮤니티 공간을 이용하는데 얼마나 개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개방성 분석의 틀을 이용해 11개의 대상지를 평가하였고 각 단지에서 보이는 물리적 특징을 도면화하여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개방성 척도에 따라 개방성이 높게 평가되었던 대상지와 낮게 평가되었던 대상지 3곳을 섭외하여 운영자, 입주민, 지역주민을 만나 주체별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공동주택 단지 내 공동육아나눔터의 개방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도시·공간 측면에서의 가이드라인이 면밀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단지 계획시 아파트의 커뮤니티시설이 지역주민들과의 교류의 장으로서 도시공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배치의 원칙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동육아나눔터의 설립목적인 공동육아와 공동돌봄을 통해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를 실현하기 위해서 지역주민들에게 효과적인 방법으로 균등하게 홍보를 해야 한다. 셋째, 아파트는 육아하는 부모들이 가장 선호하는 주택의 유형으로서 육아커뮤니티 공간의 수요에 따른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전분양제를 통해 초기 단지계획시 공간의 프로그램과 운영, 관리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을 검토하고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 단지 내 육아 커뮤니티 공간의 개방성을 분석하여 주체간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 공동육아나눔터의 설치과 운영, 이용 과정의 문제 현황을 파악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지역사회에 개방성을 갖춘 공동육아나눔터를 조성하는데 기초가 되는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Apartment houses are constantly being mentioned as a type of housing that causes spatial and social disconnection in the local community. The total fertility rate of 2021 in Korea is 0.81, and South Korea has one of the lowest birth rates in the world. To overcome this problem, Korea government is making various policies. Child-care community spaces are being introduced into apartment houses so that families who raise children can feel it. Recently, among the child-care community spaces, the proportion of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child-care sharing center is increasing. and the child-care community space is open and acts as a local community space. This study analyzed the openness of child-care community spaces in 11 apartment complexes in Incheon, where the child-care sharing center was installed, not only in terms of operation but also in terms of urban space.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enhancing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child-care network was suggested by check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y subjects in the planning, operation, and use of the child-care community space in the complex. In Chapter 3, 11 target sites were evaluated using the framework of openness analysis to see how open local residents are to use the child-care community space in the apartment complex,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een in each complex were drawn and organized. In Chapter 4,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perators, residents, and local residents by casting 3 target sites that were highly and lowly evaluated for openness according to the openness scale.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openness of the child-care sharing center in the apartment complex,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propose guidelines in terms of urban spaces. And,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principle of appropriate arrangement so that the community facilities of apartments can interact in urban spaces as a venue for exchange with local residents when planning. Second, in order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child-care community spaces, which is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joint child-care sharing center, it is essential to promote it equally to local residents in an effective way. Third, apartments are the most preferred type of housing for parents who raise children, so a comprehensive approach should be reviewed for space program, oper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are needed for continuous operation through the pre-sale syst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openness of the child-care community space in the apartment complex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subjects, and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the installation, operation, and use process of the child-care sharing center.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creating a child-care sharing center with openness to the local community in the future.

      •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형제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이예지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형제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에 관해 탐구하고자 진행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이다. 참여자는 지적, 자폐, ADHD를 동반한 장애를 가진 여동생을 둔 초등학교 5학년 남아이고, 자신감 결여, 위축감, 낮은 자존감, 실수에 대한 민감성 등 다양한 심리적 갈등으로 의뢰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형제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약 4개월간 총 15회기의 미술치료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치료 과정은 2020년 5월 2일부터 2020년 8월 15일까지 총 15회기, 주 1회 75분 동안 경기도에 소재한 미술치료 센터에서 이루어졌고, 참여자와 보호자, 담당 센터장님의 동의하에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참여자가 자발적으로 미술 매체를 선택하고 주도적으로 활동을 진행해나가는 방식으로 치료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로서 참여자가 미술치료 과정에서 어떠한 심리적 경험을 하고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에 변화를 나타내는지 탐구하고자 하였기에 그에 적절한 연구방법을 취하였다. 자료의 확보를 위해 매회기마다 치료 내용을 기록하고 녹취하였으며, 참여자의 작품과 촬영 사진, 연구자의 일지를 모두 수집하였다. 또한, 참여자에 관한 정보를 알기 위해 참여자의 어머니와 인터뷰 및 전화 상담도 함께 수집하였다. 질적 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과정은 치료 과정의 녹음자료를 전사 자료로 변환하고, 전사된 자료를 반복해서 읽고, 미술치료 진행 상황 좀 더 이해할 수 있도록 슈퍼바이저에게 자문하여 질적으로 분석 과정을 거쳤다. 미술치료 과정에서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형제가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는 자기표현에 억압적이고 회피하는 태도에서 자신의 의견과 감정을 상황에 적절하게 표현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불편한 상황에서 느껴지는 감정을 소화하려는 태도로 변화되었고 자신에 대한 이해가 많아졌다. 둘째, 참여자는 감정과 행동을 상황에 맞게 자신을 통제하기 어려워 보였지만 점차 자기표현이 늘면서 자신을 조절하는 경험과 시도가 많아졌으며, 심리적 갈등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참여자는 문제 상황에 대해 소극적이고 회피적인 태도에서 점차 문제 해결 경험이 쌓이면서 의연해지고 문제 상황에 적극적인 태도로 변화되었다. 본 사례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의 수용적이고 지지적인 태도는 참여자의 불안감을 이완시키고 위축감, 긴장감을 감소시켜 편안한 상태에서 자기 표현를 촉진 시키고 자기 이해를 도왔다. 둘째, 미술 매체가 가진 특성과 매체를 다뤄 작품을 만드는 과정은 자기조절, 창조성, 자기표현, 감정 정화를 경험하게 하였다. 또 문제 상황에 적극적이고 융통성 있는 태도를 가져 자신에 대한 유능감과 신뢰감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작품 자체가 주는 의미와 작품 관찰 과정은 자신에 대한 만족감과 객관적인 자세로 자신을 관찰하고 통찰할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형제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의 변화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형제들의 심리적 갈등에 대한 이해와 지원 방향 및 치료 접근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of art therapy conducted to explore the self-elasticity and self-effectiveness of non-disabled brothers with disabilities. Participants are fifth-grade boys with disabilities with intellectual, autism and ADHD, and were commissioned for various psychological conflicts, including lack of confidence, atrophy, low self-esteem, and sensitivity to mistakes. This study will conduct a total of 15 sessions of art therapy for about four month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ing self-elasticity and self-effectiveness of non-disabled brothers with disabilities. The treatment proces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Art Therapy Center in Gyeonggi Province for a total of 15 sessions from May 2, 2020 to August 15, 2020, for 75 minutes once a week, a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consent of participants, guardians and the head of the center in charge. In this study, the treatment was conducted by participants voluntarily choosing art media and taking the initiative. As a qualitative case study, we wanted to explore what psychological experiences participants have in the art therapy process and change their self-elasticity and self-effectiveness, so we took appropriat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secure data, the contents of the treatment were recorded and recorded in each session, and all of the participants' works, photographs, and researchers' journals were collected. In addition, interviews and telephone consultations with the participant's mother were collected to learn information about the participants. The data analysis process for qualitative research was qualitatively analyzed by converting recordings of the treatment process into transcription data, reading transcription data repeatedly, and consulting with the supervisor to understand the progress of art therapy. The results obtained by non-disabled brothers with disabilities during art therap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became to express their opinions and feelings appropriately in situations from their oppressive and evasive attitude toward self-expression, which changed their attitude to digest emotions felt in uncomfortable situations and led to greate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Second, participants seemed to find it difficult to control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according to the situation, but as self-expression increased, they had more experience and attempts to control themselves, and changed to flexible response to psychological conflict situations. Third, participants gradually gained experience in solving problems from passive and evasive attitudes toward problem situations, becoming determined and active in problem situations. Discussion of the conclusions reached through this cas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ist's receptive and supportive attitude eased participants' anxiety and reduced their atrophy and tension, promoting self-expression in a relaxed state and helping them understand themselves. Second, the process of creating works by dealing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media of the art media led to self-control, creativity, self-expression, and emotional purification. He was also able to gain a sense of competence and trust in himself by being active and flexible in the situation. Third, the meaning of the work itself and the process of observing the work gave an opportunity to observe and insight oneself with satisfaction and objective attitude toward oneself. This study will help prepare basic data on the psychological conflict, direction of support and treatment approaches for non-disabled brothers with disabilities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hanging self-elasticity and self-effectiveness of non-disabled brothers with disabilities.

      •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대퇴 경부 골절에서 유관나사 삽입 위치에 따른 수술적 안정성 변화 예측

        이예지 인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Femoral neck fractures commonly occur in osteoporotic elderly patients but can be also caused by high-energy trauma in younger pati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femoral neck fractures in relatively young patients, cannulated screw fixation is generally performed after anatomical reduction. The ideal position of cannulated screws is to insert three screws parallel to the reverse triangle. However, it is not well known about the ideal direction of the cannulated screw in an axial plane and there are few biomechanical studies on this issu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urgical stability of the femoral neck fracture model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annulated screws on the axial plane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The 3D femoral finite element model used in this study was validated in a previous study. A Pauwels' type II femoral neck fracture model was simulated assuming an anatomical reduction state. Three cannulated screws (Stryker Corp.) of 6.5mm diameter were inserted into a reverse triangle shape and parallel to the neck shaft angle (125°). The cannulated screws were placed within 5 mm of the subchondral bone of the femoral head using a length of 110mm or 115mm screws depending on the location in anteroposterior view and positioned at an angle of 6°and 8°anterior and posterior to the center and the center of the femoral head in axial view. Three types of finite element models (Type 1: Anterior 6°, Type 2: Anterior 8°, Type 3: Center, Type 4: Posterior 6°, Type 5: Posterior 8°) were reproduced. The materials properties with normal people and osteoporosis and contact conditions of the femur and cannulated screws were applied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Considering the load and abductor strength during normal walking, a hip joint force of 300% body weight was loaded onto the femoral head and an abductor muscle force of 100% of body weight was loaded on the lateral surface of greater trochanter. Both force direction was set at 20° to the vertical axis in the frontal plane, and the distal femur was fixed in all directions. To analyze the biomechanical effect of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cannulated screw, the Peak Von-Mises Stress (PVMS) and mean stress occurring in the femoral head and the cannulated screw was comparatively analyzed in each finite element model. The PVMS and mean stress of 10 finite element models showed the lowest results at both the femoral head and the cannulated screw in normal Type 2(Anterior 8°)and highest in OP Type 4(Posterior 6°). Stress increased by about 33% as the cannulated screw was positioned anterior to posterior, by about 7% as the rotation angle decreased, and increased by 11% on average when osteoporosis was applie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nterior placement of screws at the axial plane within the femoral head increases the fixation stability by decreasing the stress concentration and the risk of fixation failure in cases of multiple cannulated screw fixation in femoral neck fractures. 대퇴골 경부 골절은 고령의 환자에서 주로 발생하나 젊은 환자에서도 고에너지 외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젊은 환자에서 발생한 대퇴골 경부 골절의 치료는 유관나사를 이용한 다발성 핀 고정술이 대표적이며, 해부학적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으로 목표로 한다. 유관나사의 이상적인 삽입 모형은 3개의 나사를 평행하게 역삼각형(Reverse triangle)으로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축상 방사선 영상 소견(Axial view) 상 유관 나사의 이상적인 위치에 대하여 생체역학적으로 진행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 분석을 통하여 축면상에서 유관 나사의 삽입 위치에 따른 대퇴골 경부 골절 모델의 안정성을 비교해 보았다.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대퇴골 유한요소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Pauwels’ type II의 대퇴골 경부 골절 모델을 구현하였고, 해부학적 정복 상태를 가정하였다. 전후면상 6.5mm 크기의 유관나사(Stryker Corp., USA) 3개를 대퇴골 경간 각(Neck shaft angle, 125°)과 평행하게 역삼각형 모양으로 삽입하였다. 유관나사는 위치에 따라 110mm 혹은 115mm 길이를 사용하여 모두 대퇴골두의 연골하 골(Subchondral bone) 5mm 이내에 위치시켰으며, 측면 방사선 영상 소견 기준 대퇴골두의 중심 및 중심에서 전, 후방 6°, 8° 각도로 위치시켜 6가지의 유한요소 모델(Type 1: Anterior 6°, Type 2: Anterior 8°, Type 3: Center, Type 4: Posterior 6°, Type 5: Posterior 8°)을 구현하였다. 대퇴골과 유관나사의 물성치 및 접촉 조건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각 모델에 정상인과 골다공증 물성을 적용하였으며, 정상 보행 시의 하중과 외전근력을 고려하여 대퇴골두에 체중의 약 3배의 하중을 수직 축에서 약 20°기울여 부하하였다. 원위부는 모든 방향에 대하여 움직임이 없도록 구속하였다. 유관나사의 삽입 위치에 따른 생체역학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각각의 유한요소모델에서 대퇴골두 및 유관나사에 발생하는 최대 응력(Peak Von-Mises Stress, PVMS) 및 평균 응력(Mean stress)를 비교 분석하였다. 총 10가지 유한요소 모델에서 PVMS, Mean stress는 정상인 Type 2(Anterior 8°)에서 대퇴골두 및 유관 나사 모두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골다공증 Type 4(Posterior 8°)에서 가장 높았다. 유관 나사의 위치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할수록 약 33%, 회전각도가 감소할수록 약 7% 증가하였으며, 골다공증 적용 시에는 평균적으로 11% 응력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퇴골 경부 골절에서 다발성 유관 나사 삽입술 시 축면상 대퇴골두 내 전방으로의 삽입이 응력 집중을 최소화하여 수술적 고정 안정성을 높이고 고정 실패의 위험성은 낮출 것으로 사료된다.

      •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음악과 협동학습 지도방안 연구 : 드뷔시의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을 중심으로

        이예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 중 하나는 문화의 다원적 가치 인식을 통해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소통능력을 지닌 인재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의 학교 교육에서 대부분의 교육방법은 지식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교육이 행해졌다. 사회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는 흐름에서 교육의 방법도 변화되어야 한다. 음악교과에서는 다른 교과보다 다른 문화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수업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협동학습이 이루어지는 교과 중 하나이다. 하지만 합주, 합창 등의 단순한 협동학습보다는 다원적인 협동학습이 되어야 한다. 계속해서 협동학습의 범주가 합주, 합창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학생들은 더 이상 음악교과에 대한 흥미를 갖지 못 할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바탕으로 하여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음악과 협동학습 지도안을 개발 하였다. 지도안은 제재곡 중심의 지도안으로 총 4가지 지도안이다. 첫째, STAD수업모형을 적용한 문화적 배경이해하기 지도안, 둘째, Jigsaw 모형을 이용한 제재곡 이해하기 지도안, 셋째, GI 모형을 이용한 음악신문 만들기 지도안, 넷째, TAI모형을 이용한 종합평가 지도안의 총 4가지의 지도안이다. 본 연구는 학생들은 비고츠키의 사회 문화적 구성주의 학습을 통해 다문화적인 면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문화와는 다른 문화를 이해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화적 배경으로 음악을 더욱 깊게 이해 할 수 있다. 또한 협동학습을 통해서 서로 소통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사고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본 지도안은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 있는 문화의 다원적 가치 인식을 통해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소통능력을 지닌 인재육성을 목적으로 지도안을 작성 하였다. 지금까지의 교육이 교사 중심의 교육 이였다면 현대사회의 교육의 주체, 중심은 학생이여야 한다. 지속적으로 행해지고 있던 교사중심의 수업을 한순간에 학생중심의 수업으로 바꿀 수는 없다. 교육이 현대사회에 맞게 변화하기 위해서는 교사, 학부모, 학생들의 인식이 변화해야 하며, 교사들은 다채로운 수업을 위해 많은 연구를 행하여야 할 것이다. One of the goals of the 2015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is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who have the ability to communicate and respect others through recognition of the pluralistic value of culture. However, until now most of the education methods carried out in school education were injecting and enforcing knowledge.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methods of education must undergo changes. In the music curriculum, there are many kinds of lessons in which students can understand the value of different cultures and requires cooperative learning more than other subjects. However, it should be more of cooperative learning with multiple aspects rather than simple cooperative learning such as concert and chorus. If the categories of cooperative learning continue to be focused on chorus and concerted music, students will no longer be interested in music subjects. Therefore, I developed a music and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based on Vygotsky 's social constructivist theory taking into account the goals of the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of 2015. The lesson plan consist of 4 lessons centering around the song of the chapter. There are 4 different lesson plans: first, the lesson plan for understanding the cultural background using the STAD instructional model; second, the lesson plan for understanding song of the chapter using Jigsaw model; third, the lesson plan for making music newspaper using GI model; fourth, the lesson plan for total evaluation using TAI model. In this study, students can comprehend a culture different from our culture by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aspects through learning Vygotsky's social constructivism in which the cultural background will enable them to understand music more extensively. Moreover,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one can learn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respect other’s opinion. Hence, this lesson plan aims to cultivate talented students with communication ability for respecting and caring for others through recognition of the pluralistic value of culture pursued in the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of 2015. Until now education was centered around the teacher whereas the center of education in the modern society should be the student. It would be difficult to change the teacher-centered class into a student-centered class overnight. In order to alter education suitable for the modern society,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must change their perspectives whereas the teachers should consistently study to develop variety of lesson plans.

      • 병리적 자기애의 웅대성 취약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부적응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

        이예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admiration and self-concealment in the relationship among pathological narcissism’s grandiosity, vulnerabil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Self-report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on 360 university students from Gyeonggi-do. In order to measure each variable, PNI(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 9 items selected from NPI(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SCS(Self Concealment Scale) and SNS addiction tendency scale wer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Followings are the brief summary of the result. First of all,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grandiosity, vulnerabil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as well as self-admiration and self-concealment. When partial correlation of grandiosity and vulnerability were conducted separately, differen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ere observed with other variables. Secondly,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self-admiration was found between grandios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Moreover, the results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of self-concealment between vulnerabil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grandiosity, vulnerability, self-admiration, and self-concealment contribute to the SNS addiction tendency. In addit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grandiosity and vulnerability have distinct pathway to SNS addiction. 본 연구에서는 병리적 자기애의 웅대성과 취약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자기제시, 곧 자기과시와 자기은폐가 나타내는 매개효과와 그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병리적 자기애 척도(PNI) 자기과시 척도(NPI), 자기은폐 척도(SCS), SNS 중독 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병리적 자기애의 웅대성, 취약성과 SNS 중독 경향성, 그리고 자기과시와 자기은폐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웅대성과 취약성을 각각 편상관하여 분석한 결과, 웅대성은 자기과시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취약성은 자기은폐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병리적 자기애의 웅대성, 취약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과시와 자기은폐가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웅대성과 취약성이 각각 다른 매개변인, 곧 웅대성은 자기과시를 통해, 취약성은 자기은폐를 통해 SNS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살아있는 미성년자의 장기기증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비교제도론적 연구 : 미국, 일본, 스페인을 중심으로

        이예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살아있는 자의 장기기증에서 특히 미성년자를 부적절한 장기적출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국내의 관련 법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살아있는 자의 장기기증에 대한 윤리적·법적 근거를 이론적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의 법제도를 국제기준 및 다른 나라의 제도와 비교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국제 합의문과 외국 제도에서 살아있는 미성년자의 장기기증 문제를 다룰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은 기증자로부터 진심성인 ‘진의’와 자발성인 ‘임의’에 의한 기증동의를 획득하는 것이었다. 외국의 경우 자발적 의사결정능력이 미흡하다고 판단되는 미성년자는 장기의 기증을 원천적으로 금지하거나(스페인 등), 기증의 금지를 원칙으로 하되 매우 제한적인 경우에 한하여 엄격한 절차를 거쳐 기증을 허용하고 있었다(미국, 일본 등). 우리나라는 가족을 개인보다 중시하는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미성년자가 장기기증을 결정하는 경우, 기증 당사자의 자기결정권과 기증의 자발성이 가족 내의 이해관계와 충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법적·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성년 기증에 대한 법적 기준을 재검토 하여 미성년자가 무분별하게 장기를 기증하게 되는 경우를 제거하고, 보호자 이외에 미성년 기증자의 권리를 대변할 수 있는 자가 기증결정과정에 참여하도록 하여 기증자가 가족으로부터 받는 기증의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기증평가항목에 기증 후 삶에 대한 대비와 관련한 내용을 추가하여 기증 후 겪게 되는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기증 후에는 예상 후유증의 치료를 보장하고 건강검진의 기간 및 범위를 확대하여 기증자에게 발생하는 신체적인 후유증이 정신적·사회적 건강에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기증자를 배려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solutions on legislation related to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in South Korea for protecting minor living donors from improper organ harvesting. For this, domestic legislation were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and international guidelines. This comparison is based on ethical and legal ground on living organ donation. Analysis shows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to deal with the matters about living minor donor in international consensus and foreign systems is obtaining consent for donation with authenticity and spontaneity. In cases of other countries, the minor who have a weak decision-making ability is banned to donate organs(as Spain) or can donate with strict processes in very limited cases(as USA and Japan). South Korea is influenced by the Confucian culture that considering family itself is more important than an individual. With this cultural factor, self-determination and spontaneity could come into conflict with family’s interest especially in terms of donation from minors. It also could bring ethical and legal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reexamination of the legal standard on minor donor is needed to avoid indiscriminate organ procurement. A person who is not parents but can advocate minor’s right should participate in determining donation so that the donor could be free of any pressure from family. Also, difficulties that donors will encounter after organ donation could be less by adding items about preparing life after donation in evaluation items. Expected aftereffects should be treated and the guaranteed period and range of health screening should be provided to living donor to prevent physical aftereffects impacting on psycho-soci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