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글로벌새마을정신 실천에 관한 인식 연구

        권성민,김보민,최수경,최윤희,김규진,Kwon Sung-Min,Kim Bo Min,Choi Soo Kyung,Choi Yoon Hi,Kim Gyu Ji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5 글로벌교육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pre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Saemaul Undong, recognition of Saemaul spirit practic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rovide basic data to practice Saemaul spirit education suitable for infancy.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54 preschool teachers in several cities of South Korea to find out the levels of understanding Saemaul Undong and how much they feel the necessity of education relating to practice Saemaul spirit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t revealed that first, 68% of the respondents know the past Saemaul Undong and recognize it as a movement positively contributed to national growth. Second, 82.3% of the respondents do not know the recent Saemaul Undong (i.e., Second Saemaul Undong). However, they consented that it is necessary to uphold and develop Saemaul spirits. In addition, in order for spirits or values to be inherited through the second Saemaul Undong, cooperation, sharing and caring are ranked in order of important values. In particular, cooperation and caring are ranked as the most important Saemaul spiri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Third, it was revealed that 74.5% of the responding preschool teachers think practicing and educating Saemaul pirits are necessary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because it can be helpful for children to have good human nature, lifestyle habit, and learn how to contribute to a community life.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의 글로벌새마을정신 실천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유아교사 254명을 대상으로 새마을운동에 대한 기본적 인 이해를 알아보고, 유아기 교육에 있어서 글로벌새마을정신으로 거론되는 근면, 자조, 협동, 배려, 나눔, 봉사, 창조, 변화, 도전과 같은 요소의 중요성에 대한 유아교사 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응답자의 68%는 새마을운동에 대해서 알고 있었 으며, 새마을운동이 우리나라의 성장과 발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응답자의 82.3%가 글로벌새마을운동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세계화 시대를 살아 가는 오늘날 사회에서 새마을정신의 계승 및 발전은 필요하다고 하였다. 특히 유아기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정신은 협동과 배려라고 생각하였고, 응답자의 74.5%는 교육 현장에서 이와 같은 글로벌새마을정신의 실천과 교육이 필요하며, 그 이유는 올바른 인성 함양, 기본생활습관 형성, 공동체 생활 덕목 함양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부모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이영(Kim Yi Young),최윤희(Choi Yoon H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유아의 학부모 291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과 스마트폰 사용이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과 문제행동 및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의 스마트폰 인식은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폰의 사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의 스마트폰의 인식과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이었다. 셋째, 유아의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과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이었다. 넷째,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이었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스마트폰 인식은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을 통해 간접적으로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스마트폰 인식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을 통해 간접적으로 문제행동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을 통해 문제행동과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부모의 스마트폰 인식과 사용,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은 그들의 문제행동과 자기효능감에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arental perception of smart phone and parental smart phone using on children's smart phone us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self-efficacy to target 291 children's parents who use the daycare center. In this research, the first analysis, the parental perception of smart phone directly effects to parental smart phone using. Second, the parental perception of smart phone and the parental smart phone using directly effect children's smart phone using. Third, parental smart phone using and children's smart phone using direct impact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Fourth, children's smart phone using directly effect on children's self-efficacy. Lastly, the parental perception of smart phone indirectly effects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rough parental smart phone using and parental perception of smart phone indirectly effects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self-efficacy. Also parental smart phone using indirectly effects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self-efficacy through children's smart phone using. In conclusion, the parental perception and parental smart phone using, children's smart phone using directly or indirectly effect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self-efficacy.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intervention is needed for parental and children's mart phone using.

      • KCI등재

        글로벌 미디어 시대 부모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이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이영(Kim, Yi-Young),최윤희(Choi, Yoon-Hi)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6 글로벌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유아의 학부모 303명을 대상으로 부모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이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은 유아의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문제행동이었다. 넷째,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문제행동을 통해 유아의 자기 존중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은 유아의 문제행동을 통해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과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부모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문제행동을 통해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arental and children's smart phone using on children's self esteem to target 303 children's parents who use the daycare center. In this research, the first analysis, children's smart phone using directly effects to children's self esteem. Second, the parental and children's smart phone using directly effect to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ird, children's smart phone usi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s directly impact on children’s self esteem. Fourth, children’s smart phone using indirectly effect on children’s self esteem through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s and the parental smart phone using indirectly effect on children’s self esteem through children's problem behaviors. Lastly, the parental and children's smart phone using appeare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In conclusion, the parental and children's smart phone using directly or indirectly effect on children's self esteem through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s.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intervention is needed for parental and children's smart phone u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