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과산화수소 처리에 의한 토양 유기물 분해 반응의 온도 변화

        백누리 ( Nu-ri Baek ),정영재 ( Young-jae Jeong ),서보성 ( Bo-seong Seo ),이수진 ( Su-jin Lee ),이승민 ( Seung-min Lee ),김한중 ( Han-joong Kim ),최현수 ( Hyeon-soo Choi ),오효림 ( Hyo-rim Oh ),박서우 ( Se-ou Park ),신은서 ( Eun-se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토양 유기물은 토양 건강의 가장 중요한 지표이다. 토양 유기물은 대표적으로 원소분석기를 이용한 산화법과 Walkley Black (WB) 방법을 이용한 습식분해법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하지만, 원소 분석기는 고가의 장비이고, 중크롬산칼륨과 황산 등을 사용하는 WB 방법은 실험의 위험성과 폐액발생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토양 유기물 함량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 독성이 거의 없는 과산화수소(산화제)와 토양을 반응시켜, 토양 유기물 산화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이용한 토양 유기물 함량 분석법 개발을 위한 예비 실험을 수행하였다. 토양(5.52 g C kg<sup>-1</sup>) 0.25-10 g (탄소로 1.4-55.2 mg)을 250mL 삼각플라스크에 담고 30% 과산화수소 20 mL를 투입하여 토양 유기물을 산화시켰다. 토양 1 g 이상에서 반응 온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토양 5 g 이상에서는 반응 10분 이내에 온도가 85-90℃ 까지 상승하였다. 토양 투입량(탄소함량)과 최대 온도 간에 결정계수 0.96 이상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과산화수소의 산화 반응 후 잔류 토양의 탄소함량을 분석한 결과 초기 탄소의 10-14%가 산화되었으며, 토양 투입량이 1 g에서 10 g으로 증가함에 따라 산화율은 66%에서 24%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토양 유기물 함량에 따라 과산화수소와의 산화 반응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온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를 활용하여 토양 유기물 함량을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는 기법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염류 토양의 비옥도와 염농도 변화에 따른 토양 탄소 함량과 벼 수량

        서보성 ( Bo-seong Seo ),박현진 ( Hyun-jin Park ),정영재 ( Young-jae Jung ),양혜인 ( Hye In Yang ),박세인 ( Se-in Park ),백누리 ( Nu-ri Baek ),곽진협 ( Jin-hyeob Kwak ),최우정 ( Woo-jung Choi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Salt-affected reclaimed tidelands (RTLs) in coastal areas of South Korea are commonly used for rice (Oryza sativa L.) cultivation as excessive salts are removed through leaching by irrigation during rice growth. However, changes in soil properties and rice growth in RTLs by continuous rice cultivation are not well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soil salinity indices (ECe, electrical conductivity of soil extracts; SAR, sodium adsorption ratio; ESP, exchangeable sodium percentage), fertility (mineral nitrogen (N) and available phosphorus (P) concentrations), and carbon (C) content as well as rice biomass and yield in 72 paddy fields within 10 RTL areas, which have been cultivated for different time periods (13 - 35 years). Continuous rice cultivation decreased EC<sub>e</sub> by 0.36 dS m<sup>-1</sup> per year, indicating desalinization, but ESP and SAR were not changed. Available P concentration increased but mineral N concentration did not change with rice cultivation years. There was also an indication of increased soil C concentration with rice cultivation. However, rice biomass and yield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RTLs. Instead, rice biomass and yield as well as soil C concentr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ECe when all individual measurements from 72 sampling sites within the 10 RTLs were pooled, suggesting that salinity is a constraint for both rice production and soil C sequestration from rice residue at field scales. Interestingly, soil mineral N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C<sub>e</sub> and negatively with rice biomass and yield. This result implies that heavy application of N fertilizer in highly saline soils may not benefit rice growth. Our results show that long-term rice cultivation with fertilization and irrigation decreases salinity while increasing P availability. However, soil C content and rice biomass and yield were more responsive to salinity status of each paddy field rather than cultivation years,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field-specific soil management for improved rice production and enhanced soil C sequestration.

      • 토양 침출액(1:1, 1:2, 1:5)을 이용한 포화침출액 전기전도도 평가를 위한 토성별 환산 계수

        서보성 ( Bo-seong Seo ),정영재 ( Young-jae Jeong ),최준 ( Choi Joon ),허준 ( Heo Joon ),이동환 ( Dong-hwan Lee ),이수진 ( Su-jin Lee ),백누리 ( Nu-ri Baek ),이승민 ( Seung-min Lee ),최우정 ( Woo-jung Choi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전기전도도(EC: Electrical Conductivity)는 토양의 염 농도 지표로서 토양의 염류도를 평가하는데 활용된다. USDA Salinity laboratory에서는 포화 반죽법으로 추출한 토양 용액의 EC(EC<sub>e</sub>)를 토양 염 농도 평가 기준으로 정하였으나, 포화 반죽법은 비용과 노동 부담이 크기 때문에 토양과 물의 비율을 1:1,1:2, 1:5로 측정한 EC(각각 EC<sub>1:1</sub>, EC<sub>1:2</sub>, EC<sub>1:5</sub>)에 환산 계수(conversion factor)를 적용하여 EC<sub>e</sub>를 추정할 수 있다. 환산 계수는 투입된 물의 양 차이는 물론 토양의 양이온 교환 용량 (CEC)과 희석에 따른 이온 활동도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이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성별 환산 계수를 평가하고, 환산 계수에 대한 영향 인자를 구명하기 위해, 토성이 다른 두 가지 토양(실트질양토, 사양토)을 대상으로 7가지 염 농도(용액 기준 1, 2, 4, 8, 12, 16, 24 dS m<sup>-1</sup>) 수준에서 EC<sub>1:1</sub>, EC<sub>1:2</sub>,EC<sub>1:5</sub>와 EC<sub>e</sub>, 그리고 각 침출액의 양이온 농도(Na<sup>+</sup>, K<sup>+</sup>, Mg<sup>2+</sup>, Ca<sup>2+</sup>) 농도를 분석하였다. EC<sub>1:1</sub>, EC<sub>1:2</sub>, EC<sub>1:5</sub>의 환산 계수는 실트질양토에서 각각 2.2, 4.1, 9.3였고, 증류수 투입량이 많은 사양토에서는 각각 3.3, 6.0, 16.2였다. 하지만, 두 토양 간의 환산 계수 비는 평균 1.6배로 증류수 투입비(1.4배) 보다 높았는데, 이는 사양토의 CEC가 실트질양토보다 낮아 양이온 용출량이 많았고 희석에 의해 이온의 활동도가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희석배수가 증가함에 따라 침출액 중 2가 양이온의 당량 분율(Charge equivalent molar ratio)은 감소한 반면 1가 양이온의 당량 분율은 증가하였다. 이는 희석에 의해 염 농도가 낮아짐에 따라 토양 음전하에 의한 2가 양이온의 흡착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당량 분율은 토성 간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포화침출액 중 1가 양이온의 분율은 사양토가 더 높았고, 2가 양이온은 실트질양토에서 더 높았다. 이는 CEC가 높은 실트질양토보다 CEC가 낮은 사양토에서 1가 양이온에 대한 2가 양이온의 흡착 선호도가 더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산정한 토성별 환산 계수를 실제 간척지 토양에 적용한 결과, 토성을 고려한 환산 계수를 적용하면 보다 정확한 EC<sub>e</sub> 산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양한 토성별 환산 계수 산정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