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家兎의 肺炎菌 案內炎에 對한 人蔘 및 Steroids 投與의 影響에 關한 實驗的 硏究

        林良洙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77 충남의대잡지 Vol.4 No.2

        The experimental endophthalmitis was obtained by the injection of pneumococcus into the anterior chamber of the rabbit's eyes and the effects of ginseng and steroids were observed. In one group, ginseng extract(50 mg/kg)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for 6 days. In another group, dexamethasone (0.1mg/kg) was injected intramuscularly and prednison? ophthalmic ointment used topically for 6 days. All groups were treated with atropine and Colimycin-T? ophthalmic ointment topically for 8 days. The eyes were examined clinically and histopathologically. The Characteristic pictures of changes of pneumococcal endophthalmitis were stromal edema of the cornea by slit lamp biomicroscopic exami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ginseng injection group, the stromal edema of cornea was snore aggravated than control group. 2. In steroids injection group, the stromal edema of cornea was more aggravate than control group. 3. There was no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changes in the ginseng injection group and steroids injection group.

      • 별불가사리(Asterina pectinifera)의 난자형성 과정 중 난모세포 표면의 미세구조적 변화 : Mu¨ller and Troschel

        이양림,한지원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1994 생명과학연구논문집 Vol.5 No.-

        별불가사리 난자형성 중 난모세포(직경 7-170㎛) 표면의 구조적 변화를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직경 25-155㎛의 난모세포에서 'endocytosis'와 관련된 구조인 coated pit, coated vesicle과 내포소낭이 존재하였으며, 내포소낭은 난황립과 융합하였다. 특히, 이러한 융합은 직경 130-155㎛의 난모세포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난자형성 초기에 난모세포의 미세융모는 세포막을 따라 무질서하게 분포하고, 인접한 세포와 맞닿아 있었다. 직경 15㎛에서 65㎛에 이르는 난모세포는 세포막 부위에 따라서 미세융모의 굵기와 길이, 그리고 형태가 다르게 나타났고, 직경 100㎛ 이상의 난모세포에서는 잘 발달된 미세융모가 난황층에 존재하였다. 여포세포로부터 나온 돌기는 직경 7㎛의 난모세포와 난자형성 후기의 난모세포에서 난황층을 뚫고 세포막과 닿아 'junctional complex'를 형성하였다. 이와같은 난모세포 표면의 다양한 구조적 변화는 난모세포의 세포막을 통한 물질투과 기능의 분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Ultrastructural changes at the surfaces of oocytes (7-170 ㎛ in diameter) during oogenesis of Asterina pectinifera were studied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Coated pits, coated vesicles and endocytic vesicles were confirmed in oocytes ranging from 25 ㎛ to 155 ㎛, suggesting that endocytosis may be involved in oogenesis of A. pectinifera. Endocytic vesicles are fused with forming yolk granules and the fusion is the most active at the stage later than 130 ㎛ diameter. Microvilli are randomly distributed at the surface of oocyte in the early stage and make contact with the microvilli of the other cells. In oocytes ranging from 15 ㎛ to 65 ㎛, microvilli are varied in thickness, length and configuration, whereas microvilli are well developed between vitelline coats in oocyte greater than 100 ㎛. Follicle cell processes were observed to reach the membrane of oocyte through the vitelline coat and to form a junctional complex at the 7 ㎛ stage and the late stages of oogenesis. From observations it is evident that there are a few structurally-varied types in transporting yolk precursors, suggesting that structural differences may reflect functional differentiation during oogenesis.

      • KCI등재후보

        4년제 간호대학(과) 실습 비 및 실습기자재 표준안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신경림,박경숙,안양희,정승교,서연옥 성인간호학회 2003 성인간호학회지 Vol.15 No.2

        To describe the states of the laboratory facilities, equipment and expenses for practice in a four-year nursing schools and to analyze mandatory requirements for laboratory facilities and equipment. Method: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49 of the 4-year nursing schools across the n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by e-mail. The return rate were questionnaires was 63.3%(n=31). Result: In 2001 the total expenses for laboratory practice were 21,865,230won and the average per student was 102,418won. Types of laboratories included single and complex. The mean size for laboratories was 318.7 m^2 and mean size for laboratories for fundamental nursing was 161.1m^2. The range for number of students in a laboratory class was 20-30 for eight universities(30.8%). Among required laboratory equipment, items that were mercury and aneroid sphygmomanometers for children, electronic sphygmomanometers. Bell type fetal stetho-scopes, sheepskin, beds for children, for gynecology, and electronic hilo beds. Among the elective equipment, items that were deficient in 50% of the universities were O^2 tents, and incentive spirometers. The number of items that needs to add to the equipment and 22 for elective equipment. Conclusion: A standardized mandatory list of equipment for laboratory facilities and expenses for practice in 4-year nursing schools needs to be developed.

      •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의 난자형성 단계에 따른 Vitellogenin의 선택적 이동

        이양림,고경희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1995 생명과학연구논문집 Vol.6 No.-

        참개구리의 난모세포에서 난자형성단계에 따른 vitellogenin(VTG)의 이동이 난모세포막에 의하여 조절될 것이란 생각에 기초하여 단계에 따른 VTG 이동량의 변화와 난모세포막의 변경이 VTG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VTG의 이동은 난자형성과정중 특히 초기난모세포에서 가장 활발하였고, 중기 및 말기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bovine serum albumin은 모든 단계의 난모세포에서 이동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난자형성과정중 난모세포내로의 VTG 이동은 단계특이적이고 선택적임을 알 수 있었다. 난모세포막의 막단백질을 trypsin으로 제거시키거나 막단백질의 당잔기를 wheat germ agglutinin(WGA)으로 포화시키든가 혹은 endoglycosidase F로 당잔기를 제거시킨 결과 VTG의 이동이 급격히 억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난모세포의 막단백질이 VTG 이동에서 수용체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강하게 암시하였다. Changes in transport of ^125I-labeled vitellogenin into the oocytes during oogenesis were studied in connection with the stage-specificity of the transport and correlation of the transport to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the oocyte membrane. Vitellogenin isolated from estrogen-treated females was found to be transported most actively into the oocytes of specific protein, was not incorporated into the oocytes of any size class. The stage=specific transport of vitellogenin appears to be controlled by membrane proteins, since the incorporation was greatly reduced when the proteins were digested by trypsin. Carbohydrate residues of the membrane proteins appear to play a very significant role in transferring vitellogenin into oocytes, since the transport of vitellogenin was blocked by saturating with wheat germ agglutinin or by removing with endoglycosidase F. The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 selective transport of vitellogenin into the oocytes of specific stages during oogenesis is mediated probably by vitellogenin receptors, which are proteins in chemical nature.

      • 시대에 따른 청소년 망상의 변화

        김양태,임효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2

        연구목적: 저자들은 지난 30년 동안 입원한 청소년 정시병 환자 중 망상이 분명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시대적 변화와 청소년 문화의 변천에 따른 망상의 유형 및 내용의 변화를 알아보고, 청소년 환자에서의 망상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경북대학교병원에 입원하였던 청소년 정신병 환자 중 망상이 분명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977년 1월 1일부터 1978년 12월 31일 사이에 입원한 환자 39명, 1987년 1월 1일부터 1988년 12월 31일 사이에 입원한 환자 41명, 그리고 1997년 1월 1일부터 1998년 12월 31일 사이에 입원한 환자 44명에 대한 망상의 주제 및 내용을 비교하였다. 결과: 1) 망상을 나타낸 환자들은 70년대말, 80년대말, 90년대말 세 군 모두 남자의 비율이 여자보다 약간 높았고, 18∼21세 사이의 군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비종교군의 비율이 종교군보다 높았고, 부모가다 살아있는 군이 가장 많았다. 학력은 고등학교가 가장 많았으나, 90년대말이 되면서 대학교 학력을 가진 비용이 증가하였고, 출생순위는 70년대말과 80년대말에서는 중간이 가장 많았으나, 90년대말에서는 장자가 가장 많았다. 2) 망상의 유형은 시대에 따라 의미있게 증가하거나 감소한 것은 없었고,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인 것은 피해망상, 관계망상, 과대망상 순이었다. 망상의 내용은 친구들 주제로 한 망상의 출현빈도가 가장 많았고,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3) 남녀별 차이점은, 남자의 경우 관계망상의 출현빈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친구들 주제로 한 망상의 출현빈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초능력을 주제로 한 망상의 출현빈도가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여자의 경우 과대망상의 출현빈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초능력을 주제로 한 망상의 출현빈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4) 연령별로 보면, 18∼21세 경우는 피해망상의 출현빈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친구를 주제로 한망상의 출현빈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12∼147세에서 15∼17세, 18∼21세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망상의 종류 및 내용에 다양해지고 있었다. 결론: 시대에 따른 청소년 문화의 변천은 청소년 정신병 환자의 망상의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판 20항목 Toronto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K)의 개발과 타당도

        이양현,임효덕,이종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최근 감정표현불능증은 정서조절의 장애(disorder of emotion regulation) 또는 정신생물학적 조절이상(psychobiological dysregulation)으로 재개00념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측정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장애를 검사할 타당도와 신뢰도를 인정받은 도구가 없는 실정이었다. 그래서 TAS가 개발되고 뒤이어 TAS-R이 개발되었으며, 새로이 TAS-20이 개발되어 여러 나라에서 신뢰도 및 타당도를 인정받았다. 그리하여 저자는 TAS-20을 문화와 언어가 다른 한국의 실정에 맞게 번역을 하여 한국에서의 타당도를 검정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판 20항목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K)의 특징적인 세가지 요인에 따른 감정표현 불능증의 전반적 차원을 확정적 요인 분석으로 검사하였다. 대상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에 재학중인 의학과와 간호학과 학생 388명(남자 216명, 여자 1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확정적 요인 분석에서 TAS-20K의 타당도가 독일, 미국, 캐나다에서의 연구 결과보다 더욱 높게 나왔다. 다만 #5 항목은 우리 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할 때 “나는 어떤 문제를 단순히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보다는 그 문제의 이유를 이해할려고 노력하는 편이다.”라는 내용으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검사가 더욱 다양한 연령군이나 사회경제적 배경 및 다양한 종류의 질환군을 표본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한국형 척도의 개발을 위해서는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 또는 우리 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이 본 연구를 통하여 강조되었다. Alexithymia has been reconceptualized as a disorder of emotion regulation or psychobiological dysregulation in humans, and various measur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se measures have been found to lack adequate reliability and /or validity. So, Taylor and others initially developed the TAS, and later developed an improved version of the TAS(the TAS-R). More recent studies led to further refinement of the TAS-R,and to the introduction of a 20-item version(the TAS-20), which has demonstrat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several countries. The aim of the this study was to translate the English questionnaire of the TAS-20 into Korean, so that it will be applicable to Korean society. Next, the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TAS-20K. This study tested a general dimension of alexithymia with a three factor-model in the TAS-20K,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ubject were 388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216 males and 172 females in the medical and nursing school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this study, we found the Korean version of the TAS-20 to be replicable and valid.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tudy revealed more valid results than the ones obtained in Germany,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Finally, this research should also assess samples of various age groups or various kind of patients The author stres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cultural difference between the East and West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in developing a korean version of foreign scales.

      •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 난자형성 단계에 따른 난황막 구조와 단백질 성분의 변화

        이주영,이양림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1992 생명과학연구논문집 Vol.3 No.-

        참개구리의 난자형성 단계에 따른 난황막의 구조적 변화와 막단백질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난자형성에 따른 난황막의 기능적 분화의 기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난황막의 구조적 변화는 난자형성에 따른 미세융모의 수와 모양의 변화로 확인되었다. 그 수가 초기에는 적으나 중기에 증가하고 말기에 다시 감소하며, 그 모양도 처음에는 길고 가늘지만, 나중에는 짧고 굵어진다. 막단백질은 wheat germ agglutinin에 대해서만 특이하게 반응을 보이는 당단백질로서 작은 난모세포(직경 100-800 ㎛)와 큰 난모세포(직경 1800㎛)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분자량은 106KD,60KD,34KD과같이 어느 단계에서나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단백질이 존재하는 반면에 특히 작은 난모세포의 난황막에서만 찾아 볼 수 있는 130KD,125KD,90KD,28KD, 26KD과 같은 단계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막단백질도있다. 이와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난황막단백질은 난자형성단계에 따라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Vitelline envelopes of Rana nigromaculata were studied with respect to the changes in struc-ture and membrane proteins in order to see a possibility of fuctional differentiation of the envelopes during oogenesis.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envelopes were confimed by observ-ing variation of the number and shape of microvilli. The number of microvilli is relatively constant at the early stage, but increases at the intermediate and decreases at the late stages. Compositional changes of the vitelline envelopes were confimed by the difference of glycoproteins of the vitelline envelopes between the small(100-800㎛ in diameter) and the large oocytes(1800 ㎛ in diameter). Whereas proteins such as 106KD,60KD,34KD exist at both staes, proteins of 130KD,125KD,90KD,28KDand 26KD are specific to the small size class. The observation suggests that the vitelline envelopes functionally differentiate during oogenesis.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자연살해세포 활성

        김병창,정성훈,임효덕,최종혁,전정희,전양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8 신경정신의학 Vol.47 No.5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 association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altered immunity m North Korean defectors who were more likely to develop medical conditions and other stress-related psychiatric disorders. Methods : Twenty-four North Korean defectors with PTSD and twenty-two controls without PTSD were recruited from the resettlement and training center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Peripheral T lymphocyte subsets, natural killer(NK) cells, NK cell activity and plasma hormones (ACTH and cortisol) were obtained from all subjects. We also applied the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AM-D) and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 (HAM-A) for all subjects. Results : We found NK cell activity was relatively lower than number of NK cells in North Korean defectors with PTSD. Subjects with PTSD had higher HAM-D and HAM-A scores than control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ACTH. cortisol, CD3, CD4, CD8, CD4/CD8 ratio, CD19 and CD56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North Korean defectors with PTSD show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impaired or weak immune function in NK cells.

      • SCIESCOPUSKCI등재
      • PM_(10) 개인노출과 공중이용시설내 농도에 관한 연구

        김만구,정영림,임양석 江原大學校 附設 環境硏究所 1998 環境硏究 Vol.15 No.-

        PM_(10)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measured in underfround stores located in 4 major cities, Chuchon, Wonju, Donghae and Sockcho, in Kangwon-Do using scattering light integrated type digital dust indicator. Personal exposure to PM_(10) for two women(housekeeper and granduate stuent) and a man(undergraduate student were measured also. The dimensional conversion factors for mass concentrations(K) showed some difference among underground stores which were 2.0,2.7,3.4,2.6㎍/㎥·CPM in chunchon, Wonju, Donghae and Sockcho, respectively. Average PM(10) concentrations at underground stores were 178㎍/㎥ in Chunchon, 141㎍/㎥ in Wonju, 125㎍/㎥ in Donghe and 59㎍/㎥ in Sockcho. The portion of PM_(10) in total suspended particles was about 50~60 % as weight. The exposure of graduate student, housekeeer and undergraduate to PM_(10) during 12 hours were 1004.3(㎍/㎥)·hr, 907.0(㎍/㎥)·hr and 691.2(㎍/㎥)·hr, respectively. Personal exposure to PM_(10) showed ver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ctivity parttern and they had more than 90% of their PM_(10) exposure at indoor envi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