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40년대 상하이(上海) 인쇄미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연구

        김송림(Kim, SongLim)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8 美術史學 Vol.- No.36

        이 논문은 191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중국 상하이(上海)를 기반으로 인쇄미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형성 과정과 특징을 살펴보는 연구이다. 여성에 대한 미적 기준은 시대에 따라 바뀌어 왔고, 중국 근대의 인쇄미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는 여성에 관한 시대적 인식과 사회 변화를 알아볼 수 있어 주목된다. 실제 작품을 다루기에 앞서 Ⅱ장에서는 상하이의 근대화와 인쇄미술의 발달 배경에 대해 생각하였다. 이 논문에서 다루는 20세기 전반 상하이에서는 개항과 조계 설정을 계기로 서양식 근대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상하이 지역에서 인쇄출판업이 성장하자 잡지와 광고가 본격적으로 발행되었다. 잡지와 광고지는 변화의 바람에 걸맞게 여성을 모델이자 소비 대상으로 겨냥하였다. 다음 3개의 장에서는 근대 인쇄물 상의 여성 이미지를 전통 사녀상과 모던걸, 국가적인 여성 도상으로 구분하였다. Ⅲ장에서는 먼저 명청대 대표 사녀화 작품에 나타난 지물(持物)이 인쇄미술에서도 차용된 예를 찾았다. 이와 함께 설화·역사상의 인물과 문학작품의 등장인물로 유형을 나눠보았다. 1910년대와 1920년대 초까지 사녀 이미지가 주로 나타나 전통을 계승하여 보다 친밀감 있게 대중에게 소비됐다. Ⅳ장은 전통 사녀상과는 상반된 서구화된 모던걸 이미지를 성적 매력을 강화시킨 여성 도상과 모던걸과 함께 표현된 서양의 예술 사조와 주요 등장배경이 되는 장소로 세분하였다. 모던걸은 유흥 시설을 배경으로 해 소비문화가 확산된 1920년대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 주로 등장하였다. 성적 매력을 강화시킨 여성상이 사치를 추구한다는 사상이 퍼지자 1930년대 말부터 이에 반하는 새로운 여성상이 대두됐다. Ⅴ장에서는 여성 노동력의 향상을 위해 건강미가 부각된 예와 국가적 혼란을 타개하는 데에 기여할 국가주의적 여성 이미지가 형성된 바에 대해 언급하였다. 중국 근대 인쇄미술에서 여성 이미지는 전통의 계승과 서양 문물의 수용, 국가에 의한 여성 이미지의 수립이라는 방향성에 따라 다른 형태로 나타났다. 여성 이미지는 20세기 전반의 대중의 시각과 사회의 현상을 유추할 수 있는 ‘시대적 기호(記號)’로서 기능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of women seen in the printed art of Shanghai, China from the 1910s to the 1940s. Aesthetic standards for women have changed over time, and the image of women in modern Chinese printed art is noteworthy as it shows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women and changes in society. Chapter Ⅱ handles the development background of modernization in Shanghai and printed art. In Shanghai where western modernization was taking place, printing and publishing industries began to flourish which led to the issuance of magazines and advertisements. Magazines and leaflets targeted women as models and subjects of consumption in line with the wind of change. Chapter Ⅲ first mentions the possessions that a women is holding with regards to the representative Shinuhua(painting of court ladies) work of the Ming and Qing Dynasty then identified an example which is also seen in printed art. The classical icon was classified into the image of woman per type. The Shinu image which succeeded the tradition until the 1910s and early 1920s was usually indicated in printed art. Chapter Ⅳ segmented the female icon which reinforced the sexual attraction of a westernized modern-girl image which conflicted with the traditional Shinu image, the art trend that was popular at the time and the background of modern-girl’s activity. Modern-girl was usually seen from 1920s when the consumption culture spread up to the mid 1930s. Once the ideology that the image of woman with reinforced sexual attraction is a pursuit of extravagance, a new image of woman contracting it was emphasized from the end of 1930s. Chapter Ⅴ mentioned about the example of the emphasis placed on healthy beauty and the creation of the image of woman nationally. The image of woman in China’s modern printed art was seen in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the directionality of succession of tradition, acceptance of western civiliza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image of woman by the country. The image of woman functioned as a ‘symbol of the times’ enabling us to infer the public view and the social phenomenon of the 20th Century.

      •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거베라의 수확량 추정

        홍수빈(Subin Hong),백정호(JeongHo BAEK),이채원(Chaewon Lee),김영욱(Younguk Kim),이서연(Seoyeon Lee),김송림(Songlim Kim),권오근(Oh Keun Kwon)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꽃의 수확량을 추정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측면에서 정밀 농업의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에는 현장에서 사람의 노동력에 의존하여 육안으로 수확량을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지만 최근에는 영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꽃의 개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거베라 꽃의 수확량을 개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거베라 화훼농가에서 CCTV를 활용하여 8개월동안 3,266장의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수집된 영상 데이터는 ImageJ를 이용하여 꽃의 영역만 처리하여 Area, Circularity, Perimeter, Aspect ratio, Major, Minor, Solidity, Color 등 8가지 특성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분석하였다. 농가에서 꽃의 크기에 따라 수확하는 작업특성으로 디지털 분석 정보 중 Area를 이용하여 꽃이 수확되는 개수를 계산하였다. 또한 해당 지역의 광량 및 온도 환경과 시간에 따라 수확되는 꽃의 개수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농가 현장에 적용하여 화훼작물의 크기, 색상 등 표현형 분석으로 시기별 수확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경제성 있는 품종 관리로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