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thinnings in scots pine plantations in Mongolia: a comparative analysis of tree growth and crown development based on dominant trees

        Batsaikhan Ganbaatar,Tsogtbaatar Jamsran,Alexander Gradel,Gerelbaatar Sukhbaatar 한국산림과학회 2021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Vol.17 No.3

        The post-thinning stand density and spacing in forest plantations influence individual tree growth and crown development, and the changes detected in dominant tree growth are a good indication of the thinning effe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thinning intensities on diameter and height growth in a Scots pine (Pinus sylvestris L.) plantation. The field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between 2016 and 2020 on a Scots pine plantation, growing in Selenge province of northern Mongolia. Following this, experimental thinnings were carried out with different intensities. Thinning treatments comprised thinning with very low, low, medium, and high intensities, as well as an unthinned control stand. Stem analyses were performed to calculate the annual and cumulative diameter, height, and volume growth. For tree crown measurements several parameters were analyzed: crown diameter, crown projection area, and crown index. A total of 300 trees (5 treatments3 replications20 dominant trees from each plot) were subjected to the comparative analyses. This study revealed that thinning showed a stronger positive effect on diameter and volume growth of dominant trees in the plantation. Our results showed a gradual increase in diameter, basal area, and volume growth depending on the thinning intensity. An ANOVA test for growth analyses of dominant tre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iameter (p<0.0001) and height (p<0.0001) growth performance following experimental felling with different thinning intensities. Finally we elaborated linear mixed effect models (LMM) for tree growth between 2016 and 2020 of selected dominant trees. With the help of the LMM we analyzed and described the thinning impact on DBH, BA, height, volume and crown diameter. The models confirmed that higher thinning intensity triggered growth of the response variables except for height. A greater height growth was found in very low (10%) and low (15%) intensity treatments. Due to reduction of competition and optimiz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individuals, thinnings contributed to a relatively faster development of the tree crown in radial directions. Based on our analysis results and comparative graphs representing post-thinning dominant tree growth in diameter, height, basal area, and volume, we recommend medium- (30%) and high-intensity (45%) thinnings as at the beginning stage of plantation establishment.

      • KCI등재
      • 창원이니셔티브 후속조치 사막화방지를 위한 몽골 자민우드시 조림타당성 조사

        장은경 ( Eun Kyung Jang ),박동균 ( Dong Gyun Park ),( Jamsran Tsogtbaatar ),오재만 ( Jae Man Oh ),이종학 ( Jong Hak Lee ),한기주 ( Ki Joo Han ),최원근 ( Won Geun Choi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우리나라와 인접한 북동아시아의 사막화는 해당 국가의 지역적인 환경문제뿐만 아니라 국경을 초월한 국제적인 환경문제이다. UNCCD는 사막화에 대한 첫 번째 글로벌 레짐으로서, 1997년 사막화 방지 계획(National Action Plan; NAP) 수립 이후 효과적인 사막화방지를 위한 정치적 의지와 재원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국제적, 국가적, 지역적 수준에서의 정책가이드라인과 제도적 지원활동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창원에서 열린 UNCCD 제11차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창원이니셔티브 후속사업 몽골 자민우드시 사막화방지 조림사업의 타당성조사를 수행하였다. 몽골 자민우드시의 자연 및 사회경제적 SWOT 분석을 통하여 사막화방지사업 가능성을 분석하고, 성공적인 사막화방지 활동을 위한 성공전략을 도출하였다. 몽골 자민우드시의 척박한 토양과 적은 강수량, 강한 계절풍과 같은 자연환경은 자연적인 산림 조성을 어렵게 하고 조림기술 및 전문가, 주민인식, 도로인프라 등의 부족은 성공적인 사업의 장애요인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자민우드시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약속과 함께 건조와 염해에 강한 수종의 선택, 관정 및 관수시스템의 도입, 토양개량, 선진 양묘장 도입, 접경 지역인 중국 얼린호트시에서의 선진기술의 전수, 조림단 조성, 지역주민 인식재고를 위한 정보센터의 운영으로 장애요인들이 극복 가능하며, 중국과 한국이 함께 몽골지역의 사막화 방지를 위해 지원하는 자민우드시 사막화방지 조림사업이 몽골 전역으로 확산될 수 있는 파급효과가 기대되기에 자민우드시가 창원이니셔티브 후속사업 대상지로 적격함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feasibility of afforesta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in Zamiin-Uud city, Mongolia as a follow-up project of Changwon initiative. As a border area of China-Mongolia, the transportation is the basic industries of Zamiin-Uud. A desertification and DSS make extensive damage to infrastructure such as a railroad which is critical for regional economy. We analyze the natural and social economic condition by using SWOT analysis. In spite of un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 with low precipitation, lack of water resources, unproductive soil condition and severe wind, it concludes that an afforestation in Zamiin-Uud could succeed if there is appropriate measures. We suggest selection of the proper species, development of wells, introduction of water irrigation system, soil improvements, introduction of advanced afforestation technology from Erinhot city which is on border line with Zammin-Uud, organization of afforestation unit and establishment of the information center to improve awareness on necessity of anti-desertification to local community.

      •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효율화 방안 연구

        추장민,강광규,박경애,김선영,Hyesook Park,Chazhong Ge,Jamsran Tsogtbaata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5/re-17 No.-

        1. 서론 난 10여 년간 동북아 환경협력은 역내 국가들의 정부, 연구기관, 민간 환경단체(NGOs), 기업간에 상당한 발전을 가져왔다. 하지만 일부 양자간 차원에서 진행되는 개별적인 협력사업을 제외하고는 상당수의 협력사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있으며, 역내 환경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사업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고 있다. 동북아 환경협력을 활성화하고 협력체계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유사한 환경협력체와 협력사업의 중복을 조정하고 개별협력체간의 연계와 통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 협력사업과 협력체계의 성과와 한계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효율성 제고의 측면에서 환경협력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과제의 연구목적은 현재 동북아 지역에서 전개되고 있는 개별 환경협력과 개별 환경협력으로 형성된 환경협력체계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그리고 역내 환경협력 당사자의 협력에 대한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동북아 환경협력체계의 구조개선을 통한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2. 동북아 환경협력 현황 개괄 환경협력의 유효성 평가대상인 개별 협력을 선정하기 위하여 우선 국가간 협력을 통한 공동대응이 필요한 지역차원의 주요한 환경현안에 대하여 대기분야, 해양분야 및 기타분야로 분류하여 개괄적으로 정리·파악하였다. 대기분야에서의 주요 지역 환경현안은 에너지기원 월경성 대기오염, 황사 및 산성비로 파악되었다. 또한 해양분야에서는 육상, 선박 및 해상기원 폐수 유입, 폐기물 투기, 해양생태계(염도, 온도) 변화가 주요한 지역 환경현안으로 공동대응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리고 기타분야로서 중국과 몽골 및 북한지역의 사막화, 산림파괴, 국경하천 오염사고 및 수생태계가 지역 환경현안으로 대두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지역 환경현안에 대응하여 기존의 역내 환경협력의 현황에 대해 정부간, 지자체간, 국제기구, 연구기관 및 민간조직 등 협력주체별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동북아 환경협력의 특성상 협력의 대다수를 이루고 있는 정부간 협력을 중심으로 개별 협력의 성격, 목적, 경과 및 주요활동에 대해 개괄적으로 분석하였다. 과거 10년간 다양한 협력이 전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동북아 지역 환경현안이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해양생태계 변화, 국경하천 오염 등 새로운 지역 환경문제가 대두하는 있는 현실분석에 근거하여 동북아 환경협력의 성과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와 효율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3.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유효성 평가방법 설계 본 연구에서 설계한 동북아 환경협력 유효성 평가 방법은 평가범위 설정, 개별 환경 협력에 대한 평가방법, 환경협력 전체에 대한 평가방법, 그리고 개별 환경협력으로 형성된 국내추진체계 및 국가간 협력체계에 대한 평가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효성 평가 범위는 동북아 지역에서 전개되고 있는 개별 환경협력, 환경협력 전체 및 개별 환경협력으로 구성된 환경협력체계가 각국 정부의 정책 및 제도의 변화, 기업 및 개인의 생산/생활 방식의 변화에 미친 제도적 유효성과 동북아 지역의 환경질 개선에 실질적인 효과를 미친 환경적 유효성으로 설정하였다. 개별 환경협력의 유효성 평가방법은 크게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부 영향요인(독립변수)에 대한 평가와 협력의 전개로 Since the early 1990s, th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in every Northeast Asian counties and the wide development of environment cooperation at global level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al cooperation.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programs and regional cooperation mechanism among countries in the environmental fields have been developed for solving regional environmental problems after the Rio conference in 1992, and even within research institutes and NGOs, the cooperation programs are created. The cooperation in businesses sector increases steadi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business market. Except a few bilateral cooperations, however, most of the cooperation programs are not running efficiently. To avoid similar environmental cooperation programs overlapped, those programs in similar functions should be linked and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this will lead improvement in the efficiency of cooperation mechanism. In this respect,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oopera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development plans by analyzing the existing cooperation mechanism comprehensively. This study, thereb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nd to provide provides more effective ways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considering the result of effectiveness evaluation and the demand survey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from relevant parties in the Northeast Asia. The tool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ime has been used to create an effectiveness evaluation method for individual environmental cooperation cases and cooperation mechanism. The scope of evaluation consists of two main fields, namely,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effectiveness. As well, evaluation objects include individual cooperation cases, integrated cooperation, cooperation mechanism among subjects at domestic level and individual cooperation programs at regional level. The evaluation objects for individual environmental cooperation effectiveness are two variables; outputs and outcomes of cooperation implementation (dependent variables), and influencing factors (independent variables). The evaluation method of independent variables is designed for evaluating individual cooperation case and cooperation mechanism. The evaluation method of dependent variables is designed for individual cooperation case in the respect of institutional effectiveness. Environmental effectiveness is evaluated by analyzing survey results on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Korea, China, Japan, and Mongolia. Seven individual cooperation cases are selected and evaluated. Comprehensive cooperation cases include NEASPEC, TEMM, and NEAC. The cases, against transboundary air pollution problems ,including dust and sand storm(yellow sand), consist of EANET, LTP and SDS-Net. NOWPOP is selected as Marine environmental cooperation case. Each cooperation case is evaluated, based on it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obj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problem(agenda) type/character, problem(agenda) solving capacity, and external factors. The dependent variables of each case are only designed to evaluate the institutional effectiveness and the institutional role of cooperation, including learning facilitate, utility modifier, implementation system. From the evaluation result, most of the cases show representative roles of learning facilitate in cooperation process, but some shows low effectiveness. The effectiveness of the whole environmental cooperation is evaluated by analyzing the subjective understanding of relevant persons to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each country, based on the survey result. Environmental cooperation has achieved very low environmental effectiveness in Northeast Asia, according to survey result since there is no viable and quantitative effects on environmental improvement through cooperation in th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