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일전쟁에 대한 인식과 재조명에 대한 고찰- 러일의 언론과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

        윤지원(Yun, Jiwon)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7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9 No.S

        이 연구는 기존의 정치군사적 관점보다는 한반도와 만주를 둘러싼 러시아의 동진정책과 일본의 대륙진출에 따른 제국주의 팽창에 의한 갈등과 충돌에 의해서 야기된 러일전쟁(1904-1905)과 그 이후 서로 다른 시각과 입장을 양국의 주요 언론과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당시 국가의 호명과 요구에 의하여 전쟁과 갈등의 ‘현장’에 배치되었던 사람들의 의식과 행위의 기반이 되었던 민족주의와 사회문화적 요인과 정책 결정에 어떤 상관관계가 인지에 대해 주력하였다. 결과적으로 러시아는 러일전쟁 패배이후 로마노프 왕조가 붕괴됐고 사회주의 혁명으로 이어졌다. 러시아 인민들과 지식인들이 짜르의 폭정에 대한 반발심을 바탕으로 반정부 활동이 활성화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직후에 발표된 스탈린의 담화문에서는 러일전쟁 이후 일본에 대한 적개심을 여실히 드러냈다. 반면 러일전쟁에서의 승리이후 일본에서는 국가와 대자본가들이 이득을 취한 것과는 달리 일반 민중들은 큰 고통을 강요받았다. 1905년 ‘히비야 폭동’과 1910년 ‘대역사건’과 같은 반발이 발생했지만, 일본은 조선을 만주와 시베리아 진출의 전초 기지로 삼아 제국주의적 방식으로 경제난을 해결하고자 했으며 사상의 경직화로 내면의 탄력을 잃은 채로 점차 군국주의의 길로 접어들었다.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usso-Japanese War (1904-1905) caused by conflict and collision due to the expansion of imperialism based on the continental introduction of Japan and Russia’s easting policy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and Manchuria, rather than from the existing political and military perspective, and also considered the main journalism and literature of the two countries in terms of their different views and situations after the Russo-Japanese War. At the time, the correlation of democracy and sociocultural factors that became the basis of the awareness and behavior of the people arranged in the ‘site’ of war and conflict by the country’s indication and demand became the main force of recognition on political decisions. As a result, the Romanov dynasty collapsed after Russia’s loss in the Russo-Japanese War, and led to the revolution of socialism. Anti-governmental activities increased based on the Russian people and scholars’ resistance toward the tyranny of the Tzar. In Stalin’s statement announced immediately after the victory in the Second World War, the hostility toward Japan after the Russo-Japanese War was vividly revealed. In contrast, the general public in Japan were demanded a great suffering unlike the country and large capitalists who gained profit after the victory in the Russo-Japanese War. There were resistances, such as the ‘Hibiya riot’ in 1905 and the ‘high treason case’ in 1910. However, Japan intended to resolve the economic crisis in an imperialistic method by using Joseon as the base of outpost of the advancement into Manchuria and Siberia, and gradually entered the path to militarism having lost the internal resilience due to the hardening of idea.

      • KCI등재

        화면에의 개입: 제임스 맥닐 휘슬러의 나비 서명

        윤지원(Yun, Jiwon) 서양미술사학회 2023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8 No.-

        본 논문은 19세기 영국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가 제임스 맥닐 휘슬러(James McNeill Whistler, 1834-1903)의 나비 서명에 관한 연구이다. 휘슬러는 유럽에서 성공한 미국인 예술가이자 당대의 이슈메이커라는 이유로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휘슬러의 나비 서명은 독특한 양태에도 불구하고 집중적으로 다뤄진 적이 거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선 휘슬러의 작품에서 나비 서명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화면 구성의 측면에서 살펴보려는 데에 그 목표를 둔다. 휘슬러가 거점을 두고 활동한 런던은 19세기 유럽의 자연 및 자연과학에 대한 관심의 진원지였다. 곤충을 포함한 자연물에 대한 흥미가 폭발적인 가운데, 특히 나비는 문학과 예술 전반에서 자주 사용되는 모티브로 여성의 패션에 도입되는 등 대중적으로도 크게 유행하였다. 휘슬러가 자신을 대표할 이미지로 나비를 선택한 것은 정신분석학적 해석을 따르면 휘슬러의 여성적인 성향으로부터 비롯한 것으로 보이며 한편으로는 아버지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새로운 자신을 창조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나비 서명은 이름의 약자를 이용한 추상적 형태에서 시작하여 점차 변형되어 그림 서명의 형태를 띠게 되었으며, 휘슬러의 작품에서 화면내 요소들과 동등하거나 때로는 그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등장 초기부터 나비 서명은 작품 속에 등장하는 자연물과의 접촉을 통해 화면 안의 회화적 개체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또한 휘슬러가 색채에 중점을 두고 화면을 구성하기 시작하자 화면의 균형을 완성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 기능하였다. 나비 서명은 작품 내의 한 요소로서 휘슬러가 추구하는 작품의 완결성에 일조하여 예술가의 자아를 적극적으로 실현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요지이며, 이를 통해 휘슬러의 작품 속 서명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utterfly signature of James McNeill Whistler (1834‒1903), a painter who was mainly active in the United Kingdom in the 19th century. Whistler has been stud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Europe. His butterfly signature, however, has rarely been the focus, despite its uniquenes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the butterfly signature in Whistler’s works, focusing on the layout. London, where Whistler was based, was the source of interest in natural sciences in 19th-century Europe. Butterflies in particular were a popular motif frequently used throughout literature and the arts. The butterfly signature plays a role equivalent to or sometimes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elements of Whistler’s work. Since it first appeared, the signature has blended in with natural objects in the paintings, exploring the possibilities as a pictorial entity on canvas. Moreover, as Whistler began to construct the canvas with a focus on colors, the butterfly signature served as a key element to complete the balance on the canvas. By contributing to the completeness of work pursued by Whistler, the signature fulfilled the artist’s ego inside the canvas.

      • KCI등재

        상비군 감축 시대 선진화된 예비전력 운용과 구축 방안

        윤지원 ( Yun Jiwo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21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9 No.3

        이 논문의 목적은 인구급감 시대 병력자원 감축이 불가피함에 따라 상비군을 보완할 수 있는 최정예 예비전력 운용과 과제를 제시해 봄에 있다. 이를 위해 예비전력의 개념과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국방개혁 2.0」을 중심으로 예비전력 정예화 추진 현황과 과제를 제시했다. 무엇보다 지속적인 상비병력 감축을 고려해본다면 현재 시행 중인 평시복무 예비군 제도를 보완하여 상시복무(Full-Time) 제도의 도입이 시급하다. 상시복무 제도 도입을 통해 전ㆍ평시 필요한 부족한 간부 문제를 해결하고 전투력 발휘를 보장하기 위해 관련 법 규정 및 개정과 보상 등이 선행돼야 한다. 또 예비군 훈련비의 적정 수준과 전력보강이 필요하다. 예비군 훈련 수당을 최저임금에 준하는 수당을 지급하고, 정부, 국방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여 예비군 복지정책을 꾸준히 추진해야 한다. 예비군 병력 축소를 보완할 수 있는 상비군에 준하는 무기체계 현대화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실제 전장과 같은 훈련장 구축과 ‘코로나-19’ 위기 상황과 같은 비전통적 안보 위협 대비 원격교육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보안과 제반 여건 조성이 요구된다. 아울러 전시에 전장에 투입할 수 있도록 상비군과 예비군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방안이 꾸준히 모색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비부대 하에 동원보충부대를 편성하고 상비부대와 연계하여 전시 임무수행 훈련이 가능해져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article is to suggest how to operate the best reserve force and examine challenges to supplement standing armies. This is necessary as the reduction of troop resources in South Korea is inevitable due to a sharp decrease in the population. To this end, it explores the concept of reserve forces and its development, and then presents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encouraging elite reserve forces focusing on 「Defense Reform 2.0」. Above all, considering the continuous reduction of standing forces,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a full-time military reserve system by supplementing the current peacetime reserve military system. Establishing and revising related laws and compensation should be a prerequisite to solving the problems of insufficient military officers needed in war and peacetime and to ensure combat capabilities. In addition, the appropriate level of reserve force training spending and military reinforcement are needed. Currently, the compensation for reserve forces training is inadequate, particularly when compared to the minimum wage. Reserve army training allowances equivalent to the minimum wage should be paid, and the governmen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local governments have to work together to promote policies for reserve army welfare. It is vital to modernize weapons systems suitable for standing forces to supplement the reduction of reserve forces, build training sites (such as actual battlefields us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create security conditions necessary to build remote education systems against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such as COVID-19. Ultimately, the government should seek ways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standing forces and reserve forces so that they can be deployed to the battlefield during wartim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dvanced elite reserve forc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supplementary mobilization units should be organized under the standing army and military exercises to perform wartime missions should be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the standing forces.

      • KCI등재후보

        ICT 기술 기반 반려동물 웨어러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분석

        윤지원 ( Jiwon Yun ),서인숙 ( Ihnsook Seo ) 서경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디자인 이노베이션 연구 Vol.3 No.0

        반려동물 인구 천만시대인 만큼 반려동물 관련 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변화로 예전과는 달리 반려동물을 가족 구성원으로 대하는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인식으로 양육자가 항시 반려동물의 행복을 확인하길 바라고 이와 같은 니즈에 맞춰 반려동물 양육에 관한 서비스가 발전되고 있다. 본 연구는 ICT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되는 반려동물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에 대한 고찰과 해당 디바이스와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외의 사례에 비해 국내 디바이스는 측정 정밀도가 비교적 낮고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주요 기능의 항목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을 통해 국내 반려동물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이에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의 발전 방향을 제안한다. As the number of pet owners is 10 million, the industry related to pets is growing greatly and due to the change in social perception of pets, unlike the past, more and more households are treating their pets as family members. With this perception, they want to make sure that their pets are always happy and this needs makes services for raising pets are being developed.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functions of animal wearable healthcare devices developed based on ICT technology and the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ose devices. As a result, domestic devices are lower measurement precision and the applications contain fewer functions than external cases. Through this analysis, it is suggested direction of progress that domestic pets health care devices and applications.

      • KCI등재

        탈냉전기 한국군의 파병패턴 변화에 대한 연구

        윤지원 ( Yun Jiwo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4 No.4

        한국은 1991년 유엔 회원국이 된 이래 분쟁지역의 평화유지 및 민주주의 수호, 전지구적 안보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재난 구호 활동에 대하여 우리 군을 파병함으로써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성실한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다. 실제로1991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에 대한 국제사회의 무력 대응 방침에 따라 다국적군의 일환으로 걸프전에 다국적군을 파병한 이래로, 2016년 까지 43,408명(연인원 기준)의 PKO와 다국적군을 파병하였으며, 2016년 6월 시점 기준 13개국에 1,118명의 우리 군 부대 및 장교가 파병(파견)되어 활동 중에 있다. 본 논문은 탈냉전 이후 우리 군의 파병을 평화유지활동(PKO), 다국적군, 군사협력 등의 파병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파병별 주요 특징을 배경, 파병규모, 주요 활동 순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어지는 파트에서는 우리 군의 해외파병이 군사 및 국익적 측면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아울러 파병 관련 국내 제도 분석을 통해 국력의 신장과 함께 파병에 대한 국제사회의 요구가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안정적이고, 예측가능하며, 정당한 법적 절차에 기반을 둔 파병관련 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 하였다. Since the year of 1991 when the Republic of Korea dispatched its troops for the first time, ROK dispatched 43,408 soldiers(year-based) to the pace-keeping operations for the purposes of peace-keeping operations in conflict areas. As of June 2016, the number of Korean army is 1,118 around 13 countries. This article reviews ROK army`s peace-keeping operations(PKO), multinational force operations, and military cooperation abroad: history and key features. It also seeks to assess its contribution in the aspect of military capability, national interest,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Lastly, this paper aims to suggest policy recommendations enabling legitimate, effective, timely, and predictable dispatch of Korean army for the purposes of PKO, multinational forces, and military cooperation.

      • KCI등재

        러시아 국방개혁의 구조적 특성과 지속성에 대한 고찰 : 푸틴 4기 재집권과 국가안보전략을 중심으로

        윤지원 ( Yun Jiwo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8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6 No.3

        이 논문은 2000년대 초반 집권이후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대통령의 리더십과 국가안보전략에서 가장 중요했던 국방개혁의 구조적 특성과 4기 재집권 동안의 지속성, 그리고 시사점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푸틴은 2008년 8월 러시아-조지아(Russo-Georgian War) 전쟁에서 초래된 군 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방안 모색을 위해 국방개혁을 본격적으로 단행했다. 러시아군의 21세기 변화된 전장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국방개혁은 병력 감축, 여단 중심을 군 편제 개편, 무기체계의 현대화와 작전 및 전투능력 향상 등에서 두드러진 성과로 이어졌다. 그 결과 러시아는 2014년 3월 우크라이나의 크림합병에서 전개된 고도의 ‘하이브리드 전쟁’(hybrid warfare) 방식으로 전환됐다. 이어 2015년 말부터 전개된 시리아 공습과 같은 일련의 대외정책에서 ‘신냉전’(New Cold War)으로 불리는 무력 개입을 통해 국방개혁의 성과와 군사전략적 우위성을 발휘하는 계기가 됐다. 이러한 국방개혁의 주된 성공요인은 푸틴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과 군 수뇌부들의 추진 의지를 통해 주권과 영토를 보존하고, 자국의 군사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방어형 대규모 군대에서 ‘공격형 기동군대’로의 탈바꿈과 국방예산의 증액을 통한 첨단무기 현대화의 꾸준한 추진에 기인한다. 푸틴 4기 집권이후에도 대내외적으로 현재와 같은 국방개혁을 통한 군의 현대화 추진과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에 대한 공세적 안보전략, 미사일 방어(MD) 확대 및 첨단정밀무기 개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확대에 대한 무력 강화, 사이버 및 정보전과 이슬람 무장세력(IS)와 같은 국제 테러리즘 등에 대응하는 공격형 전략 무기개발 및 군사안보전략을 유지할 것으로 간주된다. This article aims to intensively examine the driving force of military reform and the substantiality during the fourth presidential terms, which were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s leadership and national security strategies since the early 2000s, and to investigate its implications. Putin actively pursued military refor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military structure resulting from the Russo-Georgian War that broke out in August 2008 and seek solutions. Russian military reform to be adapted to the changed battlefield environment in the 21<sup>st</sup> century led to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force cutback, the reform of military system into a brigade, the modernization of weapon system, and the improvement of operational and combat capabilities. As a result, Russia demonstrated a highly advanced ‘hybrid warfare’ strategy in the annexation of Ukraine’s Crimean peninsula in March 2014. Russia also exhibited the achievements of military reforms and strategic superiority through the military intervention called a ‘New Cold War’ in a series of foreign policies such as air strikes in Syria that was launched from the end of 2015. Major factors behind the successful military reform are the preservation of sovereignty and territory through the top military commanders’willpower to put the reform into action under Putin’s strong leadership, the transformation from large-scale defensive armed forces to integrated offensive maneuver troops to cope with military security threats to the homeland, and the steady promotion of weapon modernization through budgetary expansion for national defense. Even after the Putin’s fourth presidential term, Russia is expected to pursue the military modernization through defense reforms, devise offensive security strategy against ‘America First’ policy, expand Missile Defense(MD) system, develop high-tech precision weapons, strengthen the military force against the expansion of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NATO), and maintain military security strategies to cope with cyber/information warfare and international terrorism by the Islamic State(IS) terrorist group.

      • KCI등재

        Tasks and Challenges for Enhancing the Korean Military’s Reserve Forces in the Era of Reduction of Standing Forces

        Yun Jiwon(윤지원)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21 전략연구 Vol.28 No.3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은 저출산 시대 “국방개혁 2.0”을 중심으로 상비군 감축을 보완할 수 있는 한국군의 예비전력 운용과 과제에 대해 제안해보고자 한다. 한국군의 예비전력 편성과 발전은 여타 국가들처럼 국가안보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다. 상비전력을 대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예비전력의 정예화는 “국방개혁 2.0”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 총체전력 차원에서 상비전력 감소에 따라 예비전력 강화를 위해서 상근과 비상근 복무 예비군 제도가 실질적으로 확대돼야 전‧평시 필요한 인력과 부족한 간부 문제를 해결하고 전투력 발휘가 보장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저출산 시대 가장 중요한 사안 중 하나는 예비군 편성과 적정 수준 유지 방안이며, 필수 예비군들을 선정하고 우수한 전투력을 발휘하도록 실전과 같은 과학화 훈련을 유지하고 교육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비전통적 안보위협 확대에 대비하여 예비군 원격교육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여건 조성에도 주력해야 한다. 동시에 예비군이 책임과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동원을 포함해서 예비전력을 담당할 정부조직 보강, 분산된 예비전력 관련 법령의 통합 등의 노력이 꾸준히 요구된다. 이로써 예비군의 정예화가 실현된다면 예비군들 스스로 싸울 수 있는 전사로서의 인식을 가질 수 있으며 현역과 동반전력으로서 국방의 중요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operations and tasks of the Korean army’s reserve forces to supplement standing forces, focusing on Defense Reform 2.0, as a reduction of standing forces is inevitable due to a sharp decline in the national population. Similar to other countries, the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reserve forces by the Korean military is implemented in terms of national security. The advancement of reserve forces capabilities to a level that can replace that of standing forces is one of the important goals of ‘Defense Reform 2.0.’ In order to strengthen the reserve power with the decline of standing forces, the full-time and part-time service system must be expanded to solve the problem of manpower and insufficient military officials needed during the war and peace time, and ensure to exert adequate combat power.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in the current stage of defense reform in the era of low birth rates is how to organize reserve forces and maintain an appropriate level of them. In terms of saving and concentration, it is very significant to select essential reserve forces, and educate and manage them by differentiating to demonstrate excellent combat power. It is urgent to ensure security and create the various conditions necessary to build a remote training system in preparation for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government organizations that will be in charge of reserve power, including mobilization, and to integrate the distributed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reserve power so that reserve forces can play their responsibilities and roles properly. If the advancement of reserve forces is realized as planned, they will be able to perform important duties of national defense with the active duty and all those who are nationals, active duty, and reserve forces are able to recognize themselves as warriors who can fight.

      • KCI등재

        동아시아철도 공동체 구상과 과제 : 한반도종단철도와 시베리아횡단철도 연결을 중심으로

        윤지원(Yun, Jiwon)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공공정책연구소 2020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Vol.6 No.2

        In his speech marking the 8.15 Liberation Day in 2018,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proposed to create the “East Asia Railway Community” of six East Asian countries and the U.S., which is the initiative to achieve peace and prosperity by pushing for projects on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focus on railway. Once the Trans-Korean Railway (TKR) between the two Koreas is complet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expects to be able to secure a logistics transportation network connecting the Korean Peninsula to the European continent by connecting the TKR to the Trans-China Railway (TCR), Trans-Siberian Railway (TSR), and the Trans-Mongolia Railway (TMGR). When it is connected to the Trans-Eurasia Railway, which is being promoted by the government, it will be connected to the continental railway through the Busan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the European continent, which means logistics and human exchanges will be in full operation.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plores the way to realize the initiative of the East Asia Railway Community in terms of functionalism and to resume the connection of Northern East Sea Line(Donghae Bukbuseon) that is a disconnected section on South Korean part at the central governmental level, as well as the role and limits of Busan at the local governmental level as a bridgehead of logistics transportation by connecting to the continental rail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