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n the Effect of Non-Driving Related Task in Take-over task for Highly Automated Driving

        Sol Hee Yoon(윤솔희)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on-driving related task attributes on drivers’ takeover task in highly automated driving. Background: The introduction of new assistive technologies improves safe driving and reduce car accidents while changes the drivers’ behavior. These changes highly automated driving concerns with the importance of drivers being out of the loop and engaging in task not related to driving. Thus, highly automated driving have to take consideration about issues related to the transition of control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rivers. Method: A driving simulator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non-driving related task attributes on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control in highly automated driving by analyzing and investigating the takeover performance and quality of drivers. Tasks attributes were categorized depending on the visual, physical, and cognitive demand of the non-driving related task. The measures used to evaluate the transition of control were categorized into visual (gaze on time, fixation time) performance, physical (hand on time) and overall takeover time. Results: Results from the experime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non-driving task attributes on takeover performance and quality.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presented a conceptual model to explain the transition of control in highly automated driving based on non-driving related task attributes engaged during automated driving.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and understanding on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control between the drivers and the automated vehicle system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drivers’ state before the takeover request and the drivers’ performance after the takeover has been conducted.

      • Framework Approach 를 이용한 자율 주행 환경에서의 전방 유리 디스플레이 사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

        김민종(Meen Jong Kim),윤솔희(Sol Hee Yoon),지용구(Yong Gu Ji)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IT 및 자동차 공학 기술의 발전으로 미래형 자동차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 등 동력기관의 변환이 현 자동차의 대안형태로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자율 주행 자동차가 가장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자율 주행 자동차 환경에서 발생할 사용자 경험과 주행 부담이 낮아짐에 따라 활용 가능성이 높아진 전방 유리 디스플레이의 역할에 대해 탐색하고자 IT 기술에 친숙하고 운전경험이 풍부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Focus Group Interview 를 수행하였다. 분석 방법론으로는 Framework Approach 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율 주행 환경 내에서의 사용자 경험 관련 이슈 두 가지와 전방 유리 디스플레이 적용 시 고려 이슈 두 가지를 도출하였다. Autonomous vehicle will change the user behavior completely, so there are needs for exploring the user’s future experience in the autonomous environment. Windshield display was neglected in normal driving condition for out of safety concerns. However, as autonomous vehicles comes to reality, windshield get a chance to be utilized as an in-vehicle display.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FGI) to provide deep understanding of what user is willing to experience through the windshield. We used the framework approach as analysis tool for the qualitative data from the FGI. This paper describes the insights which could be used for the basic study of designing the windshield in future vehicle.

      • 비주행 과업의 인지적 특성이 제어권 이양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영우(Young Woo Kim),윤솔희(Sol Hee Yoon),지용구(Yong Gu Ji)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최근 자율주행 환경에서 수행하는 비주행 과업과 제어권 이양 수행 능력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율주행 환경에서 비주행 과업의 특성 중 인지적 요인이 운전자의 제어권 이양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동승자 대화, 영상 시청, 스마트폰 게임 및 음료 들기와 같은 네 가지 비주행 과업의 인지부하, 몰입도 및 제어권 이양 시간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30 명의 참가자를 모집하였으며 시뮬레이터 주행 환경에서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 비주행 과업에 따른 운전자의 인지 부하와 몰입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나, 제어권 이양 시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 비주행 과업을 고려한 제어권 이양 방식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인지적 요인과 더불어 물리적인 요인을 필수적으로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차량 인터페이스의 조작 복잡도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이슬찬(Seul Chan Lee),윤솔희(Sol Hee Yoon),김민종(Meen Jong Kim),지용구(Yong Gu Ji)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IT 기술의 발달과 적용으로 인해 차량 인터페이스는 점차 복잡해지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인터페이스를 평가하기 위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운전자의 주관적 의견에 기인한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주관적 평가방법론은 편리하고 결과의 측정이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에 대한 원인을 탐색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잡도의 개념을 활용하여 차량내 조작 인터페이스를 평가하기 위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human-computer interaction 관점 및 human factors 관점의 문헌연구를 통해 주요한 관점 및 측정 변수를 선정하였다. 평가 모형은 complexity dimension 과 interface evaluation dimension 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각각의 관점에서 측정변수를 도출하였다. 측정변수는 Functional factor 에서 5 개, behavioral factor 에서 6 개, structural factor 에서 13 개를 도출하였다. Advancement of technology is introducing new and more complex in-vehicle interfaces and system. However, previous researches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in-vehicle interfaces by mean of subjective general evalua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encounter the underlying problems of the interface when interacting with it. Therefor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evaluation framework that enable to measure and evaluate the complexity of in-vehicle interface when interacting with it. The research is conducted based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and human factors theories. The evaluation framework takes into consideration two dimensions: complexity dimension (structural and relational) and interface evaluation dimension (functional, behavioral, and structural). Based on those dimensions, measurement variables were selected, presenting 5 measurement variables for functional factor, 6 for behavioral factors, and 13 for structural factors.

      • 스마트폰 환경에서 고령자의 포인팅 능력에 관한 연구

        한영석(Young Suk Han),최종규(Jong Kyu Choi),윤솔희(Sol Hee Yoon),지용구(Yong Gu Ji)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일반 성인 사용자뿐만 아니라 고령사용자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고령 사용자의 비율은 다른 연령층과 비교했을 때 매우 저조한 수준이며, 한국정보화진흥원에 따르면 이는 사회적 낙오감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환경에 기반하여 고령자의 포인팅 능력을 평가하고 고령자에게 적합한 터치 대상의 수준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환경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평가할 대상의 수준을 결정하였으며, 포인팅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65 세 이상의 고령자 20 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고령자에게 적합한 대상의 수준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추후에 고령자를 위한 스마트폰 또는 애플리케이션 설계 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최종적으로는 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Recently, as increasing number of smartphone users, elderly users are also increasing. However, the ratio of elderly users is very low compared to other ages and according to report of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is aspect lead to feeling left behind. The aim of this paper is that revealing the proper level of object for elderly users by evaluating of their pointing performance. The program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pointing developed based on smartphone environment. 20 elderly subjects (65+) participated and deducted proper level of object through analysis of measured variables. This result can be used to developing smartphone or application for elderly and finally it is expected that contribute vitalization of smartphone use of elderly.

      • A Study on the Drivers’ Mental Model for Designing User-Centered Four Wheel Independent Steering Interfaces

        Young Woo Kim(김영우),Da Yeong Kim(김다영),Sol Hee Yoon(윤솔희),Dong Hyun Ha(하동현),Yong Gu Ji(지용구)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rivers’ mental model to design the interfaces for four-wheel independent steering (4WIS) vehicles. Background: 4WIS vehicles refer to the vehicles that can perform novel movements such as rotating or crabwalk with four wheels driven in independent directions and torque. However, user research on the design of an appropriate interface for 4WIS is insufficient. Method: Cognitive walkthrough and think-aloud protocol were used to observe drivers’ interaction and establish user mental models. A total of 23 participants who have valid driving license were recruited for the experiment. 5 interfaces were exploited as the candidates for 4WIS controller (i.e., motion steering wheel, steering wheel buttons, center console buttons, touch-display, and joysticks). Participants were asked to perform 4 different movements (i.e., parallel movement, rotation, crabwalk, and small-radius turn) by each interface. Results: Mostly, participants anticipated to maintain the current mental model of driving, which was using the steering wheel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ccelerating with the throttle pedal. Moreover, participants stated that an obvious mode change between normal driving and 4WIS modes is necessary for all interfaces to prevent unintended manipulation and accidents. Regarding the motion steering wheel,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it is intuitive to use parallel movement and crabwalk by pushing the edge of the steering wheel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head. In the same vein, joysticks have often been used to tilt sticks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in order to actually move the vehicle. In the case of buttons, which were located on the steering wheel and center console, participants usually wanted to operate them in combination with the steering wheel.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want to turn on a certain mode for parallel movement or rotation button before determining the direction by rotating the steering wheel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crabwalk and small-radius turn, they anticipate to tilt the steering wheel, as the movements require specific wheel angles, not just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uch displays showed the least suitability for vehicle controls, because the drivers have to change their posture to interact with them. Also, several respondents expressed anxiety in the failures of the electric system. Concerning the 4WIS movements, there was a tendency that participants wanted to use different interfaces for each scenario. In particular, movements that can be used in low-speed situations, such as parallel movement and rotation, were found to be operable even in areas away from the steering wheel. On the contrary, movements which are able to be used during driving, such as crabwalk and small-radius turn, were expected to be manipulated in areas near the steering wheels. Conclusion: This work aimed to establish a user mental model for the 4WIS interfaces. By observing the interaction and using think-aloud protocols, it was found that the drivers anticipate using the steering wheel even in the 4WIS contexts and different types of interfaces for each scenario. The results of the present work will help to design the interfaces for 4WIS vehicles. For future work, we will design the interaction method of each interfa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nd discover the effectiveness and usability issues of each interface in driving situations.

      • KCI우수등재

        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성 향상을 위한 연구

        한영석(Young Suk Han),최종규(Jong Kyu Choi),황보환(Hwan Hwang Bo),고상민(Sang Min Go),윤솔희(Sol Hee Yoon),지용구(Yong Gu Ji) 한국전자거래학회 2012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7 No.1

        2009년 아이폰(iPhone)의 도입을 계기로 국내 스마트폰 보급률이 급증하게 되었으며, 2011년 8월에는 가입자 수가 1500만 명을 넘어섰다. 사용자의 연령별 이용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 60대 이상의 고령자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매우 저조한 이용률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정보 격차 및 사회적 소외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 시 기본이 되는 터치 동작에 대해 고령자를 대상으로 평가함으로써 고령자에게 적합한 수준을 도출하고 최종적으로는 사용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터치 동작의 수행 시간과 오류 횟수 등 객관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주관적 평가를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과 설문지를 이용하여 65세 이상의 고령자 22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대상의 크기와 간격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에 고령자를 위한 스마트폰 또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스마트폰 환경을 고려하여 고령자에게 적합한 터치 대상을 구체화 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introduction of iPhone was an opportunity to increase of internal smarphone users in 2009 and it exceeded 15 millions at August, 2011. According to report about usage of smartphone users, elderly people aged over 60 was quite low compared to other groups. Moreover these elderly peoples feel lag behind cause of smartphone non-use. Thu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usability of smartphone for elderly peoples. The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and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for this purpose and objective data and subjec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se. 22 elderly peoples participated in our research and we could derived proper level of targe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applied to smartphone or application for elderly.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is reveal the detailed touch target for elderly based on smartphon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