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단경로문제에서 k개의 치명호를 찾는 방법

        안재근,정호연,박순달 한국경영과학회 1998 韓國經營科學會誌 Vol.23 No.4

        This paper deals with a mathematical model and an algorithm for the problem of determining k most vital arcs in the shortest path problem. First, we propose a 0-1 integer programming model for finding k most vital arcs in shortest path problem given the ordered set of paths with cardinality q. Next, we also propose an algorithm for finding k most vital arcs in the shortest path problem which uses the 0-1 integer programming model and shortest path algorithm and maximum flow algorithms repeatedly. Malik et al. proposed a non-polynomial algorithm to solve the problem, but their algorithm was contradicted by Bar-Noy et al. with a counter example to the algorithm in 1995. But using our algorithm. the exact solution can be found differently from the algorithm of Malik et al.

      • KCI등재

        업무상 질병으로 요양 승인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질병 특성

        안연순,임현술 대한산업의학회 2007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9 No.1

        목적: 이 연구는 1998년부터 2005년까지 8년 동안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서 업무상질병으로 요양 승인 된 사례를 분석하여 질병의 종류와 근로자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이들의 직업병 예방이나 산재보험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한국산업안전공단으로부터 근로복지공단에서 1998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산업재해로 요양을 승인한(요양급여 또는 유족급여 수령자)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전산자료를 받아 자료를 검토하여 전체 재해자 중 업무상질병자 66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에 대하여 성, 연령, 근속기간, 직종, 질병종류, 질병 발생원인, 업종, 사업장규모 등에 대한 기술분석을 시행하였고, 근속기간 및 직종 등 정보가 누락된 변수는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조사 통계팀에서 산업재해 원인분석을 위하여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결과: 업무상질병자 667명은 남성이 76.0%(507명), 여성이 24.0%(160명)이었다. 이 중 사망자가 10.3%(69명)이었다. 연령별로는 50대가 37.3%(249명)로 가장 많았고, 사업장 규모는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이 47.5%(317명)로 가장 많았다. 질병별로는 뇌심혈관계질환 등 작업관련성질환이 45.9%(306명), 감염성질환 등 직업병이 54.1%(361명)이었다. 직업병을 세분류하면 피부질환이 40.7%(147명)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감염성질환 36.3%(131명), 독성질환 11.1%(40명)의 순이었다. 감염성질환의 93.9%(123명)가 쯔쯔가무시병이었다. 직업병의 원인을 분류하였을 때, 생물학적인자가 88.6%(320명)로 가장 많았고, 화학적인자 8.0%(29명), 물리적인자 3.0%(11명)이었다. 종사업종은 임업이 66.7%(445명)로 가장 많았고, 어업은 6.1%(41명)이었다. 직종별로는 단순노무 종사자가 177명으로 전체의 75.3%로 가장 많았고, 특히 임업은 단순노무종사자가 151명으로 89.3%이었다. 다음으로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종사자가 24명,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10명의 순이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하여 최근 8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중에서 업무상질병으로 인정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 통계자료에서 알 수 없었던 내용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업무상질병의 특성을 요약하면 근속기간이 6개월 미만인 고연령 단순노무자에서 쯔쯔가무시병 등 감염성질환과 생물학적인자에 의한 피부질환이나 전신 독성 질환이 매우 중요한 직업병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고연령, 짧은 근속기간, 단순노무직 등의 특성은 산업보건의 사각지대에 있는바 향후 이들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업무상질병 예방을 위한 정책수립이 필요하다. Objectiv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diseases among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workers compensated under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that is operated by the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KLWC). Methods: Using the KLWC database, we collected667 cases of occupational disease compensated during the 8 years between 1 January 1998 and 31 December 2005.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diseases using the KLWC electronic data and the data investigat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Results: KLWC approved 667 cases, including 69 deaths (10.3%). Men accounted for 76.0%of the approved cases. The most common age group was 50~59 years of age (37.3%). The most common size of enterprise was 5 to 49 workers (47.5%). The proportion of occupational diseases was 54.1%, of which 45.9% was work-related. Among occupational diseases, the most common was skin diseases (147 cases, 40.7%), followed by infectious diseases (131 cases, 36.3%), including scrub typhus (123 cases) and intoxication (40 cases, 11.1%). The causal hazardous agents were biological (320 cases, 88.6%), chemical (29 cases, 8.0%), and physical (11 cases, 3.0%). The major type of industry and occupation were forestry (445 cases, 66.7%) and elementary (151 among 235 cases, 89.3%), respectively. Conclusions: Major compensated occupational diseases were infectious diseases, including scrub-typhus, skin diseases and toxic disease, which occurred among workers who were older, and had short tenure and elementary occupation, and these workers were out of the occupational health policy. A management policy must be established to prevent occupational diseases occurring in such vulnerable worker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업무상질병 발생 근로자의 특성 : 1999년 업무상질병으로 요양승인된 사례분석

        안연순,강성규,권현길,정호근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4

        목적 : 이 연구는 1999년 근로복지공단에서 업무상질병으로 인정한 사례를 정밀분석하여 직업병의 종류와 특성을 밝힘으로써 직업병 예방사업이나 산업보건연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 근로복지공단 주전산망을 통하여 재해일자가 199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근로자 중2000년 6월 30일까지 요양이 승인된 업무상 질병자2,333명을 파악하고 이 중 뇌심혈관계질환자 1,348명과 근골격계질환자 410명을 제외한 57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소속 사업장 또는 연구대상 근로자에 대하여 우편 또는 전화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업무상 질병자의 성, 연령, 질병 관련 작업기간, 질병 인지경위, 업종, 직종, 질병종류, 사업장규모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 후 기술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업무상 질병자 575명 중 남성이 511명(88.9%), 여성이 64명 (11.1%)이었다. 사망유무는 조사당시에 사망자가 56명(9.7%)이었고, 사망하지 않은 자가 519명 (90.3%)이었다. 연령별로는50~59세가 217명(37.7%)으로 가장 많았고, 질병관련 근무기간은 10년 이상 근무자의 비율이 49.0%로 가장 높았다. 질병인지경위는 소음성 난청, 진폐증, 이황화탄소 중독으로 인한 업무상 질병자를 제외하고 건강진단을 통하여 질병을 발견한 경우가 조 사자의 12.7%fl 불과하였다. 소속 사업장 규모는5인 미만 사업장이 26.1%로 1999년 당시 산재보험 임의가입 대상인 5인 미만 사업장에 소속된 근로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질병별로는 호흡기질환이 211명(36.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소음성 난청(이명 1명 포함)149명 (25.9%), 감염성질환 69명(12.0%), 유기용제, 중금속, 가스 등에 의한 중독성질환 60명(10.4%) 순이었다. 기타 피부질환 29명, 암 17명,양성종양(성대결절) 8명, 간장질환 9명, 일사병 및열사병 6명, 신경정신질환 5명, 신경계질환 4명, 안질환 3명, 혈액 ·골수질환 2명, 신장질환 1명, 기타2명이었다. 유해인자별로 분류하였을 때, 분진 209건(36.3%), 물리적인자 157건(27.3%), 화학적인자 89건(16.3%), 생물학적인자 82건(14.3%),작업판련성인자 34건(5.9%), 분류불능 4건으로 분진에 의한 업무상질병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종사업종은 제조업이 262명(45.6%)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광업 174명(30.3%), 기타 각종 행정기관 일용직 종사업이 42명 (7.3%), 의료업이 28명 (4.9%)이었다. 직종별로는 기능원 및 관련기능종사자가 285명 (49.6%)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139명 (24.2%), 단순노무종사자 72명 (12.5%), 전문가 28명 (4.9%), 사무종사자 IS명(2.6%), 기술공 및 준전문가14명(2.4%), 행정 및 경영관리자 8명(1.4%), 판매 및 서비스종사자 8명(1.4%), 미상 6명이었다. 결론 :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업무상질병으로 인정받고 있는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통계에서 알 수 없었던 내용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있었고, 인첫받는 사례의 상당부분이 산업의학적 관리의 주요 대상인 팡업이나 제조업 이외의 업종에서 발생하고, 근무조건이 열악한 일용직 근로자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또, 소음성 난청과 진폐증을 제외하고 업무상질병 승인자의 약 90% 가산업안전보건법상의 건강진단을 통하여 질병을 발견하기보다는 개인적인 병원방문을 통하여 발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작업병을 발견하기 위한특수건강진단 목적중 하나가 제대로 기능을 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으로 특수건강진단제도이 대한대상자 확대, 검사 항목 확대 등 제도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결과로 판단된다. 또, 병원근로자, 일용직 근로자 등 업무상질병 위험직종에 대한 업무상질병 예방대책도 조속히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diseases listed by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KLWC). Methods : Using the database of the KLWC, we collected 575 approved occupational disease cases occurring between 1 January and 31 December 1999 and approved by the thirtieth June in 2000.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sex, age, occupational history, kinds of occupational disease, exposure material, type of enterprises, etc.) of occupational disease using a mail survey and telephone interviews. Results : Men accounted for 88.9 %(511 workers) of the approved cases. 56 cases(9.7 %) died of occupational disease. The most common age group was 50∼59 years of age(n=217, 37.7 %). The proportion of workers with grater than ten years disease related working condition exposure were 195 (49.0 %). The majority of diseases were respiratory problems(211 workers, 22.4%), occupational healing loss(149 workers, 25.9%), infectious disease(69 workers, 12.0%), intoxication(60 workers, 10.4%), skin disease(29 workers, 5.0%) and cancer(17 workers, 3.0%). The causal hazardous agents were dusts(209 cases, 36.3%), physical agents(157 cases, 27.3 %), chemical agents(89 cases, 16.3 %), biological agents(82 cases, 14.3 %) and work-related agents (34 cases, 5.9 %). The major types of enterprise were manufacturing(262 workers, 45.6 %), mining and quarrying(174 workers, 30.3 %), public administration(42 workers, 7.3 %) and the health care Industry(28 workers, 4.9 %). The kinds of job included craft and related trades workers(285 workers, 49.6 %), plant or machine operators and assemblers(139 workers, 24.2 %), elementary occupations(72 workers, 12.5 %) and professionals(28 workers, 4.9 %). Conclusions : We were able to elucidate the kinds of occupational disea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rkers through this study. Many approved cases occurred among non-manufacturing and non-mining workers and the kinds of disease were varied. This suggests that management policy must be established to prevent occupational disease occurring among workers in the above type of industries.

      • KCI등재후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으로 요양승인된 사례 분석

        안연순,최용휴,강성규,정호근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2

        목 적 : 이 연구는 1999년 근로복지공단에서 업무상질병으로 인정한 근골격계질환을 정밀분석하여 질병의 종류와 특성을 밝힘으로서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예방사업이나 업무상질병 판정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방 법 : 근로복지공단 주전산망을 통하여 재해일자가 199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근로자중 2000년 6월 30일까지 요양이 승인된 업무상 질병자 2,333명을 파악하고 이 중 뇌심혈관계질환자 1,348명과 직업병자 575명을 제외한 근골격계질환자 41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소속 사업장 또는 연구대상 근로자에 대하여 우편 또는 전화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업무상 질병자의 성, 연령, 질병 관련 작업기간, 질병 발생원인, 업종, 직종, 질병종류, 사업장규모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 후 기술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근골격계질환자 410명 중 남성이 310명(75.6 %), 여성이 100명(24.4 %)이었다. 연령별로는 30-39세가 143명(34.9 %)을로 가장 많았고, 질병관련 근무기간은 1년 이상 5년 미만 근무자의 비율이 36.0 %로 가장 높았다. 소속 사업장 규모는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이 38.0 %로 가장 높았다. 종사업종은 제조업이 235명(57.3 %)을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운수업 46명(11.2 %), 건설업 25명(6.1 %) 순 이었다. 제조업 중에는 자동차 밑 트레일러 제조업과 운송장비제조업이 각각 58명, 35명으로 가장 많았다. 직종별로는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가 129명(36.5 %)을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단순 노무 종사자 90명(25,5 %), 기능원 및 관련기능종사자 63명(17.8 %), 서비스 종사자 28명(7.9 %) 순 이었다. 질병별로는 전체 424건 중 요부질환이 232건(54.7 %)이었고, 경부 및 상지질환이 183건(43.2 %), 하지질환이 9건(2.1 %)이었다. 요부질환자의 평균 연령은 36.5세, 평균작업기간은 4.7년이었고, 질병 종료는 요추간판탈출증이 134건(57.5 %)을로 가장 많았다. 질병 발생원인은 반복작업에 의한 경우가 54건, 비반복성 원인에 의한 경우가 89건이었는데 반복작업은 부적절한 작업자세로 인한 요통이 23건으로 가장 많았고, 비반복성 원인은 들기작업에 의한 요통이 27건으로 가장 많았다. 결 론 : 이 연구는 재해발생 시점과 조사시점이 많은 차이가 있어 근골격계질환과 관련하여 중요한 많은 항목들을 제대로 조사하지 못하였고, 특히 발생 원인은 약 70%만 조사가 가능하여 결과가 선택치우침에 의해 도출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업무상질병으로 인정받은 근골격계질환을 분석함으로써 연령, 성, 작업기간 등 질병 발생 근로자의 특성과 고위험업종 및 직종, 발생 원인 등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던 것은 나름대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as listed by the Korea Labor Welfare Corperation(KLWC) Methods : Using the database of the KLWC, we collected information from 410 approved occupational musculoskeletal disease cases, which occurred between 1 January and 31 December 1999 and were approved by 30 June in 2000.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ease using a mail survey and telephone interviews. The characteristics we investigated included : sex, age, disease-related working duration, process of disease occurrence, type of enterprises, etc. Results : Men accounted for 75.6 % (310 workers) of the approved cases. The most common age group was 30-39 years (n=143, 34,9 %). The mean disease-related working duration was 5.7 years, and the most commonly had a work-duration of 1-5 years (n=108, 36.0 %). The major industrial types of enterprise were manufacturing (235 workers, 57.3 %), transportation (46 workers, 11.2 %), and construction (25 workers, 6.1 %). With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most common was motor vehicles and trailers manufacturing. Within the group, the most common jobs were plant or machine operators and assemblers (129 workers, 36.5 %), elementary occupations (90 workers, 25.5 %), and craft and related trades workers (63 workers, 17.8 %). The majority of the diseases involved lumbar problems (232 cases, 54,7 %), neck and upper extremity diseases (183 cases, 43.2 %) and lower extremity diseases (9 cases, 2.1 %). In the cases of lumbar disease, the mean age and working duration was 36.5 years and 4.7 years, respectively. Fifty-four cases of lumbar diseases were due to repetitive work and 89 due to non-repetitive work. Bad posture at work was the most common cause for those doing repetitive woek(23 cases), and lifting the most common cause of problems in the non-repetitive work cases (27). Conclusions : We were able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kers with approvd occupational musculoskeletal disease through this study. Many approved cases occurred in women, and workers performing repetitive work, of these herniated nucleus pulposus occurred in many workers performing simple repetitive works without serious external forces. This suggests that a prevention policy for occupational musculoskeletal disease must be established, to focusing on the above-mentioned high-risk groups.

      • KCI등재

        최근 3년간(2001년∼2003년) 직업병으로 요양승인된 질병의 특성

        안연순,강성규,김광종 大韓産業醫學會 2004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6 No.2

        목적 :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최근 3년 동안 근로복지공단에서 업무상질병으로 인정한 사례를 정밀분석하여 직업병의 종류와 특성을 밝힘으로써 직업병 예방사업이나 산업보건연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 근로복지공단 주전산망을 통하여 요양 승인일자가 2001년 1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까지인 근로자 중 요양이 승인된(요양급여 또는 유족급여 수령자) 업무상 질병자를 파악하고 이 중 작업관련성 질병(뇌심혈관질환, 신체부담작업, 요통 및 기타 등으로 분류)을 제외한 4,240건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에 대한 조사는 근로복지공단의 전산자료를 검토하여 성, 연령, 업종, 직종, 질병종류, 노출 유해인자 종류, 사업장규모 등에 대한 기술 분석을 시행하였고 정보가 불확실한 경우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직업병진단 심의결과 보고서를 검토하여 내용을 보충하였다. 결과 : 직업병자 4,240건 중 남성이 3,925건(92.6%), 여성이 315건(7.4%)이었다. 이 중 사망자가 1,199건(28.3%)이었고, 사망하지 않은 자가 3,041건(71.7%)이었다. 연령별로는 50-59세가 1,433건(33.8%)으로 가장 많았고, 소속 사업장 규모는 50인 이상 300인 미만 사업장이 26.3%로 가장 높았다. 질병별로는 호흡기질환이 2,906건(68.5%)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소음성 난청(고막손상 1건 및 돌발성난청 14건 포함) 687건(16.2%), 감염성질환 238건(5.6%), 유기용제, 중금속, 가스 등에 의한 중독성질환 117건(2.8%), 피부질환 111건(2.6%) 순이었다. 기타 진동장애 58건, 암 41건, 비질환 22건, 일사병 및 한랭손상 16건, 신경계질환 12건, 간장질환 10건, 안질환 6건, 혈액질환 5건, 심장질환 4건, 감압병 3건이었고, 정신행동질환 및 신장질환이 각각 2건이었다. 유해인자별로 분류하였을 때, 분진 2,870건(67.7%), 물리적인자 770건(18.2%), 생물학적인자 301건(7.1%), 화학적인자 242건(5.7%), 중금속 51건(1.2%)으로 분진에 의한 업무상질병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종사업종은 광업이 2,708건(63.9%)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제조업 1,112건(26.2%),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159건(3.8%), 건설업 63건(1.5%)순이었다. 직종별로는 기능원 및 관련기능종사자가 2,622건(61.8%)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단순노무종사자 730건(17.2%),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327건(7.7%),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225건(5.3%), 전문가 138건(3.3%) 순이었다. 결론 :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업무상질병 중 직업병으로 인정받고 있는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공식 통계에서 광범위하게 제시되었던 유해인자 및 질병명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진폐증과 직업성난청을 제외하고는 인정받은 사례의 상당부분이 산업의학적 관리의 주요 대상인 광업이나 제조업 이외의 업종에서 발생하고, 특히 병원종사자나 공공근로 종사자에서 감염성질환이나 피부질환과 같은 질병이 많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진폐증과 직업성난청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함께 직업병 예방 연구 및 사업의 우선순위와 표적집단을 결정하는데 있어 이 연구에서 밝혀진 새로운 위험집단에 대한 대책이 수립되어져야 할 것이다. Ai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ccupational diseases compensated with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that is operated by the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KLWC). Methods: Using the KLWC database, we collected 4,240 cases of compensated occupational disease occurring between I January 2001 and 31 December 2003.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sex. age, type of occupational disease, exposure material, type of industry and occupation, etc.) of occupational diseases using the KLWC electronic data and compensated with the data of claimed cases investigat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Results: KLWC approved 4,240 cases, including 1,199 deaths (28.3%). Men accounted for 92.6% (3,925 cases) of the approved cases. The most common age group was 50-59 years of age (n=l,433,33.8%). The majority of diseases were respiratory diseases (2,906 cases, 68.5%), occupational hearing loss (687 cases, 16.2%), infectious disease (238 cases, 5.6%), intoxication (117 cases, 2.8%), skin diseases (111 cases, 2.6%) and cancer (41 cases, 1.0%). The causal hazardous agents were dust (2,870 cases, 67.7%), physical agents (770 cases, 18.2%), biological agents (301 cases, 7.1%), chemical agents (242 cases, 5.7%), and heavy metals (51 cases, 1.2%). The major types of industry were mining and quarrying (2,708 cases, 63.9%), manufacturing (1,112 cases, 26.2%), health and social work (159 cases, 3.8%) and construction (63 cases, 1.5%). The type of occupation included craft and related trades workers (2,622 cases, 61.8%), elementary occupations (730 cases, 17.2%), senior officials and managers (327 cases, 7.7%) and plant and machine operators and assemblers (225 cases, 5.3%). Conclusions: We were able to elucidate the kinds of occupational disea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rkers through this study. Many compensation cases occurred among non-manufacturing and non-mining workers, especially health care workers, and there were various kinds of disease. This suggests that a management policy must be established to prevent occupational diseases occurring among workers in the above types of industry.

      • KCI등재후보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폭로 근로자들의 생물학적 모니터링

        안연순,노재훈,김치년,박윤정,정상혁 大韓産業醫學會 1995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7 No.2

        Toluene diisocyanate(TDI) is widely used in the production of flexible polyurethane foams, as well as in the formulation of polyurethane paints and coatings. The commercial material is generally a mixture of 2,4- and 2, 6-TDI, the predominant mix being 80% 2,4 and 20% 2,6-TDI. The 2,4-isomer is considerably more reactive than the 2,6-TDI at ambient temperatures due to steric factors involving the positions of the isocyanate groups relative to the ring methyl group. Because of this difference in the reactivities of the isomers, it seemed probable that there might be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2,6-TDI offgased relative to the 2,4-isomer. Therefore a relative enrichment of the 2,6-TDI has been found in industrial atmospheres. Toluene diamines, which are metabolites of TDI, in urine have a linear relation with exposure to TDI, so that urianry TDA could be used as a biological index of the exposure to TDI.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DI isomer in industrial atmospheres and to propose proper biological monitoring method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nvironmental TDI exposure and concentration of TDA in urine. Concentrations of 2, 4-TDI and 2, 6-TDI in air were 4.38㎍/㎥ and 25.43㎍/㎥, respectively. The Threshold Limited Value of 40㎍/㎥ was exceeded for the 2, 6-TDI in about 46.8%(22 samples) of the samples, while the 2, 4-TDI was not at all exceeded. The ratio between 2, 4-TDI and 2, 6-TDI varied in air samples in the range of 2.4%:97.6%-51.0%:49.0%. There was an enrichment of 2, 6-TDI in air relative to the 2, 4-TDI. Concentrations of 2, 4-TDA and 2, 6-TDA in urine were 1.31㎍/g creatinine and 4.16㎍/g creatinine, respectively. The ratio between 2, 4-TDA and 2, 6-TDA varied in urine samples in the range of 1.4%:98.6%-99.9%:0.1%. There was an enrichment of 2, 6-TDA in urine relative to the 2, 4-TDA. No relation between the concerations of TDA isomer in urine and concerations of TDI isomer in air was found. Above results of this study, workers were more exposed to the 2, 6-TDI relative to the 2, 4-TDI in industrial atmosphere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TLV for 2, 6-TDI should be considered. Also, the further studies on biological monitorigs of workers exposed to TDI should be continued.

      • 임업인의 업무상재해

        안연순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9 東國醫學 Vol.1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rasp applying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IACI) of forestry worker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 (including occupational diseases) among them compensated under the IACI that is operated by the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KLWC). Using the Stat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by Ministry of Labor (MOL) and KLWC database,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 and occupational disease among forestry compensated during recent 10 years. Forestry workers were occupied 0.49% of workers enrolled in IACI. The industrial accident rate was about 3 times higher than that of entire industries. The results showd that there were some patterns in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of forestry: accident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older and short tenured workers; most of the accidents occurred from the elementary forestry labourers; the. most common type of accident was 'collision and drop of objects'; occupational diseases were more common than work-related diseases; major occupational diseases were skin diseases, infectious diseases, including scrub-typhus, and toxic disease. Major compensated industrial accidents were occurred among workers who were older, and had short tenure and elementary occupation. These findings identifi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decide the accident prevention programs among forestry workers. 이 연구는 임업 종사 근로자의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하 산재보험법) 적용실태를 파악하고,이들 근로자의 업무상재해 (업무상 사고 및 질병)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근로복지공단에서 최근 10년간 업무상재해로 요양승인한 임업 근로자의 특성을 노동부 발표 공식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근로복지공단에서 업무상 질병으로 요양승인한 임업 근로자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재해 근로자의 특성 및 재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임업 근로자는 산재보험 적용대상 근로자의 0.49%를 차지하지만 산업재해율은 전체 산업 종사자의 재해율에 비하여 약 3배 높다. 임업 근로자 업무상재해의 특성은 재해자의 직종은 단순노무직이 주이며, 고연령, 짧은 근속기간 근로자에게 집중되어 있고, 가장 많은 재해 발생 형태는 충돌 및 낙하이다. 직업병이 작업관련성 질병보다 많이 발생하며, 가장 중요한 직업병은 피부질환, 쯔쯔가무시병 및 중독이었다. 임업근로자에서 고연령,짧은 근속기간,단순노무직종에서 산업재해가 다발하므로 이들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산업재해 예방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이소시아네이트 노출 근로자의 천식에서 이소시아네이트 원인 점유율

        안연순,고동희,문기태 大韓産業醫學會 2007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9 No.4

        Objectives: Isocyanate-induced asthma is the most prevalent occupational asthma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tiologic fraction of isocyanate-related asthma in isocyanate- exposed (EFe) workers and to measure the magnitude of preventable occupational asthma. Methods: Asthma admissions from 2000 to 2005 were analyzed in a cohort containing 10,861 iso-cyanate-exposed workers and 324,618 isocyanate non-exposed workers who underwent the specialized health examination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4. The cohorts of Isocyanate and noise-exposed workers were established using the same data base of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Asthma admissions were investigated by match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 Data (NHICD). The standardized rate ratio (SRR) of admission was estimated by Poisson regression method to allow unbiased comparisons across exposure and other variables such as age and sex. The etiologic fraction for the isocyanate-exposed (EFe) workers was calculated using this formula (Efe=SRR-1/SRR). Results: Twenty-eight asthma admissions among the isocyanate-exposed workers and 321 non-exposed workers were observed during 2000∼2005. The crude admission rate was 57.2 per 100,000 person-years for the isocyanate-exposed workers and 25.0 for the noise-exposed workers, Compared to the noise-exposed workers, the isocyante-exposed workers had significantly higher asthma admission (SRR=2.80 95%CI=1.89∼4.14). The etiologic fraction for the isocyanate-exposed (EFe) workers was 64%. Conclusions: This study was limited by the restriction to admission cases and the short follow-up periods. Any difference of admission accessibility between the isocyanate-exposed and non-exposed workers will lead to either over- or under-estimation of the biased etiologic fraction for the isocyanate-exposed workers. The etiologic fraction for the isocyanate-exposed workers was 64% indicated that 64% of the asthma cases occurred in the isocyanate-exposed workers are preventable through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직업성천식원인물질인 이소시아네이트에 노출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들 근로자의 천식 중 이소시아네이트의 원인 점유율을 산출하는 것이다. 방법: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이소시아네이트 및 소음 특수건강진단을 받은 근로자의 전산자료를 한국산업안전공단으로부터 수집하였다(한국산업안전공단에 2000년부터 특수건강진단을 받은 근로자의 자료가 전산화되어 있음) 이들 근로자에 대하여 2000년부터 2005년까지 6년간 천식으로 입원한 근로자의 자료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조회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와 소음 특수건강진단 수진자에 대하여 관찰인년을 계산하고 조입원률을 계산하였다. 소음 특수건강진단 근로자를 비교집단으로 하여 포아송 회귀분석 로그- 선형 상대 위험률 모형을 적용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특수건강진단 수전자의 입원의 표준화비율비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소시아네이트 노출 근로자의 천식 중 이소시아네이트의 원인점유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이소시아네이트 노출 근로자의 조입원률은 10만 관찰인년당 57.2명(남성 50.4명,여성 113.0명),소음은 25.0명(남성 22.7명,여성 31.6명)으로 이소시아네이트 노출 근로자의 천식 조입원률이 2.3배 높았고,여성의 경우 3.6배 높았다. 소음 노출 근로자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 노출 근로자의 천식의 표준화비율비는 2.80(95% 신뢰구간 1. 89∼4.14)으로 소음 노출근로자에 비하여 이소시아네이트 노출 근로자의 입원이 180% 많았다. 이소시아네이트의 원인점유율은 64%(95% 신뢰구간 47∼76%)로 이소시아네트 노출 근로자에서 입원한 천식의 64%는 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이 연구에서 이용한 자료는 천식 입원자료로 유병자료라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특정 물질 노출군(특히 우리나라 직업성천식의 가장 흔한 천식 유발물질인 이소시아네이트 노출군)을 대상으로 천식 중 직업(노출)의 원인점유율을 측정한 것은 의의가 있다. 이 연구에서 이소시아네이트 노출군의 천식 중 노출 회피 등을 통하여 예방 가능한 부분이 64%이고, MDI 노출군의 천식의 상대위험도와 원인점유율이 TDI 보다 높다는 사실은 이소시아네이트 노출 근로자 산업보건관리에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 이 연구결과를 이소시아네이트 노출 근로자의 직업성천식 예방 및 산재 보상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벤지딘계 염료제조 사업장 근로자의 벤지딘 폭로

        노재훈,안연순,김규상,김치년,김현수 大韓産業醫學會 1995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7 No.2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benzidine exposure patterns of the workers in two benzidine-based dye manufacturing factories, the concentration of benzidine in air, blood and urine were measured. The air levels of benzidine dihydrochloride and benzidine-based dye were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ultraviolet detector.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3 hours after exposure and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end of shift. Blood and urine samples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chemical detector. The level of benzidine in reaction process (input, diazotization, and coupling) was 0.381±7950g/㎥. The blood benzidine was deteced in 25 workers among 38 in reaction process and their mean levels were 0.0153±.0376 ng/mg Hb. The urinary benzidine was detected for 11 workers among 38 workers in the reaction process. The level of benzidine-based dye in drying and packing process was 52.1748±14.4111g/㎥. The blood benzidine was deteced in 6 workers among 38 in drying and packing process and their mean levels was 0.0062±.0274 ng/mg Hb. The urinary benzidine was detected for 1 worker among 38 workers exposed to benzidine-based dye. The blood and urinary benzidine were detected in workers exposed to benzidine-based dye. Such results suggested that some part of benzidine-based dye was metaboized to benzidine. Therefore, some regulations for manufacturing and use of the benzidine-based dye are needed to prevent its hazards in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