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상현실 기반 항로표지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항로표지 인력 양성 방안 구축에 관한 연구

        이유신(Yushin Lee),박태준(Taezoon Park),윤명환(Myung Hwan Yun)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본 연구는 선박 운항자의 안전 운항을 위해 가상현실 기반의 항로표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항로표지와 관련된 전문인력을 효과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Background: 항로표지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해 해상에 설치된 인공시설물로써, 선박 운항자는 선박 주변에 존재하는 항로표지를 빠르게 식별하고 올바르게 인식함으로써 안전한 항로를 선택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선박 운항자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또한 해양 교통 시스템의 복잡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항로 표지 체계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양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Method: 본 연구는 크게 가상현실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와 전문인력 양성 방안 구축 연구로 구분된다. 먼저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경우, 보유한 선박 내 운항 보조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열악하며 항로 표지 식별과 인식에 보다 어려움을 겪는 고령의 소형선박 운항자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고령자를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 조사 및 가상 현실을 활용한 교육 컨텐츠 개발 관련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퍼소나 기법, 사용자 여정 지도 기법을 활용하여 컨텐츠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Rhinoceros 6.0와 Unity 3D를 활용하여 가상 현실 기반의 컨텐츠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전문인력 양성 방안 구축을 위해서는 국내 및 주요 선진국의 항로표지 관련 정책, 보유 전문 인력, 양성 체계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Results: 먼저,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가상 현실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고령의 선박 운항자의 특성을 대변하는 퍼소나 및 컨텐츠 시나리오를 각 2개씩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가상 현실 컨텐츠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외 인력양성 현황 비교를 통해 현 인력 양성 방안의 개선점을 파악하였다. Conclusion: 본 연구는 항로표지의 실수요자 및 제공자의 교육을 위한 총체적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추후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용성 테스트 및 보완을 통해 고도화 할 예정이며, 현재 운영중인 전문 인력 교육프로그램들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및 교육 전문가 자문을 통해 최종적인 인력 양성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Application: 본 연구의 결과는 항로 표지 분야뿐만 아니라, 그 외 유사 시스템의 교육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직간접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A preliminary study on the changes in attention level and seated postural behavior during sustained cognitive task

        Jaramier Cobrado Joibi(자라미엘),Yushin Lee(이유신),Yong Min Kim(김용민),Myung Hwan Yun(윤명환) 대한인간공학회 2018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11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preliminary study on the changes of attention level and seated postural behavior during sustained cognitive task. Background: Attention is one of the essential element which determines success of the activity. People spend most of their time in a seated posture in their work and strive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attention. However, prolonged periods of cognitive activities may decrease attention level. Attention level is widely measured through electroencephalography (EEG) signals, however, such method is costly and demanding. Method: Participants undergo prolonged and different levels of visual cognitive tasks. A pressure mat is used to obtain the real-time center of pressure (COP) data as the measure of body postural sway. Task performance, subjective workload, and postural chang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period and difficulty of task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diminishing of attention is related to the change of postural behavior. In addition, it was founded that task difficulty influences on both postural sway and frequently adopting posture.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potential to detect the attention level of an individual through their seated postural behavior. Application: It is applicable in measuring attention level using pressure sensor as an alternative of EEG.

      • 가전제품 조작부에서의 멀티모달 피드백에 대한 반응 시간 및 과업 부하 평가

        이경준(Kyung-Jun Lee),이유신(Yushin Lee),이중희(Joog Hee Lee),윤명환(Myung Hwan Yun)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멀티모달 피드백은 두 가지 이상의 자극을 통해 높은 직관성과 자연스러움을 제공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기본 요소이다. 이 멀티모달 피드백은 가전제품 조작 시에도 조작부나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된다. 그러나 다양한 채널을 통해 지속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면 사용자의 인지에 부담을 주고 제품의 선호에 영향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전 제품을 사용할 때 제공되는 멀티모달 피드백의 영향을 스마트폰을 통해 살펴보았다. 실험을 통해 피실험자에게 시각, 청각 및 촉각 자극을 결합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자극 조합에 따라 반응 시간과 작업 부하 및 선호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에서, 피드백의 조합에 따라 과업 수행 시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선호도, 주의 필요성 및 편의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시각적, 촉각적 및 청각적 조합을 결합한 피드백보다 시각 및 촉각 피드백 만 결합하는 피드백이 더 바람직하다고 응답되었다. 이러한 통해 가전 제품에 대한 제어피드백을 설계 할 때 단일 자극보다는 다중 자극을 제공하는 것이 더 좋지만, 적절한 피드백 제공을 위해 자극의 숫자와 유형을 선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Development of Affective Visual Quality for Vehicle Trunk using Affective Engineering

        Wonjoon Kim(김원준),Taebeum Ryu(류태범),Yushin Lee(이유신),Donggun Park(박동건),Myung Hwan Yun(윤명환) 대한산업공학회 2015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ffective variables for visual quality of vehicle trunk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ive variables and design variables of the trunks. By determining which design variables affect satisfaction of the trunk based on the relationship, design guideline can be suggested to improve the affective qualit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trunks. Background: As the importance of user satisfaction has been increasing in the product-use, affective engineering has become a key method to design a product for improving the user satisfaction. Method: Ten vehicles and thirt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e affective evaluation. The affective visual quality for the vehicle trunks was rated by the participants using 7-Likert scales and 100 point scales. According to the results, we developed the affective model of visual quality for vehicle trunk using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ive variables and conjoint analys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variables and satisfaction. Results: As the result of the conjoint analysis, Pad Color turned out to be the design variables that have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satisfaction of vehicle trunk. Different types of vehicle showed that the different design variables were used to describe the satisfaction of the trunk. Conclusion: By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trun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ive variables and design variables is determined. An evaluation model of the satisfaction vehicle trunk is sugges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Also, the combinations of design variables are expected to be applied on forecasting the affective visual quality of the vehicle trunk developed later. Application: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evaluation model of satisfaction can be further applied to other moving parts of vehicle such as hood and sunroof.

      • Development of Affective Visual Quality for Vehicle Trunk using Affective Engineering

        Wonjoon Kim(김원준),Taebeum Ryu(류태범),Yushin Lee(이유신),Donggun Park(박동건),Myung Hwan Yun(윤명환) 한국경영과학회 2015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ffective variables for visual quality of vehicle trunk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ive variables and design variables of the trunks. By determining which design variables affect satisfaction of the trunk based on the relationship, design guideline can be suggested to improve the affective qualit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trunks. Background: As the importance of user satisfaction has been increasing in the product-use, affective engineering has become a key method to design a product for improving the user satisfaction. Method: Ten vehicles and thirt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e affective evaluation. The affective visual quality for the vehicle trunks was rated by the participants using 7-Likert scales and 100 point scales. According to the results, we developed the affective model of visual quality for vehicle trunk using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ive variables and conjoint analys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variables and satisfaction. Results: As the result of the conjoint analysis, Pad Color turned out to be the design variables that have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satisfaction of vehicle trunk. Different types of vehicle showed that the different design variables were used to describe the satisfaction of the trunk. Conclusion: By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trun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ive variables and design variables is determined. An evaluation model of the satisfaction vehicle trunk is sugges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Also, the combinations of design variables are expected to be applied on forecasting the affective visual quality of the vehicle trunk developed later. Application: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evaluation model of satisfaction can be further applied to other moving parts of vehicle such as hood and sunroof.

      • PUI 의 조작 방식에 따른 감성 경험 비교연구

        유일선(Ilsun Rhiu),반상우(Sangwoo Bahn),이유신(Yushin Lee),송주봉(Joobong Song),윤명환(Myung Hwan Yun)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조작 감성을 정의하고, 각 조작방식이 다른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조작 감성 변수들과 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비교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문헌 연구, 전문가 리뷰를 통해 조작 감성에 주요한 감성 축 두 가지(Force 측면, Vibration 측면)를 선정하고 그에 해당될 수 있는 감성변수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감성 변수들을 요인 분석을 통해 각 차원에 맞는 감성 변수들을 그룹화하였다(Force: Softness, Elasticity, Heaviness, Smoothness; Vibration: Sharpness, Clearness, Rattle). 선정된 변수들을 바탕으로 물리적 인터페이스인 버튼, 터치 스크린, 조그다이얼의 감성 경험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물리적 인터페이스에서 중요한 감성 변수들이 달랐으며,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변수로는 ‘Clearness’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감성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ffective variables about control feeling of button, touch screen, jog dial, and explore their relationships with satisfaction of control feeling in order to compare each interface’s key affective experiences. In this study, two main dimensions (Force, Vibration) for control feeling of PUI and the elements of affective characterization of each dimension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expert review, and factor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ac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of affective characterization and satisfaction of control feeling, we conducted three evaluation experiments. All samples were designed using Latin square method to prevent any correl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ffective evaluation for button, touch screen, and jog di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affective experience of each PUI exist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understanding of affective experience for PUI especially in, button, touch screen, and jog d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