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절내 종골 골절의 전산화 단층촬영에 따른 분류 및 수술적 치료

        노재영,배서영,김성덕,Roh, Jae-Young,Bae, Su-Young,Kim, Sung-Dug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2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6 No.2

        Purpose: To propose a new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system of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 based on CT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Fourty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which were treated operatively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We classified fracture types according to severity of comminution on the posterior facet and calcaneocuboid joint by CT images. And we evaluated postoperative results of each fracture types in terms of the quality of fixation and reduction by the postoperative plain radiograghs. Results: By the classification of the posterior facet, 18 cases were P-I, 15 were P-II, and 7 were P-III. Among the P-I cases, 7 were P-IA, 9 were P-IL, 1 was P-IM and 2 were P-I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calcaneocuboid joint, II cases were C-I, 18 were C-II and 11 were C-III. Qualities of fixation were excellent in 27 cases (67.5%), fair in 9(22.5%) and poor in 4(10%). Qualities of reduction were excellent 23 cases(57.5%), fair in 11(27.5%) and poor in 6(15%). Conclusion: Our new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CT images could provide informations about the fracture configuration and severity of comminution around calcaneocuboid joint as well as the posterior facet. And the high grade fractures such as type P-III are need to be taken care of fixation of articular surfaces.

      • KCI등재

        부분골편 이동술을 이용한 만성 공동성 골수염의 치료

        노재영(Jae-Young Roh),이동욱(Dong-Wook Lee),서정민(Jeong-Min Se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4

        목적: 광범위한 골 결손을 동반하여 고식적인 방법으로는 치료가 어려운 만성 공동성 골수염의 치료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함께 이에 대한 효과적인 새로운 치료방법으로서 일리자로프 기기를 이용한 부분 골편 이동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경골에 광범위한 크기의 골 결손이 동반된 만성 공동성 골수염 환자 3예에서 저자들에 의해서 새로이 고안된 일리자로프 방법을 응용한 수술 방법을 이용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골편 이동술 개시 후 평균 78일째 골편의 이동에 의해서 골 결손부의 완전한 충전을 얻을수 있었으며, 배농구의 소실과 함께 감염도 완전히 치유되었다. 일리자로프 기기의 장착기간은 평균 271.3일이었고 골편의 이동 거리는 평균 8.0 ㎝이었으며 치유 지수는 평균 33.9/㎝이었다. 결론: 일리자로프 방법을 응용한 부분 골편 이동술은 골의 연속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부분 골편의 점진적 이동에 의해서 골 결손 부를 효과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었으며, 병변부의 구조적인 복원과 함께 감염의 치유를 촉진하여 골의 만성적인 감염으로 치료가 어려웠던 경우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방법으로 생각되어 보고 하는 바이다. Purpose: To report the challenging problems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cavitary osteomyelitis that is refractory to conventional treatment methods, and to illustrate the author's newly designed fragmentary partial bone transport technique using the modification of the IIizarov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Three patients with chronic cavitary osteomyelitis with a large cavitary bone defect of the tibia were treated with the author's newly designed biological fragmentary partial bone transport technique. Results: After an average of 78 days of fragmentary partial bone transport, the cavitary bone defects were completely filled with the transported bone fragment, and the draining sinus disappeared without any evidence of active infection. The IIizarov frame was removed on an average of 271.3 days after surgery. The mean total length of the distraction was 8.0 ㎝ and the mean healing index was 33.9 days/㎝. Conclusion: A fragmentary partial bone transport technique using the IIizarov apparatus can solve the problem of chronic cavitary osteomyelitis of the tibia by filling the bone defect with new living bone without sacrificing the bony continuity and effectively eradicating the infection. Therefore, this new technique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chronic cavitary osteomyelitis of the tibia.

      • KCI등재

        정밀 지오이드 및 조석모델을 활용한 안면도 지역의 높이기준면 변환 연구

        노재영(Roh, Jae Young),이동하(Lee, Dong Ha),서용철(Suh, Yong Cheol) 대한공간정보학회 2016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4 No.1

        현재 우리나라의 국가수직체계는 육상과 해상에서 서로 다른 높이기준면을 채용하고 있어, 국가 전체에 걸쳐 일관되고, 정확한 높이정보를 취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정밀한 지오이드모델과 조석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육상과 해상 높이기준면에 따라 별도 구축된 공간정보를 단일한 높이기준면 상으로 변환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의 대상지역으로 안면도 일원을 선정하고, 연구대상지역에 대한 육상 및 해상 높이기준면 기반의 정밀지오이드모델을 각각 개발하였다. 지오이드모델 개발은 R-R 기법을 통한 중력지오이드모델 계산 후 대상지역 내 BM 및 TBM에 대하여 수행된 총 15점의 GPS/Leveling 자료를 이용하여 육상 및 해상 기준 합성지오이드모델로 적합(fitting)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두 합성지오이드모델 간의 편차를 계산하여 인천만 평균해면(IMSL)과 지역별 평균해면에서 지역별 약최고고위면(AHHW)과 약최저저조면(DL)간의 변환에는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개발한 조석보정체계(TideBed System)의 등조차모델을 지오이드모델과 동일한 격자간격으로 재격자화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안면도 지역의 높이기준면 변환 모델의 정확도는 약 ±3cm 정도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 결과의 활용 시 다양한 높이측량 성과들을 인천만 평균해면 혹은 지역별 조석기준면 상 높이로 간편․정확하게 변환할 수 있어, 육․해상 높이기준면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축된 공간정보의 연계 시 높이 불일치로 인한 혼란과 공간정보를 활용한 연안지역 개발 및 해양방재 수행 시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height datum of Korea is currently separated into land and sea,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cquire homogeneous and accurate height information throughout the whole nation. In this study, we therefore tried to suggest the more effective way to transform the height information were constructed separately according to each height datum on land and sea to those on the unique height datum using precise geoid models and tidal observations in Korea. For this, Anmyeon island was selected as a study area to develop the precise geoid models based on the height datums land (IMSL) and sea (LMSL), respectively. In order to develop two hybrid geoid models based on each height datum of land an sea, we firstly develop a precise gravimetric geoid model using the remove and restore (R-R) technique with all available gravity observations. The gravimetric geoid model were then fitted to the geometric geoidal heights, each of which is represented as height datum of land or sea respectively, obtained from GPS/Leveling results on 15 TBMs in the study area. Finally, we deter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hybrid geoid models to apply the height transformation between IMSL and LMSL. The co-tidal chart model of TideBed system developed by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KHOA) which was re-gridded to have the same grid size and coverage as the geoid model, in order that this can be used for the height datum transformation from LMSL to local AHHW and/or from LMSL to local DL. The accuracy of height datum transformation based on the strategy suggested in this study was approximately ±3 cm.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minimize not only the confusions on the use of geo-spatial information due to the disagreement caused by different height datum, land and sea, in Korea, but also the economic and time losses in the execution of coastal development and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in the future.

      • KCI등재

        장관골의 결손에 대한 골수정 삽입 후 골이동술

        노재영 ( Jae Young Roh ),오창욱 ( Chang Wug Oh ),오종건 ( Jong Keon Oh ),경희수 ( Hee Soo Kyung ),박병철 ( Byung Chul Park ),민우기 ( Woo Kie Min ),김준우 ( Joon Woo Kim ),조창현 ( Chang Hyun Cho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1

        목적: 장관골의 골 결손을 골수정 삽입 후 골 이동술법으로 치료하고, 그 결과를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골 (12예)과 대퇴골 (2예)의 외상성 또는 골수염 후에 발생한 골 결손이 있는 14명을 대상으로, 평균 나이는 46.9세였고, 평균 추시는 3년이었다. 수술의 방법은 이동될 부위에 절골술을 시행 후, 골수정을 고정하고, 외고정 장치를 장착하여 골 이동술을 시행하였으며, 이동된 골이 접촉한 후에는 골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연장된 골의 길이는 평균 5.8 ㎝였으며, 외고정 장치는 술 후 평균 141일에 제거하였고, 외고정 장치의 장착률은 평균 25.6일/㎝이었다. 1명의 재결합부의 골유합의 실패를 제외하고, 모든 환자에서 신연부와 재결합부의 1차적 골 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Mekhail에 따른 기능적 결과는 우수 5예, 양호 6예, 보통 3예였다. 합병증은 15예에서 발생하였으며, 그 중 치유되지 못한 후유증은 2예로, 골수염과 슬관절의 굴곡 구축이 각각 1예가 있었다. 결론: 골수정을 삽입 후 골 이동술은 골의 결손을 성공적으로 치유할 수 있으며, 전통적인 외고정 장치에 비하여 외고정 장치를 일찍 제거할 수 있으므로 합병증의 빈도를 줄이고 보다 빠른 회복을 유도할 수 있는 좋은 골 형성의 방법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bone transport using external fixator over an intramedullary nail for defects of long bone. Materials and Methods: We treated 14 cases of bone defect after chronic osteomyelitis or trauma of tibia (12 cases) and femur (2 cases) using this method. The mean age of index procedure was 46.9 years, and all of them had follow-up study for a mean of 3 years. After the corticotomy and insertion of intramedullary nail, bone transport was done by external fixators. Then, the segment was moved and bone graft was done at docking site. Results: The mean transported amount was 5.8 ㎝, and the external fixator was removed after 141 days. The mean external fixation index was 25.6 days/㎝. Primary union of distraction and docking site was achieved in all, but one had failure in union of docking site. According to the Mekhail`s functional criteria, there were 5 excellent, 6 good, and 3 fair results. Among 15 complications, there were 2 major complications with residual sequelae, and they were 1 recurred osteomyelitis and 1 flexion contracture of knee. Conclusion: Bone transport using external fixator over an intramedullary nail, can successfully solve defects of long bone. Since this method can remove external fixators earli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it has fewer complications and makes patients to return to daily life earlier.

      • 원근해 지역의 해양 수직기준면 모델링 정확도 평가 방안

        노재영(Jae Young Roh),유경완(Kyung Wan Yoo),이동하(Dong Ha Lee),서용철(Yong Cheol Suh) 대한공간정보학회 2019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5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달, 태양 등의 기조력과 기압, 바람 등에 의해서 일어나는 해수면의 주기적인 승강현상을 연속 관측·분석하여 조석의 형태수, 평균고조간격, 평균저조간격, 대조차, 평균조차, 소조차, 약최고고조면, 약최저저조면(기본수준면), 평균해면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는 해양의 수직기준면을 결정하고, 지반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안정적인 해안에 기본수준점(TBM)을 매설하여 이러한 해양 수직기준면을 육상으로 전이·관리하여 해양조사·연안건설/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바다에서 해안 TBM과 같이 기준점의 설치가 불가능하여, 해양 수직기준면의 원활한 관리 및 이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NSS Buoy를 이용하여 해양의 수직기준면을 타원체고 상으로 전이하여 효율적으로 관리․이용할 수 있는 방안과 종래의 표척관측에 의한 높이 전이방법과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향후 본 연구 결과를 활용 시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바다의 수직기준면을 효율적으로 설정 및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조석보정에 의한 수심결정 정확도 향상 및 타원체고를 기준으로 한 해상과 육상 간 수직기준면 연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족관절 기능과 증상을 중심으로 평가한 경골 원위부 골절에서의 금속정 치료 결과

        김병민,배서영,노재영,Kim, Byoung-Min,Bae, Su-Young,Roh, Jae-Young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8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2 No.1

        Purpose: To evaluate the safety and prognostic factors of intramedullary nailing of distal tibia fractures in terms of function and symptoms of the ankle join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2 distal tibial fractures with intramedullary nailing.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43 months. We reviewed medical records to describe each case. We measured radiographic parameters such as fracture configuration, arthritic change of the ankle joint and status of reduction. We also assessed clinical results by AOFAS ankle hind foot scoring system, degree of pain by VAS and range of motion to find out prognostic factors for functional result of the ankle joint. Results: Bone healing was obtained in all cases without any wound complications. Mean AOFAS ankle score was 94. There were 4 cases with mild (VAS<3/10) ankle pain and 2 cases with mild limitation of ankle motion. The comminution of fractur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elayed angular deformity of ankle joint (p=0.032). There was no other significant parameter affecting ankle joint function except the location of nail-end. Conclusion: Intramedullary nailing in distal tibia fracture is a safe and effective procedure. But further study may ne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nail-end and the function of ankle joint.

      • KCI등재후보

        장관골 간부 골절에서 흡연이 골절 유합에 미치는 영향

        배서영(Su Young Bae),김희천(Hee Chun Kim),노재영(Jae Young Roh),이동욱(Dong Woo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4

        목적: 장관골 간부 골절 환자에서 흡연이 유합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최근 4년간 장관골 간부 골절로 치료받았던 환자 중 다발성 골절, 심한 분쇄골절, 개방성 골절(grade Ⅲ 이상), 일부 내과적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제외한 8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들을 흡연군과 비흡연군으로 나누어 의무기록과 방사선 사진으로 조사한 유합 기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나이, 성별, 골절 부위나 형태, 고정 방법 등 다른 인자들이 영향을 주는지를 통계학적 검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흡연군과 비흡연군간의 유합 기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4l) 특히 경골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평균 유합 기간은 흡연군에서 12.54 ±1.62주, 비흡연군에서는 1l.53±2.59주였고 불유합은 흡연군에서 3예, 비흡연군에서 1예가 있었다. 다른 인자들은 유합 기간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고 각 소그룹에서는 40-50대연령의 경골 원위 간부에서 흡연의 영향이 뚜렷하였다. 결론: 흡연은 골절 유합 기간을 연장시키므로 골절 치료시 환자에게 흡연을 중단하도록 권하는 것이 유익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smoking on the union time of the long bone shaft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sed eighty-four patients with a long bone shaft fracture who were treated during the last four years. Patients with polytrauma, severe comminuted fracture, open fracture over grade III, ESRD or other internal diseases were excluded. In this study we separated the groups into smoking and non-smoking groups. Also we observed whether there was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nion time and other factors such as the age, sex, fracture location and configuration, and method of fixation by using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Resul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nion time was found between the smoking group and the non-smoking group (p=0.041), especially in the tibia. The average union time was 12.54±1.62 weeks in the smoking group and 11.53±2.59 weeks in non-smoking group. There were three non-union cases in the smoking group and one in the non-smoking group. Other factors appeare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s. The negative effect of smoking was more obvious in patients in their 5th and 6th decades with a distal tibia shaft fractures. Conclusion: It seems highly beneficial that patients be recommend to quit smoking while being treated for a fracture, because smoking prolongs the healing time.

      • KCI등재

        기계적 축에 수직으로 재구성된 삼차원 단층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측정한 대퇴 경부 전염각의 측정

        김광균 ( Kwang Kyoun Kim ),노재영 ( Jae Young Roh ),김상범 ( Sang Bum Kim ),이우석 ( Woo Suk Lee ),원예연 ( Ye Yeon Won ),채동식 ( Dong Sik Chae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1

        Purpose: We wanted to measure the femoral neck anteversion (FNA) angles using a 3D CT scan that perpendicularly cut the mechanical axis of the femur and to assess the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of different measuring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We obtained 95 cases of 3D CT images of the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the mechanical axis of the femur. The methods used to measure the FNA angles included a method using the CT image of the area where the femoral neck is confluent to the greater trochanter (method 1), a method using the CT image taken from the neck base immediately prior to the beginning of the area of the lesser trochanter (method 2) and a method by which measurements are made after putting 3D bone models on a horizontal plane in virtual space (method 3). The reference axes of the distal femur we used were the anatomical transepicondylar axis, the surgical transepicondylar axis and the real posterior condylar axis. Results: The FNA angles measured by method 1 were 4.79±6.41˚ to the anatomical transepicondylar axis (ATEA), 6.09±6.58˚to the surgical transepicondylar axis (STEA) and 7.96±6.81˚to the real posterior condylar axis (rPCA). The FNA angles measured by method 2 were 16.01±8.31˚to the ATEA, 19.52±8.38˚to the STEA and 21.79± 8.52˚to the rPCA. The FNA angles measured by method 3 were 20.15±12.89˚to the rPCA. Conclusion: The measurement of the FNA angle using a 3D CT scan perpendicular to the mechanical axis is reproducible. The measurement method on the neck base level is more reliable than the one on the proximal neck confluence, and more similar to the measurement method by classic definition.

      • KCI등재

        경골 간부 골절의 골수강내 고정술 후 발생한 장 무지 신전건의 구축

        허윤무(Youn-Moo Heo),노재영(Jae-Young Roh),김상범(Sang-Bum Kim),김재영(Jae-Young Kim),이정범(Jung-Bum Lee),김광균(Kwang Kyo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5

        경골 간부 골절 후 발생하는 족지 변형은 구획 증후군 또는 근/건의 유착이 원인으로 언급되고 있다. 족지 변형은 후방 구획 근육 손상과 연관되어 갈퀴 족지 또는 checkrein 변형이 비교적 흔히 보고되고 있으나, 전방 구획 근육 손상에 의한 변형은 매우 드물다. 저지들은 경골 간 부 골절에 대해 골수강내 고정술로 치료 후 족 무지의 중족족지 관절에 발생한 신전 변형을 2예 경험하였다. 수술 전, 후에 구획 증후군이 의심되는 소견은 없었다. 변형은 족관절의 족배 굴곡에 의해 감소되고 족저 굴곡에 의해 증가되었다. 장 무지 신전건 구축에 의한 변형으로 진단되어 족배부에서 Z-연장술을 시행하였으며 변형의 재발 없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저자들은 경골 간부 골절 후 드물게 발생하는 족지 변형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Toe deformities occurring after tibial shaft fracture can result from compartment syndrome or adhesion of muscle to tendon. Claw toes or checkrein deformity caused by injury of posterior compartment muscles has been reported relatively often. But, a deformity due to injury of the anterior compartment muscles is very rare. We observed the two cases of an extension deformity at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of the hallux following intramedullary nailing of a tibial shaft fracture. There was no evidence of compartment syndrome Extension deformity of the hallux was decreased with dorsiflexion of the ankle and increased with plantar flexion. Contracture of the extensor hallucis longus tendon was diagnosed, and Z-lengthening of that tendon was performed.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without a recurrence of deformity. We report these rare cases of toe deformities occurring after a tibial shaft fractur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