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증을 호소하는 피아니스트들을 위한 알렉산더 테크닉과 타우만 테크닉의 적용

        안지희 ( An Jihee ) 한국피아노학회 2017 피아노음악연구 Vol.11 No.-

        본 연구는 많은 시간을 연습에 투자하는 피아니스트들이 흔히 겪을 수 있는 통증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고, 그에 대한 예방책을 소개하여 피아니스트들이 보다 나은 컨디션에서 연주를 할수 있도록 돕기 위한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많은 연주자들이 연주 그 자체에 활용하는 테크닉에만 관심이 있고, 그 테크닉을 보다 쉽고 몸에 무리가 가지 않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피아니스트들이 ‘잘못된 신체의 사용’과 ‘몸의 과도한 사용’으로 겪을 수 있는 증상들의 원인을 보다 면밀히 소개하고 있다. 또한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대표적인 질병두 가지를 필자의 경험을 더하여 소개한다. 실제로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외국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알렉산더 테크닉과 미국에서는 활용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자세히 소개되지 않은 타우만 테크닉을 제시한다. 또한 이 테크닉들의 기본원리 및 효과적인 활용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이 두 가지 테크닉은 피아니스트들이 통증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더 효과적으로 몸을 활용할 수 있는 자세와 효율적인 힘의 사용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테크닉들을 통해 피아니스트들이 당연시 여기는 ‘질병에 대한 두려움’과 ‘연주할 때의 긴장감’에서 벗어나 좀 더 자유롭고 즐겁게 연주에 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기 때문에 본 연구는 많은 피아니스트들이 겪는 신체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해결책이 될 수 있다. 필자는 앞으로 피아니스트들이 연주 뿐 아니라 그들이 겪을 수 있는 증상 및 통증에 대해 미리 관심을 가지고 이를 간과하지 않는 자세를 갖기를 희망한다. 이로써 피아니스트를 꿈꾸는 많은 학생들도 신체적인 무리 없이 피아노를 연주할 수 있게 될 것이고, 미래에는 많은 연주자들이 신체적 부담 없이 더 훌륭한 연주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Pianists spend much time to practice, and they often suffer from pains and inju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ain and to give right directions to prevent performance-related injury and to help them to play with better condition. Many musicians are not interested in the ways how they can get out of physical pains, but interested in how they can play well with better technique and musicianship. This study introduces the reasons why many pianists have performance-related injury; misuse and overused. Also, it gives two common symptoms among injured pianists; Tendinitis and Carpal Tunnel Syndrome. Many musicians and physical therapists studied and researched those syndromes to recover and prevent. Alexander technique and Taubman tehchnique are very useful methods for injured pianists. Alexander technique is the most common technique in Europe and America, and also spread to Korea these days. On the other hands, Taubman technique is unknown as much as Alexander technique, but has fame in New York. This research includes general description of the principles and application on pianists. Alexander and Taubman techniques give directions to reduce pain and to treat physical misuse. Pianists can have freedom with Alexander and Taubman techniques, when they practice and perform. Finally, the researcher hopes that more profound studies would be studied on performance-related injury, thus, most of pianists can play without pain and perform with best condition.

      • KCI등재

        興宣大院君의 사후 의례 연구

        안지희 ( An Jihee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4 東洋學 Vol.- No.95

        이 글은 1898년(광무 2) 興宣大院君 薨逝 이후 거행된 사후 의례를 살피고 조선의 왕실과 대한제국의 황실인물 의례와의 비교를 통해서 흥선대원군의 사후 의례의 특징과 그의 지위를 파악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흥선대원군은 1898년 2월 22일 훙서하였고, 禮葬은 明溫公主의 예장을 전례 삼아 진행하되 공주의 예장과 절차 차이를 두었다. 4일의 停朝市, 五虞祭 등의 특징을 통해 예장 시 대원군의 지위는 공주에 준하거나 그보다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07년(융희 1) 흥선대원군은 獻懿大院王으로 추봉되었다. 대원왕 추봉 의례는 義王과 英王의 책봉 의례, 完王의 추봉 의례와 비교하였을 때 진행 과정은 유사했으나 황제가 직접 참여하지 않고 完順君을 보내 攝行하게 했으며 金冊과 節이 사용되지 않았다는 차이가 있다. 이를 통해 추봉 시 대원왕의 지위는 친왕에 준하거나 그보다 낮았다. 흥선대원군이 대원왕으로 추봉된 후 대원군의 묘 또한 격상된 지위에 맞춰 興園으로 명칭을 바꾸고 遷奉하였다. 흥원은 대원군 묘 조성 당시 사용했던 석물 대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였고, 宮園制를 활용하여 봉원하였는데, 이는 대한제국에서 궁원제를 활용한 처음이자 마지막 사례이다. This thesis defines Heungseon Daewongun’s after death ritual, held in the year 1898, as Yejang (the funeral of the royal family), Chubong(granting official rank after death), and Cheonbong (moving the grave) in the order taken place after Hongseo(death of royal family) and then examines the preparation of funeral ritual and its implementation. And then it compares and analyzes it with Princess Myungon’s Yejang process and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prince of the Korean Empire to look into the funeral ritual of Heungseon Daewongun and its characteristics. Heungseon Daewongun passed away on February 22, 1898, and his Yejang was proceeded by taking Princess Myungon’s Yejang as a precedent. Based on the fact that Heungseon Daewongun chose his own burial ground during his living years, that there was Jeongjosi(halt of government and commerce) for 4 days, and that it differentiated itself from Princess’s Yejang by having Oouje, the thesis finds that Daewongun‘s Yejang occupied identical or higher place than the position of princess. Heungseon Daewongun’s Chubong carried out in the year 1907, was operated by Wansoongun. Jeol, which represented the emperor and was used for Gwonjeonglye(simplified funeral ritual held without the emperor’s presence) after the country was promoted to the Empire, was not used this time. The gold seal for this ceremony was the same size as the one that was used to install the prince, however, since it didn’t use gold books, this thesis clarifies that Chubong of Daewongun was the same or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prince. Heungwon, the graveyard for Heungseon Daewongun, was built to suit his elevated position, the Heonui Daewonwang after Chubong. Heungwon was the first and the last example of utilizing Gungwonje in the Korean Empire, and the most of stone figures plac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used the previous ones. Heungseon Daewongun’s funeral ritual was the last example of Sachin Chusung(worship of birth mother), first promoted by Gojong and then completed by Sunjong and it represents t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