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확장된 족근동 접근법을 통한 Kirschner Wire 강선 지지대 고정술의 임상 및 영상학적 결과

        이정길(Jeong-Kil Lee),강찬(Chan Kang),김상범(Sang-Bum Kim),이기수(Gi-Soo Lee),황정모(Jung-Mo Hwang),안병국(Byung-Kuk A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3

        목적: 종골 골절 후 발생하는 부정유합으로 인해 체부의 폭이 증가하면 후족부 외측의 통증이 발생한다. 외측벽 돌출을 줄이기 위해 저자들이 고안한 K-강선(Kirschner wire) 지지대의 정복 유지 효과를 임상 및 영상학적 결과로 후향적으로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 환자 중 정복 유지를 위해 K-강선 지지대를 사용한 환자 22명(A군)과 K-강선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 중 A군 환자와 1:2로 짝지은 44명의 환자들(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수술은 확장된 족근동 접근법으로 시행되었으며 유관나사와 Steinmann 핀, K-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임상적 평가로는 미국족부족관절학회의 족관절-후족부 수치와 수술 후 운동능력의 회복 정도를 비교하였다. 영상학적 결과는 Böhler 각, Gissane 각, 종골의 높이와 폭, 관절 내 함몰 정도와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두 군의 환자에서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도 분석해 보았다. 결과: 임상적 결과는 두 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924, p=0.961). 영상학적으로 Böhler 각, Gissane 각, 종골의 높이와 폭, 관절 내 함몰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p=0.170, p=0.441, p=0.230, p=0.266, p=0.400),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는 A군이 평균 1.78 mm, B군이 4.95 mm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7). B군에서 비복 신경 포착과 통증을 동반한 외골종의 빈도는 더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93, p=0.655). 결론: 임상적 평가 및 영상학적 평가의 대부분과 두 군의 합병증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에 있어서는 A군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저자들이 고안한 K-강선 지지대 수술법은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외측벽 돌출의 정복 유지에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trospectively evaluate the effect of ‘Blocking Kirschner Wire (K-Wire) Technique’, which has been developed to reduce protrusion of the lateral wall, in maintaining the level of reduction through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wo patients with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who used the blocking K-wire to maintain reduction (group A) and 44 patients that did not use blocking K-wire and were paired in 1:2 ratio with those Group A patients (group B), between January 2015 and December 2017 were enrolled in the study. All surgical procedures were performed via the extended sinus tarsi approach, and internal fixation using cannulated screws, Steinmann pins and K-wires was performed.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scale and postoperative recovery of exercise ability were compared for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The radiological results were compared the Böhler angle, Gissane angle, calcaneal height and width, step off of posterior calcaneal joint, and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lateral wall. Moreov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both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outcomes of the two groups (p=0.924, p=0.961). The amount of Böhler angle, Gissane angle, calcaneal height and width, and step off of posterior calcaneal joint from the radiological resul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170, p=0.441, p=0.230, p=0.266, and p=0.400). However,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lateral wall was 1.78 mm and 4.95 mm in group A and group B,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 (p=0.017). Although sural nerve entrapment and painful exostosis were more frequent in group B, they were occurred in a non-significant manner (p=0.293, p=0.655). Conclusion: Most of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s well as the complic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calcaneus lateral wall in group A was promising. The ‘Blocking K-Wires Technique’ established by the authors may be an effective surgical option for maintaining the reduction of the lateral wall protrusion in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 KCI등재

        파행을 주소로 내원한 소아 버킷 림프종

        차수민(Soo-Min Cha),신현대(Hyun-Dae Shin),김경천(Kyung-Cheon Kim),이정길(Jeong-Kil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1

        3세 여아가 미열을 동반한 우측 파행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검사실 소견에서는 적혈구 침강 계수(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30 mm/h)와 C-반응성 단백(C-reactive protein, CRP; 1.5 mg/dl)이 약간 상승되어 있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원위 대퇴의 후내측에 골막 반응이 관찰되었고, 인접 광근으로 팽윤하는 양상을 보였다. 급성 화농성 골수염 의증으로 일주일간 항생제 및 항염증제로 치료하였으나 증상의 호전 및 ESR, CRP의 정상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병변의 골막 및 근육 생검 결과 Bcl-6 양성의 버킷 림프종(Burkitt lymphoma)으로 확진되었다. 소아에서 혈액 종양은 첫 증상으로 파행이나 관절통 등의 근골격계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임상 경과를 보이지 않거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소아 파행에 대해서는 확진을 위하여 조직 검사 또는 골수 흡인 생검 등이 필요할 수 있다. A three-year-old girl presented with a right-sided limp and mild fever. Laboratory findings were normal, except for an elevate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of 30 mm/h and a C-reactive protein (CRP) level of 1.5 mg/d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a periosteal reaction in the distal posteromedial femur with contour bulging and extension of the reaction to the adjacent vastus muscles. Under a working diagnosis of acute suppurative osteomyelitis, she was initially treated with antibiotics and anti-inflammatory agents for one week. However, this did not result in resolution of her problems or normalization of the ESR and CRP. Biopsies of periosteum and muscle revealed Burkitt lymphoma expressing Bcl-6(+). In a child, limping can be the first clinical sign of hematogenous malignancy. In a limping child, if the general clinical course does not show improvement, and empirical treatment is ineffective, a comprehensive evaluation is necessary, including biopsies or bone marrow aspiration.

      • SCOPUSSCIEKCI등재

        방사선 치료에 지연 반응을 보인 중두개와 해면상 혈관종 : 증례 보고 Case Report

        이정길,정신,김재휴,김수한,강삼석,이제혁 대한신경외과학회 1993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2 No.9

        Although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intracranial cavernous hemangioma have been reported. these vascular malformations in the extracerebral middle cranial fossa are rare. We experienced one case of extracerebral cavernous hemangioma in the middle cranial fossa. The patient was a 45-year-old female who had a visual impairment and intermittent seizure attack. We removed the mass partially because of profuse bleeding and confirmed cavernous hemangioma pathologically. And then irradiation was started after the operation. The mass responded to irradiation very well and the CT scan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size of the mass and final disappearance. It is concluded that in case of an extracerebral cavernous hemangioma in the middle crainal fossa, irradiation was a very effective modality of treatment. At least the follow-up periods more than one year may be needed for the delayed effect of radiation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