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레어시스템에서 녹아웃드럼의 기‧액 분리효과에 관한 연구

        권현길(Hyun-Gil Kwon),백종배(Jong-Bae Baek),김상령(Sang-Ryung Kim) 한국가스학회 2021 한국가스학회지 Vol.25 No.3

        안전밸브의 배출물질을 처리하는 플레어시스템(Flare system) 중 녹아웃드럼(Knockout drum)은 안전에 있어 핵심설비이나 설치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사업장 및 규제기관이 수용 가능한 기준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녹아웃드럼의 국내 · 외 기준과 선행연구 미비점을 조사하여 대량방출 범위, 중간녹아웃드럼 설치위치, 방출물질 조성 영향에 대하여 우선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결과 공정모사(Simulation)조건에서 7,500kg/hr 미만의 소량방출은 기 · 액 분리가 완전하게 되었고 대량 방출은 중간 녹아웃드럼을 추가하였으나 분리효과가 적게 나타났다. 그러나 응축물질 조성을 증가(몰분율 10%)한 경우 대량방출에서 기 · 액 분리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녹아웃드럼을 공정설비에 인접 설치한 것보다는 스택에 인접 설치한 경우에 기 · 액 분리효과가 더 크게 분석되었다. Among the flare systems that handle discharged substances from safety valves, the knockout drum was a key facility for safety, but the installation standards were not clear, so it was necessary to review the standards acceptable to the workplace and regulatory agencies. After investigating the domestic and foreign technical standards of knockout drums and the deficiencies of previous studies, research was first conducted on the degree of mass discharge,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intermediate knockout drum, and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discharged material. As a result of the study under the process simulation conditions, the gas-liquid separation of the knockout drum was completed in a small amount of less than 7,500kg/hr. However, when more than that was released, the gas-liquid separation effect was small even with the addition of an intermediate knockout drum. In addition, when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material easily condensed was increased (molar fraction 10%), the gas-liquid separation effect of the knockout drum increased in the case of mass release. The gas-liquid separation effect was analyzed to be greater when the knockout drum was installed adjacent to the stack than the knockout drum was installed adjacent to the process equipment.

      • KCI등재

        저밀도 폴리에틸렌 분진의 폭발특성 분석

        백종배,권현길,오경석,서동현 한국화학공학회 2023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61 No.1

        Ensuring safety in the designing of manufacturing and handling facilities for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is difficult because there are no standards for the dust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LDPE. In this study, a dust explosion test was performed on two dust samples collected from a bag filter (LDPE 1) during the LDPE manufacturing process and sedimentary dust (LDPE 2) leaked outside a facility such as a silo, and the LDPE 2 explosion test results were summarized. Particle size analysis showed that the volume-based particle diameter (median) was 95.04 μm and the number density was 0-1 μm. The maximum explosion pressure (Pmax) was 6.6 bar, and the maximum rate of explosion pressure rise was 366 [bar/s] at 1500 g/m3. Accordingly, the dust explosion index (Kst) was 99.4 bar·m/s, which was confirmed as ST-1 grade. Moreover, the minimum ignition energy and minimum ignition temperature was 10 mJ and 450℃, respectively. Currently, manufacturing and handling design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values of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However, as the test results show that LDPE 2 dust has a higher risk than HDPE (particle diameter 61.6 μm), caution is required when using the HDPE design criteria in the LDPE manufacturing process. 저밀도 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LDPE)은 분진폭발 관련 특성치에 대한 기준이 제시되고 있지 않아제조 및 취급설비의 안전한 설계가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LDPE 제조공정 중 Bag Filter에서 채취한 분진(LDPE 1)과Silo 등의 설비 외부에 누설된 퇴적 분진(LDPE 2)에서 채취한 2개 시료에 대하여 분진폭발 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중LDPE 2 분진에 대하여 요약하였다. 입도분석 결과, 체적기준 평균입경은 95.04 μm, 수밀도는 0~1 μm로 나타났다. 최대폭발압력(Pmax)은 6.6 bar, 최대폭발압력상승속도는 1500 g/m3에서 366 [bar/s]로 분진폭발지수(Kst)는 99.4 bar·m/s로ST-1 등급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최소점화에너지는 10 mJ이며 최소점화온도는 450℃로 나타났다. 현재, 제조 및 취급 설계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특성값을 기초로 한다. 그러나, 시험 결과 LDPE 2 분진이 HDPE(입자지름61.6 μm)보다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LDPE 제조공정에서 HDPE 설계기준을 적용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업무상질병 발생 근로자의 특성 : 1999년 업무상질병으로 요양승인된 사례분석

        안연순,강성규,권현길,정호근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4

        목적 : 이 연구는 1999년 근로복지공단에서 업무상질병으로 인정한 사례를 정밀분석하여 직업병의 종류와 특성을 밝힘으로써 직업병 예방사업이나 산업보건연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 근로복지공단 주전산망을 통하여 재해일자가 199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근로자 중2000년 6월 30일까지 요양이 승인된 업무상 질병자2,333명을 파악하고 이 중 뇌심혈관계질환자 1,348명과 근골격계질환자 410명을 제외한 57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소속 사업장 또는 연구대상 근로자에 대하여 우편 또는 전화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업무상 질병자의 성, 연령, 질병 관련 작업기간, 질병 인지경위, 업종, 직종, 질병종류, 사업장규모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 후 기술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업무상 질병자 575명 중 남성이 511명(88.9%), 여성이 64명 (11.1%)이었다. 사망유무는 조사당시에 사망자가 56명(9.7%)이었고, 사망하지 않은 자가 519명 (90.3%)이었다. 연령별로는50~59세가 217명(37.7%)으로 가장 많았고, 질병관련 근무기간은 10년 이상 근무자의 비율이 49.0%로 가장 높았다. 질병인지경위는 소음성 난청, 진폐증, 이황화탄소 중독으로 인한 업무상 질병자를 제외하고 건강진단을 통하여 질병을 발견한 경우가 조 사자의 12.7%fl 불과하였다. 소속 사업장 규모는5인 미만 사업장이 26.1%로 1999년 당시 산재보험 임의가입 대상인 5인 미만 사업장에 소속된 근로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질병별로는 호흡기질환이 211명(36.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소음성 난청(이명 1명 포함)149명 (25.9%), 감염성질환 69명(12.0%), 유기용제, 중금속, 가스 등에 의한 중독성질환 60명(10.4%) 순이었다. 기타 피부질환 29명, 암 17명,양성종양(성대결절) 8명, 간장질환 9명, 일사병 및열사병 6명, 신경정신질환 5명, 신경계질환 4명, 안질환 3명, 혈액 ·골수질환 2명, 신장질환 1명, 기타2명이었다. 유해인자별로 분류하였을 때, 분진 209건(36.3%), 물리적인자 157건(27.3%), 화학적인자 89건(16.3%), 생물학적인자 82건(14.3%),작업판련성인자 34건(5.9%), 분류불능 4건으로 분진에 의한 업무상질병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종사업종은 제조업이 262명(45.6%)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광업 174명(30.3%), 기타 각종 행정기관 일용직 종사업이 42명 (7.3%), 의료업이 28명 (4.9%)이었다. 직종별로는 기능원 및 관련기능종사자가 285명 (49.6%)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139명 (24.2%), 단순노무종사자 72명 (12.5%), 전문가 28명 (4.9%), 사무종사자 IS명(2.6%), 기술공 및 준전문가14명(2.4%), 행정 및 경영관리자 8명(1.4%), 판매 및 서비스종사자 8명(1.4%), 미상 6명이었다. 결론 :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업무상질병으로 인정받고 있는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통계에서 알 수 없었던 내용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있었고, 인첫받는 사례의 상당부분이 산업의학적 관리의 주요 대상인 팡업이나 제조업 이외의 업종에서 발생하고, 근무조건이 열악한 일용직 근로자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또, 소음성 난청과 진폐증을 제외하고 업무상질병 승인자의 약 90% 가산업안전보건법상의 건강진단을 통하여 질병을 발견하기보다는 개인적인 병원방문을 통하여 발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작업병을 발견하기 위한특수건강진단 목적중 하나가 제대로 기능을 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으로 특수건강진단제도이 대한대상자 확대, 검사 항목 확대 등 제도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결과로 판단된다. 또, 병원근로자, 일용직 근로자 등 업무상질병 위험직종에 대한 업무상질병 예방대책도 조속히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diseases listed by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KLWC). Methods : Using the database of the KLWC, we collected 575 approved occupational disease cases occurring between 1 January and 31 December 1999 and approved by the thirtieth June in 2000.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sex, age, occupational history, kinds of occupational disease, exposure material, type of enterprises, etc.) of occupational disease using a mail survey and telephone interviews. Results : Men accounted for 88.9 %(511 workers) of the approved cases. 56 cases(9.7 %) died of occupational disease. The most common age group was 50∼59 years of age(n=217, 37.7 %). The proportion of workers with grater than ten years disease related working condition exposure were 195 (49.0 %). The majority of diseases were respiratory problems(211 workers, 22.4%), occupational healing loss(149 workers, 25.9%), infectious disease(69 workers, 12.0%), intoxication(60 workers, 10.4%), skin disease(29 workers, 5.0%) and cancer(17 workers, 3.0%). The causal hazardous agents were dusts(209 cases, 36.3%), physical agents(157 cases, 27.3 %), chemical agents(89 cases, 16.3 %), biological agents(82 cases, 14.3 %) and work-related agents (34 cases, 5.9 %). The major types of enterprise were manufacturing(262 workers, 45.6 %), mining and quarrying(174 workers, 30.3 %), public administration(42 workers, 7.3 %) and the health care Industry(28 workers, 4.9 %). The kinds of job included craft and related trades workers(285 workers, 49.6 %), plant or machine operators and assemblers(139 workers, 24.2 %), elementary occupations(72 workers, 12.5 %) and professionals(28 workers, 4.9 %). Conclusions : We were able to elucidate the kinds of occupational disea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rkers through this study. Many approved cases occurred among non-manufacturing and non-mining workers and the kinds of disease were varied. This suggests that management policy must be established to prevent occupational disease occurring among workers in the above type of industries.

      • 수소충전소 구축 계획 여부에 따른 수용성 모델링 비교 및 분석

        하선영(Seonyeong Ha),이미정(Mijeong Lee),권현길(Hyungil Kwon),백종배(Jongbae Baek) 한국가스학회 2021 한국가스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현재 우리나라 에너지는 95%를 수입하여, 국제가격 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따라서 높은 의존율을 줄이기 위하여 신에너지 개발이 필요하다. 그중 수소는 지구상 70% 물질로, CO2 배출량이 전혀 없어 전 세계적으로 주목하고 있는 물질이다. 이에 대해 우리나라도 2019년 1월‘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로드맵에 따르면 수소충전소 구축 계획은 2022년까지 310기였으나, 21.04.12 기준으로 57기가 구축되어 목표달성이 어려운 실정이다. 수소충전소 구축이 지연된 이유 중 지역 주민의 반대가 가장 큰 문제이다. 이는 수소충전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정책 이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대중들의 찬반 인식 또는 태도를 수용성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수소충전소 구축 유무에 따른 주민들의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주민수용성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전문가 의견 등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수소충전소 구축 유무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수소충전소 구축계획이 있는 A 지역, 구축계획이 없는 B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SPSS를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을 하였으며, LISREL(10.20)을 사용하여 두 지역의 사적 및 공적 수용성에 미치는 요인들의 모델을 비교분석 하였다. COVID-19로 인해 충분한 표본 수를 확보하지 못하였으나, 지역 및 표본 수를 확대하여 적용한다면 수소충전소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