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rea’s International Relations as an Autonomous Discipline : The Long Road to Its Globalization

        Sung-Hack Kang(강성학)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0 국제관계연구 Vol.15 No.2

        한국의 국제정치학자들은 한국학문 역사상 처음으로 영어논문을 출판하도록 심한 압박을 받고 있다. 이들은 십여 년 전부터 사회과학분야의 세계적인 기준으로 통용되는 이른바 SSCI(사회과학 인용색인)에 등재된 학술지에 가능한 많은 영어논문을 출판해야 하는 일종의 “전쟁수행”에 빠졌다. 매년 엄청난 수의 논문들이 많은 학술지를 통해 출판된다. 이들 중 얼마나 많은 수의 논문들이 명확하게 국제정치를 이해하는 데 실질적 도움이 되는지 감히 가늠하고 싶지는 않다. 그러나 소위 SSCI 학술지에 지속적으로 논문을 게재해야 하는 “전쟁수행”이 과연 한국의 국제정치학을 세계화하고 세계적으로 저명한 학자를 배출하는 올바른 길일까? 이러한 한국 국제정치학자들의 애석한 상황은 학문분야로서 국제정치학의 비극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런 분위기는 학자들로 하여금 국제관계, 요즘 유행하는 말로 지구정치(global politics)에 있어 인류의 계몽이라는 올바른 목표(질적 중심 연구)를 향하고 있지만 잘못된 길(양적 중심 연구)로 접어든 것이다. 그들은 매년 많은 수의 논문들을 양산하지만, 자신의 제자들과 이념적동지인 학자들, 또는 개인적으로 가까운 “친구들”외에는 아무도 그들의 학문적 결과물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시사적이고, 뜨거운 현안, 논란이 되고 있지만 학술적으로 시시한 정책문제들을 소위 과학적 분석의 방식을 쓰면서 정치적으로뿐만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유행에 편승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들은 학술지가 출간되자마자 곧 잊혀지는 경향이 있다. 어제는 이들의 학술논문들이 우리 앞에 있었지만, 이들 중 거의 대부분은 오늘 우리의 등 뒤에 있다. 한국의 국제정치학자들에게도 국제정치학분야에 관한 자신들의 학문적 결과물의 세계화를 진지하게 생각해야 할 때가 되었다. 한국의 국제정치학이 여전히 미국 국제정치학의 후손이기 때문에, 스탠리 호프만이 30여 년 전에 자신의 동료 학자들에게 독자적 학문으로서 국제정치학의 발전을 위해 세 가지로부터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은 현재 한국 국제학자들에게도 그대로 적용된다. 즉 국제정치학은 현실로부터 과거로, 강대국의 관점에서부터 약소국과 혁명적인 국가의 관점으로, 그리고 정책과학으로부터 전통적인 정치철학이 제기했던 문제들이 대변했던 지적 정상의 문제들로 이동해야 한다. 한국의 국제정치학자들은 미국학자들의 단순한 모방과 정책 과학주의에서 탈피하여 무엇보다도 이제껏 대다수에게 경시되어왔던 아주 길고, 광범위하며, 심오한 동아시아의 국제관계사로 되돌아와야 한다. 그러나 모두가 알고 있는 것처럼, 한국의 학문을 “세계화시키는” 길에는 지름길이나 왕도가 없다. 모두에게 장기간의 고된 노력과 인내가 요청될 뿐이다. The Korean scholars in the academic 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are hard pressed to produce English articl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They have been engulfed in a “waging warfare” of a kind from about a decade ago to run as many as his or her English articles in academic journals, which are on the list of a so-called SSCI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that acts as the global standard of social science scholarship. This “warfare” is basically waged not only to survive as a scholar or for the sake of scholarship, but also to support his or her career promotion. Among the attributes contributing to career success, the quantity of a scholar’s publication is most important, while its quality does not count. Yet if professional advancement depends more on the number of one’s articles than on their own intrinsic worth, there can be no assurance that the sum total of IR research findings, as published, are enhancing human welfare and not merely occupying library space of periodicals corner. Is “waging war” to run articles in so-called SSCI journals the right road for Korean scholars to take in order to globalize Korean scholarship and to become a globally distinguished professor? Or is it a wrong road, because it will lead them to be extinguished ultimately? Most of the Korean IR scholars have not been able to escape from, so-to speak, the Tyranny of Scientism and the Iron Rule of Triviality. So long as there are no international political laws of mathematical precision, the discipline of International Relations remains a body of empirical generalizations of limited validity. Then, isn’t time for Koreans to do differently from what American scientists of IR have done by now in order to produce at least new “empirical and/or other theories” based on the “broader definition of international theory”? In doing so, isn’t time for Koreans to try seriously to go beyond “American parochialism” and to contribute to the global academic community of international relations by constructing their own theoretical castles on the academic green 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Furthermore, the form of academic packaging is also significant for a successful, speedy porter-age of the Korean scholarship to the global scholarship market. Korean scholars should try to publish more books rather than mere articles. Only then, they will be on the right track toward the global recognition of Korean IR scholarship.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국제 평화비전의 리더십

        강성학(Sung-Hack Kang)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2 평화연구 Vol.20 No.2

        제 2대 유엔 사무총장이었던 다그 함마숄트(Dag Hammarskjold)는 국제적인 이해관계에 있어 “적극적인 대변인”이 되기 위한 모험을 감행했으며 유엔의 그 누구보다도 가장 역동적인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그가 1953년 4월 10일 취임했을 때 그는 아마도 영감을 불어넣는 방식으로 수단, 즉 “촉매제”의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그는 자신의 권한 확대를 일방적인 권한 장악으로 간주하지 않았고 오히려 권한 확대를 소위 “진공 이론”에 따른 실용적 결과로 정당화했다. 진공 이론에 따르면, 유엔 사무총장은 국제기구의 임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하다면 독립적으로 행동 할 의무가 있다. 다시 말해, 그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의사 결정 과정이 교착 상태에 빠진다던가 특히 양 진영간의 대립이 진공 상태로 빠져들 가능성이 있을 때 유엔 사무총장은 독립적으로 행동해야 한다고 믿었고 또 그렇게 행동했다. 그런 과정에서 그의 강력한 정치철학적 확신과 종교적 신념이 없었더라면 그의 눈부신 성공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또한 이제 전설이 된 그의 성공적 평화의 리더십은 역사적으로 특수한 조건에서 발휘된 예외적 본보기로서 후임 사무총장들이 들어갈 수 없는 일종의 “약속 받은 땅(the promised land)”처럼 영원히 이상적인 역사적 유산으로 남게 될 것이다. Dag Hammarskjold, as the second Secretary-General of the UN, provided the most dynamic and striking leadership the UN has ever had. He personified the ideals of the Charter of the UN in action in a way that made a profound impression on hundreds of millions of the people all over the world. He also made himself the spokesperson of those who had no voice, namely the new small states with no independent diplomatic history behind them. He also developed several new instruments of UN’s preventive mode of action: Peace-keeping operation, United Nations presences, and various effective experiments in good offices and quiet diplomacy. When he died in the middle of doing the most impossible job on earth, he immediately became a legend and an example that successive Secretaries-General wished most to benchmark. But such leadership of his might not have been conceivable without his strong philosophical conviction and unique religious faith. Besides, his historic leadership was very unique and exceptional one in the light of the character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unchanging na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In this sense, his legacy will remain like the Promised Land of a kind that his successors will not be able to enter ever again.

      • KCI등재후보

        The UN Secretary-General’s Power and His Leadership for World Peace

        Sung-Hack Kang(강성학)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8 평화연구 Vol.16 No.2

        지도력은 아주 “뜨거운” 주제다. 그것은 모든 사람들에게 온갖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 우리시대의 가장 보편적인 욕구 가운데 하나는 거역할 수 없고 창조적인 지도력이다. 그러나 유엔 사무총장에게서는 전통적인 카리스마적 지도력을 기대할 수 없다. 유엔 헌장과 유엔 내에서 진정한 권한을 가진 상임이사국들은 그런 사무총장의 지도력을 결코 수용하지 않을 것이다. 최선의 의미에서, 그리고 헌장에서 가정하고 있듯이, 유엔 사무총장은 회원국들이 성공할 수 있는 결정에 스스로 도달하도록 그들을 돕는 것이 최선이다. 본질적으로 국제제재의 구조적 제약 속에서 사무총장은 일종의 쇠파리 같은 소크라테스식 지도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 정보화 시대의 일종의 갈등 해소의 산파로서, 유엔 사무총장은 지구상의 수많은 국가들 속에서 자신의 잠재적 지지자들에게 직접 호소함으로써 대중들의 지지를 구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 지구를 상대로 호소할 때는 절제력과 분별력이 요구된다. 유엔 사무총장의 그런 지도력을 본 연구에서는 “소크라테스식 지도력”이라고 명명했으며, 이런 스타일의 지도력이 국제정치 드라마와 유엔의 복잡한 정치과정에서는 최선의 양식이 될 것이다. Leadership is a very “hot” word, but it has come to mean all things to all people. One of the most universal cravings of our times is a hunger for compelling and creative leadership. But charismatic leadership can not be safely expected of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Not only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but also the permanent member states of the Security Council which have real power will never accept such leadership of Secretary-General. In the best of words and as the Charter assumes, the Secretary-General can best help with governments of the member states to be able to reach workable decisions themselves. to this structural constraints, the Secretary-General should be able to play the role of a gadfly-leader in the Socratic image. As a midwife in our current information age, the UN Secretary-General would be able to build popular support by directly appealing to his potential supporters in the countries around the world. But in doing the global public relations, modesty and prudence are called for. Such leadership of the UN Secretary-General was named in this study “Socratic leadership” which will be the best style of leadership in the complex decisional process of political drama in the United Nations.

      • KCI등재후보

        The Impact of Human Security upon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 a Paradigmatic Shift or another Academic Mirage?

        Kang Sung-Hack(강성학)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8 평화연구 Vol.16 No.1

        인간안보는 UN의 설립자들로부터 나온 일종의 “예기치 않은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각 국가가 자국민을 책임지는 UN의 전통적 위치를 거부하였다. 넓은 의미의 인간안보 규범은 UN 시스템 안에서 “세계적 공익”로서의 실용적인 표현방식을 계속해서 찾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새로운 개념인 인간안보는 국제정치의 이론화에서 패러다임의 변화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인간안보에 대한 UN의 지지는 국제정치의 학문 영역에 뿌리내렸다. 하지만 인간안보는 국제정치학의 다른 신기루들처럼 지나치게 확장된 안보의 개념이다. 그리고 “개념의 확장”은 군사행동에 위험하다. 이것은 소위 국제정치에 대한 간략한 이론을 구성하려는 목적을 가진 “학문적 행위”에도 위험하다. 우리는 물론 안보의 우선 수단으로써 국가를 중시하는 강력한 견해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있지만 또한 인간안보의 국제적 공동체라는 유토피아적 세계에서도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다. Human Security was “a kind of unintended child” of the founding fathers of the United Nations. Once born, it refuses to accept the conventional position of the United Nations that how a state treats its own people is its own business. The broad human security norms will continue to find practical expression “as a global public good” in ongoing work of the United Nations System. But, until now, human security as a new concept has not reached the point of a paradigmatic shift in the theoriza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 UN’s espousal of human security has taken root in the academic 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However, human Security is an overstretched concept of security like a mirage of many other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overstretch” is not simply dangerous for military operations. It is also dangerous for “disciplinary operations” which purport to construct so-called parsimonious the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We may be a long way away from the unchallenged dominance of the state as the principal referent of security, but we may be also a longer way from the utopia of the universal, global community of human securi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