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mpact of Shared Leadership on Team Work Engagement

        Tae-Seob Yoo(유태섭),Sang-Jin Oh(오상진)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9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근무자를 대상으로 팀 수준에서 공유리더십의 효과성을 연구하는데 있어 지금까지 국내에 별로 소개 된 바 없는 팀 변수인 팀긍정심리자본과 팀직무열의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공유리더십이 팀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공유리더십과 팀직무열의간의 관계에서 팀긍정 심리자본(Team PsyCap)의 매개효과 그리고 공유리더십과 팀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에서 직무특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 16개 기업 100개 팀의 구성원 42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과 통계처리를 위하여 SPSS23.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높은 공유리더십 수준은 팀의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 과정에서 팀의 긍정심리자본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유리더십이 팀긍정심리자본을 촉진하고 팀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그러나 공유리더십과 팀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직무특성의 조절효과는 지지 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가 주는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를 논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t the team level,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eam work engagement and team psychological capital which have rarely been introduced into academic leadership research in Korea. This study tested the impact of shared leadership on team work engage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team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also, this study tested moderating role of task characteristics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eam psychological capital. A total of 421 employees of 100 teams in 16 companies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in this study to analyze and statistically process the collected survey data. The result showed that high level of shared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 team work engagement and team PsyCap works as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eam work engagement. This results means that shared leadership is a crucial factor to facilitate team’s psychological capital toward team’s work engagement. However, Task characteristics had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eam PsyCap.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have been discussed along with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 KCI등재

        The Effect of Perception of Creating Shared Value (CSV) Activity on Job Satisfaction of Non-permanent (Part-time) Employees

        Heekyung-Jo Min(민희경),Tae-Seob Yoo(유태섭),Sang-Jin Oh(오상진)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5

        본 연구는 기업에 근무하는 비정규직(시간제) 근로자를 대상으로 기업의 CSV 활동에 대한 인식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CSV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는 국내 대기업에서 시간제 근로자로 근무하고 있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총 559부가 사용되었으며, 통계분석 방법은 SPSS 25.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의 CSV활동에 대한 인식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특히, CSV활동 인식과 조직몰입, 그리고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도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역시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함의하는 바는 기업의 CSV활동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바, 향후 기업에서는 다양한 영역에서 CSV활동을 진행하고, 비 정규직 조직 구성원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제도와 조직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perception of creating shared value (CSV) activity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non-permanent (part-time) employe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SV.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55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SPSS 25.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at perception of corporate CSV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non-permanent(part-time) employees. In particular,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ption of CSV activ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lso had a positive effec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erception of corporate CSV activity plays a crucial role in the current service landscape.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companies conduct a range of CSV activities and create an inclusive system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at encourages active participation of non-permanent employees.

      • KCI등재

        Effects of Collective Leadership on Follower’s Work Engagement

        Kiseong Um(엄기성),Tae-Seob Yoo(유태섭)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근무자를 대상으로 집합적 리더십의 효과성을 연구하는데 있어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열의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집합적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집합적 리더십과 직무열의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그리고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열의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 7개 기업 23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과 통계처리를 위하여 SPSS21.0과 M-Plus6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집합적 리더십은 종업원의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 과정에서 종업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집합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촉진하고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종업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종업원의 자기효능감은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가 주는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를 논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leadership and employee’s work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This study tested the impact of collective leadership on employee’s work engage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also, this study tested moderating role of self-efficacy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work engagement. A total of 237 employees in 7 companies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PSS 21.0 and M-Plus6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in this study to analyze and statistically process the collected survey data. The result showed that collective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 employee’s work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works as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leadership and employee’s work engagement. This results means that collective leadership is a crucial factor to facilitate employee’s psychological empowerment toward employee’s work engagement. Self-efficacy had moderating effect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work engagement.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have been discussed along with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