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지역 PCO 산업 활성화를 위한 영향변인

        임상택(Sang Taek Lim),김지은(Ji Eun Kim) 한국관광연구학회 2006 관광연구저널 Vol.20 No.2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ccess of the PCO in Bus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important factors leading the expansion of related industry and examine the vision of the PCO in Busan. This study, thus, focused on, first of all, what factors would influence the success of the PCO in Busan and, second of all, how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founded factors in related business sector. The survey instrument consisted of two sectors asking the important factors and the present results of PCO in Busan and demographic information on respondent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current study utilized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ertain factors would influence on the success of PCO in Busan. The detail discussion presented in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한반도 신석기시대 토기 양식의 성립과 변동

        임상택(Lim Sang taek) 중부고고학회 2017 고고학 Vol.16 No.1

        본고는 한반도 신석기시대 토기를 ‘양식’ 개념 하에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양식 구조를 파악하며, 그 변동 과정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해방 이후 현재까지 한반도 신석기시대 토기 연구는 편년과 지역구분에서 상당한 성과가 있었지만 전체 토기를 일관된 개념 하에서 다루지 못해 연구자간 의사소통은 물론 신석기시대 사회 변동 연구를 거시적 차원에서 검토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고는 토기 양식 개념을 적용하여 한반도 신석기시대 토기 전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토기 양식은 특정 시공간 속에서 기종, 기형, 문양 등에서 내적 응집성을 갖는 단위로 규정하고, 현재 폭넓게 인정되고 있는 지역구분을 기초로 지역별 양식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서북지역은 미송리양식-반궁리양식-당산상층 양식-신암리양식, 동북지역은 서포항 하층양식-서포항 상층양식, 중서부지역은 궁산 양식, 중동부지역은 오산리양식-지경리 양식, 남부지역은 고산리양식-동삼동양식-영선동양식-수가리양식을 설정할 수 있었다. 각 양식 내 분기는 ‘O기’라는 용어를, 동일 양식 내 지역적 구별은 ‘OO유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구분하였다. 궁산 양식 3기의 금탄리 1유형과 암사동 유형이 그러한 예에 해당한다. 광역에 걸친 양식적 공통성에 대해서는 ‘전통’ 혹은 대양식의 개념을 사용하여 포괄하였다. 예를 들면 중서부 이남 첨저 즐문토기의 광범위한 분포는 침선계 첨저토기 전통이라는 개념으로 묶을 수 있다. 이상의 일관된 개념 규정 및 용어 구사를 통해 연구자 간 의사소통의 효과적 도구를 마련함은 물론, 한반도 신석기시대 토기 양식들의 내용과 변동, 관계에 대해서도 검토할 수 있었다. 양식의 변동과 관련해서는 대체, 융합, 절충, 병존, 분지라는 개념 규정을 통해 지역별 변동과정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예를 들면 오산리 양식에서 지경리 양식으로의 변화는 ‘대체’로, 영선동 양식에서 수가리 양식으로의 변화는 ‘융합’으로 특징을 규정지을 수 있다. 양식의 변동은 거시적 차원에서는 압날, 융기 시문 방식에서 침선 시문 방식으로의 변화가 가장 현저한데, 이는 동북아시아 전체 차원의 양식 변동과 연동하는 현상이다. 변동의 원인으로는 생업 변화와 교류 등을 상정할 수 있지만 외부적 요인의 개입 없는 자연스러운 변동 역시 고려해야 한다. 특히 지역 내 양식의 세부적 변화 과정에 대해서는 추후 생업이나 교류 이외에도 문화전승과정의 복제오류나 개인 혹은 집단의 창조성 등과 같은 자생적 요인을 다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iming at arranging Korean Neolithic potteries based on the concept of ‘style’ and understanding its structure and transition process. The study of Korean Neolithic pottery has had considerable success after the liberation, but there are sill a limitation that it can not cover the social transition of Neolithic society under a macroscopic perspective due to an absence of unifying concept as well as a lack of interaction between the researchers.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I try to arrange the entire pottery of the Neolithic period in Korean Peninsula by applying the concept of pottery style. I defined the pottery style as a unit that has internal cohesion in pottery ware, deformity, and decoration pattern within the specific time and space, and set the regional style based on widely recognized regional distribution. As a result, the northwestern area could be divided into four styles: Misongri-Bangoongri-Dangsan upper layer-Shinamri style. The northeast becomes two: Seopohang lower layer–Seopohang upper layer style, the midwest region is one: Goongsan, the mideast is two: Osanri-Jigeongri style, and the southern area is able to set by four styles: Gosanri-Dongsamdong-Yeongsundong-Sugari style. The divergence in each style was distinguished by ‘n phase’, and ‘OO type’ was used for regional distinguishment within the same style (e.g. Geumtanri 1 type and Amsadong type of Goongsan style). In terms of the stylistic commonality in a wide area, I used the concept of ‘tradition’ to cover the area. For instance, the widespread distribution of conical Chulmun pottery in the sub-midwest can be tied to the ‘Tradition of Conical based pottery with incised decoration’. Based on the consistent conceptual rules and terminology, I could provide effective tools for communicating with researchers as well as examine the contents, transition, and relationship of the pottery style of the Neolithic period in Korea. When it comes to the transition of the style, I organized the characteristic of regional change through the concept of substitution, fusion, compromise, coexistence, and branch. For example, the transition for Osanri style to Jigeongri could be ‘usually’ defined as ‘fusion’. The transitions in the style are most noticeable from the stamp or applique pattern to incising on the macroscopic level, which is a phenomenon linked to the style transition of the entire Northeast Asia. The cause of the change can be the change of subsistence and exchange, but also in situ change without the intervention of external factor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 situ factors such as copying error of cultural tradition process and creativity of individual or group in addition to subsistence or exchange to examine detailed change process within a regional style.

      • KCI등재

        동·남해안 지역의 신석기시대 조기 토기 양식

        임상택(Lim Sang Taek) 한국신석기학회 2012 한국신석기연구 Vol.- No.24

        본고는 새로운 자료와 편년 연구 성과에 기초해 신석기시대 동해안과 남해안 지역조기 단계 토기 양상을 재검토하고 양식 차원에서 종합화한 것이다. 최근 조사된 울진죽변 유적의 토기상은 기존에 강원 영동지역과 남해안지역으로 양분되어 있던 신석기 조기 단계 토기상의 중간 지대를 공간적으로도, 형식학적으로도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자료이다. 죽변의 토기상은 기존의 신석기시대 조기 중에서도 중엽 단계로 판단되었으며, 특징적인 내만구연옹과 내절구연옹의 검토를 통해 발과 옹의 세트관계가 정립된 양상임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발과 옹의 세트는 현재까지 동해안지역에서 가장 이른 유적으로 평가받는 오산리 C지구 최하층의 기종 조성에서 연원을 구할 수 있었으며, 오산리 C지구 최하층의 일상용 발과 적색마연 횡공 파수부발 세트가 기존의 오산리식 토기와 죽변유적 토기의 기종 조성으로 각각 이어진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동해안과 남해안 지역 조기 단계 토기를 양식(style) 차원에서 종합화하여 결론적으로 오산리 양식(하층 양식 및 중층 양식), 죽변 양식, 동삼동양식(융기문토기)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각 양식은 대체로 동해안 중부, 중남부, 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토기 양식이 의사소통의 기능을 가진다는 서구의 양식 논의 성과에 기초해 이와 같은 세 가지 양식은 서로 다른 집단의 정체성의 표현 결과일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양식의 표출은 토기, 석기 등 서로 다른 물질문화 영역에서 차별적으로 나타남을 지적하였는데, 이는 생업이나 환경적 공통성에 기반한 석기상의 공통성과 집단의 정체성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수단이 되는 토기상의 차별성을 서로 대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동해안과 남해안 지역 조기 단계의 토기상을 세 가지의 큰 양식으로 설정함으로써 향후 조기 단계 집단의 동태를 파악하는 기본적인 틀을 세울 수 있게 되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existence of three different pottery styles during initial phase of Korean Neolithic period : mid-eastern, southeastern, southern region respectively. These three areas shar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stone tool composition reflecting common subsistence patterns and environment: mainly toolkits of fishery. But pottery style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Osanri pottery style, Jukbyeon potte1y style, Dongsamdong pottery style. Osarui style is characterized by bowls(발) and pots(옹) decorated in various design motifs of impression. Jukbyeon style also has bowls and pots, but there s little decoration on potteries. Instead, there are a lot of red slip pottery in Jukbyeon. Dongsamdong style is composed mainly by bowls and applique style of design. These differences of pottery style might be the result of expression of group identity. Common toolkits and different pottery style means that the expression of group identity is differentiated by the different domains of various material cultur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동북 지역과 한반도 중서부 지역 신석기시대 토기 문화의 비교

        임상택(Lim Sang Taek) 백산학회 2014 白山學報 Vol.- No.100

        본고는 한반도 중서부 지역 빗살무늬토기 전통의 성립과정을 동북아시아 이른 시기 신석기문화의 광역적 흐름 속에서 이해하고자 작성되었다. 광역에 걸친 정보의 교환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고 이주, 전파 등 여러 형태로 이루어져 결국 각 지역에서 고고학적 기록으로 남게 된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으로 한반도 중서부와 중국 동북지역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 토기의 시문 기법, 문양배치, 기형 등 제 속성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해 한반도 중서부 빗살무늬토기 전통의 성립을 동북아시아 광역 차원의 정보 교환망 속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비교 검토를 통해 중서부 지역의 첨저 기형은 동아시아 이른 단계 첨,원저 토기 전통들의 공통성이 국지적으로 발현된 것이며, 빗살문 토기 성립기의 문양 시문 기법(압날)과 다단 배치, 문양 형태 등에 보이는 개성 역시 동북아시아 차원의 광역적 공통성과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공존하는 것임을 논증하였다. 이처럼 중서부 토기의 성립은 광역적 공통성과 국지적 개성의 공존을 통해 설명하는 것이 기형, 문양 배치, 시문 기법 등 개별 속성 차원으로 파편화시켜 전파론적으로 설명하는 것보다 고고학적으로 훨씬 설득력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formation process of Chulmun(櫛文) pottery tradition in mid-western area of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inter-regional information networks in northeast Asia. Inter-regional information exchanges result from various reasons and processes like migration, diffusion, exchange network systems etc. and leave many archaeological record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ormation process of Chulmun pottery tradition in mid-western area of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comparison of pottery decoration technique, layout, vessel form etc. with northeast province of China. By comparison, it assumes that principal characteristics of pottery in Korean peninsula such as conical vessel form and decoration technique(stamp), and vertical division of decoration fields not only represent their own characteristics, but also share many aspects with Northeast Asian potteries in various ways. Inter-regional information exchanges play a great role beneath these phenomena. The concept of ‘Interaction sphere’ fits with these phenomena very well. This view has more explanation power than the simple diffusionistic view based on the comparisons of individual features such as pottery decoration technique, layout, vessel form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신석기시대 남부지역 소형 발형 토기 연구

        임상택(Lim Sang Taek) 한국신석기학회 2010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9

        본고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신석기시대의 소형 발 및 천발형토기 변화과정을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문화 변동과정의 연속성과 단절성 여부에 대한 검토 역시 가능할 것이다. 발형토기와 천발형 토기는 총 8개의 세부형식으로 나뉘었으며 조기~중기 단계까지 그 변화양상을 검토 하였다. 검토결과 발형토기의 기형 변화 경향은 여타 중,대형 토기의 기형변화경향과 궤를 같이 하며, 중기단계에 가장 큰 기형변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즉 중기가 되면 편평한 구순에 직립구연을 가진 형태가 많아지고 문양이 시문된 토기가 증가 하며 저부형태는 가장 둥근 형태가 된다. 전형적인 천발형 토기는 전기에 소량 나타나기 시작해 중기 이후 보편화되는데 중기에는 기형상 발형토기와 유사한 변화경향이 관찰 된다. 이를 기초로 남부지역 전~중기 토기문화의 연속성과 단절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남부지역 중기토기문화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인식되는 중서부지역의 소형토기를 비교 검토하였다. 중서부지역의 소형 발형토기는 평저토기를 기본으로 하고 문양시문 비율이 높은 점 등에서 남부지역과는 기본적으로 다른 구성을 하고 있으며 중서부 나름의 내적인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 반면 남부지역의 중기 소형 발형토기류들은 조기 이래로 토착의 기종·기형적 특징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남부지역의 태선문토기로 대표되는 중기 문화 성립과정에는 외부적 영향이 강하였음을 부정할 수 없지만, 토착적인 토기문화 전통 역시 강하게 지속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변화를 주도하는 새로운 생활영역과 관련된 물질문화에는 의도적으로 외래 신규 문화요소들이 표출되고, 기존의 일상 가내(소형토기), 의례(주칠토기) 영역에서는 토착적 전통이 유지되는 이원적 구조가 중기단계에 형성되었음을 의미하며 이후 이러한 이원적 구조는 남부지역 토착화(일원화)의 과정을 밟는 것으로 이해된다. This paper aims at the establishment of chronological sequence on small potteries that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during the Neolithic period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Neolithic cultural traditions in southern Korea can be investigated from the changes of small potteries. Small potteries divided to eight sub-types by their forms and the formal changes of those sub-type from Initial to Middle phase in study area is examined. From the analysis, it can be found that formal changes of small potteries paralleled to those of medium to large potteries and major formal changes occurred during Middle phase. Those changes include the increase of flat lip, fully round base and decoration on bowls and shallow bowls. The new pottery tradition of Neolithic Southern Korea during the middle phase is perceived to appear under the influence of central western pottery tradition. For the reexamination of this hypothesis, I compared to that of southern Korea. From the comparison, it reveals that small potteries of Central western Korea is different basically in several aspects. These potteries have flat bottom and also have high proportion of decorated potteries. On the contrary, small potteries of Southern Korea have round bottom from the initial phase to the end of Neolithic period and have little decoration basically. It means that, though the influence of central western pottery tradition is strong, inherent pottery tradition is also lasted. Inherent pottery tradition is lasted in the area of everyday domestic life and ritual. This dual structure of pottery tradition is formed during the middle phase, but before long this dual structure is melting to united one distinct to southern Korean neolithic pottery tra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