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교 명상 프로그램 연구의 현황과 활용 실태

        김진섭(Jin-Seop Kim)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1

        국내 청소년기 학생들의 우울감과 자살률은 올라가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한 명상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는 증명되고 있으나, 명상 프로그램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분석·조사를 하였다. 첫째, 논문 분석을 위해 별도의 선별 과정을 거쳐 2010년부터 2022년까지의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 25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선정한 논문을 대상으로 활용한 명상의 종류, 근거한 명상 이론 및 프로그램, 성과 변인으로 나누어 표로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 명상의 종류로는 호흡명상이 25편의 연구 중 21편(84%)으로 가장 많았으며, 근거한 명상 이론 및 프로그램은 ‘MBSR 및 마음챙김 기반 프로그램’이 13편(52%)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성과 변인은 MBSR 및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논문 13개 모두에서 사회·정서 영역이 포함되었다. 둘째, 학교 명상의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서 H시 관내의 초·중·고등학교 중 47개교에 구글 폼을 활용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결과 학교 현장에서는 47개의 학교 중 13개교(27.7%)에서 명상을 활용하고 있었다. 분석 결과, 전문상담인력이 있는 학교일수록 명상을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시에서 전문상담 인력이 배치된 학교 25개교 중 명상을 활용한 학교는 12개교(48%)이며, 전문상담 인력이 배치되지 않은 학교 22개교 중 명상을 활용한 학교는 1개교(0.45%)에 불과했다. 그러나 설문 조사 시 전문상담 인력이 없는 학교의 경우에 진로상담교사나 임의로 선정된 교사에게 설문조사를 하였기 때문에 결과가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해석을 조심스럽게 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학교 명상 프로그램 연구의 현황과 실제적인 학교 명상의 활용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학교 현장에서 적합한 명상 프로그램을 정하고 실시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Depression and the rate of suicide of Korean adolescents are increasing. In this situation, the effectiveness of meditation programs about teens is being proved; however, the data on how this meditation program is used is lacking. Thus, this study is about the result of the following analysis and research. First, in order to analyze this study, 25 reports target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2010 to 2022 were selected and analyzed. A chart was created by dividing it into the kinds of meditation, based theories and programs, sexes and other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reathing meditation took the first place(85%) among the kinds of meditation. MBSR and mindfulness programs are the most researched theories and programs(52%). As performance variables, Social and Emotional factors are included in 13 reports based on MBSR and mindfulness. Second, so as to find out the reality of school meditation, a Google survey was conducted on forty-sev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H city. As a result, thirteen out of the forty-seven schools are using meditation. In addition, the more professional counselors a school has, the more mediation they use. Twelve of twenty-five schools with professional counselors are using meditation, and only one of twenty-two schools without professional counselors is using meditation.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sult will be different becau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career teachers and other teachers in case there was not a professional counselor at schoo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is study carefully. Lastly, this study is about the actual state of school meditation program studies and the actual application of school medit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determining and implementing meditation programs suitable for school situations.

      • 금강경 봉찬기도 참여자 현황 조사 연구

        손강숙(Kang-suk Shon),김성룡(혜묵)(Seong-yong Kim)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n detail the number of participants by region, the content of prayer, what they gained through prayer,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nts in the ‘Diamond Sutra prayer’, and to examin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Diamond Sutra prayer.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by directly collecting questionnaires from 3,073 Diamond Sutra prayer participants four times in July, August, September, and Octob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participants’ regions were Gyeongsang region (45.2%), Seoul metropolitan region (42.5%), Chungcheong region (6.4%), Gangwon region (3.2%), Jeolla region (2.3%), and overseas region (0.2%)., followed by the Jeju region (0.2%). Second, the contents of prayer were in the following order: health (26.6%), wish (20.6%), wealth (18.o%), and enlightenment (13.1%). Third, the things gained through prayer were in the order of health (23.8%), enlightenment (17.1%), wish (14.0%), and other (13.4%). Fourth,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prayer participation by region. Overall, the ratio of ‘very satisfied’ and ‘satisfied’ was high, and satisfaction with the August conference was the highest, while satisfaction with the October conference showed a tendency to slightly decrease. Looking at satisfaction by age, although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for each age, the overall ratio of ‘very satisfied’ and ‘satisfied’ was high in all age groups. Analyzing the monthly responses, we can see that satisfaction with the August conference was the highest, while satisfaction with the October conference tended to be slightly lo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about participants in temple-based Diamond Sutra prayers and provide basic data on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Diamond Sutra prayer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금강경 봉찬기도’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참여자들의 지역별 참여자 수, 기도의 내용, 기도를 통해 얻은 것, 그리고 만족도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073명의 금강경 기도 참여자를 대상으로 7월, 8월, 9월, 10월 총 4차례 질문지를 직접 수집하는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경상지역(45.2%), 수도권지역(42.5%), 충청지역(6.4%), 강원지역(3.2%), 전라지역(2.3%), 해외지역(0.2%), 제주지역 (0.2%) 순으로 참여하였다. 둘째, 기도의 내용은 건강(26.6%), 소원(20.6%), 재물(18.o%), 깨달음(13.1%)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도를 통해 얻은 것은 건강(23.8%), 깨달음(17.1%), 소원(14.0%), 기타(13.4%)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도참여의 만족도는 각 지역별로 미세한 편차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매우 만족’과 ‘만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8월 법회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10월 법회의 만족도가 조금 낮아진 경향을 볼 수 있다. 연령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각 연령별로 미세한 편차는 있지만 모든 연령대에서 전반적으로 ‘매우 만족’과 ‘만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월별 응답을 분석해보면, 8월 법회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월 법회의 만족도가 조금 낮아진 경향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찰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금강경 기도 참여자에 대한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금강경 기도 기획 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지공의 고려불교에 대한 영향 검토

        문소운(So-un Moon)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2

        고려불교는 원 간섭기에 티베트불교의 영향으로 승려의 결혼과 육식이 용인되는 비계율적인 양상을 보이게 된다. 이 시기 지공은 元 晉宗의 御香使 신분으로 고려를 방문한다. 지공의 無生戒와 印度禪을 통한 교화는 청정한 분위기로 쇄신되면서 혼탁한 고려불교에 충격을 준다. 이는나옹을 중심으로 한 고려의 선승들이, 지공이 원의 대도로 귀국한 후에도 지공을 찾는 계기가 된다. 나옹은 지공의 治命제자 즉 수제자인데, 이는 나옹이 공민왕 말년에 고려불교를 주도하는 위치에 오르는 한 중요한 계기로 작용한다. 물론 여기에는 나옹의 탁월했던 능력도 존재한다. 그러나 지공의 추모열기라는 상황도 나옹이 발탁되는데, 한 중요한 영향을 준 것은 틀림없다. 이는 지공의 영향이 고려불교에 얼마나 깊숙이 각인되어 있었는지를 판단해 보게 한다. 지공은 여말선초 불교계의 흐름을 바꿔놓은 중요한 인물이다. 이런 점에서 지공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는 한국불교의 이해를 위해서 필연적이다. 본고는 ① 원간섭기 티베트불교의 영향으로 인한 고려 시대의 혼탁한 양상, ② 지공의 戒律 受戒를 통한 교화와 고려에 끼친 영향, ③ 달마의 비견과 인도선을 통한 교화적 측면, ④ 지공과의 연관성 및 나옹의 사법계승, ⑤ 지공의 위상에 힘입어 고려 말 실질적인 1인자로 등극한 나옹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지공이 고려불교에 끼친 영향과 그의 유전에 대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Buddhism in Goryeo Dynast during the period of the Yuan intervention was influenced by Tibetan Buddhism, resulting in anti- sila-vinaya precepts in which monks’ marriage and eating meat were allowed. During this period, Jigong(指空 Śūnyâdiśya, 1300-1361) visited Goryeo as King Temür Jìnzōng (晉宗)’s messenger who lit incense to Buddha on behalf of the king. The enlightenment through Jigong’s Musaenggye(無生戒) and Indian Zen(印度禪) was transformed into a clean atmosphere, shocking the murky Goryeo Buddhism. With this as a momentum for Goryeo’s Zen monks, starting with Naong(懶翁), to look for Jigong after he returned to the capital of Yuan. Naong was the best disciple of Jigong, and this made him lead Goryeo Buddhism in the late years of King Gongmin. Of course, there was a reason that Naong had an outstanding ability. However, Naong was selected under the situation of enthusiastic memorial service for Jigong, which must had been an important impact. This allows us to determine how deeply Jigong’s influence was imprinted on Goryeo Buddhism. Jigong is an important figure in changing the flow of Buddhism in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Choson Dynasty. In this regard, a detailed review on Jigong is inevitable fo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Buddhism. This paper examines ① the murky aspects of the Goryeo Buddhism due to the influence of Tibetan Buddhism during the period of the Yuan intervention, ② the enlightenment by Jigong’s sila-vinaya, and its influence on Goryeo Buddhism, ③ the educational perspective through the comparison with Dharma and Indian Zen, ④ the connection between Jigong and Naong, and ⑤ Naong, who became the nominal head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anks to the status of Jigong. This provides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Jigong’s influence on Goryeo Buddhism and his inheritance.

      • 국가 재난 시 심리적 응급처치의 중요도와 실행도 연구: 불교상담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경희(보현)(Kyunghee Lee)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불교상담자를 대상으로 국가 재난 시 심리적 응급처치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고 국가 재난 시 심리적 응급처치 관련 교육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국가 재난 시 심리적 응급처치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불교상담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국가 재난 시 심리적 응급처치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불교상담자의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국가 재난 시 심리적 응급처치 교육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재난 시 심리적 응급처치의 영역별 중요도의 1순위는 ‘이해촉진하기 단계’, 실행도의 순위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1순위는 ‘상황안정화 단계’로 나타났다. 둘째, 국가 재난 시 심리적 응급처치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불교상담자의 인식의 차이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재난 시 심리적 응급처치의 중요도보다 실행도가 모두 낮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 재난 시 심리적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의 우선순위로는 내담자 심리적 안정 증진, 내담자 상황에 대한 이해, 내담자 이야기 경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불교상담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국가 재난 시 심리적 응급처치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고 국가 재난 시 심리적 응급처치 관련 교육에 필요한 요소들을 확인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level and implementation level of psychological first aid in case of national disaster and draw implications for psychological first aid related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Buddhist counselo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level of psychological first aid in a national disaster?,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Buddhist counselors on the importance level and implementation level of psychological first aid in case of national disaster. Third, what is necessary for education for psychological first aid in case of national disaster? The results and discussion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rder of importance level by area of psychological first aid in case of a national disaster, the first priority was the ‘promoting understanding stage’, and the second priority was the ‘situation stabilization stag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lementation level, the 1st priority was the ‘situation stabilization stage’, and the 2nd priority was the ‘promoting understanding stage’. Second, on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level of psychological first aid in case of national disast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Buddhist counselors on the importance level and implementation level of psychological first aid in case of national disaster, it was found that in all areas the level of implementation was lower than the importance level of psychological first aid in case of disaster.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at is needed for education for psychological first aid in the event of a national disaster, th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client, understanding of the client’s situation, and listening to the client’s story were deri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psychological first aid in case of a national disaster with a focus on the perception of Buddhist counselors, identifies the elements necessary for education related to psychological first aid in a national disaster, and draws its implications.

      • 불교수행자의 공감교육 프로그램 연구: 공감과 이타행동을 중심으로

        손강숙(Kang-Suk Shon)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1

        본 연구는 불교수행자를 위한 공감 교육 프로그램이 공감, 이타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불교수행자를 위한 공감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공감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불교수행자를 위한 공감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이타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교수행자를 위한 공감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 처치 후에 실험집단의 인지적 공감의 관점 취하기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둘째, 불교수행자를 위한 공감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 처치 후에 실험집단의 이타행동 중 도움 주기와 협력하기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상담을 전공하는 불교수행자를 대상으로 공감교육을 통한 공감 및 이타행동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empathy education program for Buddhist practitioners on empathy and altruistic behavior.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ll participation in the empathy education program for Buddhist practitioners affect empathy?, Second, will participation in the empathy education program for Buddhist practitioners affect altruistic behavio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empathy education programs for Buddhist practitioners on empathy,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aking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empathy of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rogram treatmen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empathy education programs for practitioners on altruistic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helping and cooperating among the altruistic behavi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rogram treat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 program to promote empathy education for Buddhist practitioners studying counseling and measured the effectiveness.

      • 불교상담에서의 믿음의 적용

        김태연(도생)(Tae-Yeon Kim)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1

        본 연구는 불교에서의 믿음을 불교상담에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데 있다. 불교 경전을 통한 믿음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어져 왔으나 불교상담과 연결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초기경전 가운데 주제별로 묶은 경전인『상윳따니까야』, 대승경전의 꽃인『대방광불화엄경』, 대승 논장의 입문서라고도 할 수 있는『대승기신론』에서의 믿음에 대하여 살펴본 뒤, 불교상담에 불교적 믿음의 적용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모든 경전에서 ‘믿음의 대상’은 불ㆍ법ㆍ승 삼보와 서원ㆍ보살행ㆍ제불공경공양ㆍ교화방편ㆍ선지식ㆍ중생ㆍ중생심ㆍ본각ㆍ일심 등이며 이는 모두 ‘불(佛)’ 하나로 귀결된다. 불교상담에서도 믿음의 대상은 상담자ㆍ내담자ㆍ상담기법ㆍ상담이론ㆍ상담경험ㆍ상담과정ㆍ고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ㆍ실천성ㆍ자기개방 등 다양하나, 모든 것을 각자 자신에게 내재된 ‘가능성’ 하나로 귀결시킬 수 있었다. 경전을 통해 본 ‘믿음’은 3악도에 떨어지지 않고 번뇌를 여의며 보리심을 발하고 마군을 항복받으며 마음에 흔들림이 없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게 한다. 믿음은 복덕과 지혜를 증장시키고 천상에 태어나게 하며 진실하고 잘 베풀며 대비심과 환희심으로써 반드시 여래지로 나아가게 하므로, 친구ㆍ동료ㆍ친지ㆍ혈육 등 지인들도 믿음을 낼 수 있도록 격려하며 이끌어 줘야한다. 불교상담에서도 자신의 ‘가능성’을 확고히 믿는 사람은 상담 과정의 모든 노력이 반드시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줄 것임을 알기에 믿고 실천한다. 실천을 통해 좋아지면 번뇌가 사라지고 지혜와 복덕이 증장하여 본래 청정한 마음을 스스로 경험하여 더욱 확고히 믿게 된다. 믿음을 바탕으로 한 불교상담으로 행복해지면 반드시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함께 행복한 믿음의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불교에서의 믿음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언택트시대의 사람들 마음 속 불신을 잠재우고 사회를 안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belief in Buddhism to Buddhist counseling. Research on faith through Buddhist scriptures has been steadily conducted, but no research has been linked to Buddhist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Buddhist belief to Buddhist counseling after examining the belief in the『Saṃyutta Nikāya』which is a scripture grouped by theme among the early scriptures,『(Buddha)avataṃsakasūtra』the flower of the Mahayana Sutra,『Mahāyāna- śraddhotpādaśāstra.』 which can be called the introduction of the Mahayana Sutr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bject of belief” in all scriptures is BuddhaㆍDharmaㆍSangha, Thriple Gem, Vows, Bodhisattva workship, offering to Buddha, means of enlightenment, good knowledge, the mind of all living beings, original enlightenment, whole heart, all of which result in one “Buddha.” In Buddhist counseling, the subject of faith is diverse, including counselors, counselors, counseling techniques, counseling theories, counseling experiences, counseling processes, and self-opening, but everything could be brought down to one “possibility” inherent in each. The “belief” seen through the Buddhist scriptures does not fall into the third evil spirit, frees from anguish, emits Bodhisattva mind, surrenders demons, and does not waver in the mind, so that it does not fear death. Belief increases blessings and wisdom, makes one born in the heavens, is give well and sincere, and surely advances to the Tathagata with a sense of metta and joy. So we should encourage and lead acquaintances such as friends, colleagues, relatives, and bloodshed so that they can build faith. Even in Buddhist counseling, those who firmly believe in their “possibilities” believe and practice that all efforts in the counseling process will surely help them get out of pain. If it gets better through practice, the anguish disappears and wisdom and virtue grow, and the original clean mind is experienced on its own and believed more firmly. If you become happy with faith-based Buddhist counseling, you must let people around you know and help them move on to a happy path of faith togeth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various studies are needed to calm distrust in the minds of people in the untact era and stabilize society by applying faith in Buddhism to various fields.

      • 에드워드 콘즈의 ‘무아(無我)’의 특징 -『불교의 길』을 중심으로

        배광식(Kwang-Shik Bae)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1

        본 논문의 목적은 『무아상경』및 여러 경론에 나타난 무아의 내용과 대비하여 에드워드 콘즈의 『불교의 길』에 나타난 무아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불교의 가장 독특한 특징은 ‘무아(無我)’라 할 수 있다. 『무아상경』은 붓다가 당시 재래종교와 사상계의 실아(實我) 곧 ‘상(常)·일(一)·주재(主宰)의 아(我)’에 대한 주장의 허구성을 연기법으로 혁파(革罷)함과 동시에 무아의 실천법을 제시한 것이다. 오온(五蘊)은 무상하니, 항상하기를 바라는 우리 마음에 무상함은 괴로움일 수밖에 없다. 괴로움을 원치 않으나 괴로울 수밖에 없다는 것은 우리 마음대로 주재(主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온은 상(常)·일(一)·주재(主宰)를 못 갖추었으니 무아(無我)인 것이다. 무상·고·무아를 철견(徹見)하고, 실제와 반하는 상락아견(常樂我見)에 대한 집착의 무명(無明)을 놓음으로써 고멸[苦滅, 해탈(解脫)]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삼법인은 무상·고·무아를 한 단어로 표현한 것으로, 불교역사를 통해 많은 경론에 수없이 등장하는 실천수행의 대상이자 목표이고, 불교와 비불교를 가르는 척도이다. 여러 경론에 나타난 삼법인은 무아상경의 내용을 변함없이 전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에드워드 콘즈의 저서 『불교의 길(Buddhism: Its Essence and Development)』은 불교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고, 각종 종교들과 철학과 관련하여 어떤 특징과 위치를 차지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양서이다. 『불교의 길』에서, 수행과 무아에 대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불교의 참가치는 일상적 삶에 끼치는 변화에 있고, 불교는 언행일치가 되어야 한다. 불교 모든 종파의 수행의 공통점은 해탈, 곧 열반(nirvāṇa)이 목표이며, 개아(個我) 실존에 대한 믿음을 소멸시켜 무아(無我)를 깨닫는 것이다. 각 종파의 차이는 목표 접근 방법의 차이(다양성)이다. 예로 지혜, 믿음과 헌신, 신통력으로 접근하는 등이다. 옛지혜학파와 중관학파는 지혜를 통한 해탈, 신앙불교는 믿음과 헌신을 통한 해탈, 유식파는 선정을 통한 우주 생명의 해탈을 구하고, 밀교는 주문, 의식을 위한 동작과 춤, 특별한 명상을 통한 신들과의 합일의 수행을 통해 해탈 곧 무아에 이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atta in Edward Conze’s “Buddhism: Its Essence and Development” in contrast to the contents of the anatta in “the Anatta-lakkhaṇa-sutta” and in various Buddhist scriptures. The most unique characteristic of Buddhism is considered to be ‘anatta’. The ‘Anatta-lakkhaṇa-sutta’ refutes the unreal nature of the concept of ‘atman’ namely, permanent individuality and sovereignty in traditional religions and philosophies, and presents the practice of ‘anatta.’ The impermanance of the “five aggregates” creates suffering for our minds that seek permanence. Despite not wanting to suffer but having to suffer means that we cannot preside at our disposal. Because the five aggregates don't have permanent individuality and sovereignty, they are anatta. By penetrating the three marks of existence (impermanence, suffering, and no-self) and by eliminating ignorance about the attachment to the false view that opposes reality as peramanence, pleasure and self, we can attain “nirvana,”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Buddhist practice. The three marks of existence (Pali tilakkhaṇa) include impermanence, suffering, and no-self. They can be found in many Buddhist scriptures in Buddhist history. They are the object and goal of Buddhist practice, and criteria for differentiating Buddhism from Non-Buddhism. Tilakkhaṇa appears in various Buddhist scriptures constantly conveying the contents of Anatta-lakkhaṇa-sutta as usual. Edward Conze’s book ‘Buddhism: Its Essence and Development’ is an amphibious book that offers a quick view of Buddhism and shows what characteristics and positions it occupies in relation to various religions and philosophies. In “Buddhism: Its Essence and Development”, the contents of practice and anatta are summarized as follows. Buddhism's real value lies in the change in daily life, and Buddhism must be consistent with its words and actions. What all Buddhist sects have in common is liberation, that is, nirvānā, the goal, and to realize anatta by extinguishing the belief in the existence of self. The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sects are the diversities in the goal approach. Examples include approaching with wisdom, faith and devotion, and divine power. The Old Wisdom school and Mādhyamika school seek liberation and anatta through wisdom, Faith Buddhism through faith and devotion, and Yogâcāra school through concentrative meditation, and Tantrism through spells, movements and dances for rituals, and unity with the gods through special meditation.

      • 남종선(南宗禪)의 감정 수용 과정과 타당성 검토

        염중섭(자현)(Jung-Seop Youm)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1

        인도불교는 인간이 감정에 휩쓸리는 것을 경계하고 감정의 절제 및 평정을 주장한다. 그런데 같은 불교임에도 불구하고 중국불교의 南宗禪은 감정의 긍정을 진정한 깨달음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는 단일한 종교 전통 안에서 변모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 결과이다. 본고는 남종선의 감정긍정이 중국문화 전통의 강남문화에 기반하고 있다는 흐름을 밝힌 것이다. 중국의 강남문화는 道家와『楚辭』를 바탕으로 해서, 漢族이 본격적으로 남하하는 東晉時代를 계기로 淸談으로 발전한다. 강남문화는 개인적인 주관성이 강한 정감주의의 면모를 보인다. 이와 같은 흐름을 계승·발전해서 완성시키는 것이 唐나라 혜능에 의한 남종선이다. 중국문화는 인도가 二元論에 기반하는 것과 달리 一元論을 배경으로 한다. 이로 인해 중국은 本性의 완전성과 唯心主義적인 관점이 강력하다. 남종선 역시 이와 같은 사상 배경을 기반으로 강남문화의 전통을 계승하는 것이다. 남종선은 佛性에 대한 자각으로써 頓悟를 강조하는데, 이러한 돈오의 근거는 불성의 완전성이다. 완전한 불성을 모든 인간이 본래부터 갖추고 있다는 것은 인간의 감정 역시 문제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감정의 긍정이다. 남종선의 감정긍정은 인도불교와는 다른 중국 전통에 입각한 불교 이해의 결과이다. 그리고 이는 인간의 주관성에 입각한 미학적 판단으로까지 연결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Indian Buddhism warns human beings not to be involved in emotions and urges to control the emotions, keeping temperance and composure. However, despite being the same Buddhism, Southern Zen Buddhism (南宗禪) of China presents the recognition of emotions as real enlightenment. This is a result beyond what can be transformed within a single religious tradi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flow that emotional affirmation of Southern Zen Buddhism was based on the Gangnam tradition of Chinese culture. The Chinese Gangnam culture was originated from Taoism and『Chosa(楚辭)』, and it developed into Cheongdam(淸談) since the period of the East Jin(東晉) Dynasty when Chinese Han tribe(漢族) began to move southward in earnest. The Gangnam culture had the aspects of emotionalism with strong personal subjectivity. This trend was succeeded and developed by Hyeneung of Tang Dynasty, who founded Southern Zen Buddhism. Chinese culture was based on Monism(一元論), while India based on Dualism (二元論). For this reason, China had a strong view of spiritualism and completeness of human nature. Southern Zen Buddhism also inherited the tradition of Gangnam culture based on this ideological background. Southern Zen Buddhism emphasized Dono(頓悟: sudden enlightenment) as an awareness of Buddhist nature(佛性), the base of which is the completeness of Buddhist nature. The fact that all human beings have the complete Buddhist nature inherently means that human emotions are also without problems. In other words, it is the affirmation of emotions. The emotional affirmation of Southern Zen Buddhism is the result of Buddhist understanding based on Chinese traditions different from Indian Buddhism. And it is noteworthy in that it leads to aesthetic judgment based on human subjectivity.

      • 온라인 불교교육에 대한 학습자 요구도 분석: FGI를 중심으로

        정지권(Ji-kwon Jeong)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2

        본 연구는 학습자의 온라인 불교교육 관련 요구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불교교육에 참여한 학습자 7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온라인 불교교육과 관련된 학습자의 요구는 ‘온라인 불교교육 이용 동기’, ‘온라인 불교교육 참여 경험’, ‘온라인 불교교육의 현장 활용가능성 증대를 위해 필요한 지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온라인 불교교육 이용 동기’에서 ‘불교공부에 대한 욕구’, ‘심리적 안정감 획득’, ‘도반들과의 소통’, ‘신행생활 욕구’, ‘비대면으로 인한 불교 콘텐츠 접근성 강화’가 도출되었다. ‘온라인 불교교육 참여 경험’에서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수업방식’, ‘다양한 수업 콘텐츠 활용’, ‘진도위주의 수업’, ‘구체적인 수업’, ‘비대면 수업에서의 소통’이 도출되었다. ‘온라인 불교교육의 현장 활용가능성 증대를 위해 필요한 지원’에서 ‘비대면 수업을 위한 시스템 개선 필요’, ‘매력도가 높은 비대면 콘텐츠 개발’, ‘소통 가능한 소그룹 활동 수업 개발’, ‘교수자와 학습자 간 소통 강화’, ‘비대면 불교 교육과정 체계화 필요’, ‘온라인 수업 평가 필요’, ‘비대면 상담에 대한 고려 필요’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 대상 요구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온라인 불교교육의 구성, 내용 및 방법에 대한 방향성 도출 및 불교 관련 연구방법의 다양화에 기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earners’ needs related to online Buddhist education.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with seven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online Buddhist education. Learners’ needs related to online Buddhist education were centered around ‘motivation to use online Buddhist education,’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nline Buddhist education,’ and ‘support needed to increase the field usability of online Buddhist education.’ From the ‘motivation for using online Buddhist education’, ‘desire to study Buddhism’, ‘acquiring psychological stability’, ‘communication with believers’, ‘desire to live a spiritual life’, and ‘strengthening accessibility to Buddhist content through non-face-to-face’ were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nline Buddhist education’, ‘various teaching methods through online’, ‘use of various class contents’, ‘progress-oriented classes’, ‘specific classes’, and ‘communication in non-face-to-face classes’ were derived. From ‘Support needed to increase field usability of online Buddhist education’ to ‘Need to improve system for non-face-to-face classes’, ‘Development of highly attractive non-face-to-face cont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small group activity classes’, ‘Instructors and learners’ ‘Strengthening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Need to systematize non-face-to-face Buddhist curriculum’, ‘Need to evaluate online classes’, and ‘Need to consider non-face-to-face counseling’ were identifi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d to deriving directions for the composition, content, and methods of online Buddhist education and diversifying Buddhism-related research methods by conducting a needs analysis of learners.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유형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심리적 고통의 매개효과

        정서련(Seo-Ryeon Jeong),안세윤(Se-Yun Ahn)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유형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고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중학생을 위한 상담적 개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N시에 위치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SPSS 23.0과 PROCESS Macro의 Model 4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t-검증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고통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고통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고통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basic data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middle school student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pai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 typ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adjustment. To this end, 389 students enrolled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N city were survey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t-test, an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23 and PROCESS Macro's Model 4.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parental attitude and school adjustment,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parental attitude. Second,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perceived psychological pain more than male students. Third, it was found that psychological pai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adjustment. Fourth, psychological pain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