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퇴골의 기계적 축을 이용한 원위 대퇴부의 회전 정렬

        김광균(Kwang Kyoun Kim),이우석(Woo Suk Lee),허윤무(Youn Moo Heo),이진웅(Jin Woong Yi),이정범(Jung Bum Lee),채동식(Dong Sik Ch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6

        목적: 기계적 축에 수직으로 촬영한 단층 촬영 영상에서 원위 대퇴부의 회전 축들의 관계를 조사,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기계적 축에 수직으로 촬영된 삼차원 단층 촬영 영상 50예를 대상으로 원위 대퇴부의 해부학적 상과간 축, 수술적 상과간축, 전후방 축, 실제 후과간 축간의 관계와삼차원 재조합 대퇴골 영상에서 해부학적 상과간 축, 전후방 축, 실제 후과간 축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단층 촬영 영상에서 실제 후과간 축에 대해 해부학적 상과간 축, 수술적 상과간 축, 전후방 축이 이루는 각은 6.34±1.23°, 2.43±1.56°, 96.52±1.77°였다. 해부학적 상과간 축에 대한 전후방 축 및 수술적 상과간 축이 이루는 각은 90.19±1.61°, 3.91±0.90°였다. 삼차원 재조합 모델에서 실제 후관간 축에 대해 해부학적 상과간 축 및 전후방 축이 이루는 각은 6.29±1.86°, 93.33±3.76°였다. 해부학적 상과간 축에 대한 전후방 축이 이루는 각은 87.04±4.11°였다. 결론: 기계적 축에 수직으로 촬영한 단층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원위 대퇴부의 회전 축을 측정하는 방법은 제한성이 있는 방법이며, 특히 해부학적 상과간 축을 이용한 측정방법이 전후방 축에 비해 정확한 측정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measure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rotational axes of the distal femoral region by means of 3-dimensional (3D) computed tomographic (CT) images taken perpendicularly to the mechanical axis and a 3D rendering program. Materials and Methods: Fifty cases involving the lower extremit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hich used 3D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ms. CT images of the perpendicular cross-sections to the mechanical axis of the femur were obtained by processing 3D recombinant images using Aquaris NET<SUP>®</SUP>. The following anatomical angles were obtained from axial imaging using the 3D reconstructed bone model: transepicondylar axis, surgical transepicondylar axis, anteroposterior axis, and real posterior condylar axis. Results: In the tomographic images, the angles to the real posterior condylar axis formed by the anatomical femoral transepicondylar axis, the anatomical femoral transepicondylar axis, and the anteroposterior axis were 6.34± 1.23°, 2.43± 1.56°, and 96.52±1.77°, respectively. The angles to the anatomical femoral transepicondylar axis formed by the anteroposterior axis and the surgical femoral transepicondylar axis were 90.19±1.61° and 391±0.90°, respectively. In the recombinant 3D femur model. the angles to the real posterior condylar axis formed by the anatomical femoral transepicondylar axis and the anteroposterior axis were 6.29±1.86°, and 93.33±3.76°, respectively. And, the angle for anteroposterior axis from anatomical transepicondylar axis was 87.04±4.11°. Conclusion: The method of measuring the rotational axes of the distal femur using the CT image taken perpendicularly to the mechanical axis is considered reproducible. In particular, th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anatomical transepicondylar axis is more accurate than that using the anteroposterior axis.

      • KCI등재

        경골 골절제의 정도가 절제면의 골 강도에 미치는 영향 : 유한 요소 해석을 이용한 연구

        김광균(Kwang Kyoun Kim),원예연(Ye Yeon Won),백명현(Myong-Hyun Baek),최문권(WonQuan Cui),권순행(Soon Haeng Kwon),이주홍(Joo-Hong Lee),김용범(Yong-Beum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5

        목적: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하여 슬관절의 경골 관절면에서 절단 거리에 따른 절단면의 기계적 강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치환술을 위해 내원한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서 시행한 20예의 슬관절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을 이용하였고 각 컴퓨터 단층 촬영 이미지를 자동 메쉬 형성(automatic mesh generation) 소프트웨어 BIONIX™ (CANTIBio. Co, Suwon, Kore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8절점 정육방형 요소(8-node hexahedron element)로 모델을 생성하였다. 유한요소 모델은 근위 경골 외과측 관절면에서 6 ㎜, 8 ㎜, 10 ㎜, 12 ㎜, 15 ㎜, 18 ㎜씩 절단하여 20개의 모델당 각 6개의 유한요소 모델을 만들었다. BIONIX™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8절점 정육방형 요소는 HyperMesh™ (Altair Engineering. Inc, Seattle, USA)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1%의 변형률(strain rate)을 가하여 경계 조건을 적용했다. 유한요소 해석은 상용 소프트웨어인 ANSYS 9.0 (ANSYS. Inc, Orlando, USA)을 이용하여 최대 응력(σu, Ultimate stress)을 구하였다. 결과: 평균 최대 응력은 6 ㎜에서 906.84 ㎫, 8 ㎜에서 877.22 ㎫, 10 ㎜에서 895.93 ㎫, 12 ㎜에서 852.70 ㎫, 15 ㎜에서 742.90 ㎫, 18 ㎜에서 585.51 ㎫로 관절면으로부터 절제 거리가 증가할수록 절단면의 최대 응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15 ㎜와 18 ㎜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다(15 ㎜: p=0.005, 18 ㎜: p=0.000) 결론: 경골 외과측 관절면에서 절제 거리에 따른 절단면의 강도는 전반적인 감소를 보이나 12 ㎜ 이내에서는 절제면의 골강도를 유의하게 감소시키지 않았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mechanical strength of proximal tibia as resection distance increased from the joint surface. Materials and Methods: We obtained the CT images of twenty knee osteoarthritis patients undergoing total knee arthroplasty. The finite element models were created based on the computed tomography images. The 8-node hexahedron element was made from BIONIX™ (CANTIBio. Co, Suwon, Korea), which is automatic mesh generation software program. The finite element model of the proximal tibia was resected at 6 ㎜, 8 ㎜, 10 ㎜, 12 ㎜, 15 ㎜ and 18 ㎜ from the lateral joint surface. A 1 % strain rate was applied to a model by using HyperMesh™ software (Altair Engineering. Inc, Seattle, USA). The ultimate stress was calculated from the finite element analysis with using ANSYS 9.0 (ANSYS. Inc, Orlando, USA). Results: The mean ultimate stress was 906.84 ㎫, 877.22 ㎫, 895.93 ㎫, 852.70 ㎫, 742.90 ㎫ and 585.51 ㎫ at the 6 ㎜, 8 ㎜, 10 ㎜, 12 ㎜, 15 ㎜ and 18 ㎜ resection levels. As co㎫re to the 6 ㎜ resection level, the bone strengths at 15 ㎜ and 18 ㎜ were decreas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15 ㎜: p=0.005, 18 ㎜: p=0.000). Conclusion: The ultimate stress was decreased as the resection distance increased from the joint surface. But within a 12 ㎜ resection distance from the lateral condyle articular surface of the tibia, the ultimate stress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 KCI등재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시 압박대의 감압 시기에 따른 실혈량에 대한 영향

        김광균(Kwang Kyoun Kim),원예연(Ye Yeon Won),오형탁(Hyeong Tak Oh),이대희(Dae Hee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1

        목적: 컴퓨터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압박대의 감압시기에 따른 실혈량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군은 31예로 피부 봉합 및 압박 소독을 시행한 후 압박대를 감압하였으며, 2군은 32예로 치환물을 삽입하기 전 압박대 감압 및 지혈을 시행하였다. 술 전 및 술 후 24, 48시간의 혈색소량 및 적혈구 용적률을 조사하였고, 양 군 간의 총실혈량, 술 후 배액관을 통한 실혈량, 감춰진 실혈량, 가시적 실혈량 및 수술 시간을 비교하였다. 결과: 술 후 24, 48시간의 혈색소(p=0.371, p=0.247) 및 적혈구 용적률의 변화량(p=0.428, p=0.125)은 양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술 후 24시간의 흡입 배액된 실혈량(p=0.381)과 총실혈량(p=0.126)은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가시적인 실혈량(p=0.023), 감춰진 실혈량(p=0.045) 및 수술시간(p=0.005)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압박대의 감압 시기에 따른 총실혈량 및 술 후 배액되는 실혈량의 차이가 없으며, 수술 후 압박대를 감압하는 방법은 수술 중 압박대를 감압하는 방법에 비해 시야 확보 및 수술 시간을 단축하는 측면에서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iming of tourniquet release on blood loss in navigation assisted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63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navigation assisted total knee arthroplast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31 patients (31 knees, group I) were operated with tourniquet release after wound closure and applied compression dressing, and another 32 patients (32 knees, group II) were operated with tourniquet release and hemostasis before implantation of the polyethylene insert. We examined hemoglobin concentration and hematocrit at three points in time, preoperatively, 24 hours and 48 hours postoperatively. We compared the two groups of patients in terms of total blood loss, postoperative drained blood loss, hidden blood loss, visible blood loss and operation tim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hemoglobin concentration at 24 hours and 48 hours postoperatively (p=0.371, p=0.247), and hematocrit at 24 hours and 48 hours postoperatively(p=0.428, p=0.125).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postoperative drained blood loss (p=0.381) and total blood loss (p=0.126) were found.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isible blood loss (p=0.023), hidden blood loss (p=0.045) and operation time (p=0.005). Conclusion: The releasing time of tourniquet have no effect on the actual total blood loss, and postoperative drained blood loss in navigation assisted total knee arthroplasty. We concluded that compared with intraoperative tourniquet release, postoperative tourniquet release are useful for making the broader operation field and less operation time.

      • KCI등재

        기계적 축에 수직으로 재구성된 삼차원 단층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측정한 대퇴 경부 전염각의 측정

        김광균 ( Kwang Kyoun Kim ),노재영 ( Jae Young Roh ),김상범 ( Sang Bum Kim ),이우석 ( Woo Suk Lee ),원예연 ( Ye Yeon Won ),채동식 ( Dong Sik Chae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1

        Purpose: We wanted to measure the femoral neck anteversion (FNA) angles using a 3D CT scan that perpendicularly cut the mechanical axis of the femur and to assess the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of different measuring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We obtained 95 cases of 3D CT images of the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the mechanical axis of the femur. The methods used to measure the FNA angles included a method using the CT image of the area where the femoral neck is confluent to the greater trochanter (method 1), a method using the CT image taken from the neck base immediately prior to the beginning of the area of the lesser trochanter (method 2) and a method by which measurements are made after putting 3D bone models on a horizontal plane in virtual space (method 3). The reference axes of the distal femur we used were the anatomical transepicondylar axis, the surgical transepicondylar axis and the real posterior condylar axis. Results: The FNA angles measured by method 1 were 4.79±6.41˚ to the anatomical transepicondylar axis (ATEA), 6.09±6.58˚to the surgical transepicondylar axis (STEA) and 7.96±6.81˚to the real posterior condylar axis (rPCA). The FNA angles measured by method 2 were 16.01±8.31˚to the ATEA, 19.52±8.38˚to the STEA and 21.79± 8.52˚to the rPCA. The FNA angles measured by method 3 were 20.15±12.89˚to the rPCA. Conclusion: The measurement of the FNA angle using a 3D CT scan perpendicular to the mechanical axis is reproducible. The measurement method on the neck base level is more reliable than the one on the proximal neck confluence, and more similar to the measurement method by classic definition.

      • KCI등재

        Acute Rupture of Flexor Tendons as a Complication of Distal Radius Farcture

        Youn Moo Heo(허윤무),Sang Bum Kim(김상범),Kwang Kyoun Kim(김광균),Doo Hyun Kim(김두현),Won Keun Park(박원근)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1

        원위 요골 골절에서 급성 굴곡건 파열은 드물게 동반된다. 저자들은 원위 요골 골절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급성 굴곡건 파열을 4예 경험하였다. 손상된 건은 장무지 굴곡건, 요수근 굴건, 장 장건 및 제3 심수지 굴곡건이었다. 모든 증례는 방사선 검사에서 전위가 심한 원위 요골 골절과 장측의 날카로운 골절단이 관찰되었다. 장무지 굴곡건과 제3 심수지 굴곡건 손상은 수술 전 신체 검사에서 진단되었으나 요수근 굴건과 장 장건 손상은 수술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골절 고정과 건 봉합을 동시에 시행하였고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Acute rupture of flexor tendons following distal radius fracture is very rare. We experienced four cases of acute rupture of flexor tendons that were treated surgically. Injured tendons included flexor pollicis longus, flexor carpi radialis, palmaris longus and third flexor digitorum profundus. A severely displaced fracture with a volar spike of the distal radius was detected on plain radiographs in all cases. Ruptures of flexor pollicis longus and third flexor digitorum profundus were diagnosed on preoperative examination but ruptures of other tendons were identified during the operation. Repairs of fractures and ruptured tendons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good functional outcomes were achieved.

      • KCI등재

        The Ability of Bone Mineral Density and Microstructural Indices to Reflec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rabecular Bone in the Intertrochanteric Region

        Wen Quan Cui(최문권),Ye-Yeon Won(원예연),Kwang-Kyoun Kim(김광균),Myong-Hyun Baek(백명현),Sung-Gu Yeo(여성구),Han-Sung Kim(김한성),Han Ter Min(민한터)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골밀도와 미세 골구조의 성질이 전자부 골소주의 기계적 특성(예, 탄성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15명의 환자로부터 대퇴골 전자부에서 총 15개의 고관절 골소주 시편을 채취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PIXImus2 골밀도 측정기, 고해상도 미세 컴퓨터 단층촬영기,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골밀도와 2차 및 3차원 미세구조 지수, 그리고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골밀도, 구조 지수, 탄성계수 간의 상관관계를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결과: 저자들의 본 연구에서 골밀도 및 골 체적비는 기계적 특성을 예측하는데 가장 중요한 인자였으며, 삼차원 마세구조 지수(예를 들어 구조 모델 지수) 또한 51% 정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기계적 특성을 예측하였다. 골밀도와 미세구조지수를 조합한 경우에 탄성계수의 변화량을 예측하는데 잘 반영하였다. 결론: 골밀도와 미세구조지수를 이용한 복합적인 분석은 전자부에서 탄성계수를 예측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이다.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of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the microstructural properties of trabecular bone to predict its mechanical property, i.e., its elastic modulus in the intertrochanteric regio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15 trabecular bone core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the proximal femurs of patients who were to undergo to total hip arthroplasties. The BMD measurement, 2-D and 3-D microstructural parameters, and elastic modulus of each bone core were obtained with PIXImus2 densitometer, high-resolution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and micro-finite element analysis (FEA). The multiple relationships among the BMD, structural parameters and elastic modulus were assessed with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Linear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bone volume fraction (BV/TV) was the best predictor for Young's modulus, as well as the BMD. A 3-D microarchitectural parameter, the structure model index (SMI) could well explain the variance of Young's modulus by 51%. The ability to explain the variance of Young's modulus was improved by combining the structural indices with each other, as well as by supplementing the BMD with any of the examined structural indices. Conclusion: A combination of microstructural paramet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bone mineral density measurement could provide the best predictions of the elastic modulus of cancellous bone in the intertrochanteric region.

      • KCI등재

        인공 고관절 치환술시 디지털 가늠자[Digital Template]와 수기 가늠자 [Manual Template]를 이용한 방법에 대한 비교

        원예연(Ye-Yeon Won),최문권(Wen-Quen Cui),김광균(Kwang-kyoun Kim),손성호(Sung-Ho S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7

        목적: 인공 고관절 치환술시 수기 가늠자 방법과 비교하여 디지털 가늠자를 이용한 측정방법을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 받은 41명을 대상으로 4명의 관찰자가 수술 전 수기 및 디지털 가늠자 측정방법으로 비구컵, 대퇴 스템 크기, 경부 길이를 2회씩 측정하고 관찰자내 및 관찰자간 일치율과 실제 크기에 대한 예측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관찰자내 일치율 및 관찰자간 일치율에서 비구컵 및 대퇴 스템 크기는 수기 및 디지털 방법에서 모두 양호한 일치율을 보였으나, 경부 길이에서는 두 방법 모두 불량한 일치율을 보였다. 수술시 사용된 부품 크기에 대한 예측에서 비구컵 크기는 디지털 측정방법이 수기 방법보다 의미 있게 더욱 실제 크기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고(p=0.001), 대퇴스템 크기 및 경부 길이는 두 방법간에 의미 있는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074, p=0.140). 결론: 수기 및 디지털 가늠자 측정 방법 모두 일치율이 좋은 유용한 방법이지만, PACS의 장점과 특히 실제 수술시 사용되는 부품에 대한 예측이 디지털 방법이 수기 측정 방법보다 좋은점을 고려할 때 PACS가 보급된 병원에서는 디지털 기늠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digital with manual templating in preoperative planning for total hip arthroplasty and to assess the usability of digital termplating. Materials and Methods: Conventional and digital radiographs performed prior to hip arthroplasty in forty one patients. Preoperative templating was performed by four independent observers with manual and digital templates on a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workstation. In all cases, acetabular cup, femoral stem sizes and length of femoral neck were measured. Intra- and interobserver agreement and predictability of real component size were calculated with weighted kappa analysis and Mann-Whitney test. Results: For acetabular cup and femoral stem size, inter-and intraobserver agreement was substantial, nevertheless, for length of femoral neck, it was poor in both methods. Comparing with the real size, digital templating metho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ability for acetabular cup size (p=0.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oral stem size and the length of femoral neck by both methods (p=0.074, p=0.140). Conclusion: Both inter-and intraobserver agreement was similar. However, considering advantage of PACS system and superior predictability of digital templating technique, we recommend the preoperative digital templating in hospital with PACS system.

      • KCI등재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하지 정렬의 정확도

        권순행(Soon-Haeng Kwon),이주홍(Joo-Hong Lee),김광균(Kwang-Kyo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6

        목적: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661예의 방사선학적 하지 정렬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8년 9월까지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환자 431명 66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 3주에 체중부하 장하지 전후면 방사선 촬영을 하여 하지의 역학적 축을 측정 분석하였으며 네비게이션 사용에 숙련된 수술자 423예와 덜 숙련된 수술자 238예간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술전 하지 역학적 축은 평균 -13.3° (-33.3° -10.6°)였고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후 -2.0°(-14.3°-7.5°)로 교정되었다. 두 수술자간의 술후 하지 역학적 축은 -1.8° (-13.4°-6.8°)와 -2.2° (-14.3°-7.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방사선학적 결과상으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네비게이션의 사용은 하지 정렬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 덜 숙련된 수술자라도 하지 역학적 축을 일치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alignment of the lower extremity in 661 cases of total knee arthroplasty (TKA) with using a navigation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661 cases (431 patients) that underwent TKA using a navigation system from June 2006 to September 2008. To analyze the mechanical axis, the weight bearing full length lower extremity radiographs were taken preoperatively and the again at3 weeks after the operation. The results from a well- experienced surgeon (423 cases)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a less-experienced surgeon (238 cases), and they both used the navigation system. Results: The mean of the mechanical axis was -13.3° (range: -33.3° -10.6°) preoperatively, but it was corrected to -2.0° (range: -14.3°-7.5°) after TKA using a navigation syste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of, -1.8° (range: -13.4°-6.8°) by a well-experienced surgeon and the mean of, - 2.2° (range: -14.3°-7.5°) by a less-experienced one.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adiologic results, the navigation system is beneficial for the accuracy of the mechanical axis in TKA. The navigation system helps a less-experienced surgeon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lower extremity alignment.

      • KCI등재

        수근관 감압술 후 수부력의 변화 및 이에 관련된 인자

        허윤무(Youn Moo Heo),노재영(Jae Young Roh),김상범(Sang Bum Kim),이진웅(Jin Woong Yi),김광균(Kwang Kyoun Kim),이정범(Jung Bum Lee),채동식(Dong Sik Ch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2

        목적 : 수근관 감압술을 시행한 수근관 증후군 환자의 수부력의 회복 경과와 이와 관련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8년 1월에서 2009년 1월까지 수근관 증후군으로 수근관 감압술을 시행한 31명, 5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후에 악력 및 파지력을 측정하였고, 임상 소견과 수부력 회복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결과 : 전례에서 수술 후 수부력이 증가했다. 악력은 수숱 전 14.8 ㎏ 에서 수술 6주에 13 ㎏, 3개월에 16.2 ㎏, 6개월에 18.7 ㎏, 12개월에 20.6 ㎏, 지첨 집기력은 수술 전 3.4 ㎏에서 3.9 ㎏, 4.8 ㎏, 4.4 ㎏, 4.7 ㎏, 열쇠 집기력은 수술 전 5 ㎏에서 5.3 ㎏, 5.9 ㎏, 6.5 ㎏, 6.7 ㎏로 회복되었다. 악력은 질병의 이환 기간이 길수록, 당뇨가 있는 경우, 야간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회복이 덜 되었다. 지첨 집기력은 12개월 추시에서 유의한 인자는 없었으며, 열쇠 집기력은 질병 이환 기간이 길수록 회복이 덜 되었다. 결론 : 수근과 감압술 후 악력은 3개월에, 파지력은 6주에 수술 전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으며, 12개월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그리고, 질병의 이환 기간, 당뇨, 야간 통증의 유무가 수술 후 수부력 회복의 판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Our goal was to investigate an improvement in hand strength and its associated factors after carpal tunnel decompression in patien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January 2008 and January 2009, a total of 31 patients (50 hands) treated with carpal tunnel decompression for carpal tunnel syndrome were enrolled into the study. Hand-strength was assessed pre- and post -surgery. In the pre-operation evaluation, we assessed multiple factors and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recovery of hand strength. Results : All patients regained hand strength after surgery. On average, the grip strength was 14.8 ㎏ preoperatively, 13.0 ㎏ at 6 weeks, 16.2 ㎏ at 3 months, 18.7 ㎏ at 6 months, and 20.6 ㎏ at 1 year postoperatively. The tip-pinch strength was 3.4 ㎏ preoperatively and improved to 3.9 ㎏ at 6 weeks, 4.0 ㎏ at 3 months, 4.4 ㎏ at 6 months and 4.7 ㎏ at 1 year postoperatively. The key-pinch strength showed same pattern of improvement. The recovery of grip strength was significantly slower in patients with longer duration of carpal tunnel syndrome, with diabetes, or with nocturnal pain. There was no factor affecting the recovery of tip-pinch strength. Recovery of key-pinch strength was slower in patients that had experienced a longer duration of symptoms. Conclusion : Grip strength and pinch strength were recovered within 3 months and 6 weeks, respectively, after carpal tunnel decompression; both improved gradually until 12 months after surgery. Disease duration, diabetes, and nocturnal pain were significant factors that impacted on post-surgery recovery.

      • KCI등재

        경골 간부 골절의 골수강내 고정술 후 발생한 장 무지 신전건의 구축

        허윤무(Youn-Moo Heo),노재영(Jae-Young Roh),김상범(Sang-Bum Kim),김재영(Jae-Young Kim),이정범(Jung-Bum Lee),김광균(Kwang Kyo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5

        경골 간부 골절 후 발생하는 족지 변형은 구획 증후군 또는 근/건의 유착이 원인으로 언급되고 있다. 족지 변형은 후방 구획 근육 손상과 연관되어 갈퀴 족지 또는 checkrein 변형이 비교적 흔히 보고되고 있으나, 전방 구획 근육 손상에 의한 변형은 매우 드물다. 저지들은 경골 간 부 골절에 대해 골수강내 고정술로 치료 후 족 무지의 중족족지 관절에 발생한 신전 변형을 2예 경험하였다. 수술 전, 후에 구획 증후군이 의심되는 소견은 없었다. 변형은 족관절의 족배 굴곡에 의해 감소되고 족저 굴곡에 의해 증가되었다. 장 무지 신전건 구축에 의한 변형으로 진단되어 족배부에서 Z-연장술을 시행하였으며 변형의 재발 없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저자들은 경골 간부 골절 후 드물게 발생하는 족지 변형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Toe deformities occurring after tibial shaft fracture can result from compartment syndrome or adhesion of muscle to tendon. Claw toes or checkrein deformity caused by injury of posterior compartment muscles has been reported relatively often. But, a deformity due to injury of the anterior compartment muscles is very rare. We observed the two cases of an extension deformity at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of the hallux following intramedullary nailing of a tibial shaft fracture. There was no evidence of compartment syndrome Extension deformity of the hallux was decreased with dorsiflexion of the ankle and increased with plantar flexion. Contracture of the extensor hallucis longus tendon was diagnosed, and Z-lengthening of that tendon was performed.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without a recurrence of deformity. We report these rare cases of toe deformities occurring after a tibial shaft fractur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