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中国語의 中間構文 : 일본어와의 대조

        千昊載(Ho-Jaee Cheo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4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 No.-

        The main concern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inese middle form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true middle construction in Chinese. In other words, if there exists a middle construction in Chinese, what are its properties and constraints?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paper, briefly sketches properties of the middle, based on Ho-Jaee Cheon"s(1998,2004) criteria, which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evidence of Japanese. In section 3, we will apply the semantic and syntactic properties of the potential middle construction to the Chinese. In this section, we will find, the Chinese potential middle forms shows sign of an implicit agent argument(i.e. the paraphrase relationship, the all by itself test, or co-occurrence of by-phrase). Moreover, the Chinese potential middle forms exhibits stativity, which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middles. The test for stativity that we have applied involve the verb happen, the progressive, agent oriented adverbs, pseudoclefts, purpose clauses, the iterative simple present, and genericity. We will find, the forms not occur with the verb happen, progressive, agent oriented adverbs, pseudoclefts, purpose clauses, the iterative simple present, imperatives, and vocatives. Furthermore, the forms permit a paraphrase containing the modal auxiliary. Finally, the forms are acceptable respective of existence of modifier adverbials.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 middle construction in Japanese and tests for each property, we can conclude that Chinese have a middle-intransitive construction.

      • 日本語とロシア語の中間構文

        千昊載(Cheon Ho-Jaee)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 No.-

        The main concern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ussian Middle form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true Middle Construction in Russian. In other words, if there exists a Middle Construction in Russian, what are its properties and constraints?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paper, briefly sketches properties of the Middle, based on Cheon, Ho-Jaee(1998,2004)'s criteria, which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evidence of Japanese. In section 3, we will apply the semantic and syntactic properties of the potential Middle Construction to the Russian. In this section, we will find, the Russian potential Middle forms shows sign of an implicit agent argument(i.e. the paraphrase relationship, the all by itself test, or co-occurrence of by-phrase). Moreover, the Russian potential Middle forms exhibits stativity, which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Middles. The test for stativity that we have applied involve the verb happen, the progressive, agent oriented adverbs, pseudo-clefts, purpose clauses, the iterative simple present, and genericity. We will find, the forms not occur with the verb happen, progressive, agent oriented adverbs, pseudo-clefts, purpose clauses, the iterative simple present, imperatives, and vocatives. Furthermore, the forms permit a paraphrase containing the modal auxiliary. Finally, the forms are acceptable respective of existence of modifier adverbials.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 Middle Construction in japanese and tests for each property, we can conclude that Russian have a Middle-Passive construction.

      • KCI등재후보

        한국어의 중간 자동사 구문과 중간 수동 구문에 관한 연구

        천호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002 語學硏究 Vol.38 No.1

        In this paper, we have discussed there are middle intransitive and middle passive constructions in Korean, which is equivalent to the properties of English middle constructions. Applying the test for English middle constructions to Korean, we obser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Korean does have the middle intransitive and middle passive constructions; second, the subjects of the middle constructions are patients, and usually take demonstratives and the topic marker 'un/nun'; third, those middle constructions imply the existence of generic agents and need the support of facility adverb and CAN; fourth, middle intransitive verbs and middle passive verbs are stative verbs, describing the generic properties of the subjects, and are made out of DO-verb and CAUSE-verb, describing the generic properties of the patient.

      • KCI등재
      • KCI등재

        日本語の自動詞文と中間自動詞文

        천호재 ( Ho Jaee Cheo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07 日語日文學硏究 Vol.61 No.1

        本論文の目的は日本語に自動詞文(非能格自動詞文、非對格自動詞文)と形態·統語·相的に區別される中間自動詞文1と中間自動詞文2が存在することを主張することである。第2節では自動詞文と中間自動詞文の形態·統語·意味·相的特徵を比較することによって、日本語では中間自動詞文が自動詞文から區別されるべきであることを論じている。第3節では中間自動詞文1と中間自動詞文2の存在は形態部門が文法モデルの中で統語部門の後に位置するという擴散形態論の妥當性を保證する決定的な役割を果たすことを論じている。本硏究は中間自動詞文と擴散形態論との關係からうかがえるように、中間自動詞文をめぐって數多くの言語學的議論が可能となると期待している。

      • KCI등재
      • KCI등재

        日本語學,日本語敎育學 : 日本語と韓國語の主觀的樣態素の時制制約

        천호재 ( Ho Jaee Cheo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06 日語日文學硏究 Vol.56 No.1

        本論文では、まず第1に、澤田(1993)の硏究を通して日本語の樣態素「だろう、う(よう)、まい、ようだ、らしい、(し)そうだ」が時制制約の違いにより「だろう、う(よう)、まい」に代表される主觀的樣態素と、「ようだ、らしい、(し)そうだ」に代表される客觀的樣態素に分類されること、その歸結として主觀的樣態素は屈折せず、過去の意味をもたないこと、さらにその形式が包んでいる命題內容はテンスを含んでいなくてはならないことを紹介する。第2に、「겠、ㄹ것이다、가보다、듯하다、ㄹ것같다、모양이다」などの韓國語の樣態素の時制制約を考察した先行硏究は皆無であること、第3に、韓國語の樣態素「겠、ㄹ것이다、가보다」に日本語の主觀的樣態素と同樣の時制制約が適用されることから、これらの形式を主觀的樣態素として客觀的樣態素から區別しなければならないこと、第4に、[+接近可能性]と[現實性]という意味素性を考慮することによって、韓國語と日本語の主觀的樣態素の時制制約が生ずる理由とそれらの形式がとる統語構造を說明できること、最後に、韓國語と日本語の主觀的樣態素の時制制約に反する樣樣な反例をも說明する。

      • KCI등재

        좌석 선택으로 본 한국인 대학생의 심리 -일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천호재 ( Ho Jaee Cheon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0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18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좌석 선택에 대한 다양한 심리를 논의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얻어진 지견을 통해 다양한 방안을 학습현장에 적용하고자 하는 마음이 본 연구자에게 있다. 우선 말굽형의 좌석 선호로 본 남녀 일본어 학습자 상호간의 심리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들의 물리적 거리와 친밀도가 비례하는지 여부를 살펴볼 것이다. 테이블 식 좌석 배치에서는 친한 동성, 친한 이성, 친하지 않은 동성이나 이성의 경우로 나누어 학습자들의 좌석 선택 경향을 살펴볼 것이다. 교사와 학습자의 물리적 거리에서는 친하다고 생각되는 교사, 그렇지 않은 경우의 교사와 학습자들의 물리적 거리 등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이성인 교사, 동성인 교사, 고령의 교사, 젊은 교사와 학습자들의 물리적 거리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성적이 좋은 수업, 성적이 좋지 않은 수업과 학습자들의 물리적 거리도 살펴볼 것이며, 나아가 성격이 상냥한 교사, 그렇지 못한 교사와 학습자들의 물리적 거리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교사의 위치에서 친한 교사와 학습자, 친하지 않은 교사와 학습자, 동성의 교사, 이성의 교사와 학습자들의 위치, 그리고 고령의 교사, 젊은 교사, 상냥한 교사, 그렇지 않은 교사, 무뚝뚝한 교사와 학습자들의 위치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本論文ではまず馬蹄型の座席選擇でみた男女日本語學習者の心理を考察した。その結果、親密度と物理的距離は比例することがわかった。相手が親しい同性の場合、右側に座りたがる傾向があり、反面親しい異性の場合は左側に座りたがる傾向があることがわかった。テ―ブル式では、親しい同性の場合には右側に座りたがる、親しい異性の場合には左側に座りたがる、などというような傾向はあまり目立たなかった。そして親しい異性の場合正面に、親しくない同性や異性の場合は對角線の方向に座りたがる傾向を確認できた。敎師と學習者の物理的距離では、親しいと思われる敎師と學習者たちの物理的距離は近く、そうではない場合は遠いことがわかった。異性の敎師と學習者との物理的距離は比較的に近く、高年層の敎師と學習者との物理的距離は遠いことがわかった。若年層の敎師と學習者、成績のよい授業の場合と學習者との物理的距離は比較的に近いことがわかった。反面、成績のよくない授業の場合はそうではないことがわかった。性格のやさしい敎師はそうではない敎師より學習者との物理的距離は近いことがわかった。最後に、學習者を中心とした敎師の位置では學習者たちが親しい敎師から右側の傾斜面や側面からの支援を希望することがわかった。反面、親しくない敎師からは裏側の傾斜面から支援を希望することがわかった。學習者は同性の敎師の場合正面から、異性の敎師の場合右側の側面から支援を希望し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さらに學習者は高年層の敎師からは裏面の傾斜面から、若年層の敎師からは右側の側面から支援を希望することがわかった。優しい敎師からは右側の側面から支援を、そうではない敎師からは裏面の傾斜面から支援を希望す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 KCI등재
      • KCI등재

        A study on the Middles in Japanese and Russian

        Cheon Ho-Jaee(천호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9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8

        이 논문은 러시아어에 중간 구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고찰한 것이다. 고찰한 결과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지닌 중간 구문이 러시아어에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러시아어의 중간 구문에는 동작주가 의미상 함축되며 중간 동사의 형성에 제약이 존재하며, 중간 구문은 상태화의 조작을 받으며, 총칭성을 기술하며, 가능 및 부사 수식을 받는다는 것이다. 제1절에서는 일본어 중간 구문의 특징들을 요약하였다, 제2절에서는 일본어 중간 구문의 의미적, 통사적 특징을 러시아어 중간 구문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필자는 러시아어 중간 구문이 다양한 공기 제약을 지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러시아어의 중간 구문이 가능 및 피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구문과 동의 관계를 지니며, 동작주의 관여를 배제하는 부사와 공기하지 않으며, 동작주를 논항으로 하여 중간 구문의 표면에 명시할 수 없으며, 중간 구문은 상태화의 조작을 받으며, 총칭성을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러시아어의 중간 구문은 가능의 의미를 내포하며 부사의 수식을 필수적으로 받는다. 이러한 모든 사실을 근거로 필자는 러시아어에서 중간 구문이 존재한다는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그러나 러시아어 중간 구문은 피동 구문과 동일한 문법 형식을 취하므로 ‘중간 피동 구문’이라 하여 중간 구문을 피동 구문에서 구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