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캐나다 연료 수분지수에 대한 실효습도 적용성 검토에 관한 연구

        박흥석(Park, Houng-Sek),이시영(Lee, Si-Young),윤화영(Yun, Hwa-You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춘계

        본 연구에서는 캐나다 연료 수분지수의 정확도를 보정하여, 산불발생의 예측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입력 값인 상대습도와 실효습도(Effective humidity)를 이용한 결과를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캐나다 연료수분지수인 미세연료수분지수, 가뭄지수, 부식층수분지수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이에 따라 실효습도를 사용한 캐나다 기상지수의 민감도가 상대습도를 사용하여 산출된 지수보다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산불 발생 예측의 지표인 미세연료 수분 지수의 분석결과, 실효습도를 이용하여 산출된 미세연료 수분지수의 적중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미세연료 수분지수의 적용보다 상대습도의 적용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산림 인접 시설물에 대한 의식 분석

        박흥석(Park, Houng-Sek),이시영(Lee, Si-Young),이병두(Lee, Byung-Doo),Lee, Myung-Bo,구교상(Koo, Kyo-S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춘계

        산림 인접 시설은 산불의 발화원이자 주요 보호대상으로써, 이에 대한 관리와 소방 우선 순위의 결정은 인명과 재산의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접시설의 대상물과 우선순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결과 산불발생 취약대상에 대한 인지도는 높으나, 산불보호 대상에 대한 인지도는 낮으므로, 이에 대한 분류체계 수립과 교육이 필요하며, 산불관련 공무원들은 논밭두렁, 묘지, 과수원을 취약대상으로 인지하며, 문화재와 천연보호림을 보호대상으로 인식하고, 주요 피해 대상은 문화재와 주거 시설이라고 제시하였다.

      • 산림 인접 시설의 산림으로부터의 거리분포에 관한 연구

        박흥석(Park, Houng-Sek),이시영(Lee, Si-Young),이병두(Lee, Byung-Doo),구교상(Koo, Kyo-Sang),권춘근(Kwon, Choon-Geun)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추계

        산림 인접 시설은 산불의 발화원이자 주요 보호대상으로써, 이에 대한 관리와 소방 우선 순위의 결정은 인명과 재산의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 인접지의 정의를 위해, 산림으로부터 거리 별로 지역의 시설물의 분포를 분석하고, 해외분류 사례를 조사함으로써, 적절하고, 효과적인 산림 인접지 정의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해외사례와 국내의 지형과 상황을 반영하였을 때, 산림으로부터 30m 혹은 50m의 이격거리 이내 지역을 인접지로 선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이며, 실제 현장 조사 결과, 비화로 인해 피해를 발생한 사례를 제외하고, 전 피해 시설이 인접지 내에서 발생하여, 선정기준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와 사례검증을 통한 연구를 통한 지속적인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기후변화에 따른 미세연료수분지수의 변화예측

        박흥석(Park, Houng-Sek),이시영(Lee, Si-Young),권춘근(Kwon, Chun-Geun),이해평(Lee, Hae-Pyeo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추계

        기후변화는 우리생활에서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산불 또한, 발생 빈도와 강도 면에서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모형(GCM)과 캐나다 산불 기상 지수의 미세연료 수분지수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에서 기후변화 후 예측 되는 산불 발생의 가능성과 산불 계절의 변화를 예측하여, 향후 산불 방제 정책의 기본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밸런스형 사회가 유지될 경우의 미세 연료 수분 지수의 분석 결과, 산불 계절이 현재 보다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사전 대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산림인접지의 산불 위험도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박흥석(Park, Houng-Sek),이시영(Lee, Si-Young),이병두(Lee, Byung-Doo),구교상(Koo, Kyo-S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춘계

        산림 인접 시설은 산불의 발화원이자 주요 보호대상으로써, 이에 대한 관리를 위해 위험 정도를 판정하는 것은 진화 우선 순위의 결정과 인명과 재산의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 인접지의 정의 하에 임상, 접근 경로, 소방시설, 지형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산불 발생 시 위험 정도를 점수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산림 인접지 내 시설물의 산불 위험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불 발생 시 실제 피해를 입은 시설물의 위험도가 높다고 판정하였으나, 미 피해 시설물의 위험도도 위험하다고 판정된 사례가 있어, 보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와 사례 검증을 통한 연구를 통한 지속적인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영농소각으로 인한 산불에 대한 영농 종사자와 공무원간의 인식 차이 분석에 관한 연구

        박흥석(Park, Houng-Sek),이시영(Lee, Si-Young),이병두(Lee, Byung-Doo),구교상(Koo, Kyo-S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춘계

        작은 국토 면적에 비해 잦은 산불피해가 발생하는 우리나라에서 영농활동을 위한 소각은 산불의 중요한 원인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발화원인자인 영농인들의 의식조사와 관리주체인 산불관련 담당공무원의 의식조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영농으로 인한 소각행위가 빈번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영농소각으로 인한 산불 금지와 관련된 제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소각 금지법에 대해 영농종사자들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공무원들도 산불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보아 소각 금지법은 산불예방을 위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농종사자와 공무원 모두 공동소각이 산불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답변하였으며,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각 금지 거리 100m에 대한 적정성은 영농종사자와 공무원 집단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각신청 허가서의 산불예방효과에 대해서도 양 집단 모두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농폐기물 소각 근절을 위해 영농종사자들은 '기간 내의 신고에 의한 합법적인 소각'을 가장 필요한 대책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 KCI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Suppression Resources According to Facilities in Forest

        Chan Ho Yeom,Si Young Lee,Houng Sek Park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6 Crisisonomy Vol.12 No.4

        본 연구는 산림 내 주요시설물별 산불진화자원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산림 내에 가장 많이 소재하고 있는 요양소, 펜션, 휴양림, 사찰 등 총 69개소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시설물별 산불진화자원 현황 조사는 안전관리 인적현황(2항목), 재난발생 시 협조체계 현황(2항목), 안전관리(3항목), 소화설비(4항목), 방범설비 및 매뉴얼(3항목)등 총 14개 항목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산불이발생될 경우 대응가능 인원 중 시설물 관리자 및 상주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산불발생시 관공서와의 접근거리는 사찰이 평균 10km (18.6분)로 가장 멀고, 진출입로, 선회 공간 등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펜션의 경우 안전교육을거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 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설물별 소화설비 및장비의 확충과 화재대응 매뉴얼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anatoriums, pensions, recreation forests, buddhist temples and others mainly located in forest in order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on forest fire suppression resources. By investigating 69 facilities in the study area, we found that a facility administrator and resident persons would need to be appointed as a fire administrator to effectively respond to forest fires. It is found that buddhist temples are located the most distant from a public office, with the average distance of approximately 10 km (the access time was 18.6 minutes), and thus should be provided with more access routes and spaces for more prompt responses to the forest fire risk. We also found that the forest fire safety education has been rarely conducted in pensions. This findings of this study recommend that an extinguishing system and equipment should be further expanded and the forest fire response manual should be provided in all facilities.

      • 기후조건 변화에 따른 산불확산 변화 비교

        이시영(Lee, Si-Young),박흥석(Park, Houng-Sek)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추계

        We simulated a forest fire which was occurred in Yangyang area on 2005 and compared a results between two different weather conditions(real weather condition and mean weather condition since 1968) using FARSITE, which is a forest fire spread simulator for preventing and predicting fire in USDA. And, we researched a problem in the transition for introducing, so we serve the basic method for prevention and attacking fire. In the result, severe weather condition on 2005 effected a forest fire behavior. The rate of spread under real weather condition was about 4 times faster than mean weather condition. Damaged area was about 10 time than mean weather condition. Therefore, Climate change will make a more sever fire season. As we will encounter to need for accurate prediction in near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predict a forest fire linked with future wether and fuel condition.

      • 산불확산 시뮬레이션 도입을 위한 FARSITE 고찰

        이시영,박흥석,Lee,Si-Young,Park,Houng-Sek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1

        We studied a basic concept and application about FARSITE, which is a forest fire spread simulator for preventing and predicting fire 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USDA). And, we researched a problem in the transition for introducing, so we serve the basic method for prevention and attacking fire. For this transition, we compared the behavior of the 2005 Yangyang forest fire with the result of a simulation. The spread direction is similar to real data. But, while mean spread of rate was 0.65km/hr on real data, it was 0.3km/hr on simulation. As Damaged area is 1,387ha on real, it was 5,368ha on simul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uel concept for more accurate simulation.

      • SCOPUSKCI등재

        A Study on a Development of Automated Measurement Sensor for Forest Fire Surface Fuel Moistures(산불연료습도 자동화 측정센서 개발에 관한 연구)

        ( Chan-ho Yeom ),( Si-young Lee ),( Houng-sek Park ),( Myoung-soo Won ) 한국목재공학회 2020 목재공학 Vol.48 No.6

        본 연구는 산불의 발생과 확산위험성의 지표인 산불연료의 수분함량과 산불위험도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산불연료습도 자동화 측정센서를 개발하였다. 이 측정센서는 산불연료의 함수율을 전기저항으로 측정하여 자동으로 산불연료의 함수율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이 센서에 사용된 산불연료는 소나무(길이 50cm, 직경 1.5cm)이고, 함수율과 전기저항과의 관계를 추정하는 전기저항=2E(E:Exponent of 10)+13X(X:함수율)-9.705(R<sup>2</sup>=0.947)인 환산식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자동화된 산불연료습도 자동화 측정센서의 소프트웨어와 함체를 설계하여 시제품을 제작하였고, 이를 다시 산림 내에서 현장 모니터링 검증을 실시하여 적합성(R<sup>2</sup>=0.824)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산불의 발생, 확산과 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에 도움을 주며, 산불위험예보 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an automated sensor to measure forest fire surface fuel moistures was developed to predict changes in the moisture content and risk of forest fire surface fuel, which was indicators of forest fire occurrence and spread risk. This measurement sensor was a method of automatically calculating the moisture content of forest fire surface fuel by electric resistance. The proxy of forest fire surface fuel used in this sensor is pine (50 cm long, 1.5 cm in diamet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isture content and electrical resistance, R(R:Electrical resistance) =2E(E:Exponent of 10)+13X(X:Moisture content)-9.705(R<sup>2</sup>=0.947) was developed. In addition, using this, the software and case of the automated measurement sensor for forest fire surface fuel moisture were designed to produce a prototype, and the suitability (R<sup>2</sup>=0.824) was confirmed by performing field monitoring verification in the for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can predict the occurrence, spread and intensity of forest fires, and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advanced forest fire risk forecasting technolo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