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운하우스의 공용공간 이용실태와 생활만족도 조사 분석 - 파주 도시농부 타운하우스 거주자 사례 중심으로 -

        성기선 ( Seong¸ Kis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타운하우스는 도시 아파트의 생활방식에서 벗어나 인간적이고 자연 친화적인 공간을 찾는 현대인들에게 삶의 질적 향상과 가족 중심의 생활 패턴, 이웃과의 소통을 제공하는 곳이다. 이런 타운하우스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계획적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해 개선방안을 제시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실제 공용공간이 계획된 타운하우스에서 주민들의 이용실태와 생활만족도를 조사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용공간이 제공된 파주 도시농부 타운하우스에서 거주자들의 공용공간 활용과 생활만족도를 조사하여 타운하우스의 생활환경 개선과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내용 및 방법은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에 공급되고 있는 일반 타운하우스에 대한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목적에 맞는 연구조사대상을 선정한 후, 현장 조사하여 타운하우스에 대한 계획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를 위해 파주 타운하우스의 관리자와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공용공간 이용실태 및 생활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거주자와 관리자의 설문 결과 종합평가를 바탕으로 생활만족도를 고려한 주거환경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 이번 조사결과 커뮤니티 시설의 이용이 많은 주민이 이웃과 잦은 왕래가 있고, 필요할 때 서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볼 때 커뮤니티 시설공간의 활용도에 따라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인터뷰 내용에서 커뮤니티 공간 이외에도 마당이나 데크, 단지 내 공터, 건물 사이의 도로 등 거주자들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행사와 사적 만남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주민 외에 지역사회의 이웃들도 브런치 바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어 단지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커뮤니티 형성에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며 단지의 유지 방법 중 하나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결론) 향후 단지 내 공용공간 중 커뮤니티가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좀 더 다양한 계획이 필요하며, 앞으로 계획되는 타운하우스에서는 프로그램이 구성된 커뮤니티 시설 뿐만 아니라 주거 부분에서 이웃과 커뮤니티를 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townhouse provides contemporaries looking for human-oriented and nature-friendly space escaping from a lifestyle found in the city apartment with higher life quality, family-oriented life patterns, and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Advanced study on townhouses so far has been mostly focused on analyzing the aspects of planning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therefore, we should carry out more research on how the residents actually use the town houses where public space is planned and also their life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residents in the Paju urban farmer townhouse where public space is provided are using their public space and also their life satisfaction and then present foundational material to improve and vitalize living environment in townhouses. (Method) Regrading study contents and methods, this researcher conducted literature review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general townhouses being supplied in Korea, selected study subjects proper for the purpose, and then performed field research to figure out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townhouses. For analysis, this author distributed structuralized questionnaire sheets to the manager and residents of the Paju townhouse to study the status of using public space and evaluate life satisfaction, and based on general evaluation on the survey results of the residents and manager, this researcher suggests here how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life satisfaction. (Results) Concern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y answered that residents using community facilities often are those that communicate with neighbors frequently and can help each other when they are in need; therefore, as the use of community facilities increases, life satisfaction is elevated accordingly. Also,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it has been found that other than community space, the residents have a variety of events and private gatherings at their convenience in places like the yard, deck, empty lot in the complex, or path between buildings. Residents, as well as neighbors of regional companies, may use brunch bars, and not only that, there are places that will contribute to community formation at the level of regional companie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interviews to residents about the space where they gather among public space in the complex and find out if it is really done. For the townhouses planned afterwards, it seems to be needed to plan not only community facilities where programs are organized but space where neighbors can gather in the aspects of residence as well.

      • KCI등재

        농업디자인의 특성에 따른 소비자 만족도 연구

        안기선 ( Ahn¸ Ki-seon ),이주현 ( Lee¸ Joo-hyun ),이인숙 ( Lee¸ In-soo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농촌융복합산업에 있어서 소비자의 기호 변화, 농업의 외형적 성장세의 둔화, 다양한 농산물 브랜드 등장으로 인한 소비자 확보 경쟁이 심화되면서 구매를 결정짓는 요소가 감성 및 스토리텔링 등의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는 추세로 전환되고 있음에 따라 이제 농산업과 디자인 간의 융합에 있어 고도화가 필요하다. 또한 농촌융복합산업에서의 디자인 융합은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그들의 관점을 바탕으로 융합 특성 및 요소 탐구에 대한 접근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업디자인의 농토, 농장, 농작물에 나타나게 된 제품과 브랜드 소비자 만족도를 도출해봄으로써 농업과 디자인 융합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농촌융복합산업 현황과 농업디자인 유형별 디자인 융합의 특성을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보았다. 이후 실증 연구 설계에서 연구문제 및 가설 설정, 연구모형 설계, 농토·농장·농작물디자인 각 분야별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요소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농토디자인에서는 브랜드만 영향을 끼치며, 농장디자인에서는 브랜드, 제품 순으로, 농작물디자인에서는 제품, 브랜드 순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농업디자인의 신뢰, 가치,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브랜드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In the agricultural convergence industry, as the competition to secure consumers intensifies due to changes in consumer preferences, the slowdown in the external growth of agriculture, and the emergence of various agricultural brands, the factors determining purchase tend to include design elements such as emotion and storytelling. As it is being transformed, it is now necessary to upgrade the convergence between agriculture and design. In addition, for design convergence in the agricultural convergence industry, it is important to approach the exploration of convergenc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based on their point of view in order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basic data for the convergence of agriculture and design by deriving consumer satisfaction with products and brands that appeared in farmland, farms, and crops in agricultural design. The current status of agricultural convergence indust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convergence by agricultural design type were examin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fterwards, in the empirical research design, a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zed to find out the design factors that affect consumer satisfaction in each field: research question and hypothesis setting, research model design, and agricultural land/farm/crop desig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only the brand had an effect in the farmland design, the brand and the product in the farm design, and the product and the brand in the crop design. In order to increase consumer satisfaction with the trust, value, and image of agricultural design in the future, the brand should be considered as the top priority.

      • KCI등재

        What Makes Husband and Wife Satisfied with their Marriages

        Kiseon Chung(정기선),Yoshinori Kamo,Jihye Yi(이지혜) 한국인구학회 2010 한국인구학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간 비교 관점에서 한국과 일본의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결혼만족도 변화 패턴을 분석하고,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 한국과 2004년 일본에서 각각 조사한 전국가족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배우자와 동거하고 있는 5,308명의 한국인 성인남녀와 4,920명의 일본인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혼관계에서의 한국과 일본 간 문화적 차이와 유사성을 살펴보기 위해 교육수준과 결혼기간, 가구수입과 재혼 여부를 통제한 가운데 교육수준, 소득수준, 취업에 있어서 비전형적인 부부결합(marriage gradients), 가족스트레스, 부부 상호작용의 질이 한국과 일본 부부의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과 일본 모두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U자형 결혼만족도 변화패턴을 보였으며, 전 생애에 걸쳐 일관적으로 남편이 부인보다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한국과 일본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공통적으로 배우자에 대한 깊은 신뢰와 관심, 성생활 만족을 포함한 질 높은 부부 상호작용이었으며, 한국인 부부는 성생활 만족보다는 부부 상호작용의 질이 결혼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던 반면 일본인 부부는 성생활 만족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family life course and to find its determinants in Korea and Japan. The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nationwide representative sample surveys on family in these two countries including 5,308 Korean and 4,920 Japanese men and women living with their spouses. In order to see the cultural difference and similarity in marital relations, the effects of education, income, employment, marriage gradients (normative patterns between the spouses), family stress, and quality of conjugal interactions on Korean and Japanese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 marital satisfaction showed a U-shape pattern for both Korean and Japanese couples. In both countries husbands tend to hav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than wives over the entire life course.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Korean and Japanese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are good qualities of conjugal interactions including deep trust and concerns for spouse and sex life satisfaction. For Korean couples good conjugal interactions is better predictor of marital satisfaction than sex life, while for Japanese couples sex life is more important determinant of marital satisfaction.

      • KCI등재

        돌출영역 분할을 위한 대립과정이론 기반의 인공시각집중모델

        정기선(Kiseon Jeong),홍창표(Changpyo Hong),박동선(Dong Sun Park) 대한전자공학회 2014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1 No.7

        본 논문에서는 자연영상에 대한 돌출영역을 자동으로 검출하고 이를 분할하기 위한 새로운 인공시각집중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인간의 생물학적 시각인지 기반이며 주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의 강도특징과 색상특징을 사용하는 대립과정이론 기반의 새로운 인공시각집중모델의 구조를 제안하고, 돌출영역을 인지하기 위해 영상의 강도 및 색상 특징채널의 정보량을 고려하는 엔트로피 필터를 설계하였다. 엔트로피 필터는 높은 정확도와 정밀도로 돌출영역에 대해 검출 및 분할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최종 돌출지도를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적응 조합 방법 또한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각 인지 모델로부터 검출된 강도 및 색상 가시성지도에 대하여 평가하며 평가된 점수로부터 얻어진 가중치를 이용해 가시성 지도들을 조합한다. 돌출지도에 대해 ROC분석을 이용한 AUC를 측정한 결과 기존 최신의 모델들은 평균 0.7824의 성능을 나타낸 반면 제안된 모델의 AUC는 0.9256으로서 약 15%의 성능 개선을 보였다. 또한 돌출영역 분할에 대해 F-beta를 측정한 결과 기존 최신의 모델은 0.5718이고 제안된 모델은 0.7325로서 분할 성능 또한 약 22%의 성능 개선을 보였다. We propose an novel artificial visual attention model that is capable of automatic detection and segmentation of saliency region on natural images in this paper. The proposed model is based on human visual perceptions in biological vision and contains there are main contributions. Firstly, we propose a novel framework of artificial visual attention model based on the opponent process theory using intensity and color features, and an entropy filter is designed to perceive salient regions considering the amount of information from intensity and color feature channels. The entropy filter is able to detect and segment salient regions in high segmentation accuracy and precision. Lastly, we also propose an adaptive combination method to generate a final saliency map. This method estimates scores about intensity and color conspicuous maps from each perception model and combines the conspicuous maps with weight derived from scores. In evaluation of saliency map by ROC analysis, the AUC of proposed model as 0.9256 approximately improved 15% whereas the AUC of previous state-of-the-art models as 0.7824. And in evaluation of salient region segmentation, the F-beta of proposed model as 0.7325 approximately improved 22% whereas the F-beta of previous state-of-the-art mod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