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oes Capitalism Create the Conditions for Its Own Destruction?

        Randall G. Holcombe 한국제도경제학회 2020 제도와 경제 Vol.14 No.1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사회주의(Socialism)는 자본주의(Capitalism)에 대한 주요 위협으로 간주되었다. 특히 슘페터(J. Schumpeter)와 하이에크(F. Hayek)는 자본주의의 강력한 지지자들로서 1940년대에 저서들을 통해 자본주의가 더 생산적인 경제체제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주의가 자본주의를 대체할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하였 다. 1989년에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고 1991년 소련연방이 해체된 후 자본주의는 승리 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로부터 30여년이 지난 후 사회주의가 다시 인기를 얻고 있다. 왜 그런가? 자본주의가 연고주의(cronyism), 부패, 특별이익(special interest) 을 위한 정치 등을 통해 내부로부터 붕괴되고 있기 때문이다. 자본주의 비판자들은 연고주의, 부패, 특별이익 등을 자본주의의 구성 요소들로 보고 있다. 다수의 대중들보 다 소수의 엘리트를 편애하는 ‘연고주의 자본주의체제’에 대한 반동은 사회주의 지지 자들에 의해 자본주의의 대안으로서 사회주의로의 대체가 주장되고 있다. During much of the twentieth century, socialism was viewed as the major threat to capitalism. Even though they were supporters of capitalism, Joseph Schumpeter and Friedrich Hayek both wrote well-known books in the 1940s expressing the fear that socialism would displace capitalism, even though capitalism was the more productive economic system. After the collapse of the Berlin Wall in 1989 followed by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in 1991, capitalism appeared to triumph, but three decades later, socialism is seeing renewed popularity. Meanwhile, capitalism is being eroded from within through cronyism, corruption, and special interest politics, which capitalism’s critics view as components of capitalism. A popular backlash against a system of cronyism that appears to favor an elite few over the masses has presented an opening for supporters of socialism to offer it as an alternative.

      • KCI등재

        Nutritional Supplementation with Chlorella pyrenoidosa Lowers Serum Methylmalonic Acid in Vegans and Vegetarians with a Suspected Vitamin B12 Deficiency

        Randall Edward Merchant,Todd W. Phillips,Jay Udan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18 No.12

        Since vitamin B12 occurs in substantial amounts only in foods derived from animals, vegetarians and particularly vegans are at risk of developing deficiencies of this essential vitamin. The chlorella used for this study is a commercially available whole-food supplement, which is believed to contain the physiologically active form of the vitamin. This exploratory open-label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if adding 9 g of Chlorella pyrenoidosa daily could help mitigate a vitamin B12 deficiency in vegetarians and vegans. Seventeen vegan or vegetarian adults (26–57 years of age) with a known vitamin B12 deficiency, as evidenced by a baseline serum methylmalonic acid (MMA) level above 270 nmol/L at screening, but who otherwise appeared healthy were enrolled in the study. Each participant added 9 g of C. pyrenoidosa to their daily diet for 60 ± 5 days and their serum MMA, vitamin B12, homocysteine (Hcy) levels as well as mean corpuscular volume (MCV), hemoglobin (Hgb), and hematocrit (Hct) were measured at 30 and 60 days from baseline. After 30 and 60 days, the serum MMA level fell significantly (P < .05) by an average ~34%. Fifteen of the 17 (88%) subjects showed at least a 10% drop in MMA. At the same time, Hcy trended downward and serum vitamin B12 trended upward, while MCV, Hgb, and Hct appeared unchanged. The results of this work suggest that the vitamin B12 in chlorella is bioavailable and such dietary supplementation is a natural way for vegetarians and vegans to get the vitamin B12 they need.

      • Public Choice : An Overview and Som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Economy

        Randall G. Holcombe 한국공공선택학 및 새마을운동교육연구소(구 안동대학교 한국공공선택학연구소) 2018 한국공공선택학 및 새마을운동교육연구 Vol.6 No.1

        공공선택학은 ‘정치적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경제적 분 석 방법’을 사용하는 학제적(學際的) 분야이다. 공공선택학은 자원 배분 과 공공정책 결정 과정에서 정치적 과정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를 분석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공공선택학은 이상적이 아니라 ‘실제적인’ 정치적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경제적 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은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개관하고자 한다. 첫째, 개인의 선호 를 사회적 선택으로 합계하는 민주적 정치 제도들을 개관한다. 둘째, 공공정책 결정 과정을 정치적 시장으로 간주하고, 이 시장 내에서 공공정 책의 교환과 협상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개관한다. 셋째, 정치적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는 규칙과 제도가 어떻게 고안되는지를 개관한다. 마지 막으로 공공선택학 연구 문헌들에 따르면 한국 경제에서 정부와 기업들 간의 긴밀한 관계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저해할 것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Public choice is an interdisciplinary area that uses economic methods to study political decision-making. Public choice seeks to understand the way those political processes actually work to allocate resources and design public policies by using the same tools that had been applied to market processes. The motivating idea behind public choice was to use economic analysis to describe the political process as it actually works, not as people might hope it ideally should work. This overview is divided into three broad areas. First, public choice develops a framework for analyzing how democratic political institutions aggregate the individual preferences of group members into an aggregate group preference. Second, public choice depicts the public policy process as a political marketplace and describes how negotiations and exchanges within that political marketplace produce public policy. Third, public choice analyzes how the rules and institutions within which political decision-making takes place are made. A substantial amount of public choice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business interests in the Korean economy will be counterproductive to continued economic growth.

      • KCI등재

        Government Policy Toward Economic Development : An Analysis of Sung-Hee Jwa’s A General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Randall G. Holcombe 한국제도경제학회 2019 제도와 경제 Vol.13 No.1

        좌승희 박사의 “경제발전의 일반이론”은 경제발전이 무엇을 가져다 주는 지를 설명하는 탁월한 저서이며, 주류 경제발전 이론들에 대해 통찰력 있는 비판을 제시해 주고 있다. 또한 좌승희 박사는 정책적 관점에서 정부는 시장에서 ‘경제적 성공’을 이룩한 기업들을 지원하는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좌승희 박사는 이러한 주장을 일본, 한국,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에 적용하여 자신의 주장이 타당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좌승희 박사의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여들을 서술하고 몇 가지 미비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Sung-Hee Jwa’s A General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does an excellent job of explaining what produces economic development, and offers an insightful critique of mainstream theories of economic development. From a policy perspective, he concludes that governments should implement policies that discriminate in favor of firms that have demonstrated market success to promote development. He attributes the much more rapid economic growth of Japan, South Korea, and China, when compared to the slower growth of Wester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to such policies. This article offers several reasons to question this conclusion.

      • Public Choice : An Overview and Som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Economy

        Randall G. Holcombe 한국공공선택학회 2018 The Korean Public Choice Society Vol.6 No.1

        공공선택학은 ‘정치적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경제적 분 석 방법’을 사용하는 학제적(學際的) 분야이다. 공공선택학은 자원 배분 과 공공정책 결정 과정에서 정치적 과정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를 분석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공공선택학은 이상적이 아니라 ‘실제적인’ 정치적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경제적 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은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개관하고자 한다. 첫째, 개인의 선호 를 사회적 선택으로 합계하는 민주적 정치 제도들을 개관한다. 둘째, 공공정책 결정 과정을 정치적 시장으로 간주하고, 이 시장 내에서 공공정 책의 교환과 협상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개관한다. 셋째, 정치적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는 규칙과 제도가 어떻게 고안되는지를 개관한다. 마지 막으로 공공선택학 연구 문헌들에 따르면 한국 경제에서 정부와 기업들 간의 긴밀한 관계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저해할 것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Public choice is an interdisciplinary area that uses economic methods to study political decision-making. Public choice seeks to understand the way those political processes actually work to allocate resources and design public policies by using the same tools that had been applied to market processes. The motivating idea behind public choice was to use economic analysis to describe the political process as it actually works, not as people might hope it ideally should work. This overview is divided into three broad areas. First, public choice develops a framework for analyzing how democratic political institutions aggregate the individual preferences of group members into an aggregate group preference. Second, public choice depicts the public policy process as a political marketplace and describes how negotiations and exchanges within that political marketplace produce public policy. Third, public choice analyzes how the rules and institutions within which political decision-making takes place are made. A substantial amount of public choice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business interests in the Korean economy will be counterproductive to continued economic grow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