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n Ergonomic Evaluation of an One–Touch System for Shoe Lacing

        Kwangae Park,Jangwoon Park,Younggeun Choi,Hyewon Lee,Jongoh Hwang,Heecheon You 대한인간공학회 2012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1

        Background: Ordinary shoes have an inconvenience that the laces should be retied when they are untied, otherwise the wearer could fall down or have a safety accident. Tying shoe laces is especially uncomfortable for seniors and disabled people with difficulty using hands. Objective: Present study validates the ergonomic effects of the one-touch system developed for refining the inconvenience of tying laces and improving prevention of being untied of laces. Method: Validation of the one-touch system has been conducted with eleven seniors, ten disabled people, and ten ordinary adults. They evaluated the one-touch system and the ordinary shoe laces in terms of subjective criteria (overall satisfaction, convenience of use, wearing comfort, securing stability, and motion efficiency) and objective criteria (tying time). Results: The level of overall satisfaction of the one-touch system was 1.6 times higher than ordinary lace shoes where the one-touch system got 6.3 points each from seniors and disabled people, and 5.1 points from ordinary adults while ordinary lace shoes got 3.9 points from seniors, 3.7 points from disabled people, and 3.2 points from ordinary adults. Especially in the group of disabled people and seniors with difficulty using hands, the result of the one-touch system was 1.5 to 4.6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ordinary lace shoes in terms of convenience of use, securing stability, and motion efficiency. In terms of tying time, buckling the one-touch system shoes took 2.3 to 3.8 times quicker than tying ordinary shoe laces where it took 8.6 seconds for seniors, 11.8 seconds for disabled people, and 6.9 seconds for ordinary adults to tie ordinary shoe laces, while it took 3.2 seconds for seniors, 5.2 seconds for disabled people, 1.8 seconds for ordinary adults to buckle the one-touch system shoes. Conclusion: It was validated that the way of buckling the one-touch system shoes is more satisfactory and efficient than the way of tying the ordinary shoe laces. Application: The one-touch system is highly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shoes with laces. Moreover, it could be used in product design for seniors and disabled people with difficulty using hands, and children group.

      • A study of body shapes to design clothing for wheelchair users

        Kwangae Park,Jangwoon Park,Chungeun Yang,Heecheon You 대한인간공학회 2013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5

        Background: 비장애인의 선 자세를 기준으로 제작된 기성복은 휠체어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사이즈뿐만 아니라 형태적인 면에서도 잘 맞지 않아 의복착용에 불편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본 연구는 휠체어 사용자의 의복설계에서 휠체어 사용자의 인체적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남성 장애인의 체형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Method: 휠체어를 사용하는 성인 남성장애인 144명을 대상으로 상반신 체형분석에 필요한 14항목을 측정하였고, 인체의 측면사진을 촬영하여 귀구슬점에서 수직으로 내린 기준선과 목뒤점, 목앞점, 가슴돌출점, 등돌출점, 배돌출점을 기준점으로 설정하여 두께 9항목, 각도 8항목, 계산항목 5항목 분석하여 휠체어 장애인의 측면형태를 파악하였다. Results: 드롭치수에 의한 휠체어 사용자의 상반신 체형분류에서 보통체형(A)이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냈고 역삼각형(Y)이 가장 적은 분포를 나타냈다. 측면사진 분석에서는 휠체어 사용자의 측면체형을 4개로 유형화 하였다. 귀구슬점 기준선으로 앞뒤의 두께가 비슷한 H형, 등이 굽고 목이 앞으로 경사지며 앞면이 밋밋한 형, 등이 굽고 배가 심하게 돌출된 6형, 등면의 상부가 굴신이면서 아래배가 많이 나온 S형으로 분류되었다. Conclusion: 휠체어 사용자의 측면체형 분석결과 휠체어에 앉는 자세에 따라 체형의 차이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Application: 휠체어 사용자의 앉은 자세에서 체형의 연구는 맞음새를 높일 수 있는 맞춤형의복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Development of an ergonomic evaluation protocol for a bus seat

        Jangwoon Park,Younggeun Choi,Hyewon Lee,Kwangae Park,Moonjin Kim,Heecheon You 대한인간공학회 2013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5

        Objective: 본 연구는 버스 승객석 평가에 특화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인간공학적 평가 protocol을 개발하는 것이다. Background: 버스 승객석에 대한 인간공학적 설계를 위해 체계적인 평가 체계가 필요하나 버스 승객석 평가에 특화된 protocol 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Method: 버스 승객석 평가 설문지는 평가자들이 기존 버스 승객석들을 종합적으로 비교 평가할 수 있도록 승차자의 3가지 tasks(착석, 업무, 취침), 평가 대상 버스 승객석의 12가지 설계 부위(예: 안전벨트, 팔걸이, 머리지지부, 등받이, 좌면), 그리고 17가지 인간공학적 평가기준(예: 크기 적절성, 형태 적합성, 쿠션감) 간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개발되었다. 실험 참여자들은 모집단의 인체크기분포를 고려해 통계적으로 적합하게 대표하는 인원으로 모집되었으며, 평가환경은 버스 승객석 공간과 유사하게 버스 승객석들을 2열로 배치되었다. 개발된 버스 승객석 평가 protocol은 기존 12종 버스 승객석들의 비교 평가에 활용되었다. Results: 본 연구에서 개발된 버스 승객석 protocol을 통해 버스 승객석에 대한 설계 부위별 선호 특성들이 파악되었다. Conclusion: 버스 승객석 평가에 특화된 인간공학적 평가 protocol이 개발되었으며, 개발된 평가 protocol은 신규 승객석 형상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에 활용되었다. Application: 본 연구진은 분석된 선호 설계 특성을 바탕으로 양산형 신규 버스 승객석 설계 및 제작 중에 있다.

      • Development of an Ergonomic Bus Seat Design Process based on the Seat Comfort and 3D Profile Analysis

        Hyewon Lee,Jangwoon Park,Youngguen Choi,Kwangae Park,Moonjin Kim,Heecheon You 대한인간공학회 2013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5

        Objective: 본 연구는 인간공학적 버스 승객석 설계를 위해 기존 버스 승객석들에 대한 주관적 평가 및 형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 버스 승객석의 형상을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Background: 버스승객석의 형상은 승차자들의 체형에 적합하고 장시간 안락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인간공학적인 설계가 필요하다. Method: 인간공학적 버스 승객석 형상 설계 방법은 4단계(주관적 평가 실험, 버스 승객석의 3D 형상 분석, 선호 profile 특성 분석, 신규 승객석 설계) 절차로 구성된다. 주관적 평가 단계에서는 기존 12종 버스 승객석을 7개 설계 부위별(머리, 흉부, 요추, 등받이 측면, 엉덩이, 허벅지, 좌면 측면 지지부)로 크기 및 형태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3D 형상 분석 단계에서는 기 평가된 버스 승객석들의 3D profile 특성들을 설계 기준선들(centerline, seatback line, seatpan line)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선호 profile 특성 분석 단계에서는 주관적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버스 승객석의 설계 부위별 선호 profile 특성들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신규 승객석 설계 단계에서는 파악된 선호 profile 특성들을 조합하여 신규 버스 승객석 형상을 설계하였다. Application: 본 연구는 기존 버스 승객석의 3D 형상을 benchmarking하여 신규 승객석의 형상을 설계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버스 승객석 형상 분석 및 설계 방법은 다양한 인간공학적 시트 설계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Analysis of Korean Facial Measurements for Sizing System of Face Wearable Products

        Baekhee Lee,Nahyeon Lee,Younggeun Choi,Eunjin Jeon,Kwangae Park,Boyoung Park,Wonsup Lee,Hee-Eun Kim,Jeongrae Lee,Junghee Won,Hyoseon Kim,Younghyun Kim,Heecheon You 대한인간공학회 2015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Objective: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Korean facial dimensions and select facial key dimension candidates for establishing a sizing system of face wearable products such as dust mask and oxygen mask. Background: An anthropometric sizing system accommodating different fac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population can contribute to improving usability of the face wearable product. Method: Facial key dimension candidates were selected by correlation analysis among 19 facial dimensions. Korean facial sizes measured by KATS (2004, 2010) and Lee et al. (2013) were compared to Chinese facial sizes measured by Du et al. (2008) to each facial key dimension candidate. Results: Face length, bitragion breadth, bitragion-subnasale arc, and bitragion-pronasale arc were selected as facial key dimension candidates. The face length of Korean was 6.6 mm longer compared to that for Chinese; the bitragion-subnasale arc 17.4 mm shorter.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proposed four facial key dimensions for Korean face wearable product sizing systems. Found that Korean have longer face length and lower cheekbones compared to Chinese. Application: The facial key dimension and corresponding analysis result can be applied to design for sizing system of Korean facial wearable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