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의 노동공급유형 및 임금결정요인 분석: 임금근로와 자영업 간 비교

        최민정 ( Minjeong Choi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5 사회복지정책 Vol.42 No.3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는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의 증가이다. 그러나 고용형태에 따른 계층화, 이원화 등으로 인해 근로소득격차가 확대되고 있어 여성집단 내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변량프로빗모형을 이용하여 여성의 취업여부와 임금근로ㆍ자영업선택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나아가 OLS 추정과 분위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고용형태별 근로소득 격차의 크기와 요인을 분석한 후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고 있다. 실증분석에는 한국노동패널 15차 자료가 사용되었다. 주요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자영업집단은 임금근로집단보다 소득편차가 크고, 부문내 이질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영업 여성의 소득이 임금근로여성보다 높으며, 소득분위가 높아질수록 자영업자와 임금근로자간의 소득격차가 확대된다. 셋째, 소득 10분위와 90분위를 제외한 모든 소득분위에서 6세 미만 자녀와 6세 이상~18세 미만 자녀가 있을수록 시간당 임금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여성이 속한 가구의 경제적 특성, 그리고 자녀양육으로 인한 여성의 노동시장 불평등과 여성 간 불평등 완화를 위한 적극적인 사회적 보호대책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구체적 대안으로서 임금근로뿐 아니라 영세자영업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며, 특히 산업 및 직업별, 사업규모별로 특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공보육의 양적인 확충과 더불어 질적 제고와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할 수 있는 보육 및 돌봄 서비스의 확충 등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female workforce is one of the keys to future national competitiveness, women have been suffering from many different kinds of discrimination in recruitment, stratification, separation, and compensation in the labour market. This study is analysing the factors determining selecting self-employment or paid-employment and compares the self-employment and paid-employment sectors in terms of inter among female earnings differentials and their sources. Data used for this study are fifth waves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Analysis models include Probit model to women``s labor participation selection(employment or unemployment/ self-employment or paid-employment) and Quantile regression method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nings gap. The results indicates that first, human capital such as educational attainment and age has positive effects on female``s selection of self-employment. Second, human capital, socio-demographic features, and labor market factor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arned income of the paid-employed. Th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he children of the self-employed could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other factors including family income, employees. With these results, the author suggests universal family and labor policies to support women’s labor participation and the reconciliation of work and family.

      • KCI등재

        매장문화재 조사비용의 국가 부담 확대 필요성과 방안

        최민정(Choi, Minjeong) 한국고고학회 2017 한국고고학보 Vol.105 No.-

        우리나라는 매장문화재의 원형유지 및 발굴조사 금지를 기본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사회의 발전을 위해 개발 또한 피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토목이나 건설공사 등을 위하여 부득이한 경 우 매장문화재 조사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소요비용은 개발사업 시행자가 전액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 매장문화재 조사비용을 개발사업 시행자가 전액 부담하도록 한 것은 개발사업으로 인한 매장문화재의 훼손·파괴에 대한 보상(원인자부담)과 개발이익의 사회환수(수혜자부담)라는 유네스코(UNESCO) 권 고사항을 반영한 것으로 1973년 문화재보호법 개정을 통해 시행된 이래 현재까지 기본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매장문화재 조사에 소요되는 비용을 개발사업 시행자가 일방적으로 부담하도록 하는 것은 각종 건설공 사 중 매장문화재 훼손·파괴 및 발견신고의 기피, 유적보존에 따른 사유재산권 침해, 매장문화재 보호 정책 및 제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여론 형성, 각종 민원 제기 및 개선 요구 등 여러 가지 사회적 문 제와 갈등·분쟁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매장문화재 조사비용에 대한 원인자부담원칙이 도입될 당시와 달리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규모와 재정 여건 등이 성장·발전하는 등 사회적 환경이 변했고, 매장문화재 조사비용의 국가 부담 확대는 헌법에 서 규정한 국가의 당연한 책무를 이행하는 것이다. 개발사업에 따른 매장문화재 조사비용을 개발사업 시행자에게 일방적으로 전액 부담케 하기보다는 국 외 선진국과 같이 국가의 매장문화재 조사비용 부담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그에 따른 소요재원을 마 련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개발사업 시행자는 일반적으로 개발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우선적으로 추구하기 때문에 개발사업 시행 자의 매장문화재 보호 의식과 양심에만 의지하는 현행 방식과 국가의 규제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 다. 국민이 매장문화재 보호 및 역사적 가치, 매장문화재 조사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와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The basic principles regarding archaeological heritage in Korea are to maintain the original form of archaeological heritage and to ban investigation through excavation. However, since economic and social growth inevitably requires land development, investigations on archaeological heritage have been conducted in unavoidable circumstances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s, with project owners fully bearing the expenses thereof. Investigation costs of archaeological heritage are fully borne by project owners, which reflects the guidelines of UNESCO regarding compensation for damage and demolition of archaeological heritage due to development projects (Causer Pays Principle) and the return of development profits to society (Beneficiary Pays Principle). This has been maintained since 1973 when such principles were executed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Making project owners pay the full expenses for research on archaeological heritage has caused various social conflicts, disputes, and problems including intentional damage and demolition of archaeological heritage in various construction work, avoidance of reporting discoveries of archaeological heritage, infringement issues of private property rights due to the preservation of relics, the formation of negative recognition and public opinions on the protection policies and systems of archaeological heritage, and various civil complaints and improvement requests, etc. Unlike in the past when the Causer Pays Principle was first introduced on research expenses of archaeological heritage, Korea’s social environment has changed, with development and growth in economic scale and financial circumstances. Expanding government burden for research expenses means carrying out the obligation of the government designated in the Constitutional Act. It can be argued that there is a need to seek various plans to fund financial sources and to gradually expand the burden of the government on the research expenses of archaeological heritage, rather than making project owners pay full research expenses on the archaeological heritage according to development projects. Since project owners preferentially pursue economic profits according to development,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current policies that solely depend on the protection will and conscience of the project owners and on government regulations. Persistent promotion and efforts should be made so that people can recognize the historic value of archaeological heritage and the need to protect it,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archaeological heritage.

      • KCI등재

        매장문화재 유존지역 훼손·파괴에 대한 신고포상금 제도의 필요성

        최민정(Choi, Minjeong)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1

        매장문화재는 우리 조상들이 이룩한 찬란한 역사와 문화사를 복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이자 그것이 묻혀 있는 토지 소유자나 발견·발굴자의 소유물도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것도 아닌 미래 세대와 현재 우리 국민, 그리고 세계 인류가 함께 향유해야 할 공공자산이다. 매장문화재는 한번 훼손·파괴되면 원형 그대로의 복원이나 회복이 불가능하거나 오래기간의 시간이 필요하며, 현재 우리가 갖고 있는 지식이나 과학기술 수준 등으로는 완벽한 복원이나 회복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매장문화재의 가치와 특성으로 인해 매장문화재가 존재하는 지역인 매장문화재 유존지역은 원형유지 및 발굴조사 금지가 기본원칙이며, 위법 행위가 적발될 경우 형사처분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매장문화재 유존지역 보호·보존을 위한 국가의 행정능력, 개발사업 시행자의 의식과양심에만 의지하는 현행 제도의 한계로 인해 매장문화재 유존지역의 불법 훼손·파괴 사례가 언론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도되고 있다. 개발사업 계획·시행에 따른 매장문화재조사가 이루어지기 이전에는 매장문화재 유존지역의 불법 훼손·파괴나 형질변경 여부, 현황 및 관리 상태 등을 전혀 파악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매장문화재 유존지역의 효율적인 보호·보존을 위해서는 불법 훼손·파괴 행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예방적 관리체계 구축과 제도적 장치가 필수적인데 그 하나의 방안이 불법 훼손·파괴행위에 대한 신고포상금 제도의 도입일 것이다. 신고포상금 제도는 단순히 포상·처벌의 성격이 아닌 법질서 준수 및 자율적 감시 기능과 함께국민의 적극적인 행정 참여를 통해 국민과 함께 매장문화재 유존지역을 보호하고, 정부 정책을 홍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rcheological heritage is the basic material for reconstructing the outstanding cultural history of our ancestors. It does not belong to the excavators or the landowners of areas with archeological heritage, nor does it belong just to those living in current times, but is a public asset that should be shared with the public, the next generation, and humankind. It would be impossible to restore archeological heritage that has been damaged or destroyed and recovery would also take a long time. With our current knowledge and level of science technology, there are limitations to completely recovering or restoring archeological heritage. Owing to such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the archeological heritage, the areas containing such archeological heritage have been protected so that its original form is not damaged and excavation research is also prohibited. In the event that any illegal act is detected, criminal punishment is handed out. However, due to the insufficient administrative competence of the government in protecting and preserving areas containing archeological heritage, as well as the restrictions of current institutions that depend on only the consciousness and conscience of the developers, damages to and destruction of the areas containing the archeological heritage have continued to take place, as steadily reported by the media. It is true that we cannot establish the level of damage/destruction or changes in the quality of land, status, maintenance state prior to the research of archeological heritage which usually takes place in accordance with planing and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 projects. For effectiv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the areas containing archeological heritage, it is essential to build a preventive management system and provide institutional frameworks to prevent damages and destruction in advance. One of the plans is the introduction of a reward system for reporting such damages and destruction. A Reward system for reporting damages and destruction can also undertake the function of ensuring the observation of laws and autonomous monitoring, in addition to simple rewards or punishment. It also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and preserving areas containing archeological heritage with the public through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administration and in making public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

      • KCI등재

        경력단절 여성베이비부머의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분석

        최민정 ( Choi Minjeo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7 사회복지정책 Vol.44 No.1

        본 연구는 여성베이비부머의 노동시장 복귀 양상을 유형화하고 노동시장 특성, 인구학적 특성, 그리고 가구특성이 노동시장 복귀유형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경력단절 경험을 중심으로 여성베이비부머들의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동태적인 분석을 행하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사건배열분석(sequence analysis)을 통하여 고용상태 변화에 대한 체계적 이해의 구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수준에 따른 노동시장 복귀여부에 차이가 있었으며 대졸 이상 학력 여성들이 경력단절 경험 이후 노동시장에 복귀하지 않은 비율이 더 높았다. 둘째, 사건 배열분석을 통해 노동시장 복귀형태를 유형화한 결과 상용직 경력유지형, 지속적 경단 후 불안정노동형, 자영업 이후 미취업형, 지속적 무급가족종사자형, 장기미취업형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다항로짓분석을 통해 노동시장 복귀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탐색한 결과 교육년수, 배우자 소득, 초산연령, 출산 전 직종 등이 노동시장 복귀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여성베이비부머의 노동시장 복귀의 대표적인 양상을 제시하고 유형에 따른 특성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노동시장 복귀유형별 고용지원 강화, 중고령 여성 적합 직종 발굴 및 일자리 창출, 고용지속을 위한 사후관리의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urpose was conduct a dynamic analysis of career interrupted female baby boomer`s return to the workforce through sequence analysis. And this study tracks 14 years after the career interruption. This study based investigation on the data complied by the KLIPS, where the workforce performance is the focal point of it`s research. The findings of study were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study, years of education is a vital factor in female baby boomer`s return to the workforce. Second, sequence analysis produced 5 groups - continuous regular employment, continuous career interrupted after precarious employment, business owner and unpaid family worker, precarious employment after unemployment, and continuous unemployment. Last, result of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at pre-career interrupted job family was a permanent employment larger than continuous career interrupted after precarious employment, business owner and unpaid family worker relatively continuous unemploy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enlargement of employment policy for prevent female baby boomer`s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 KCI등재

        토드 헤인즈의 〈캐롤(Carol)〉의 영화적 공간: 멜로드라마적 과잉과 억압된 주체성을 중심으로

        최민정(Choi, Minjeong),배상준(Bae, Sangjun)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8

        본 연구는 ‘영화적 공간’을 영화의 서사 진행을 위한 연출적 배경인 ‘영화 속 공간’과 구분되는 일종의 영화적 형식언어로 바라보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영화적 공간은 영화의 물리적 실체이자 정서적 심층을 구현하는 토대로서 개인과 집단의 내면화된 공간성을 내포하는 메타적 개념이다. 이는 규범적인 장소의 특성과 캐릭터의 정서 그리고 감독의 미적 양식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한 결과이며, 이를 독해하는 관객의 경험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성’이라고 할 수 있다. 더글라스 서크(D. Sirk)는 이러한 영화적 공간의 다층적 구조와 그로부터 파생된 의미생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멜로드라마적 과잉’을 장르의 표현양식으로 승화시켰다. 본 연구는 서크의 연출미학, 즉 멜로드라마의 양식적 과잉의 관점에서 토드 헤인즈(T. Haynes)의 〈캐롤(Carol)〉(2015)의 영화적 공간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캐롤〉의 양식화된 영화적 공간은 그 주제의식은 물론 개인의 내면화된 서사를 구체적으로 시각화하는 영화적 장치로 기능한다. 즉, 개인의 희생을 종용하는 이데올로기의 억압을 폭로하는 동시에 그 전복의 가능성까지 영화적으로 양립시키며, 사적 그리고 사회 · 문화적 현상을 징후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영화적 공간을 서사의 직접적인 발화자로 포섭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분석을 통해 영화적 공간이 영화의 물리적 구조일 뿐 아니라, 다층적 미장센 요소들이 내리티브와 상호작용하며 자의적으로 의미를 생성하는 메커니즘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awareness of ‘Cinematic Space’ as a formal language of cinematography that is distinguishable from ‘space in the film’ that forms the background of narrative structure and its progression. As a meta-concept, ‘Cinematic Space’ is a physical substance of a film as well as a foundation of emotional layers that connotes the internalized spatial sensibility of individuals and social groups. ‘Cinematic Space’ is the consequence of close interactions between the attributes of normative places, sentiments of characters, and the visual aesthetics of directors and can be referred to as a ‘changing-spatiality’ depending on the audiences’ experiences those who comprehend them. D. Sirk had made good use of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Cinematic Space’ and the generation of meaning derived from it to sublimate ‘melodramatic excess’ into an expression style of the genre(melodrama).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inematic space of T. Haynes’ 〈Carol(2015)〉 from a Sirkian aesthetic perspective, that is to say, the stylistic excesses of melodrama. Stylized ‘Cinematic Space’ in Carol functions as a cinematic device that materially visualizes an inner narrative of characters moreover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a film. In other words, it exposes compatibly the oppression of ideology that urges individual sacrifices and the possibility of subversion cinematically and embraces the cinematic space as a direct narrative speaker by revealing personal and socio-cultural phenomenon symptomatically. Analysis from this perspective reveals that ‘Cinematic Space’ is not only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film but also a semantic-mechanism where the multi-layers of mise-en-scene elements interact with a narrative and generate its meaning arbitrarily.

      • SCIESCOPUSKCI등재

        Effects of Electrodeposition Methods on Electrochem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Polyaniline

        Eunok Kim(김은옥),Minjeong Choi(최민정) 한국고분자학회 2016 폴리머 Vol.40 No.5

        변전위법(potentiodynamic)과 정전류법(galvanostatic)으로 polyaniline 필름을 제조하여, 전기화학적 합성방법이 필름의 전기화학적 및 구조적 특성과 모폴로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두 합성방법은 결정성뿐만 아니라 산화상태와 도핑레벨의 차이를 유발하였다. 또한 필름의 모폴로지는 서로 다른 성장과정에도 영향을 받았다. 변전위법으로 제조된 필름의 경우, layer-by-layer 성장을 통해 매끄럽고 균일한 모폴로지를 나타낸다. 반면에 정전류법으로 제조된 필름은 분해로 인해 거칠어진 모폴로지를 나타낸다. 변전위법과 정전류법으로 제조한 필름의 거칠기(Rq)는 각각 94와 171 nm, 전도도는 2.74와 0.98 S/cm이다. Polyaniline (PAni) films were electrodeposited in the potentiodynamic and galvanostatic modes, and the effects of the deposition methods on the electrochemical,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he films are discussed. The two deposition methods resulted in different degrees of oxidation and doping degrees as well as film crystallinities. Furthermore, the morphologies of the films were affected by the different growth processes. In the case of the PAni film deposited in the potentiodynamic mode, a smoother and more homogeneous morphology was observed owing to the layer-by-layer growth of the film.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Ani film deposited in the galvanostatic mode, a rougher surface morphology was observed owing to the degradation process. The root-mean-square roughness values of the films deposited in the potentiodynamic and galvanostatic modes were 94 and 171 nm, respectively, while their conductivities were 2.74 and 0.98 S/cm,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