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SCIESCOPUS

        Synthesis of Arenesulfonyl Fluorides via Sulfuryl Fluoride Incorporation from Arynes

        Kwon, Jungmin,Kim, B. Moon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9 ORGANIC LETTERS Vol.21 No.2

        <P>Transition-metal-free multicomponent reactions involving aryne precursors, secondary amines, and sulfuryl fluoride are reported herein. Zwitterionic intermediates formed from the reaction of arynes with amine nucleophiles can capture SO<SUB>2</SUB>F<SUB>2</SUB> under mild conditions, offering a novel and practical protocol for the synthesis of 2-dialkyl-, 2-alkylaryl-, or 2-diarylamino-substituted arenesulfonyl fluoride derivatives in good to excellent yields.</P> [FIG OMISSION]</BR>

      • KCI등재

        국내 교육용 기능성게임 활성화를 위한 해외 사례 연구

        권정민(Jungmin Kwon) 한국게임학회 2018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8 No.6

        2009년 이후 정부 주도로 기능성게임 활성화에 대한 노력이 있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실현이 잘 안된 이유 중 하나는 정부의 지원이 개별 게임에 대한 지원으로 집중되어 기능성게임이 자랄 수 있는 생태를 개발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페어팩스 카운티의 사례를 통해 기능성게임을 생태의 중심으로 보기보다는, 생태 안에 포함된 하나의 요소로 보고 그에 맞는 전략을 실행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기능성게임 생태의 개발을 위해서는 하드웨어 인프라 구축, 소프트웨어 지원, 그리고 휴먼웨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또한 책임 있는 테크놀로지 사용과 같은 디지털시민교육에 더욱 힘써야 한다. 게임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기 위해서는 책임 있는 플레이에 대한 교육이 더 강조될 필요가 있다. Despite the Korean Government’s efforts, serious games industry still finds difficult to thriv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ystematically why serious games industry is slow to grow in South Korea and to make future suggestions for policy by studying the case of FCPS program. For future suggestions,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ecology rather than the games themselves by building more infrastructures, suuporting more software, and considering human factors. Responsible play and digital citizenship must also be emphasized.

      • KCI등재

        장애 아동 플레이어 능력의 차이에 따른 기능성 게임 효과의 차이

        권정민(Kwon, Jungmin) 한국게임학회 2015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5 No.6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게임을 이용하여 지적장애를 가진 청소년의 직무 기술을 훈련하면서 플레이어의 수행 능력 차이에 따른 게임의 효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총 31명의 장애 청소년이 통제집단이 있는 사전, 사후 실험에 참여하였다. 플레이어의 수행능력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상, 중, 하 중 "중"에 속하는 학생들이 가장 변화의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기능성 게임은 다양한 장애 수준 중 "중"정도의 능력을 가진 학생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고 게임을 이용한 훈련은 장애아동의 생산성 향상 훈련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In this research, the effect of serious game on the task performance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investigated. A total of 31 students participated in a pre-post-with-control-group-design study. Results indicate that among the high-, moderate-, and low- ability students, the moderate-ability students gained the most from the game, in both speed and accuracy. From the results we can understand that game-based training has the most effect on the moderate level students.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serious games can be effective training tools for this population.

      • KCI등재

        코로나 시대 초등원격수업이 부실한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권정민 ( Kwon Jungmi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COVID-19으로 전국적으로 대부분의 학교에서 원격교육을 실시하였다. 갑작스럽게 시작된 원격교육은 많은 시행착오를 거쳤으나 시간이 지나도 개선되지 않는 교육의 질에 대해 사회는 각종 뉴스매체와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비판을 하였다. 특히 어린 학생들의 초등학교 원격교육의 부실함에 대한 불만이 표출되었는데, 그 대상은 주로 교사의 불성실함에 대한 내용이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등원격교육의 부실함의 원인에 대한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고찰이 필요하다고 여겨 이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 방법 중 근거이론적 접근을 택하였으며 11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2개월에 걸쳐 3회 이상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교사들은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 그러한 경험들이 초등원격수업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의 노력특성에 따른 차이점을 추출해냈다. 연구 결과 초등원격수업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은 단순히 교사에만 있지 않았으며 교사심리적 요인, 교사학습요인, 학교요인, 테크놀로지(인프라)요인, 정책요인, 가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원격수업의 부실함이 교사 개인에게 있다기 보다, 복잡한 사회의 시스템이 복잡하게 얽혀있고, 사회적 인식이나 문제 등 다양한 복합적 문제의 결과로 나타난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교사의 초상권을 사회가 지켜주지 못하는 것이나 민원에 대한 스트레스 등이 단적인 예가 될 수 있겠다. 연구를 통해, 이러한 요인들은 궁극적으로 초등원격수업이 획일화, 최소화, 일방화 되도록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원격수업을 잘 하기 위한 교사의 노력특성은 순응형, 조용한 체인지메이커형, 강한 체인지메이커형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원격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plored the reason for the low quality of distance learning in the COVID-19 era in elementary schools. As the sudden outbreak of the disease spread out, Korean schools had to abrubtly turn to distance education. However, the quality of the distance education was considered low by the public, and complaints against the teachers were publicly voiced out though the news outlets and online communities.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intended to find out the reason for the low quality of elementary distance education in particular because that is where the most complaints were filed. The researcher used grounded theory approach often used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understand a new phenomenon and induce a simplified theory from the phenomenon. Eleven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interview data, it was analyzed that several factors were contributing to the low quality of education. Those were: teacher psychological factor, teacher instructional factor, school administrative factor, government policy factor,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factor, and home & family factor. These factors merged into three high-level factors which were: uniformed education, one-sided education, and low-standard education. It was revealed in this research that the teachers did not bare the sole responsibility for low quality distance education but rather the problem existed in a whole complex social system. The three types of efforts characterized teachers into either obedient type, quiet changemaker type, and strong changemaker type.

      • KCI등재

        기업체 채용과정에서의 AI 활용이 대학의 입학사정에 주는 시사점

        권정민 ( Kwon Jungmin ),권지은 ( Kwon Jieun ),이영선 ( Lee Youngs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1 No.특별호

        입학사정관제는 “수능점수만으로 평가할 수 없었던 잠재능력과 소질, 가능성 등을 다각적으로 평가하고 판단하여 각 대학의 인재상이나 모집단위 특성에 맞는 신입생을 선발하는 제도”이며 2007년 시범적으로 시작되어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영되었다. 교사를 배출하는 교육대학에서의 인재선발은 미래의 학생들에게까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로 서류와 면접을 통해 잠재성과 인.적성을 파악하는 일이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입학사정관제는 노동집약적 과정으로 많은 비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교사로서 적합하지 않은 인성이나 적성을 가진 사례들이 대학입학 후나 교단에 진출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또한 입학사정관제의 편향성도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입학사정 프로세스에서의 AI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기업체의 인재채용 과정에서의 AI활용 방법과 사례들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대학 입학사정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았다. 그 결과, 기업 채용 프로세스에서 AI를 활용하는 단계 중 입학사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지원자모집과 지원자 지원서 처리 단계로서, 입학사정에서 가장 많은 인력이 필요한 단계가 서류평가와 면접인데 이는 지원서 처리 단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기술적으로 AI를 시도해볼 수 있음을 의미하지만, 대학에서 입학사정 목적으로 AI의 도입이 어려운 현실적인 이유는 입시가 가지는 공정성의 의미, 대학에게는 추가적 비용의 문제와 데이터 개방이라는 부담요소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AI활용 입학사정의 목적은 객관성과 공정성의 강화를 기본 건으로 하되, 궁극적으로는 고급인력 노동의 낭비를 줄이고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는 한편,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함이 되어야할 것이다. 따라서 몇 가지 위험성이 있음에도 비용의 절감과 더욱 공정한 평가를 위해 대학입학사정프로세스에서의 AI활용은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AOS) was introduced in Korea in 2007 to evaluat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potentials, talents, and possibilities in multiple levels as possible and to select students according to the models of each university. For the Education Universities which are teacher training colleges, evaluation of potential students bares a significant weight as the pre-service teachers will eventually be in-service teachers who will have direct effect on students. However, the AOS is not only time and cost consuming, but it is far from perfect when it comes to selecting the right students as some students turn out to be unfit for teacher positions. Also, the skew of selection is a constant problem criticized by the public. In this research, we discussed the possibilitie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AOS process. To do so we studied how private companies are using AI in their hiring processes. We found out that the companies use AI in all of the steps of the recruitment process from searching for potential employees to placement of the employees. AI-based AOS should aim for objectivity and fairness, but at the end it needs to be able to select applicants with highest potentials all the while effectively cutting costs. Since one of the biggest social issues in Korea is social equality and fairness, more research is needed to satisfy the needs of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

        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동향

        권정민 ( Kwon Jungmin ),이영선 ( Lee Young S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특별호

        기술은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장애인에게 있어 기술은 개인적 편리함 뿐 아니라 사회적 통합까지 가능케 하는 중요한 삶의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AI 기술이 장애인의 삶을 더 나아지게 하는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과거에 개발되었거나 현재 개발중이거나, 가까운 미래에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여러 장애 분야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 학습장애, 발달장애를 위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장애인을 위한 AI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문헌조사의 대상을 최근 5년 이내의 동료심사된 논문, 학술대회 프로시딩 뿐 아니라 현재 개발되고 있는 제품까지 포함하기 위하여 뉴스 기사, 기업이나 비영리 기관의 공식 블로그까지 연구대상으로 포함 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인을 위한 기술은 장애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장애별 AI 지원 중 가장 다양한 방식의 지원이 개발되고 있는 분야가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였으며, 이들은 생활보조에 더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반면, 학습장애와 자폐는 진단과 교육에 더 집중되어 있였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AI 기술의 개발은 크게 인식 보조, 이동성 보조, 쇼핑 보조, 학습 보조, 기타 생활 보조로 나누어졌다. 청각장애인을 위한 AI 활용은 캡셔닝, 듣기보조, 수화 통역의 세 분류로 나누졌으며, 지체장애인을 위한 AI는 크게 음성인식, 자율화, 조작, 보완대체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학습장애를 위한 AI는 크게 학습장애의 진단과 학습지원, 그리고 자폐성장애와 발달장애를 위한 AI는 크게 진단, 사회적 상호작용 보조, 치료 보조, 그리고 단순화로 개발되고 있다. 인공지능은 이동성 보조, 의사소통 기회와 능력 향상, 독립성 향상, 접근성 향상 등을 통해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Technology is used to make our lives more comfortable. For persons with disability, technology affects not only personal life but also how one is integrated into the society. In this study, trends in AI u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We researched peer-reviewed journals, conference proceedings, news outlets, and official company websites to get a broader view of available and currently developing products. Results show that AI technologies are used in specific and different way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example, AI for visual impairment were mostly developed to assist with visual perception, mobility, shopping, learning, and other daily living. AI for hearing impairment is developed around hearing assistance, captioning, and translation of sign language. AI for physical disabilities are focused on assisting with speech recognition, automation, control, and AAC. For learning disabilities, AI is mostly used for education and diagnostics. For autism, AI is mostly used for diagnosis, therapy, and simplification. AI products were mostly focused on helping persons with physical and sensory disabilities. For persons with learning disability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products were centered around assessment and education. Overall, AI is used to enhance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assisting with mobility, communication, independence, and acces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