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On the significance of the Daeseung saron hyeonui gi 大乘四論玄義記 for research on early Korean Buddhist thought

        Jorg Plassen(요르그 플라센) 한국사연구회 2007 한국사연구 Vol.136 No.-

        일반적으로 삼론학파의 계보는 僧朗에서 시작되어 吉藏(549~623)에서 완성되었다고 알려져 있는 것과 달리 중국 초기 삼론사상사는 상당히 복잡하다. 경쟁하는 분파들이 존재하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삼론사상이 어떤 과정을 통해 백제에 전해졌는지의 문제는 별도로 하더라도 백제에 전래되고 다시 일본으로 전해진 삼론사상이 어느 분파의 것이었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慧均의 《大乘四論玄義記》가 백제에서 찬술된 문헌으로 밝혀진것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중요한 단서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에서 검토된 것처럼 《대승사론현의기》의 내용은 길장의 저술로 전해지는 《大乘玄論》과 대단히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두 문헌 모두에서 나타나고 있는 法朗의 가르침에 대한 빈번한 언급은 두 문헌의 찬술자들이 동일한 스승의 제자로서 사상적으로 거의 비슷한 입장에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혜균과 길장 모두 法朗에 의하여 형성된 논리 형식인 ‘初章’을 강조하고 있지만 《대승사론현의기》 중의 〈初章中假義〉에서 길장의 이론과의 차이점을 발견한 일부 일본 학자들은 혜균의 사상이 法朗과 吉藏에 의해 비판되었던 中假師와 연결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렇지만 《대승사론현의기》의 내용으로 볼 때 혜균은 中과 假를 구별하는 中假師와는 전혀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續高僧傳》의 기록에 의하면 길장 역시 혜균과 동일한 논리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혜균과 길장의 기본적 입장은 동일하였다고 할 수 있다. 《대승사론현의기》와 《대승현론》의 가장 큰 차이점은 다른 목적을 위해 찬술되었던 글들을 후대에 편집한 後者와 달리 前者는 처음 부터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찬술되었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대승사론현의기》는 《대승현론》에 비하여 훨씬 알기 쉽고 명확하게 씌어졌으며, 이런 점에서 초보자들을 염두에 두고 찬술되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승사론현의기》의 작자를 비롯한 백제의 삼론학자들은 자신들을 陳?隋?百濟 등의 국경을 넘어 발전하였던 국제적 학파인 法朗을 계승한 “一家”의 일부로 간주하였고, 이는 정당한 인식이었다. 혜균과 길장이 모두 法朗의 사상에 의거하고 있고, 기존의 연구들을 통하여 밝혀진 것처럼 “一家”의 저술 태도가 ‘교학적 입장’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무집착의 상태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혜균과 길장의 저술에서 사소한 방법론적 차이 이상의 사상적 차이를 발견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성과를 거두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오히려 혜균과 길장의 저술은 “一家”의 사상과 논리적 틀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서로 상보적인 것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에 활동하였던 뛰어난 삼론학자인 혜균의 발견은 백제 삼론학뿐 아니라 元曉의 和諍 사상에 대한 이해에도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대승사론현의기》에서 나타나고 있는 백제에서의 三論사상과 攝論사상의 갈등은 唯識사상과 中觀사상에 대한 원효의 비판이 단순히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보다 실제적인 배경을 갖는 것이었음을 보여주며, 이를 통하여 원효의 사상에서 화쟁사상이 강조된 것이 고려시대와 식민지시대의 정치적 관심사에 의한 왜곡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 견해들을 반박할 수 있게 한다. 원효는 실제로 《대승사론현의기》를 읽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원효의 《涅槃宗要》에 나오는 佛性의 본질에 대한 논의와 비슷한 내용이 《대승현론》 중의 〈佛性義〉에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이미 1980년대 초에 지적되었지만 비슷한 내용이 《대승사론현의기》의 〈佛性義〉에도 나오고 있다는 사실은 최근까지도 간과되어 왔다. 《열반종요》에서 제시되고 있는 여섯 가지 입장은 《대승사론현의기》와 《대승현론》에 나오는 열 가지 혹은 열한 가지의 입장 중에서 선택된 것들이다. 《열반종요》의 내용이 간결하기 때문에 원효가 어느 문헌에 근거하여 서술하였는지는 쉽게 판단하기 어렵다. 하지만 원효는 여섯 입장 중 다섯 입장의 주창자들의 개인적 이름이나 주석했던 사찰의 이름을 ?白馬寺愛法師, 莊嚴寺, 光宅雲法師, 梁武蕭焉, 新師?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름들이 길장의 저술에는 전혀 보이지 않는 반면 혜균의 저술에는 新師를 제외한 나머지 다섯 이름들이 모두 나타나고 있다. 이로 보아 원효는 해당 부분을 저술할 때에 《대승사론현의기》의 내용을 알고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사실은 두 가지 이유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첫째로, 원효가 《대승사론현의기》를 알고 있었다는 사실은 그의 저술인 《初章觀文》의 성격에 대하여 많은 것을 시사한다. ‘初章’이 《대승사론현의기》 전체를 관통하는 기본적 논리적 틀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원효의 《초장관문》은 法朗이 제자들에게 가르친 내용과 관련된 저술일 가능성이 높다. 더욱 중요한 점은 《열반종요》에 나오는 佛性의 본질에 대한 여섯 가지 입장에 대한 논의가 원효의 화쟁사상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각각의 주장들의 결점을 지적하여 부정한 이후에 원효는 뜻밖에도 모든 주장들이 “옳기도 하고 옳지 않기도 하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佛性이 “不然”이므로 각각의 주장이 모두 잘못되었고, “非不然”이므로 각각의 주장이 모두 옳다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이와 같이 모든 것을 부정하는 것을 통하여 모든 것을 긍정하는 원효의 인식 방법을 길장의 〈佛性義〉에 나오는 논리와 연결시켜 이해하였다. 그렇지만 어떠한 견해를 “(오직 하나의) 올바른 것”으로 주장하면 그것은 곧바로 일방적이고 올바르지 않은 것이 되지만 道의 입장에서 방편으로서 견해들을 제시하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올바를 수 있다는 화쟁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은 《대승사론현의기》의 입장에서도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세 사람 모두 是와 非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길장은 《莊子》 〈齊物論〉에 대한 郭象의 주석을 직접 인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지 않은 원효나 혜균과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대승사론현의기》에 보이는 ‘邪見六師’에 대한 언급은 원효가 佛性의 본질에 대한 주장들 중에서 여섯 가지의 견해들만을 제시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원효는 혜균과 길장의 양 저술 모두를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길장의 《대승현론》이 원효의 화쟁 이론에 영향을 미쳤다면 《대승사론현의기》가 원효의 화쟁 이론에 영향을 미친 증거는 더 크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Some Further Reflections on Hyegyun’s Taesŭng saron hyŏnŭi ki and Its Place within East Asian Buddhism: A Note on the Explanations of the ‘Ch’ojang’ Formula, and Their Possible Implications

        Jörg Plassen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26 No.1

        The Taesŭng saron hyŏnŭi ki 大乘四論玄義記, authored by the [Sŭng] jŏng(“Superintendent”) Hyegyun 僧正慧均 (n.d.) from Paekche, is of crucial importance forthe understanding of medieval East Asian Buddhist thought. As shown in previousresearch, the text contains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history of San-lun 三論thought of the Southern Dynasties not available from other sources. In particular, acomparison with works ascribed to his fellow student Chi-tsang 吉藏 (547–623) allowsto reconstruct important facets of Fa-lang’s 法朗 (507–581) thought and practice. Some hitherto rather neglected passages in the “Ch’ojang chungga ŭi” section,preserved in a manuscript first introduced by Ōchō Enichi 横超慧日 in 1959, containinteresting explanations of the ch’ojang 初章 (“First stanza”) formula. These explanationsnot only giv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origin and meaning of the ch’ojang formulain the San-lun (Kor. Samnon) 三論 context (as shown by Ōchō Enichi and Itō Takatoshi伊藤隆壽), but also an important clue for the reconstruction of Wŏnhyo’s 元曉 (617–686)understanding of the term ch’ojang. Focusing on the character “a” (a cha 阿字), theyalso appear to have exerted some influence on the notion of the t’olonimen (Kor. taranimun) 陀羅尼門 (dhāraṇī gate), which Chih-yen 智儼 (602–668) and, with even moreemphasis, Ŭisang 義湘 (625–702) and his followers consider the fundamental approachunderlying the Hua-yen ching 華嚴經.

      • KCI등재
      • KCI등재

        Some Rather Prefatory Musings on the Role of Dhāraṇī in East Asian Hua-yen/Hwaŏm Circles and Beyond

        Jörg Plassen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21 No.-

        The use of dhāraṇī in T'ang dynasty Ch'an Buddhism is usually interpreted as due to the influence of a newly arising “Esoteric Buddhism.” However, there is growing awareness that various uses of dhāraṇī had been widespread before, and several scholars have shown that dhāraṇī play an important role both in the Pŏpkyedo ki and the Haein sammae non. Thus, in the former text the very notion of mutual interpenetration and virtual identity, a core concept of Hwaŏm/Hua-yen thought, is associated with the “Dhāraṇī Dharma of the One vehicle.” A synopsis of pertinent passages from these texts and the Hwaŏmgyŏng mundap shows that certain “one is all, all is one” formulae referred to by this and similar weighty expressions indeed may be considered the very core of 7th century Silla Hwaŏm thought and practice. Interestingly enough, these formulae later reoccur in Chan texts, and the use of the term dhāraṇī in Hwaŏm anticipates the particular use of dhāraṇī which Kūkai defines as mantra and claims to be unique to the “esoteric” tradition.

      • KCI등재
      • KCI등재

        Exegesis as Spiritual Practice: The Cathartic Commentary and the Visualizing Mode

        Jörg Plassen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14 No.-

        There is a growing tendency in contemporary Western scholarship on Buddhism to dismiss commentarial literature as elitist philosophical scholasticism. This trend, however, might be better understood as a reaction to 19th century philosophical modes of reception than on basis of the source texts, which again and again emphasize the provisionality of language and the soteriological intent of teachings as mere situational means. Thus, already Chinese San-lun commentaries not only provide basic orientation for ensuing spiritual practice, but directly aim at providing the audience with a “cathartic” experience, leveling all distinctions in a move towards non-differentiation. As to be demonstrated in this article, the Kŭmgang sammaegyŏng non 金剛三昧經論 employs a somewhat more “quietistic” visualizing approach, inscribing the emerging Hwaŏm perspective into text structures marked by mutual interpenetration and mirroring.

      • 10세기 고려의 대외관계와 과거제도의 시행

        플라센 라헬 ( Rahel Plassen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21 韓國史論 Vol.67 No.-

        본 논문은 10세기 고려의 과거제도 시행을 재조명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과거제도의 시행 목표를 일관되게 ‘왕권 강화’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구체적인 설명이 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국내적인 의미만을 염두에 둔 이해방식이다. 동시에 과거제도의 시행 자체가 유발하는 의문도 있다. 광종대는 왜 소수의 급제자만을 선발하였는가? 이들은 왜 광종대에 의미 있는 관직을 역임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는가? ‘왕권 강화’를 위해 여러 개혁을 단행한 것으로 알려진 광종대는 외교를 활발히 펼친 시기이기도 하다. 광종은 오대십국 시기의 여러 국가와 ‘전방위적 외교’를 펼쳤으며, 이 사실은 당시의 국제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새롭게 주목하게 한다. 10세기는 당의 멸망으로 인해 다수의 황제국이 세워진 시기이다. 광종대의 여러 개혁과 제도 시행은 황제국의 표방과 보조를 같이한 것이었다. 이에 논문의 1장에서는 광종의 전방위적 외교와 황제국 체제의 수립을 연결지어 검토하였다. 여기에 과거제도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외교문서의 작성과 전달이 중요해진 시기에 이를 담당할 인재들은 줄어든 상태였다. 광종대 쌍기의 주도하에 치러진 과거 시험과목을 살펴보면, 당시 제술과는 四六騈儷體의 작성 능력을 시험하였는데, 이는 국내 공문서와 외교문서에 대표적으로 쓰이던 문체였다. 2장의 핵심 논점은 외교문서 작성 역량이 과거제도를 통해 길러질 수 있었다는 점이다. 광종은 당시의 인적 수요를 관료 선발을 통해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10세기 후반 과거제도의 운영은 당시 당면한 외교 과제와 상호작용적인 관계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대송 관계에서 과거급제자들의 역할에 새로운 의미를 도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광종대 송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966년에서 972년까지는 교류가 없었다. 그런데 바로 이 시기에 고려에서 과거제도의 시행도 정체되었다. 이 사실은 과거제도가 오로지 국내적인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라는 점을 잘 보여준다. 송의 중원 통일을 계기로 재시행된 과거제도 역시 위와 같은 해석을 뒷받침해 준다. 마지막으로 지공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쌍기, 왕융과 같은 귀화인의 역할이 광종 초기의 과거를 넘어서 성종대 말까지 이어졌다는 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 10세기 후반, 성종 16년을 기점으로 지공거의 역임 시 관직이 변화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시점에서 과거제도가 다른 방향성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위와 같은 사실들은 광종이 과거제도의 시행을 통해 추진한 외교 역량의 강화를 보여준다. 이렇게 국제 관계를 함께 고려했을 때, 10세기 과거제도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reinvestigates the establishment of the examination system under King Gwangjong (r. 949-975) in the light of 10<sup>th</sup> century diplomatic relations. As the fourth ruler of the newly founded Goryeo dynasty, Gwangjong conducted a series of reforms that have been interpreted as designed to strengthen royal power. Reasonable as this assumption may appear, the relatively small number of graduates as well as their rather modest role under the king’s reign suggest that it does not sufficiently explain the function of the examination system during his times. As recent research has shown, Gwangjong’s rule can be characterized by active engagement in diplomacy. He maintained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Five Dynasties as well as the Ten Kingdoms. After the collapse of the Tang dynasty, a power vacuum on the mainland allowed for the formation of several states, not few of them imitating the Great Tang imperial state. Hence,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aims at discerning Gwangjong’s imperial ambitions. Formally accepting investiture, he effectively positioned Goryeo as an equal player on par with the Chinese states. In his effort to further increase Goryeo’s prestige, Gwangjong seems to have faced a shortage of capable diplomats. Until the downfall of Tang, the Silla kingdom sent students abroad, making them attend the imperial examinations for foreign visitors. Educated in the “four-six parallel ornate style” (saryukbyeollyeoche, 四六騈儷體), those who returned were qualified for writing official documents. During Gwangjong’s times, the state could no longer rely solely on this reservoir of talents. By introducing the examination system, Gwangjong established an institution that would provide him with officials capable of writing state documents.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focuses on this particular function of the examination system, tracing its development throughout the second half of the 10<sup>th</sup> century. The first successful candidates initially seem not to have played any significant role in civil service. Only some 20 years later, under King Seongjong (r. 981-997), their names appear among the roster of higher ranking officials. An analysis of their career paths, however, discloses their importance in the field of diplomacy. The Goryeo-Song relationship seems to have exerted direct influence on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examinations were conducted. When the exchange of envoys was sparse, the examinations came to a halt, too. Lastly, changes in the background of the examiners (jigonggeo, 知貢擧) have to be taken into account. For decades, those appointed examiners were selected from the ranks of the Hallim (翰林) scholars. This changed at the end of the 10th century, when the diplomatic equation was altered fundamentally by the Khitan expansion. Even based on the aforementioned observations, it might be biased to claim that the examination system was established for diplomatic purposes only. Nevertheless, a consideration of Gwangjong’s imperial policies and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10<sup>th</sup> century can help to shed some new light on an ancient institution.

      • KCI등재

        From terms to schemata

        ,rg Plassen 한국불교연구원 2012 불교연구 Vol.36 No.-

        不然 李箕永 연구의 철학적, 문헌학적 경향은 교리 분류와 개념의 연구가 강조되어 있으므로 유럽 선생님들인 Étienne Lamotte와 Paul Demiéville의 상당한 영향을 보인다. 현대 종교학에서 이기영 교수의 불교에 대한 이성적인 접근은 20세기 서양 종교의 영향으로 다소 구식이라고 여겨진다. 다만 지금의 문화적인 전환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 모르므로 한국불교학은 여러 다른 시도를 하며 철학적, 문헌학적 유산의 장점을 잘 지키고 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하나의 접근 방법은 불교 사상역사에서 텍스트 이미지의 역할에 대한 의식을 깨우는 것이다. 본고는 Kant가 처음 도입하고 후에는 철학, 심리학, 인지과학에서 발달된 스키마의 개념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힌트를 주는 것이 목적이다. 이 시도에서 두 가지 경우가 간단히 논의되겠다. 하나는 Michael Kimmel의 전 작품을 통하여 ‘이미지 스키마타를 이용함으로써 화엄 수행과 철학에서의 이미지 사용을 좀 더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다. 더 중요하는 것은 Gilles Fauconnier과 Mark Turner의‘개념의 결합’을 사용하여 은유 스키마타가 Peter N. Gregory에 의해 제기된 질문을 (왜 기신론이 동아시아 화염에서 중요하게 되었는가?) 해결할 열쇠를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 한다. 두 텍스트는 개념 병렬이 아니라 오히려 (원효의 논소 안에서) 두 은유 스키마타의 병렬로 연관된다. The philosophical and philological bent of Puryŏn Rhi Ki-young’s 不然 李箕永 research, emphasizing very much on the study of doctrinal differentiations and philosophic terms, clearly shows the influence of his European teachers Étienne Lamotte and Paul Demiéville. Within contemporary Religious Studies, Prof. Rhi’s to some extent also theologically informed approach usually is considered somewhat outdated. And yet, we do not know how long the current wave of cultural studies will last, and Korean Buddhology might be well advised to continue to preserve and build upon its precious philosophical and philological heritage. As this essay argues, to this avail one might draw upon a in the given context hitherto somewhat neglected method complementary to the study of philosophic terms and concepts,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textual images on the history of religious thought. In particular, this essay is intended to give a perspective on how the concept of schemata, first invented by Kant and then taken up in Philosophy, Psychology and Cognitive Sciences, might be employed to this avail. After a short introduction to the use of imagery in Hwaŏm Buddhism, we draw upon Michael Kimmel’s application of the notion of “image schemas” to the “golden lion”. Kimmels’s analysis does not only give an accurate model of how this dynamic textual image actually functions, but also provides a methodological yardstick enabling us to distinguish between more “soteriologically” and rather “philosophically” oriented usages of imagery, and thus as some potential also for the philological task of (re)grouping East Asian Hwaŏm texts by authors, resp. workshops. Subsequently, it is demonstrated how an analysis of the interaction of metaphor schemata may help to provide an answer to a long standing question initially raised by Peter N. Gregory, i.e. how it came about that the Ch’i-hsin fun was linked to the Hua-yen-ching and achieved its prominent position in the doctrinal classification scheme of later Hua-yen. Applying Gilles Fauconnier’s and Mark Turner’s notions of “Conceptual blending”, it is argued that rather than philosophical concepts, it were two metaphors employed to circumscribe the Buddha’s mind which, due to unification in a conceptual (or, perhaps better, schematic) blend, lead to the association of the 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